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959B1 -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 - Google Patents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959B1
KR102051959B1 KR1020187004489A KR20187004489A KR102051959B1 KR 102051959 B1 KR102051959 B1 KR 102051959B1 KR 1020187004489 A KR1020187004489 A KR 1020187004489A KR 20187004489 A KR20187004489 A KR 20187004489A KR 102051959 B1 KR102051959 B1 KR 10205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urved display
display
moving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982A (ko
Inventor
이경하
김환진
박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ublication of KR20180037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27/2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는 관람자가 안착하는 시트 및 상기 시트를 움직이는 시트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무빙스테이지, 상기 관람자와 마주하는 전방에 위치되어 표시되는 제1 영상에 따라 상기 시트가 움직이며 관람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투명한 제1 곡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영상과 겹쳐지는 제2 영상을 표시하며 관람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제2 곡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입체영상의 입체감을 향상시키고, 몰입도를증대 및 현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
본 발명은 영상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장치는 영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장치로서, 출력되는 영상을 변환하여 표시하고, 변환된 영상을 특수하게 제작된 안경을 통해서 관람하여 안경과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입체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하지만, 안경을 통해 입체영상을 관람하는 입체영상장치는 안경을 분실할 경우, 입체영상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영상도 변환되어 제대로 관람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특수 제작된 안경 없이도 입체영상을 관람할 수 있는 입체영상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입체영상장치의 일례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270호(2012.9.12.공고)에 "투명 엘시디 패널을 이용한 입체효과를 갖는 미디어 박스"로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미디어 박스는 다수개의 LCD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미디어 박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일측으로 온오프 개폐되는 도어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투명한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으로는 일정한 내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다각형의 케이스와, 백라이틀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 안쪽의 일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일반LCD패널과, 상기 일반LCD패널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체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고정설치되는 투명LCD패널과, 상기 일반LCD패널과 투명LCD패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설치되어 면발광하는 조명등과, 상기 LCD패널 및 투명LCD패널과 연결되어 있고 앞뒤로 상기 일반LCD패널과 투명LCD패널 사이의 이격된 공간만큼의 거리값(Z축)을 인식하고 있으며, 더불어 일반LCD패널과 투명LCD패널에 재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좌표값(X축과 Y축)과 색상값(RGB)을 인식하고 있어, 각각의 LCD패널과 투명LCD패널을 통해 재생되는 영상들을 컨트롤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함으로써, 안경이 없이도 입체감과 원근감을 가지도록 영상을 정확하게 표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미디어 박스는 평편한 디스플레이패널에서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패널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겹쳐본다고 하더라도 영상의 입체감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 장의 겹쳐지는 디스플레이패널의 모든 가장자리가 보여짐으로써, 영상이 입체적이라기보다는 겹쳐서 입체영상을 만든 것 같이 보여져 입체감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람자가 입체영상을 시각적으로만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입체영상에 대한 몰입도가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입체영상의 입체감을 향상시키고, 입체영상에 따른 현장감을 관람자에게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체영상에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는 관람자가 안착하는 시트, 및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를 움직이는 시트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무빙스테이지, 상기 관람자와 마주하는 전방에 위치되어 제1 영상을 표시하며, 관람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투명한 제1 곡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영상과 겹쳐지는 제2 영상을 표시하며, 관람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제2 곡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무빙스테이지에서 상기 시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연동하여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이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는 상기 관람자와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시야각 선상에 가장자리가 위치되거나, 상기 시야각 선상을 벗어난 위치에 가장자리가 위치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람자가 영상을 제어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기구는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에 겹쳐져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터치패널일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는 빔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또는 LCD 또는 OLED 또는 PD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곡률과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의 곡률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상기 입체영상장치가 수용되는 게임박스, 및 상기 입체영상장치에서 표시되는 게임에 따라 상기 게임박스를 움직이는 박스 구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을 표시하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가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영상의 입체감과 함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 곡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곡면 디스플레이의 영상을 서로 겹쳐 관람함으로써, 영상의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에 따라 관람자 및 제1 곡면 디스플레이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가 이동하여 영상의 현장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관람자의 이동에 따라 제1 곡면 디스플레이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가 시야각 선상에 배치되어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게임장치는 입체영상장치가 수용된 게임박스가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더욱 영상의 현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는 무빙스테이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무빙스테이지(110)는 관람자를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무빙스테이지(110)는 시트(115)와 시트 이동기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115)는 관람자가 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안착되고, 시트 이동기구(120)는 관람자가 움직일 수 있도록 시트(115)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시트 이동기구(120)는 시트(115)를 영상을 관람하는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트 이동기구(120)는 하나 이상의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로 구현되어 시트(115)를 무빙스테이지(110)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시트 이동기구(120)는 전동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예컨대, 캠구조, 기어구조, 링크구조 등의 공지된 기계구조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실린더와 기계구조가 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시트 이동기구(120)는 하기에 설명될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 또는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시트(115)를 움직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는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는 관람자가 관람하는 방향에 전방에 위치되어 무빙스테이지(110)의 시트(115)에 관람자가 안착한 상태서 제1 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는 표시되는 영상의 입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람자가 바라볼 때, 오목한 곡률(R1)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을 투과하여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는 투명한 LCD, OLED로 구현되거나, 투명과 불투명으로 변화되는 PDLC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는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는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의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람자는 투명한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에서 표시되는 제2 영상을 관람할 수 있으며,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에서 표시되는 제1 영상과 합성하여 제2 영상을 관람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에서 표시되는 제1 영상이 게임상의 메인 영상이라면,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에서 표시되는 제2 영상은 게임상의 배경 영상처럼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서로 다른 영상일 수 있으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은 서로 동일한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서로 동일한 영상이라 할지라도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는 거리와 크기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표시되는 영상이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는 관람자가 바라봤을 때, 오목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표시되는 제2 영상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보다는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과 관람자를 연결하는 시야각(SA) 선상에 가장자리가 위치되는 크기를 갖거나, 시야각(SA) 선상을 벗어난 위치에 가장자리가 위치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가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의 시야각(SA) 선상 내측에 위치될 경우에는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의 가장자리가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보이기 때문에, 영상의 입체감이 하락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진 곡률(R1)과는 다른 곡률(R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의 곡률(R1)과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의 곡률(R2)이 서로 다를 경우,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가 겹쳐져 보이는 위치마다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지기 때문에, 표시되는 영상에 입체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의 곡률(R1)이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의 곡률(R2)보다 작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아울러,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는 LCD,OLED,PDP일 수 있으며, 빔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빔의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이동기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 이동기구(170)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무빙스테이지(110)에서 이동하는 시트(115)의 위치변동에 따라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과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를 연동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이동기구(170)는 시트(115)와는 상관없이 표시되는 영상를 기초로 시트(115)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 및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을 각각 또는 개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디스플레이 이동기구(170)는 시트(115)와 연동되어 이동 전의 시야각(SA)을 유지하도록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시트(115)가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에서 멀어지면, 시야각(SA)을 유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이동기구(170)는 시트(115)와 가까워지도록 각각 또는 개별적으로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과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시트(115)에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가 가까워지도록 이동한 경우, 관람자와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시야각(SA)이 더 넓어지기 때문에 변화된 시야각(SA) 선상에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의 가장자리가 맞춰지도록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를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에 근접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이동기구(170)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이동기구(170)는 전동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예컨대, 캠구조, 기어구조, 링크구조 등의 공지된 기계구조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실린더와 기계구조가 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이동기구(170)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가 각각 이동하거나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는 조작기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조작기구(135)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관람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조작기구(135)에서 관람자에 의해 발생한 조작정보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거나, 시트 이동기구(120) 또는 디스플레이 이동기구(1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조작기구(135)는 공지된 게임컨트롤러, 조이스틱, 핸들, 조종간, 스위치, 버튼 등 다양한 공지된 조작기구(135)로 구현될 수 있으며, 조작기구(135)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를 터치하여 조작신호를 발생하도록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에 부착되는 터치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는 관람자는 무빙스테이지(110)의 시트(1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관람한다.
한편, 관람자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조작기구(135)를 통해 선택하거나, 조작할 수 있으며, 영상에 직접 개입하여 영상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영상이 표시되면,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 컨트롤러가 시트 이동기구(120)를 제어하여 시트(115)를 이동시키는 형태로 관람자를 직접 움직여 관람자가 마치 영상에 들어온 듯한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 컨트롤러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 및 무빙스테이지(11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영상이 직접 관람자에게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함으로써, 현장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는 자동차, 비행기 등의 시뮬레이터(simulator)로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는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에 의해 영상을 곡면 형태로 표시하여 2.5차원의 입체감을 갖는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제1 영상과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에서 표시되는 제2 영상을 겹쳐 관람함으로써, 더욱 입체감이 뛰어난 3차원의 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관람자가 안착하는 시트(115)가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 이동하여 현장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관람자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자체가 이동하여 4차원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가 시야각(SA) 보다 크거나, 시야각(SA) 선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의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아 현장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를 이용한 게임장치(200)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를 이용한 게임장치(200)는 입체영상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입체영상장치(100)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를 이용한 게임장치(200)는 게임박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게임박스(210)는 입체영상장치(100)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게임박스(210)는 룸 형태로 형성되어 관람자가 출입하는 도어(2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입체영상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몰입하여 관람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빛을 차단하도록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게임박스(210)의 내부는 관람자가 영상에만 몰입할 수 있도록 검은색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를 이용한 게임장치(200)는 박스 구동기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박스 구동기구(230)는 게임박스(210) 전체를 움직여 관람자에게 움직임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박스 구동기구(230)는 놀이기구와 같이 게임박스(210)를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박스 구동기구(230)는 게임박스(210)를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어느 한쪽으로 기울이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박스 구동기구(230)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계구조 예컨대, 기어구조, 링크구조, 캠구조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고, 실린더와 기계구조가 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박스 구동기구(230)는 입체영상장치(1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 입체영상장치(100)와 함께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를 이용한 게임장치(200)는 게임박스(210) 내부로 관람자가 입장하여 무빙스테이지(110)의 시트(115)에 안착하고,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와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며 조작기구(135)를 통해 게임을 수행한다.
한편, 게임을 수행할 때, 게임 영상에 따라 컨트롤러는 시트 이동기구(120)를 이용하여 무빙스테이지(110) 내에서 관람자를 이동시키고, 디스플레이 이동기구(170)에 의해 제1 곡면 디스플레이(130) 및 제2 곡면 디스플레이(150)의 위치를 변경하여 게임의 현장감과 함께 게임의 몰입도를 증대시킨다.
이와 동시에 게임 영상에 따라 컨트롤러는 박스 구동기구(230)를 제어하여 박스 구동기구(230)가 게임박스(210) 전체를 움직이는 형태로 관람자가 마치 영상의 현장에 들어온 것과 같은 현장감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100)를 이용한 게임장치(200)는 입체영상장치(100)에 의해 4차원의 영상을 관람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박스 구동기구(230)에 의해 게임박스(210) 전체가 움직여 4차원을 넘어선 5차원의 현장감을 관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5차원은 4차원보다는 체감상으로 더 진보된 것을 의미함.)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산업, 영화산업, 게임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6)

  1. 관람자가 안착하는 시트, 및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를 움직이는 시트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무빙스테이지,
    상기 관람자와 마주하는 전방에 위치되어 제1 영상을 표시하며, 관람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투명한 제1 곡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영상과 겹쳐지는 제2 영상을 표시하며, 관람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제2 곡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이동기구는 상기 시트를 영상을 관람하는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무빙스테이지에서 상기 시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연동하여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에 따라 상기 시트 이동기구에 의해 상기 시트를 이동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이동기구에 의해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에 개입하여 영상을 제어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는 상기 관람자와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시야각 선상에 가장자리가 위치되거나, 상기 시야각 선상을 벗어난 위치에 가장자리가 위치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는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에 겹쳐져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터치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는
    빔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또는 LCD 또는 OLED 또는 PDP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곡률과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의 곡률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9. 관람자가 안착하는 시트, 및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를 움직이는 시트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무빙스테이지, 상기 관람자와 마주하는 전방에 위치되어 제1 영상을 표시하며, 관람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투명한 제1 곡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영상과 겹쳐지는 제2 영상을 표시하며, 관람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제2 곡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장치,
    상기 입체영상장치가 수용되는 게임박스, 및
    상기 입체영상장치에서 표시되는 게임에 따라 상기 게임박스를 움직이는 박스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이동기구는 상기 시트를 영상을 관람하는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무빙스테이지에서 상기 시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연동하여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에 따라 상기 시트 이동기구에 의해 상기 시트를 이동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이동기구에 의해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에 개입하여 영상을 제어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는 상기 관람자와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시야각 선상에 가장자리가 위치되거나, 상기 시야각 선상을 벗어난 위치에 가장자리가 위치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는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에 겹쳐져 터치신호를 발생하는 터치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는
    빔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또는 LCD 또는 OLED 또는 PDP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 디스플레이의 곡률과 상기 제2 곡면 디스플레이의 곡률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를 이용한 게임장치.
KR1020187004489A 2015-09-04 2015-09-04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 KR102051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9373 WO2017039041A1 (ko) 2015-09-04 2015-09-04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982A KR20180037982A (ko) 2018-04-13
KR102051959B1 true KR102051959B1 (ko) 2019-12-04

Family

ID=5818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489A KR102051959B1 (ko) 2015-09-04 2015-09-04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86309B2 (ko)
EP (1) EP3346315B1 (ko)
KR (1) KR102051959B1 (ko)
AU (1) AU2015407899B2 (ko)
WO (1) WO2017039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770B1 (ko) * 2019-08-07 2021-05-17 주식회사 엘티전자 광섬유를 이용한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7950B1 (ko) * 2019-08-08 2021-02-19 주식회사 토비스 광투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082A (ja) * 2003-01-24 2004-08-12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A (ja) * 1991-02-08 1993-01-08 Toogo:Kk 軌道走行型模擬乗物装置
JPH06161348A (ja) * 1992-09-22 1994-06-07 Sony Corp アミューズメント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3732959B2 (ja) * 1998-10-29 2006-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ュミレーションライド装置
US8272957B2 (en) * 2000-10-16 2012-09-25 Bally Gaming, Inc. Gaming machine having a curved display and related gaming systems
US6752498B2 (en) * 2001-05-14 2004-06-22 Eastman Kodak Company Adaptive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JP2003009036A (ja) * 2001-06-21 2003-01-10 Sony Corp 座席、移動体及び端末装置
US20070004513A1 (en) * 2002-08-06 2007-01-04 Igt Gaming machine with layered displays
KR101235273B1 (ko) * 2005-07-07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투명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체적형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
US7596896B2 (en) * 2006-02-01 2009-10-06 Dimensional Communications, Inc. Three-dimensional forming display system
US8210922B2 (en) * 2006-11-13 2012-07-03 Igt Separable game graphics on a gaming machine
US8851985B2 (en) * 2011-04-06 2014-10-07 Wms Gaming Inc. Multi-layer wagering game display
US8715079B1 (en) * 2011-04-15 2014-05-06 Wms Gaming, Inc. Curved floating virtual display
KR101182470B1 (ko) * 2011-11-09 2012-09-12 (주)티원시스템즈 투명 엘시디 패널을 이용한 입체효과를 갖는 미디어 박스.
CN102580328B (zh) * 2012-01-10 2014-02-19 上海恒润数码影像科技有限公司 4d影音一体机的控制装置及其方法
CN203001936U (zh) * 2012-09-18 2013-06-19 俞峰 仿真体育运动平台
KR102171307B1 (ko) * 2013-12-19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5147564A (ja) * 2014-02-10 2015-08-20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GB2517069B (en) * 2014-06-23 2015-09-02 Liang Kong Autostereoscopic virtual reality plat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082A (ja) * 2003-01-24 2004-08-12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6315A1 (en) 2018-07-11
AU2015407899A1 (en) 2018-03-29
KR20180037982A (ko) 2018-04-13
US20190022524A1 (en) 2019-01-24
AU2015407899B2 (en) 2022-03-24
WO2017039041A1 (ko) 2017-03-09
US10286309B2 (en) 2019-05-14
EP3346315A4 (en) 2019-08-21
EP3346315B1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6323B2 (en) Switching dual layer display with independent layer content and a dynamic mask
JP4576390B2 (ja) 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方法
JP4809142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3d映像−立体映像変換器
US8692738B2 (en) Advanced Pepper's ghost projection system with a multiview and multiplanar display
US73194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US54215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lpha channel virtual image
US10366642B2 (en) Interactive multiplane display system with transparent transmissive layers
JP2005164916A (ja) 立体表示装置
US20100026797A1 (en) Display device
JP6184583B2 (ja) 立体映像装置
TWI458530B (zh) 娛樂顯示系統及其互動式立體顯示方法
JP2018197844A (ja) 空間分離映像装置
KR102051959B1 (ko)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
CN111312118A (zh) 一种沉浸式互动显示系统
JP2018134209A (ja) 遊技機の演出装置
JP3933570B2 (ja) 遊戯装置
WO2015080096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6513376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枠
TW201441995A (zh) 顯示方法及其立體顯示系統
KR102173295B1 (ko) 레이저와 프로젝션 영상 동기화 시스템
US20240075394A1 (en) Image presentation system for amusement park attraction system
US20210116717A1 (en) Selectively rendering content
JPH07168121A (ja) 画像表示装置
KR20210017538A (ko) 광투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JP200708163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