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458B1 - 포플러속 품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고감도 판별 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포플러속 품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고감도 판별 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458B1
KR102051458B1 KR1020170033382A KR20170033382A KR102051458B1 KR 102051458 B1 KR102051458 B1 KR 102051458B1 KR 1020170033382 A KR1020170033382 A KR 1020170033382A KR 20170033382 A KR20170033382 A KR 20170033382A KR 102051458 B1 KR102051458 B1 KR 102051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lar
aspen
species
genus
varie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983A (ko
Inventor
박응준
한무호
최미나
이효련
이효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03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45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01H1/12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A01H1/1225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drought, cold or salt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1Culture apparatus for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2Culture media for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3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drought, cold, salt resi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 형질의 고감도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건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의 선발 방법, 포플러속 수종의 재배지 맞춤식 육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의 형질을 고감도로 판별하는 방법은 기후나 토양의 재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의 형질을 분석할 때 잘못된 해석이나 오류 없이 정확하게 판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판별 방법은 종래의 토양 이식법 보다 작은 공간에서 많은 품종의 증식이 단시간에 가능하여 시공간상 효율성이 뛰어나고, 연중 이용 가능하다. 또한 포플러속 수종의 기내 도입 후 환경이 제어된 동일 조건에서 수행되어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수월한 형질 및 정량화(수치화)가 가능하여 재현성이 높고 이용에 편리하다.

Description

포플러속 품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고감도 판별 방법 및 이의 용도{Highly sensitive determining method of Populus trees for stress tolerance and its use}
본 발명은 포플러속(Populus) 품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고감도 판별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후나 토양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의 개체별 형질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고감도 판별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내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을 선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플러속(Populus)은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에 속하며 일명 포플러 라고도 한다. 포플러는 빠른 생장과 삽목의 용이성 및 강한 환경적응력으로 단벌기 재배에 적합한 특성에 의하여 국내에서는 1970년대에 집중적으로 조림되었다. 이후 중국의 대규모 생산 등에 의하여 국내에서는 관심이 떨어졌으나, 최근 세계적으로 경제성 높은 바이오연료의 생산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단벌기 바이오매스의 유망 수종으로 포플러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정책 추진에 따라 목재 바이오매스 활용 요구가 높아지고, 특히 온실가스 목표 관리제 도입에 따라 목재에너지 원료의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목질계 에너지용 자원으로서 포플러속 수종의 안정적인 공급원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포플러와 같은 목본류는, 초본류에 비하여, 단일 개체간 넓은 재배 공간을 필요로 하며 긴 생장 기간 및 벌기령 등으로 시공간상의 육종 및 맞춤 육성화의 효율성이 낮다. 국내 산림자원의 경우 전 국토에 대한 녹화 사업을 목적으로 제한된 수종을 이용하여 단기간에 조성되어 유전 다양성이 부족하고 가계에 대한 정확한 연구 자료가 부족하다. 또한 자가불화합성이 매우 높은 특성으로 인하여 형질이 고정된 순계 라인의 확보 및 품종화가 어려운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해외 우수 수종의 경우 국내 도입 후 시험림 조성을 통한 적응 가능성을 확인하거나, 국내 유망 수종의 경우 선발육종 및 증식을 통한 전통 육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두 경우 모두 1차 시험 재배를 통한 우수 형질의 검증에는 긴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지고 계절적 제한도 있어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개체의 생육/재배 환경이 형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커서 품종에 대한 잘못된 판단이나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생육/재배 환경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정확성이 높고, 시공간상 효율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의 형질을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기온은 지구평균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특히 강수량이 적거나 거의 없는 건조기후의 기간이 길어지고 가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포플러속 수종은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품종들 간의 생장 및 생리 반응에 변이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건조 스트레스와 관련된 유전자의 종내 변이가 높은 것으로 예측되어 왔다.
따라서 우수한 건조 스트레스 내성을 갖는 포플러속 수종의 육종을 위하여 품종별 형질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고감도 판별 방법의 개발이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555985호 등록특허 10-1531793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에서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사시나무(Populus davidiana)의 근맹아를 기내 도입하여 재배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특정 스트레스 처리에 따른 품종별 반응을 정량화하는 것을 통해 해당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형질을 고감감도로 판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내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을 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후나 토양의 재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의 형질을 고감도로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건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을 선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플러속 수종의 재배지 환경요인에 따른 맞춤식 육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포플러속 수종의 측근(側根)에서 근맹아(根萌芽)를 유발하는 단계;
ⅱ) 근맹아를 기내 도입하여 배양하는 단계;
ⅲ) 기내배양 개체에 스트레스 처리를 하는 단계; 및
ⅳ) 스트레스 처리된 부위의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의 형질을 고감도로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품종(variety)'은 생물 분류학상, 종(種)의 하위 단위로 단일 유전자형에 속하는 개체(clone)의 집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포플러속 수종'은 사시나무, 황철나무, 미루나무, 은백양, 수원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이태리포플러, 흑양나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측근(側根)'은 원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곁뿌리, 옆뿌리를 지칭하며, ‘맹아(萌芽)'는 정상적인 눈에서 발달한 가지가 아닌 잠아나 혹은 부정아에서 발달한 움가지, 새싹을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내 도입'은 시험관 등의 용기에 인공 배지를 주입하여 환경이 조절된 상태로 식물체의 일부를 치상하여 배양하는 것을 이르고, ‘기내배양 개체’는 기내 도입된 식물체 일부를 배양하여 얻은 식물체를 이른다.
본 발명에서 ‘스트레스'는 건조, 고온, 저온, 중금속, 및 염(salt)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활성산소'는 과산화수소(H2O2), 슈퍼옥사이드 라디칼(O2 -), 하이드록시 라디칼(HO-), 싱글레트 옥시젠(O2) 등을 의미한다.
단계 i): 근맹아 유발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형질의 판별이 필요로 하는, 포플러속 수종 개체의 측근에서 근 맹아를 유발한다.
포플러속 수종 개체의 근맹아 유발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상과 경계한 개체의 측근을 절단하여 수분 증발을 최소화한 상태로 저온(4℃ 내외)에서 약30일 유지한 후, 배수가 잘되는 흙에 식재하여 근맹아를 유발할 수 있다.
이때 발생된 근맹아는 모본과 유전자형이 동일하고 기내 도입이 가능하여, 모본과 동일한 유전자형의 품종을 얻게 한다.
단계 ⅱ): 근맹아 기내 도입 및 배양
유발된 근맹아를 기내(器內)로 도입하여 배양하여 기내배양 개체를 얻는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근맹아의 본 줄기를 제외한 줄기에서 5번째 잎이 자라기 시작하면 정단부를 1~2cm 정도로 절단하여 소독 후 WPM(woody plant medium) 생장배지가 담긴 시험관으로 치상하여 항온·항습 조건에서 배양하고, 근맹아 배양개체로부터 정단부를 1~2cm 정도로 절단하여 WPM 배지가 담긴 새로운 시험관으로 계대배양하여 기내배양 개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온·항습 조건은 온도 20~30℃, 습도 3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근맹아의 기내 생육이 잘 이루어지는 WPM 생장배지가 바람직하다. WPM 생장배지 조성은,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McCown Woody Plant Medium, 설탕, 식물 성장조절 물질(호르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ⅲ): 스트레스 처리
기내배양 개체에 스트레스 처리를 한다.
처리될 수 있는 스트레스는 건조, 고온, 저온, 중금속, 및 염 등이다.
기내배양 개체에 대한 건조, 고온, 저온, 중금속, 및 염의 스트레스 처리는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건조 스트레스 처리는 기내배양 개체로부터 잎을 채취하여 자연 건조시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잎이 자라는 기내배양 개체들 중, 거의 동일한 크기로 생장된 개체들을 선발하여 이들 개체로부터 자란 잎을 채취하여, 일정 시간 자연 건조시켜 건조 스트레스를 가한다.
단계 ⅳ): 활성산소의 측정 및 정량화
기내배양 개체의 스트레스 처리된 부위의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정량화한다.
활성산소 측정은,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DAB (3,3'-Diaminobenzidine) 염색과 에틸알코올에 의한 엽록소 탈색으로 활성산소(H2O2) 축적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AB 염색에 의한 활성산소 축적량은 통상의 방법으로, 예를들면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업적으로 구매 가능한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판별 방법은 재배환경이 제어된 동일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형질 관찰 및 정량화(수치화)가 가능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다양한 내성의 포플러속 품종을 고감도로 판별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a) 포플러속 수종의 측근에서 근맹아를 유발하는 단계;
b) 근맹아를 기내 도입하여 배양하는 단계;
c) 기내배양 개체로부터 채취한 잎에 건조 스트레스 처리를 하는 단계;
d) 건조 스트레스 처리된 잎의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정량화하는 단계; 및
f) 활성산소 축적량이 적은 포플러속 수종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건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의 선발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a) ~ d)의 각 과정은, 상기 단계 i) ~ iv)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단계 f): 포플러속 수종 선별
포플러속 수종 잎에 축적된 활성산소의 양을 비교하여 가장 적은 개체를 선별한다.
활성산소 축적량의 비교는 포플러속 수종의 개체별로 측정된 값을 서열화함에 의해 행하거나, 통상적으로 건조 스트레스 내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포플러속 수종의 활성산소 축적량을 기준으로 하여 더 낮은 값을 갖는 수종을 선별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l) 재배지에 존재하는 스트레스 환경요인을 파악하는 단계;
m) 포플러속 수종의 측근에서 근맹아를 유발하는 단계;
n) 근맹아를 기내 도입하여 배양하는 단계;
o) 기내배양 개체에 재배지에 존재하는 스트레스 처리를 하는 단계;
p) 스트레스 처리된 부위의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정량화하는 단계; 및
q) 활성산소 축적량이 가장 적은 포플러속 수종을 선별하여 재배지에 식재하여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플러속 수종의 재배지 환경요인에 맞춤식 육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계 m) ~ p)의 각 과정은, 상기 단계 i) ~ iv)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단계 l): 재배지 스트레스 환경요인 파악
포플러속 수종의 식재가 예상되는 재배지에 존재하는 스트레스 환경요인을 파악한다.
파악된 스트레스에 따라서, 단계 o)에서 처리될 스트레스를 결정한다.
단계 q): 포플러속 수종 선별 및 식재
활성산소 축적량이 가장 적은 포플러속 수종을 선별하여 재배지에 식재하여 재배한다.
포플러속 수종의 선별은 상기 단계 f)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의 형질을 고감도로 판별하는 방법은 기후나 토양의 재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의 형질을 분석할 때 잘못된 해석이나 오류 없이 정확하게 판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판별 방법은 종래의 토양 이식법 보다 작은 공간에서 많은 품종의 증식이 단시간에 가능하여 시공간상 효율성이 뛰어나고, 연중 이용 가능하다. 또한 포플러속 수종의 기내 도입 후 환경이 제어된 동일 조건에서 수행되어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수월한 형질 및 정량화(수치화)가 가능하여 재현성이 높고 이용에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발 방법은 내건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을 신속하면서도 고감도로 선발할 수 있어서 최종적으로 건조 스트레스 내성을 갖는 포플러속 품종의 육종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육성방법은 포플러속 수종의 식재가 예상되는 지역의 환경에 따라 가장 유망한 수종을 선발 및 식재하여 재배지 환경요인에 맞춤식 육성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나무의 건조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형질을 고감도로 판별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2는 건조 스트레스 처리된 각각의 사시나무 품종의 잎을 DAB 염색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각각의 사시나무 품종 잎의 활성산소(H2O2) 축적량을 나타내고, 내건성 순위에 따라서 사시나무 품종을 서열화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스트레스 없이 동일한 배양 조건 및 기간 동안 각각의 사시나무 품종의 생장력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예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사시나무 품종의 형질 판별
<사시나무 근맹아 유발>
하기 표 1에 나열된, 경상북도 영주시의 산림과학원 유전자원 보존림에 식재된 15년생 한국 토종 사시나무와 중국 사시나무 22가지 품종의 근맹아를 유발하였다:
품종
오대19 쌍전9
팔공1 태백1-1
봉현4 태백1-3
대화6 대현7
소광9 소광13-1
운두2 소광13-3
대화18 소광15
팔공3 중국6-1
팔공2 중국6-2
대현9 중국6-3
방동1 중국6-5
구체적으로는 오대19를 포함한 22개 사시나무 품종 각각의 지상과 경계한 측근을 톱으로 30cm 가량 절단하고 주변 흙과 함께 수집한 후, 수분 증발이 최소화되도록 비닐팩에 담은 후 저온실(4℃)에 넣어두고, 약 30일경과 후 직사광선을 피하여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 이식하고, 물을 충분히 준 후 근맹아가 유도되어 자라도록 하였다 (도 1 참조).
<기내 도입>
품종별로 유도된 근맹아의 본 줄기를 제외한 줄기에서 5번째 잎이 자라기 시작하면 잎은 제거하고 정단부를 약 2cm 가량 절단하여 10% 락스와 70% 에틸알코올에 각각 10분간 침종하여 소독 후 멸균수로 10회 이상 충분히 세척하여 WPM 생장 배지(McCown’s Woody Plant Medium 1.3g/L, Sucrose 30g/L, IBA 0.2mg/L, pH 5.7)가 있는 시험관에 치상하여 항온 항습실 (온도 25℃, 습도 30~35%)에서 배양하였다. 치상된 근맹아가 잘 자란 잎이 4개 정도 되는 개체로 자라면 다시 정단부를 1cm 정도로 절단하여 WPM 생장 배지가 담긴 시험관으로 계대배양하여 약 한달 후 충분히 자란 잎들을 갖는 최종 기내배양 개체를 얻었다 (도 1 참조).
<스트레스 처리>
사시나무 품종 22종의 기내배양 개체로부터 충분히 자란 잎을 각각 처리 전을 포함하여 10분 간격으로 총 4회 수집하여(0, 10, 20, 30분) 온도와 습도가 각각 25℃, 30~35%인 항온·항습실에 30분간 노출하여 자연 건조시켜 건조 스트레스를 처리하였다.
<활성산소 측정 및 정량화>
건조 스트레스 처리된 잎들의 활성산소의 축적량은 DAB 염색을 통한 확인하고 정량화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스트레스 처리된 잎들을 12구 플레이트로 옮겨 담은 후 0.05% (w/v) DAB (3,3'-Diaminobenzidine, sigma-D5637) 수용액을 첨가하고 650mmHg 이하의 진공을 3회 이상 처리하면서 DAB 수용액이 사시나무 잎 조직에 충분히 스며들게 하고, 암실에서 약 2~3시간 동안 충분히 염색되도록 하였다. DAB 염색이 끝난 시료(잎)는 95% 에틸알코올에 담가 엽록소를 탈색시킨 후, 흰 종이에 탈색된 잎들을 순서대로 배열 후 셀로판 테잎으로 고정시키고, 고정된 잎들은 두꺼운 책 사이에 끼워 건조시킨 후 스캔으로 이미지화하였고 또한 그 이미지를 도 2에도 나타냈다.
ImageJ 프로그램으로 분석할 스캔 이미지 파일을 불러와서 건조 스트레스 처리 전(0분) 잎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여 10분, 20분, 30분 경과된 각각의 이미지들을 보정된 면적(DAB 염색 세기)을 수치화하였고, 품종별로 건조 처리 후 30분 경과된 수치를 건조처리 전의 수치로 나눈 값들(작은 값은 건조 스트레스 처리시 H2O2 축적량이 적음을 의미한다)을 구하여 서열화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도 3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태백1-1, 중국6-5, 오대19, 소광9, 팔공2, 소광13-1, 쌍전9, 중국6-3, 태백1-3의 순서로 내건성이 우수한 품종임을 확인할 수 있고(내건성 유전자형), 소광15, 중국6-2, 대화6 순서로 건조 스트레스에 민감한 품종임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스트레스 처리 전 기내배양 개체의 생장력 비교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품종별로 WPM 생장 배지가 담긴 시험관으로 옮겨서 계대배양 2개월 후 기내배양 개체들의 평균 신장길이를 버니어캘리퍼스로 측정하여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트레스 없이 동일한 배양 조건 및 기간 동안의 생장력은, 건조 스트레스 민감성으로 확인되었던 팔공1, 대화6의 품종이 가장 우수하였고, 건조 스트레스 내성이 우수하였던 소광9, 팔공2의 품종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도 4), 동일한 배양 조건 및 기간 동안 생장력 측정에 의해 선별된 품종은, 다양한 스트레스 환경요인이 존재하는 재배지 환경에서는 생장이 예측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에 의하면, 재배지 환경요인에 맞춤식 육성이 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건조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 형질의 고감도 판별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i) 포플러속 수종의 측근(側根)에서 근맹아(根萌芽)를 유발하는 단계;
    ⅱ) 근맹아를 기내 도입하여 배양하는 단계;
    ⅲ) 기내배양 개체로부터 채취한 잎을 건조 스트레스 처리를 하는 단계; 및
    ⅳ) 건조 스트레스 처리된 잎의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ⅱ)에서 기내 도입은 근맹아의 정단부를 1~2cm 절단하여 생장배지에 치상하여 온도 20~30℃ 및 습도 30~35%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배양하고, 근맹아 배양개체로부터 정단부를 1~2cm 정도로 절단하여 새로운 생장배지로 계대배양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질은 환경에 영향받지 않은 포플러속 품종이 본래 갖는 형질인 것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플러속 수종은 사시나무, 황철나무, 미루나무, 은백양, 수원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이태리포플러, 및 흑양나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 형질의 고감도 판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포플러속 수종은 사시나무(Poplulus davidia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 형질의 고감도 판별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ⅱ)에서 배양은 WPM(woody plant medium) 생장배지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 형질의 고감도 판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활성산소의 측정은 DAB (3,3'-Diaminobenzidine) 염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포플러속 품종 형질의 고감도 판별 방법.
  7. 내건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의 선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a) 포플러속 수종의 측근에서 근맹아를 유발하는 단계;
    b) 근맹아를 기내 도입하여 배양하는 단계;
    c) 기내배양 개체로부터 채취한 잎에 건조 스트레스 처리를 하는 단계;
    d) 건조 스트레스 처리된 잎의 활성산소를 측정하여 정량화하는 단계; 및
    f) 활성산소 축적량이 적은 포플러속 수종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에서 기내 도입은 근맹아의 정단부를 1~2cm 절단하여 생장배지에 치상하여 온도 20~30℃ 및 습도 30~35%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배양하고, 근맹아 배양개체로부터 정단부를 1~2cm 정도로 절단하여 새로운 생장배지로 계대배양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건성은 환경에 영향받지 않은 포플러속 품종이 본래 갖는 내건성인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포플러속 수종은 사시나무(Poplulus davidia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건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의 선발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배양은 WPM(woody plant medium) 생장배지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건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의 선발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플러속 수종은 사시나무, 황철나무, 미루나무, 은백양, 수원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이태리포플러, 및 흑양나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내건성이 우수한 포플러속 품종의 선발 방법.
KR1020170033382A 2017-03-16 2017-03-16 포플러속 품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고감도 판별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051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382A KR102051458B1 (ko) 2017-03-16 2017-03-16 포플러속 품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고감도 판별 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382A KR102051458B1 (ko) 2017-03-16 2017-03-16 포플러속 품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고감도 판별 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983A KR20180105983A (ko) 2018-10-01
KR102051458B1 true KR102051458B1 (ko) 2019-12-03

Family

ID=6387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382A KR102051458B1 (ko) 2017-03-16 2017-03-16 포플러속 품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고감도 판별 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1916A (zh) * 2020-09-30 2021-01-01 四川省农业科学院水稻高粱研究所 耐高温干旱性水稻品种的鉴定评价方法
KR102546114B1 (ko) * 2020-11-13 2023-06-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방사선 돌연변이 식물체의 원형질체 배양을 통한 내염성 식물체의 신속 선발 및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31B1 (ko) * 2015-03-30 2016-09-28 대한민국 광 스트레스 및 저온 스트레스 하에서 광합성 효율이 조절되는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를 이용한 조절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7520B2 (en) * 2013-03-13 2018-05-0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Methods of increasing resistance of crop plants to heat stress and selecting crop plants with increased resistance to heat stress
KR101555985B1 (ko) 2013-08-28 2015-09-30 대한민국 미세 삽목을 이용한 포플러류의 무성번식 방법
KR101531793B1 (ko) 2014-05-19 2015-06-25 김규석 조기 삽목 방법을 이용한 포플러 묘목의 번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31B1 (ko) * 2015-03-30 2016-09-28 대한민국 광 스트레스 및 저온 스트레스 하에서 광합성 효율이 조절되는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를 이용한 조절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biski et al., ‘In vitro screening of potato lines for drought tolerance’, Physiology and Molecular Biology of Plants, 2012.*
권석윤 등, '엽록체 항산화기구 대사조절에 의한 환경스트레스 내성 식물', 식물생명공학회지, 제32권, 제3호, 2005, pp. 151-15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983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an Intraspecific variability in herbivore performance and host quality: a field study of Uroleucon caligatum (Homoptera: Aphididae) and its Solidago hosts (Asteraceae)
Soar et al. Irrigated Shiraz vines (Vitis vinifera) upregulate gas exchange and maintain berry growth in response to short spells of high maximum temperature in the field
CN105850622B (zh) 一种高温导致水稻籽粒不育的鉴定方法
CN108849528A (zh) 一种获得假俭草突变体的方法
Renzi et al. Effect of water availability and seed source on physical dormancy break of Vicia villosa ssp. villosa
KR102051458B1 (ko) 포플러속 품종의 스트레스 내성에 대한 고감도 판별 방법 및 이의 용도
Clements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on‐abscission mutant in Lupinus angustifolius. I. Genetic and structural aspects
CN103194524A (zh) 快速鉴定抗青枯病花生种质的方法
CN109156352A (zh) 一种花生突变体的快速筛选方法及应用
CN105766573A (zh) 一种烟草疫霉接种创伤烟苗根系的方法
CN108077080A (zh) 一种花生高油体的离体定向筛选方法
Baliza et al. Physiological quality of coffee seeds produced under different levels of solar radiation and maturation stages
Villalobos et al. Cryopreservation of sorghum seeds modifies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but not field performance of adult plants
CN107750509A (zh) 大麦耐湿性简易鉴定方法
CN113748946B (zh) 一种陆地棉的抗冷性鉴定方法
CN115266617A (zh) 一种高原地区耐低温园林小菊品种的筛选方法
CN107488702A (zh) 一种新的鉴定向日葵对菌核病抗性水平的方法
CN112816426A (zh) 一种咖啡抗寒性的鉴定方法
Serkov et al. New variety of cannabis sativa Lyudmila
CN109006299A (zh) 一种黄芩良种繁育与栽培方法
Bodh et al. Comparative response of some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accessions for tree, foliage and floral traits
CN112913621B (zh) 一种烤烟栽前低温炼苗方法
CN109459435A (zh) 橡胶树品种的筛选方法、橡胶树的育种方法以及橡胶树产量的检测方法
Varma et al. Field Assessment of Red Rot and Smut Resistance in Sugarcane Germplasm under Artificial Inoculated Conditions
CN112522306B (zh) 一种弱光处理显著提高桃叶片瞬时转化效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