KR102052397B1 - 일체형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일체형 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397B1
KR102052397B1 KR1020170067989A KR20170067989A KR102052397B1 KR 102052397 B1 KR102052397 B1 KR 102052397B1 KR 1020170067989 A KR1020170067989 A KR 1020170067989A KR 20170067989 A KR20170067989 A KR 20170067989A KR 102052397 B1 KR102052397 B1 KR 10205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frame
pair
inner boot
b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725A (ko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디티
Priority to KR102017006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39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02B6/383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comprising a keying element on the plug or adapter, e.g. to forbid wrong conn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6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fibre stu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과 스토퍼를 일체화해서 조립과 분해가 쉽고 조립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 또한 줄이는 일체형 광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페룰과, 상기 페룰과 연결된 광섬유를 감싸 보호하며 상기 페룰을 고정하는 내측 부츠와, 상기 페룰과 내측부츠를 수용하는 일체형 프레임이 구비된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프레임은, 상기 내측 부츠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과, 상기 내측 부츠로부터 인출된 상기 페룰을 감싸 수용하는 제2수용공을 갖춘 프레임 파트와; 상기 프레임 파트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내측 부츠의 타단을 수용하는 중공을 갖춘 스토퍼 파트를; 각각 구성하며, 서로 결착되는 제1바디와 제2바디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광 커넥터{UNITED OPTIC CONNECTOR}
본 발명은 프레임과 스토퍼를 일체화해서 조립과 분해가 쉽고 조립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 또한 줄이는 일체형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통신라인은 광 통신을 위한 광섬유 케이블(이하 '광케이블')에 의해 구축되고, 단말에서 광케이블 연결은 광 커넥터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종래 광 커넥터는, 페룰(ferrule)과, 상기 페룰을 수용하는 부츠와, 상기 부츠를 통해 페룰과 연결된 광케이블을 감싸 지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페룰을 감싸며 스토퍼와 결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어댑터와의 결착을 위한 구조를 이루며 프레임을 감싸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 광 커넥터는 페룰과 부츠와 스토퍼 및 프레임 등과 같이 다수의 구성이 상호 결합해 이루어지므로, 종래 광 커넥터 1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의 부품 제작이 요구되었고, 제작된 부품들을 일일이 조립해야 하는 수고 또한 거쳐야 했다. 결국 종래 광 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작 공정과 조립 공정 등에서 비교적 많은 수고가 뒤따랐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광 커넥터의 일부 구성을 생략해서 광 커넥터의 구성 부품을 줄이고 조립에 필요한 수고를 줄였으나, 이 경우에는 광 커넥터에서 구성 부품이 갖는 고유한 기능을 포기해야 했으므로, 이 또한 개선시켜야 할 과제였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61930호(2009.06.17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광 커넥터를 구성한 부품 수를 줄이면서도 기존 부품들이 갖고 있던 고유 기능은 지속시키고, 부품 간에 조립이 손쉬우며 안정된 결합 상태도 유지할 수 있는 일체형 광 커넥터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페룰과, 상기 페룰과 연결된 광섬유를 감싸 보호하며 상기 페룰을 고정하는 내측 부츠와, 상기 페룰과 내측부츠를 수용하는 일체형 프레임이 구비된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프레임은, 상기 내측 부츠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과, 상기 내측 부츠로부터 인출된 상기 페룰을 감싸 수용하는 제2수용공을 갖춘 프레임 파트와; 상기 프레임 파트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내측 부츠의 타단을 수용하는 중공을 갖춘 스토퍼 파트를; 각각 구성하며, 서로 결착되는 제1바디와 제2바디로 이루어진 일체형 광 커넥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광 커넥터를 구성한 부품 수를 줄이면서도 기존 부품들이 갖고 있던 고유한 기능은 지속시키고, 부품 간에 조립이 손쉬우며 안정된 결합 상태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광 커넥터의 제작과 사용에 있어서 개선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의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에 구성된 일체형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프레임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프레임의 제1바디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프레임에 페룰과 부츠가 내설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일체형 프레임에 내설된 페룰과 부츠의 동작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의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에 구성된 일체형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프레임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프레임의 제1바디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광 커넥터(C)는, 페룰(400; 도 5 참고)과, 페룰(400)과의 연결을 위해 노출된 광섬유(미도시)를 감싸 보호하며 페룰(400)을 수용하는 내측 부츠(500; 도 5 참고)와, 페룰(400)과 내측 부츠(500)를 감싸 보호하는 일체형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광 커넥터(C)는 일체형 프레임(100)과 연결된 광케이블을 감싸 보호하는 외측 부츠(200)와, 어댑터(미도시)와 결착하고 일체형 프레임(100)을 감싸 보호하며 외측 부츠(200)와 연결되는 하우징(300)을 더 포함한다.
참고로, 외측 부츠(200)는 페룰(400)과 연결된 광케이블이 일정 곡률 이상으로 휘거나 절곡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일체형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하우징(300)과 전후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의 일체형 프레임(10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인 대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된 제1,2바디(110, 120)로 구성된다. 제1,2바디(110, 120)는 페룰(400)을 감싸 보호하는 프레임 파트(111, 121)와, 내측 부츠(500)를 감싸 보호하는 스토퍼 파트(112, 122)로 각각 구성되며, 프레임 파트(111, 121)와 스토퍼 파트(112, 122)는 일체를 이룬다. 따라서 일체형 프레임(100)은 서로 연결된 페룰(400)과 광섬유를 함께 수용해 보호한다.
일체형 프레임(100)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2바디(110, 120)의 프레임 파트(111, 121)에는 각각, 내측 부츠(500)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110a, 120a)과, 내측 부츠(500)에 연결되어 인출한 페룰(400)을 감싸 수용하는 제2수용공(110b, 120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수용공(110b, 120b)에 수용된 페룰(400)은 훼손 없이 어댑터 또는 다른 광 커넥터와 접속할 수 있다. 제1수용공(110a, 120b)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한편, 제1,2바디(110, 120)는 상호 간에 결속을 위한 록을 구성하는데, 제1바디(110)는 한 쌍의 후크(111b)를 구성하고, 제2바디(120)는 후크(111b)가 결착하는 한 쌍의 홀(121b)을 구성한다. 한 쌍의 후크(111b)는 서로 나란하게 돌출된 형상이며, 서로를 향해 돌출된 걸이를 후크(111b)의 말단에 구성한다. 반면, 한 쌍의 홀(121b)은 상기 걸이가 맞물려 걸리도록 턱을 형성한다.
이때 한 쌍의 후크(111b)는 탄성 재질이므로, 제1,2바디(110, 120)를 마주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그대로 접합하면, 접합 시 상기 걸이가 턱을 넘을 때에 후크(111b)가 순간적으로 휘어지고, 이 과정에서 상기 걸이는 상기 턱을 미끄러지듯 넘아간다. 이후 상기 걸이가 턱을 완전히 넘으면, 후크(111b)는 자체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하면서 상기 걸이가 턱에 걸려 맞물리게 된다. 이렇게 상기 걸이와 턱이 서로 맞물리면, 제1,2바디(110, 120)는 마주한 상태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분리가 되지 못한다. 또한 한 쌍의 후크(111b)는 한 쌍의 홀(121b)에 각각 결착할 때 제2바디(120)를 감싸안는 결합 구조를 이루므로, 제2바디(120)가 후크(111b)에 의해 가려진 방향으로 제1바디(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을 보조해서 제1,2바디(110, 120)를 결착하고 상호 간에 미끄러짐 또는 뒤틀림을 저지할 수 있도록, 제1바디(110)는 한쌍의 결합홈(111a)을 형성하고, 제2바디(120)는 한 쌍의 결합홈(111a)에 삽입돼 맞물리는 한 쌍의 결합돌기(121a)를 형성한다.
본 실시에서 한 쌍의 결합홈(111a)은 제1바디(110)에서 제2바디(120)와 접합하는 측면 선단이 절개 형성되고, 한 쌍의 결합돌기(121a)는 제2바디(120)에서 제1바디(110)와 접합하는 측면 선단이 나란하게 돌출해 형성되는데, 이러한 형태와 맞물림 구조를 통해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횡력에 의해 제1,2바디(110, 120)가 비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에서 한 쌍의 후크(111b)를 구성한 제1바디(110)에 한 쌍의 결합홈(111a)이 형성되고, 한 쌍의 홀(121b)을 구성한 제2바디(120)에 한 쌍의 결합돌기(121a)가 형성되며, 한 쌍의 후크(111b)의 바로 측부에 결합홈(111a)이 형성되고, 한 쌍의 홀(121b)의 바로 측부에 결합돌기(121a)가 형성되므로, 한 쌍의 후크(111b)가 한 쌍의 결합돌기(121a)와 직접 접하게 된다. 결국, 서로 결착된 제1,2바디(110, 120)에 횡력이 가해지면, 넓은 면적으로 서로 접한 후크(111a)와 결합돌기(121a)는 상기 횡력을 넓게 분산시키므로, 상기 횡력에 의한 제1,2바디(110, 120)의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저지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프레임에 페룰과 부츠가 내설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일체형 프레임에 내설된 페룰과 부츠의 동작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광 커넥터(M)는 페룰(400)과 내측 부츠(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페룰(400)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기능과 재질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의 내측 부츠(500)는 페룰(400)과의 연결을 위해 광케이블에서 노출된 광섬유을 감싸 보호한다. 이를 위해 내측 부츠(500)는 페룰(400)를 수용해 고정하는 페룰 수용공(510)과, 페룰(400)과 연결된 광섬유를 수용하며 페룰 수용공(510)과 연통하는 광섬유 수용공(520)을 구성한다.
따라서 일측에 형성된 페룰 수용공(510)에 페룰(400)이 실장되고, 페룰(400)과 연결된 광섬유는 광섬유 수용공(520)을 관통해서 외부로 인출된다.
계속해서 페룰(400)과 내측 부츠(500)는 일체형 프레임(100)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프레임(100)은 제1수용공(110a, 120a)과 제2수용공(110b, 120b)을 구성하고, 페룰(400)은 제2수용공(110b, 120b)에 내설된다. 또한 내측 부츠(500)의 일단은 제1수용공(110a, 120a)에 내설되고, 내측 부츠(500)의 타단은 스토퍼 파트(112, 122)의 중공에 내설된다.
따라서 페룰(400)과 내측 부츠(500)는 일체형 프레임(100)에 의해 감싸여 보호되고, 광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진 광섬유 또한 페룰(400)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력으로부터 2중으로 보호된다.
본 실시의 내측 부츠(500)는 둘레를 감싸는 코일스프링(530)을 더 포함하고, 코일스프링(530)의 일단을 받치도록 돌출된 제1받침턱(540)을 형성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530)의 일단은 제1받침턱(54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어서 타단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1수용공(110a, 120a)은 코일스프링(530)으로 감싸인 내측 부츠(500)를 수용하도록 내경이 확장된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스토퍼 파트(112, 122)의 중공과 제1수용공(110a, 120a) 간의 연통 지점은 병목 구조를 이루면서 제1수용공(110a, 120a)의 입구부에 제2받침턱(T)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1수용공(110a, 120a)에 내설된 코일스프링(530)은 도 6의 (a)도면에서 보인 대로 타단이 제2받침턱(T)에 받쳐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6의 (b)도면에서 보인 대로 페룰(400)과 내측 부츠(500)는 일체형 프레임(100)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코일스프링(530)에 의해서 원 위치로 복귀되는 동작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페룰(400)이 다른 페룰과 접하면서 받는 압력을 코일스프링(530)이 완충하고, 상기 다른 페룰과의 밀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일체형 프레임 110, 120; 제1,2바디 110a, 120a; 제1수용공
110b, 120b; 제2수용공 111, 121; 프레임 파트 112, 122; 스토퍼 파트
111a; 결합홈 121a; 결합돌기 111b; 후크
121b; 홀 200; 외측 부츠 300; 하우징
400; 페룰 500; 내측 부츠 510; 페룰 수용공
520; 광섬유 수용공 530; 코일스프링 540; 제1받침턱
C; 광 커넥터 T; 제2받침턱

Claims (6)

  1. 페룰,
    상기 페룰과 연결된 광섬유를 상기 페룰과 함께 감싸 보호하며 고정하고, 둘레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을 받치도록 돌출된 제1받침턱을 구성하는 내측 부츠, 및
    상기 내측 부츠의 일단을 수용하며 하기 중공보다 상대적으로 확장된 내경을 이루고 하기 중공과 연통하는 입구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을 받치는 제2받침턱이 형성된 제1수용공과, 상기 내측 부츠로부터 인출된 상기 페룰을 감싸 수용하는 제2수용공을 갖춘 프레임 파트; 상기 프레임 파트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내측 부츠의 타단을 수용하는 중공을 갖춘 스토퍼 파트;로 각각 구성되어서 서로 결착되는 제1바디와 제2바디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바디는, 서로 나란하게 돌출되며 말단에 걸이가 형성된 한 쌍의 후크와, 상기 제2바디와 접합하는 측면 선단에서 상기 후크의 바로 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을 구성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후크가 끼워져 걸리도록 턱이 형성된 한 쌍의 홀과, 상기 제1바디가 접합하는 측면 선단에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홀의 바로 측부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를 구성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후크와 서로 접하도록 된 일체형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프레임과 연결된 광케이블을 감싸 보호하는 외측 부츠와, 상기 일체형 프레임을 감싸 보호하며 상기 외측 부츠와 연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67989A 2017-05-31 2017-05-31 일체형 광 커넥터 KR102052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89A KR102052397B1 (ko) 2017-05-31 2017-05-31 일체형 광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89A KR102052397B1 (ko) 2017-05-31 2017-05-31 일체형 광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725A KR20180131725A (ko) 2018-12-11
KR102052397B1 true KR102052397B1 (ko) 2019-12-10

Family

ID=6467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989A KR102052397B1 (ko) 2017-05-31 2017-05-31 일체형 광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3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509B1 (ko) * 2011-11-21 2012-11-21 박찬설 광섬유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86B1 (ko) 2007-12-12 2010-02-10 주식회사 옵텔콤 광 컨넥터
KR101020860B1 (ko) * 2009-07-21 2011-03-09 나노솔루션주식회사 광섬유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509B1 (ko) * 2011-11-21 2012-11-21 박찬설 광섬유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725A (ko)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0856B2 (en) Strain relieved adapter for a jacketed cable and boot
US10261266B2 (en) Fiber optic connectors and sub-assemblies with strength member retention
JP6307539B2 (ja) 光ファイバ付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206594A1 (zh) 光纤连接器组件
WO2016110245A1 (zh) 光缆扇出器
JP2014056229A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8290332B2 (en) Optical fiber adapter
US20140341512A1 (en) Optical connector
US20120014651A1 (en) Micro-distribution cable for optical communications and method for producing a micro-distribution cable
JP2010266830A (ja) 光コネクタ用ストップリング及び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コード並びに光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コードの製造方法。
US20140037252A1 (en) Optical connector
JP5898510B2 (ja) 光コネクタ
US9459427B2 (en) Fiber optic fan-out/break-out kit closure/housing
US6421495B1 (en) Terminal device for an end of a fiber-optic cable
KR102052397B1 (ko) 일체형 광 커넥터
JP5873760B2 (ja) 光コネクタ
JP3835670B2 (ja) 多心光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分岐心線
US20210141162A1 (en) Fiber optic connector having efficient construction
US20100003002A1 (en) Robust connector enforcement
JP4407642B2 (ja) 光ケーブルの保持構造
KR101459116B1 (ko) 다각 광케이블용 커넥터
JP3652621B2 (ja) 光中継コネクタ装置及び光中継コネクタ
JP6877432B2 (ja) 光コネクタプラグ
TW202009532A (zh) 光纖衰減器
KR20150080667A (ko) 주름 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