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667A - 주름 부트 - Google Patents

주름 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667A
KR20150080667A KR1020140000030A KR20140000030A KR20150080667A KR 20150080667 A KR20150080667 A KR 20150080667A KR 1020140000030 A KR1020140000030 A KR 1020140000030A KR 20140000030 A KR20140000030 A KR 20140000030A KR 20150080667 A KR20150080667 A KR 20150080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optical connector
optical
optical fi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량
Original Assignee
이근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량 filed Critical 이근량
Priority to KR102014000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667A/ko
Publication of KR2015008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02B6/3829Bent or angled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컨넥터에 연결되어 사용하는 부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트 중앙부에 부트를 임의로 휠 수 있는 주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트 중간에 주름을 펴고 접는 방법으로 부트를 자유롭게 휘도록 할 수 있어서 광커넥터가 설치되는 공간이 좁거나 연결되는 광섬유 케이블의 포설 방향이 광커넥터의 중심축과 많은 차이가 있어도 광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을 줄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 부트 {Bellows type boots}
본 발명은 광컨넥터에 연결되어 사용하는 부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트 중앙부에 부트를 임의로 휠 수 있는 주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커넥터는 광섬유와 광섬유, 또는 광섬유와 발,수광소자를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커넥터로 용도와 모양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상용화되어있다. 하지만 용도나 모양이 다르더라도 광커넥터와 연결되는 광섬유 케이블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연질의 부트를 사용한다. 부트에 주요기능은 광커넥터와 연결된 광섬유 케이블부분에 과도한 응력이 걸려서 단선이 되는 것을 예방하며 또한 광섬유 케이블을 다룰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꼬임을 방지하며, 광학적인 손실이 생길 수 있는 케이블 최소 곡률 반경보다 적게 굽혀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광커넥터에 부착되는 부트는 장착 공간이 좁거나 광커넥터 중심축과 광섬유 케이블의 포설 각도가 다른 경우를 대비하여 유연성이 있는 고무와 같은 연질물질로 제작되어 있으나 광커넥터 끝에서 광섬유 케이블이 급격히 꺾여야 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미리 90도로 꺾여 있는 부트도 있고, 부트안에 철심을 내장하여 자유로운 각도로 부트를 휘어서 광커넥터에 연결된 광섬유 케이블의 방향을 광커넥터의 중심축과 다르게 할 수 있는 제품도 상용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선된 광커넥터 부트에도 단점이 있는데 90도로 꺾여있는 부트(이하 90도 꺾임부트라 한다)에 경우 다른 각도로 변경이 불가능하고, 부트에 철심을 내장한 부트(이하 철심 내장부트라 한다)에 경우 원하는 각도로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나 철심을 삽입하는 제작 과정이 추가되어 제품 단가가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철심을 사용하지 않고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하고 임의의 각도로 자유롭게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부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트 중간 부분에 주름을 만들어서 다양한 각도로 부트를 휠 수 있고, 주름을 포함하는 부트 전체를 동일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여 철심 내장부트와 비교하여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심을 사용하지 않고도 임의의 각도로 광컨넥터 부트 부분을 휠 수가 있어서 어떠한 환경에서도 광컨넥터와 광섬유케이블 연결부에 과잉장력 또는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실시예를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주름 부트를 구비한 광섬유케이블 접속용 광커넥터의 배면 사시도.
도2는 주름부트를 구비한 광커넥터의 측면도
도3은 2도의 우측에서 본 조립체의 배면도.
도4는 종래의 부트를 구비한 광섬유케이블 접속용 광커넥터 사시도
도5는 90도 꺾임부트
도6은 철심 내장부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부트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부트(10)를 구비한 광섬유 케이블(12)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14)의 배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부트(10)를 구비한 광커넥터(14) 측면도. 도3은 도2의 우측에서 본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고안된 주름부트(10)는 도1과 같이 광커넥터(14)와 결합되는 부트시작부(22),주름이 있는 주름부(20), 부트 단말부(24)으로 구성된다. 부트 시작부(22)는 주름부트(10)와 광컨넥터(14)를 결합해주는 부분이며, 부트 단말부(24)은 연결되는 광섬유케이블(12)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존 부트(30)에 경우 도4와 같이 광커넥터(14) 중심축과 일치된 직선 모양에 부트(30)로 연결된 광섬유케이블(12)이 광커넥터(14) 중심축과 다른 경우 일정부분 유연성이 있어 부트(30)가 휘면서 광커넥터(14)와 광섬유케이블(12)의 연결부위에 장력을 흡수해주지만 광커넥터(14)설치 장소가 협소하거나 광섬유케이블(12)이 급격히 꺾이는 경우에는 많은 장력이 걸려서 장기적으로는 부트(30) 끝부분에 광학적인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5의 90도 꺽임부트(32)나 도6과 같은 철심내장 부트(34)가 상용화되어 있지만 이러한 개량 부트도 각도가 90도로 한정되어 있거나 철심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가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주름관 부트(10)은 부트 시작부(22)와 부트 단말부(24) 사이에 주름부(20)을 넣어서 주름을 펴고 접는 방식으로 임의대로 주름부트(10)의 방향을 바꿀수 있도록 하여 철심내장 부트(34)와 같이 자유롭게 부트에 각도를 바꿀 수 있으면서 동시에 철심을 사용하지 않아서 주름부트(10) 전체를 한 종류의 재질로 만들 수 있어서 제품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름부트 12: 광섬유케이블
14: 광커넥터 20: 주름부
22: 부트 시작부 24: 부트 단말부
30: 기존 부트 32: 90도 꺾임부트
34: 철심내장 부트

Claims (1)

  1. 광섬유케이블을 연결하는 광커넥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부트에 있어서, 부트 중간에 주름이 있어서 부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부트
KR1020140000030A 2014-01-02 2014-01-02 주름 부트 KR20150080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030A KR20150080667A (ko) 2014-01-02 2014-01-02 주름 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030A KR20150080667A (ko) 2014-01-02 2014-01-02 주름 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667A true KR20150080667A (ko) 2015-07-10

Family

ID=5379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030A KR20150080667A (ko) 2014-01-02 2014-01-02 주름 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06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317U (ko) 2016-11-28 2016-12-16 주식회사 위워너 광파이버용 가이드관
US10845542B1 (en) 2019-08-19 2020-11-24 Afl Telecommunications Llc Cable node transition assembli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317U (ko) 2016-11-28 2016-12-16 주식회사 위워너 광파이버용 가이드관
US10845542B1 (en) 2019-08-19 2020-11-24 Afl Telecommunications Llc Cable node transition assembl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57752A5 (ko)
MX2018008542A (es) Conectores de fibra optica endurecidos que tienen un ensamblaje mecanico del conector de empalme.
KR920010322A (ko) 인터로킹 스트레인 릴리프(Interlocking Strain Relief)
US9846284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US9746618B2 (en) L-angle type optical connector
WO2017065999A3 (en) Ferrules, alignment frames and connectors
KR20150135388A (ko) 플러그-인 커넥터의 클립-온 브라켓
KR20150080667A (ko) 주름 부트
US20060093277A1 (en) Combination optical fiber and electrical connecter
JP2017151396A (ja) 光ファイバ付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EP3319191B1 (en) Articulated guide for cables
CN104181643B (zh) 光纤连接器及其制造和装配方法
KR960032041A (ko) 듀플렉스 커넥터
CN103460096A (zh) 光纤连接器
TWM478833U (zh) 光纖連接器的腳套
KR101535218B1 (ko) 융착형 광커넥터
US10341754B2 (en) Microphone boom structure
KR102062214B1 (ko) 백 라이트 모듈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EP3447555A1 (en) Fiber optic connector
US10948663B2 (en) Small form factor multi-fiber connector
KR101446655B1 (ko) 다공 그로멧을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KR102052397B1 (ko) 일체형 광 커넥터
JP2008116600A (ja) 回転式直角曲げコネクタ
CN106324764B (zh) 光纤连接器组件
JP3173192U (ja) 光ファイバ用柔軟湾曲ブー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