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276B1 -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276B1
KR102051276B1 KR1020167033967A KR20167033967A KR102051276B1 KR 102051276 B1 KR102051276 B1 KR 102051276B1 KR 1020167033967 A KR1020167033967 A KR 1020167033967A KR 20167033967 A KR20167033967 A KR 20167033967A KR 102051276 B1 KR102051276 B1 KR 10205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data
printer
printing apparatu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628A (ko
Inventor
도모히토 소메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16707A external-priority patent/JP62650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60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6520278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7Printer code translation, conversion, emulation, compression; Configuration of printer parameters
    • G06F3/1298Printer language recognition, e.g. programme control language, page description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1Pool of printer devices: self-managing printing devices in a network, e.g. without a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6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input data format or job format or job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9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adapted or bridged legacy communication protocols, e.g. emulation, protocol exten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2Transmitting printer device capabilities, e.g. upon request or period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4Automatic configuration, e.g. by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3Printer information exchange with comput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09Details of the software in the checkout registe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or point of sale terminal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7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conversion to printer ready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인쇄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가, 인쇄 장치가 대응하는 데이터의 형태 등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 장치는, 프린터에 통신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프린터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고, 요구에 대한 프린터의 응답 상태를 수신하는 단말 제어부를 구비한다. 단말 제어부는, 응답에 근거하여, 프린터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고, 판별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프린터와 통신한다.

Description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제어 방법{PRINTING CONTROL DEVICE,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등의 인쇄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인쇄 장치의 사양에 맞춘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필요가 있다. 프로토콜 등의 데이터의 형태에 관한 사양은 인쇄 장치의 기종에 따라 상이한 경우도 많다. 이 때문에, 종래, 인쇄 장치가 대응하는 데이터의 형태를 설정하는 수법이 제안되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은, 복수의 인쇄 장치와 전용의 서버와 통신 가능한 장치에 의해, 서버에 문의를 하는 것에 의해, 프로토콜의 선택을 행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362240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은, 서버 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인쇄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는 편리한 한편, 장치가 많아지기 때문에 효율이 나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인쇄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가, 인쇄 장치가 대응하는 데이터의 형태 등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쇄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고, 상기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쇄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갖지 않는 장치이더라도, 인쇄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인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서버 장치 등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규모를 불문하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가 송신하는 정보는, 통신 가능한 통신 포트에 관한 정보로서, 일반적인 정보이다. 이 때문에, 인쇄 장치에 특별한 기능을 실장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이용하여, 인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한 후,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제 1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인쇄 장치에 관한 인쇄 장치 정보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장치 정보의 요구에 대한 응답에 근거하여, 인쇄 장치가 제 1 데이터의 형태에 대응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상기 제 1 데이터의 형태라고 판별하고,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제 2 데이터의 형태라고 판별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장치 정보의 요구에 대한 응답에 따라,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할 수 있고,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이용하여, 인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한 후,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제 1 데이터의 형태라고 판별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인쇄 장치에서도, 데이터를 송신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태가 제 1 형태인 경우에는, 이 형태가 설정되어 있으면, 많은 인쇄 장치를 제어 가능하게 되므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에 적합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를 실행시키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이용하여, 인쇄 장치에 인쇄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상기 인쇄 장치를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인쇄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 가능한 인쇄 장치를 조사함과 아울러,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인쇄 장치와 통신 가능한 경우나, 사용 가능한 인쇄 장치의 수가 미지인 경우에, 복잡한 처리를 거치는 일 없이, 이들 복수의 인쇄 장치로부터 사용할 인쇄 장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의 판별 결과와 상기 인쇄 장치를 대응시키는 데이터 형식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 가능한 인쇄 장치를 조사하고, 각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인쇄 장치와 통신 가능한 경우에, 각 인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미리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인쇄 장치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은,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와,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고, 상기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인쇄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쇄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갖지 않는 장치이더라도, 인쇄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인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가 송신하는 정보는, 통신 가능한 통신 포트에 관한 정보로서, 일반적인 정보이다. 이 때문에, 인쇄 장치에 특별한 기능을 실장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쇄 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고, 상기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고,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쇄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갖지 않는 장치이더라도, 인쇄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인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가 송신하는 정보는, 통신 가능한 통신 포트에 관한 정보로서, 일반적인 정보이다. 이 때문에, 인쇄 장치에 특별한 기능을 실장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인쇄 시스템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인쇄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인쇄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 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인쇄 시스템(100)은, 프린터(5)(인쇄 장치)와, 프린터(5)를 제어하는 단말 장치(1)(인쇄 제어 장치)를 접속하여 구성된다. 또한, 단말 장치(1)에는, 프린터(5) 대신해 프린터(6)(인쇄 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인쇄 시스템(100)은, 오퍼레이터가 단말 장치(1)를 조작하고, 이 조작에 따라 단말 장치(1)가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5)에 출력하고, 프린터(5)가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시스템이다. 단말 장치(1)에 프린터(6)를 접속한 경우, 단말 장치(1)의 조작에 의해 프린터(6)가 인쇄 매체에 인쇄를 행한다.
단말 장치(1)와 프린터(5) 또는 프린터(6)는 통신선(3)에 의해 접속된다. 통신선(3)은, 통신 케이블, 또는 무선 통신 회선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통신선(3)은, USB, IEEE1284, IEEE1394, RS-232C 등의 각종 규격에 준거한 1대1 접속의 통신 케이블, 혹은, Ethernet(등록상표)에 준거한 유선 네트워크이다. 또한, 통신선(3)은, Bluetooth(등록상표), Wireless USB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채용하더라도 좋다.
단말 장치(1)에 접속되는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의 수에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단말 장치(1)에 대하여 1대의 프린터(5) 또는 프린터(6)가 접속되는 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프린터(5) 또는 프린터(6)는, 유선 LAN 또는 무선 LAN으로 이루어지는 통신선(3)에 의해 접속되면, 보다 적합하다.
단말 장치(1)는,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컴퓨터이고, 예컨대, 데스크탑형 컴퓨터, 노트형 컴퓨터, 태블릿형 컴퓨터 외에, 이른바 스마트폰, 휴대형 전화기 등이다. 단말 장치(1)는, Windows(등록상표) 오퍼레이팅 시스템, Android(등록상표) 오퍼레이팅 시스템, iOS(등록상표) 등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하드웨어에 탑재한다. 단말 장치(1)는,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능에 의해, 입력 조작을 검출하고, 조작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하는 기능에 관한 화면 표시를 행한다.
단말 장치(1)는, 단말 장치(1)에 대한 조작을 검출하는 단말 입력부(21),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표시부(22), 및,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접속되는 통신 인터페이스(I/F)(23)를 구비한다. 단말 입력부(21) 및 단말 표시부(22)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이용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3)(통신부)는, 통신선(3)을 통해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3)는, 예컨대, USB, IEEE1284, IEEE1394, RS-232C, Ethernet 등에 준거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혹은, Bluetooth, Wireless USB,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단말 장치(1)는, 단말 장치(1)의 각 부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10)(제어부)를 구비한다. 단말 제어부(1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와, 드라이버 실행부(12)를 구비한다. 단말 제어부(10)는, 도시하지 않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단말 장치(1)의 기능을 실현한다. 단말 제어부(10)의 ROM에는, CPU에 의해 실행 가능한 기본 제어 프로그램 등이 비휘발적으로 기억된다. 또한, RAM에는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처리 대상의 데이터 등이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단말 제어부(10)에는 단말 기억부(15)가 접속된다. 단말 기억부(15)는, 자기 기억 매체나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를 구비한 기억 장치로 구성되고, 단말 제어부(10)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CPU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비휘발적으로 기억한다. 단말 기억부(15)는, 예컨대, 단말 제어부(10)가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 단말 제어부(10)에 의해 처리되는 라이브러리(17), 설정 데이터(18), 및 프린터 정보(19)를 기억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은, 예컨대, 문서 작성 프로그램, 화상 편집 프로그램, POS 애플리케이션, 혹은 라벨 작성 프로그램 등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은, 단말 제어부(10)가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에 의해 실행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는, 단말 제어부(10)의 CPU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을 실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이다.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을 실행하면, 단말 장치(1)에 의해, 문서 작성, 화상 편집, POS 단말로서의 동작, 라벨 작성 등의 각종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17)는, 단말 장치(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주변 기기의 제어 등의 기능을 실행하는 미들웨어이다. 본 실시 형태의 라이브러리(17)는,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대하여, 인쇄 실행을 지시하는 커맨드나 인쇄 대상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단말 제어부(10)의 CPU가 라이브러리(17)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드라이버 실행부(12)의 기능이 실현된다. 드라이버 실행부(12)는, 단말 기억부(15)에 기억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대응하는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도시 생략)을 실행한다.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생성한 문서나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적합한 형태의 각종 커맨드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의해 송신한다. 이 인쇄 데이터는, 예컨대, 인쇄 실행을 지시하는 커맨드, 및, 인쇄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프린터(5)는, 단말 장치(1)가 송신하는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도시하지 않는 인쇄 매체에 인쇄를 행한다. 프린터(5)가 사용하는 인쇄 매체는, 소정 사이즈로 커트된 커트 시트 또는 연속 시트이고, 이들 시트는 종이 또는 합성 수지제로서, 표면 가공이 실시되어 있더라도 좋다. 연속 시트는, 예컨대 롤지나 접힌 연속지이다. 또한, 이면에 점착제가 붙여진 정형 사이즈의 라벨을, 박리지(대지)에 배열하여 롤 형상으로 감은 라벨 용지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프린터(5)의 인쇄 방식은 임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통지를 롤 형상으로 감은 롤지를 인쇄 매체로 하고, 인쇄 매체에 잉크를 토출하여 인쇄하는 잉크젯식 프린터를 예로 든다.
프린터(5)는, 인쇄 헤드(64)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 헤드(64)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을 구비한 잉크젯식의 인쇄 헤드이다. 인쇄 헤드(64)는,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인쇄 범위 전체에 걸쳐서, 노즐이 열을 이루어 배치된 라인 헤드이다. 인쇄 헤드(64)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의 4색의 색마다 노즐의 열을 갖고, 풀 컬러로 인쇄 매체에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헤드(64)가, 더 많은 색의 잉크를 사용하는 구성이더라도 좋고, 2색 또는 흑백의 잉크를 사용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한, 인쇄 헤드(64)는, 감열지에 열을 주어 인쇄하는 서멀 헤드이더라도 좋고, 프린터(5)는 서멀 프린터이더라도 좋다.
프린터(5)는, 프린터(5)의 각 부를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부(50)를 구비한다. 프린터 제어부(50)는, 도시하지 않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한다. 프린터 제어부(50)의 ROM에는, CPU에 의해 실행 가능한 펌웨어, 펌웨어와 관련되는 데이터 등이 비휘발적으로 기억된다. 또한, RAM에는 CPU가 실행하는 펌웨어와 관련되는 데이터 등이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프린터 제어부(50)는, 그 밖의 주변 회로 등을 구비하더라도 좋다.
프린터 제어부(50)에는, 상술한 인쇄 헤드(64) 외에, 프린터 입력부(61), 프린터 표시부(62), 통신 인터페이스(I/F)(63), 센서(66), 반송 모터(65), 및, 프린터 기억부(55)의 각 부가 접속된다.
프린터 입력부(61)는, 각종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들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프린터 제어부(50)에 출력한다. 프린터 표시부(62)는, 프린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프린터(5)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LED 인디케이터나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한다. 통신 인터페이스(63)는, 통신선(3)을 통해서 단말 장치(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63)는, 예컨대, USB, IEEE1284, IEEE1394, RS-232C, Ethernet 등에 준거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혹은, Bluetooth, Wireless USB,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반송 모터(65)는, 프린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반송 롤러(도시 생략)를 회전시켜, 인쇄 매체를 반송한다.
센서(66)는, 인쇄 매체의 반송 경로상에 마련된 광센서이다. 프린터 제어부(50)는, 센서(66)를 이용하여, 인쇄 매체, 또는 인쇄 매체에 붙여진 위치 검출용의 마크(도시 생략)를 검출한다.
프린터 제어부(50)는,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로서, 프린트 서버부(51), 및 인쇄 제어부(52)를 구비한다. 이들 실행부는, CPU가 펌웨어를 실행한 경우에 실현되는 기능에 상당한다. 또한, 프린터 제어부(50)를 구성하는 RAM(도시 생략)의 기억 영역에, 수신 버퍼(53) 및 프린트 버퍼(54)가 마련된다. 수신 버퍼(53) 및 프린트 버퍼(54)의 한쪽, 또는 양쪽을, 프린터 기억부(55)에 마련하는 것도, 프린터 제어부(50)에 외부 접속되는 RAM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린터 기억부(55)는, 자기 기억 매체나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를 구비한 기억 장치로 구성되고, 각종 데이터를 다시쓰기 가능하게 비휘발적으로 기억한다. 프린터 기억부(55)는, 프린터(5)의 데이터 통신의 사양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설정 데이터(56)를 기억한다.
프린트 서버부(51)는, 통신 인터페이스(63)에 대하여 소정의 통신 포트를 지정하여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액세스가 된 경우에, 이 액세스에 대하여 웹 서버로서 처리를 행한다.
프린트 서버부(51)는, 통신 인터페이스(63)를 통해서 단말 장치(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프린트 서버부(51)는, 통신 인터페이스(63)에 의해, 단말 장치(1)가 송신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 버퍼(53)에 기억시킨다. 수신 버퍼(53)에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수신 순으로 축적된다.
프린트 서버부(51)는, 소정의 데이터 형식의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 가능한 구성이다. 인쇄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은, 본원 발명의 데이터의 형태의 일례에 상당한다. 프린트 서버부(51)가 수신하는 데이터 형식은, 예컨대, ESC/POS(등록상표) 형식(제 1 데이터의 형태)이나, XML 형식(제 2 데이터의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XML 형식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성에서는, 프린트 서버부(51)가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포트는, XML 데이터용으로 미리 설정된, 예컨대 포트 8009번이다. 프린트 서버부(51)는, 단말 장치(1)로부터 8009번 포트로 액세스가 있었을 경우에, 이 액세스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1)가 송신하는 XML 형식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프린트 서버부(51)는, 수신한 XML 형식의 데이터를, 인쇄 제어부(52)가 처리 가능한 ESC/POS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수신 버퍼(53)에 기억시킨다. 또한, ESC/POS 형식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성에서는, 프린트 서버부(51)가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포트는, ESC/POS용으로 미리 설정된, 예컨대 포트 9100번이다.
인쇄 제어부(52)는, 수신 버퍼(53)에 기억한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커맨드를 해석한다. 인쇄 실행의 지시와 인쇄하는 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인쇄 제어부(52)는, 데이터를 프린트 버퍼(54)에 전개하여, 인쇄 화상을 생성한다. 인쇄 제어부(52)는, 인쇄 헤드(64) 및 반송 모터(65)를 제어하여, 프린트 버퍼(54)에 전개한 인쇄 화상을 인쇄 매체에 인쇄한다.
또한, 프린트 서버부(51)는, 단말 장치(1)에 의한 http 액세스에 응답하여, 프린터(5)가 통신 가능한 통신 포트의 리스트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프린터(5)가 통신 가능한 통신 포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프린터 기억부(55)에 기억된 통신 설정 데이터(56)에 포함된다. 프린트 서버부(51)는, 통신 인터페이스(63)로의 http 액세스에 응답하여, 통신 설정 데이터(56)를 읽어내고, 통신 가능한 통신 포트의 리스트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프린터(6)는, 프린터(5)와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프린터이다. 프린터(6)가 구비하는 구성부 중, 프린터(5)가 구비하는 구성부와 공통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프린터(6)는, 프린터(6)의 각 부를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부(50a)를 구비한다. 프린터 제어부(50a)는, 프린터 제어부(50)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한다. 프린터 제어부(50a)의 ROM에는, CPU에 의해 실행 가능한 펌웨어, 펌웨어와 관련되는 데이터 등이 비휘발적으로 기억된다. 또한, RAM에는 CPU가 실행하는 펌웨어와 관련되는 데이터 등이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프린터 제어부(50a)는, 그 밖의 주변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프린터 제어부(50a)는, 프린터 제어부(50)와 마찬가지로 인쇄 제어부(52), 수신 버퍼(53), 및 프린트 버퍼(54)를 구비한다. 한편, 프린터 제어부(50a)는, 프린트 서버부(51)를 갖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프린터(6)는, 단말 장치(1)가 송신한 인쇄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63)에 의해 수신한 경우, 프린터 제어부(50a)가,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 버퍼(53)에 기억시킨다.
또한, 프린터(6)는, 프린터 기억부(55) 대신에 프린터 기억부(55a)를 구비한다. 프린터 기억부(55a)는 프린터 기억부(55)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비휘발적으로 기억한다. 프린터 기억부(55a)에는, 통신 설정 데이터(56)는 기억되지 않는다. 프린터 기억부(55a)는, 통신 설정 데이터(56)와 같은 데이터를 기억하더라도 좋지만, 적어도, 프린터(5)와 같이 통신 포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목적으로 통신 설정 데이터(56)를 기억할 필요는 없다.
프린터(6)는, 미리 설정된 형식의 인쇄 데이터나, 그 외의 커맨드를 수신하여, 수신 버퍼(53)에 기억하고, 인쇄 동작이나, 커맨드로 지정된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프린터(6)의 프린터 제어부(50a)는, 프린터(6)가 대응하는 커맨드 체계로 정의되지 않은 커맨드를 통신 인터페이스(63)에 의해 수신한 경우, 이 커맨드를 수신 버퍼(53)에 기억하지만, 실행하지 않고 읽고 버린다.
프린터(6)는, 예컨대, ESC/POS와 같이 기지의 커맨드 체계에 대응한, 종래형의 프린터라고 할 수 있다. 프린터(6)는, XML 형식의 데이터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또한, 프린터(6)는, 프린터(5)와는 달리 프린트 서버부(51)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단말 장치(1)로부터 http 액세스가 된 경우에, http 액세스에 웹 서버로서 응답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1)에는, 2종류의 프린터(5)와 프린터(6)를 접속 가능하고, 프린터(5)와 프린터(6)가 대응하는 데이터의 형태는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의 형태는 XML 형식이나 ESC/POS 형식의 어느 하나이지만, 단말 장치(1)에 있어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가 처리 가능한 데이터 형식이 XML 형식인지 ESC/POS 형식인지는 미지이다. 단말 장치(1)는,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접속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대하여, 대응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제어 데이터나 인쇄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인쇄 시스템(100)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a)는 단말 장치(1)에 ESC/POS에 대응하는 프린터(6)를 접속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b)는 프린터(5)를 단말 장치(1)에 ESC/POS에 대응하는 프린터로서, 접속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c)는 프린터(5)를 단말 장치(1)에 XML에 대응하는 프린터로서, 접속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d)는 단말 장치(1)가, 접속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의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을 특정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2(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1)에 접속된 프린터가, ESC/POS에 대응하는 프린터(프린터(5) 또는 프린터(6))인 경우, 단말 장치(1)는, ESC/POS 커맨드에 의해,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대한 인쇄 지시 등을 행한다.
이것에 대하여, 단말 장치(1)에,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ML에 대응한 프린터로서, 프린터(5)가 접속된 경우, 단말 장치(1)는, 프린터(5)에 대하여 XML 형식의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를 실행시킨다. 프린터(5)는, 프린트 서버부(51)에 의해 XML 형식의 인쇄 데이터를 ESC/POS 형식의 인쇄 데이터로 변환하고, 인쇄 제어부(52)에 의해 ESC/POS 형식의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는 인쇄를 실행한다.
도 2(a), (b), 및, (c)에 나타낸 단말 장치(1)의 동작은, 단말 장치(1)에 접속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의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1)가 취득한 경우에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단말 장치(1)는,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1)에 접속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대하여, http 리퀘스트를 송신한다. 이 http 리퀘스트는, 단말 장치(1)에 접속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가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포트 번호의 리스트를 요구한다. 상술한 예와 같이, 인쇄 시스템(100)에 있어서 XML 형식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프린터(5)가 XML 형식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포트 번호는 8009번이고, ESC/POS 커맨드를 수신하는 포트 번호는 9100번이다. 따라서, 단말 장치(1)는, 프린터(5)가 회신하는 포트 번호의 리스트에 근거하여, 접속된 프린터(5)의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이 ESC/POS 형식인지 XML 형식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http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단말 장치(1)는, http 리퀘스트에 응답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프린터(6)가 접속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는, 미리 설정된 초기치(디폴트)의 데이터 형식을 선택한다. 디폴트의 데이터 형식은, 예컨대, 종래의 프린터가 대응 가능한 ESC/POS 커맨드이다.
또, 여기서 예로 든 포트 번호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이용한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의 포트 번호이다. 단말 장치(1)와 프린터(5) 또는 프린터(6)가, TCP/IP 또는 UDP를 이용하지 않는 형태로 접속된 경우, http 리퀘스트는 실행되지 않는다. 예컨대, USB, IEEE1284, IEEE1394, RS-232C 등의 각종 규격에 준거한 1대1 접속의 통신 케이블, 혹은, Bluetooth로 접속된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2(d)의 동작은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유선 LAN이나 무선 LAN 등의, TCP/IP 또는 UDP에 대응한 형태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가 접속된 경우에 적용된다.
도 3은 인쇄 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a)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3(b)는 드라이버 실행부(12)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3(c)는 프린터(5)의 동작을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에 의해 문서 작성이나 화상 편집이 행해지고,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인쇄가 지시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라이브러리(17)를 호출하여, 프린터(5)로의 접속과 인쇄를 요구한다(스텝 SA1). 드라이버 실행부(12)는 라이브러리(17)의 호출에 응답하여 동작을 개시하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출력한 접속 및 인쇄의 요구를 취득한다(스텝 SB1). 여기서,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생성한 인쇄 대상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접속된 프린터(5)에 대하여, 포트 번호의 리스트를 요구하는 http 리퀘스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스텝 SB2). 이 http 리퀘스트는 통상의 http에 의한 액세스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TCP80번 포트에 송신된다. 또, http 리퀘스트는, 포트 번호의 리스트를 요구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린터(5)는, 단말 장치(1)로부터 송신된 http 리퀘스트를 수신하여(스텝 SC1), 프린터 기억부(55)에 기억한 통신 설정 데이터(56)에 근거하여, 요구된 포트 번호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스텝 SC2).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프린터(5)로부터 포트 번호의 리스트가 송신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B3). 설정된 시간 내에 포트 번호의 리스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B3 : 아니오), 즉, 포트 번호의 리스트의 요구에 대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인쇄 데이터의 목적지의 포트 번호를 9100번으로 선택한다(스텝 SB4). 그 다음에,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선택한 포트에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을 ESC/POS 형식으로 선택한다(스텝 SB5).
한편,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설정된 시간 내에 포트 번호의 리스트를 수신한 경우(스텝 SB3 : 예), 즉, 포트 번호의 리스트의 요구에 대하여 응답한 경우, ESC/POS 형식의 데이터에 의해 프린터(5)의 기종을 나타내는 프린터 기종 정보(인쇄 장치 정보)를 요구한다(스텝 SB4). 프린터(5)는, 단말 장치(1)로부터의 프린터 기종 정보의 요구를 수신하여(스텝 SC3), 프린터 기종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C6).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프린터(5)로부터 프린터 기종 정보가 송신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B7). 설정된 시간 내에 프린터 기종 정보를 수신한 경우(스텝 SB7 : 예), 즉, 프린터 기종 정보의 요구에 대하여 응답이 있는 경우,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인쇄 데이터의 목적지의 포트 번호를 9100번으로 하고, 선택한 포트에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을 ESC/POS 형식으로 선택한다. 다시 말해, 드라이버 실행부(12)는, XML 형식과 ESC/POS 형식의 양쪽의 형식에 대응 가능한 프린터(5)인 경우, ESC/POS 형식을 채용한다.
한편,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설정된 시간 내에 프린터 기종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스텝 SB7 : 아니오), 즉, 프린터 기종 정보의 요구에 대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 인쇄 데이터를 목적지의 포트 번호를 8009번으로 한다(스텝 SB8). 그 다음에,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선택한 포트에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을 XML 형식으로 선택한다(스텝 SB9).
여기서,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접속된 프린터(5)의 데이터 형식을 나타내는 프린터 정보(19)(데이터 형식 정보)를 생성하고, 단말 기억부(15)에 기억시킨다.
프린터 정보(19)는, 적어도, 프린터(5)를 특정하는 정보와, 프린터(5)가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킨다. 또한, 프린터 정보(19)는, 프린터(5)가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과 아울러, 프린터(5)가 접수 가능한 통신 포트의 번호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또한, 프린터(5)가 접수 가능한 통신 포트가 복수 있는 경우,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스텝 SB5 및 스텝 SB9에서 판별한 데이터 형식과, 이 데이터 형식에 대응하는 통신 포트에 관한 정보를 프린터 정보(19)에 등록한다.
프린터 정보(19)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그 후에 드라이버 실행부(12)가 프린터(5)에 인쇄를 실행시키는 경우에, 스텝 SB2~SB9의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지시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를, 스텝 SB5 및 스텝 SB9에서 선택한 데이터 형식으로, 프린터(5)에 송신한다(스텝 SB10).
프린터(5)는, 단말 장치(1)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스텝 SC5),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한다(스텝 SC6).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 프린터(5)는 인쇄 완료의 통지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스텝 SC7).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프린터(5)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완료의 통지에 근거하여, 인쇄 완료를 검출하고(스텝 SB11),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에 대하여 인쇄 완료를 통지한다(스텝 SB12).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는, 드라이버 실행부(12)로부터의 통지에 근거하여 인쇄 완료를 검출하고(스텝 SA2), 예컨대 단말 표시부(22)에 인쇄 완료를 나타내는 통지를 행한다.
또한, 단말 장치(1)에 프린터(6)가 접속된 경우도, 단말 장치(1)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 및 드라이버 실행부(12)는 도 3(a), (b)에 나타내는 동작을 실행한다. 이 경우, 프린터(6)는 http 리퀘스트를 수신하여 해석하는 기능을 갖지 않기 때문에,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포트 번호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없다(스텝 SB3 : 아니오). 이 때문에,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송신 데이터 형식으로서 디폴트의 형식(예컨대, ESC/POS)을 선택하고, 프린터(6)와, 디폴트의 데이터 형식을 대응시켜 프린터 정보(19)에 등록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 장치(1)는 프린터(6)를 제어하여 인쇄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100)은, 단말 장치(1)와, 단말 장치(1)에 접속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를 구비한다. 단말 장치(1)는, 프린터(5)와 프린터(6)에 통신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23)를 구비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의해,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고, 요구에 대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의 응답 상태를 수신하는 단말 제어부(10)를 구비한다. 단말 제어부(10)는,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프린터(5) 또는 프린터(6)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한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1)는,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접속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적합한 데이터의 형태를 선택하여,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1)가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갖지 않더라도, 프린터(5) 또는 프린터(6)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가 송신하는 정보는, 통신 가능한 통신 포트에 관한 정보로서, 일반적인 정보이다. 이 때문에,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특별한 기능을 실장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10)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드라이버 실행부(12)를 호출하는 것에 의해, 드라이버 실행부(12)가,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접속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을 선택한다. 이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의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을 고려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에, 특정한 프린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장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데이터의 형태란, XML 형식이나 ESC/POS 형식 등의 데이터의 형식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커맨드 체계를 가리킨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 장치(1)가 프린터(5), 프린터(6)에 송신하는 커맨드의 종류나 커맨드 체계를 판별하는 동작을,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한다고 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0)의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프린터(5), 프린터(6)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의해 프린터(5), 프린터(6)와 통신하고, 프린터(5), 프린터(6)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판별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린터(5), 프린터(6)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를 실행시킬 수 있다.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의해 프린터(5) 또는 프린터(6)로부터의 포트 번호의 리스트의 수신에 근거하여 프린터(5) 또는 프린터(6)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와 프린터(5) 또는 프린터(6)를 대응시키는 데이터 형식 정보를 생성한다. 이 데이터 형식 정보는, 예컨대, 프린터 정보(19)로서 단말 기억부(15)에 기억된다.
또한,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의해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http 리퀘스트를 송신한 후, 프린터(5)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 프린터(5)에 대하여, ESC/POS 형식의 데이터로 프린터 기종 정보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드라이버 실행부(12)는, ESC/POS 형식의 데이터에 의해 프린터 기종 정보를 요구하기 때문에, 이 요구에 대한 응답에 근거하여, ESC/POS 형식의 데이터가, 프린터(5)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 형식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프린터 기종 정보를 수신한 경우, ECS/POS 형식을 프린터(5)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식으로 판별하고, 프린터 기종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XML 형식을 프린터(5)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식으로 판별한다.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프린터 기종 정보를 수신한 경우, 프린터(5)가 XML 형식에 대응 가능하더라도, 데이터 형식을 ECS/POS 형식으로 선택한다. 그 때문에,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인쇄를 실행할 때, XML 형식으로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프린터(5)는, 프린트 서버부(51)에 의해 XML 형식의 데이터를 ECS/POS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없고, 인쇄의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프린터 기종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프린터(5)에 대응 가능한 XML 형식으로 프린터(5)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프린터 기종 정보의 요구에 대한 응답에 따라, 프린터(5)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프린터(5)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이용하여, 프린터(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통신 인터페이스(23)에 의해 프린터(5)와 프린터(6)에 http 리퀘스트를 송신한 후, 프린터(5) 또는 프린터(6)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형식을 ECS/POS 형식으로 판별한다. 이 형식이 미리 설정된 형식인 경우, 드라이버 실행부(12)는, http 리퀘스트에 응답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프린터, 혹은, 포트 번호의 리스트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프린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인쇄 시스템(1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인쇄 시스템(101)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인쇄 시스템(100)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인쇄 시스템(101)은, 단말 장치(1)에 대하여,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서 복수의 프린터(5)를 접속한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는, 단말 장치(1)는 1대의 프린터(5)를 선택하여 인쇄를 실행시킨다.
인쇄 시스템(101)의 단말 장치(1), 및 각각의 프린터(5)에는, 통신 네트워크(4)에 있어서 고유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할당되고, 통신 네트워크(4)상에서 단말 장치(1) 및 각각의 프린터(5)를 특정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4)는, 유선 LAN 및 무선 LAN의 어느 것이더라도 좋고, 통신 네트워크(4)의 일부가 광역 통신 회선으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인쇄 시스템(101)에서는, 단말 장치(1)가, 각 프린터(5)가 대응하는 데이터의 형태, 및, 사용 가능한 프린터(5)의 수에 관한 정보를 갖지 않더라도, 단말 장치(1)가 프린터(5)를 검색할 수 있고, 각 프린터(5)가 대응하는 데이터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의 인쇄 시스템(10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a)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5(b)는 드라이버 실행부(12)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5(c)는 프린터(5)의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도 5(a)~(c)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에 있어서, 도 3(a)~(c)와 공통되는 처리 스텝에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A1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라이브러리(17)를 호출하면, 스텝 SB1에서, 드라이버 실행부(12)가, 라이브러리(17)의 호출에 응답하여 동작을 개시한다. 스텝 SB1에서는, 드라이버 실행부(12)가,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출력한 접속 및 인쇄의 요구를 취득하고,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1)가 생성한 인쇄 대상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여기서,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통신 네트워크(4)에 접속된 프린터(5)를 검출하기 위해, IP 어드레스를 요구하는 http 리퀘스트를 송신한다(스텝 SB13). 스텝 SB13에서 송신되는 http 리퀘스트는, 예컨대 브로드캐스트되고,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서 통신 가능한 모든 프린터(5)가 수신할 수 있다.
프린터(5)는, http 리퀘스트를 수신한 경우(스텝 SC8), 이 http 리퀘스트에 따라, 프린터(5)의 IP 어드레스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스텝 SC9). 스텝 SC9에 있어서, 프린터(5)의 통신 네트워크(4)에 있어서의 호스트명, 프린터(5)의 기종명, 프린터(5)가 사용 가능한 통신 포트의 번호, 및, 그 밖의 프린터(5)에 관한 정보 등을 단말 장치(1)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단말 장치(1)는, 프린터(5)로부터 송신되는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한 IP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프린터(5)를 등록한다(스텝 SB14). 프린터(5)의 등록은, 프린터(5)로부터 송신된 IP 어드레스의 리스트를 프린터 정보(19)에 등록하는 처리이다. 스텝 SB14에서,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통신 네트워크(4)에 접속된 프린터(5) 이외의 장치로부터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응답이 있었을 경우에, 프린터(5)로부터의 응답을 선택하여 등록을 행하더라도 좋다.
그 후,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프린터(5)를 선택한다(스텝 SB15). 예컨대, 오퍼레이터가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입력 조작을 행하고, 이 조작으로 지정된 프린터(5)를 선택하면 된다. 이 경우, 프린터 정보(19)에 등록된 프린터(5)의 IP 어드레스 등을 단말 표시부(22)에 의해 표시하더라도 좋다. 또한,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드라이버 실행부(12)가 1개의 프린터(5)를 선택하더라도 좋다.
그 후,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선택한 프린터(5)에 대하여, 스텝 SB2~SB12의 동작을 실행한다. 선택된 프린터(5)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스텝 SC1~SC7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1)의 통신 인터페이스(23)가, 복수의 프린터(5) 또는 프린터(6)를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4)에 접속된 구성에서,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통신 네트워크(4)에 접속된 프린터(5)를 검색하고, 검색한 프린터(5)에 포트 번호의 리스트를 요구한다. 이 때문에,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서 사용 가능한 프린터(5)를 조사함과 아울러, 프린터(5)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 실행부(12)가 복수의 프린터(5)와 통신 가능한 경우나, 사용 가능한 프린터(5)의 수가 미지인 경우에, 복잡한 처리를 거치는 일 없이, 이들 복수의 프린터(5)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서 사용 가능한 프린터(5)를 조사하고, 각 프린터(5)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프린터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가, XML 형식과 ESC/POS 형식의 2가지가 있고, 단말 장치(1)가, 프린터(5), 프린터(6)가 대응하는 데이터 형식을 판별하는 구성으로서 설명했다.
여기서, 프린터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란, 프린터가 사용 가능한 커맨드 체계, 사용 가능한 언어, 사용 가능한 문자 코드, 사용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포맷(패킷 사이즈, 패킷 형식 등을 포함한다) 등을 가리킨다. 즉, 데이터의 형태란, 데이터 포맷에 한하지 않고, 커맨드 체계, 언어, 문자 코드, 통신 프로토콜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포트 번호의 리스트는, 포트 번호의 외에, 통신 포트의 명칭, 통신 포트에서 사용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 등의 포트의 사양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단말 장치(1)는, 포트 번호 이외의 포트의 사양에 근거하여, 프린터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1)가 XML 형식 또는 ESC/POS 형식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보다 많은 형태로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송신하는 데이터의 형태는 상기의 2가지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텝 SB3의 처리에 있어서, 드라이버 실행부(12)가 포트 번호의 리스트의 요구에 대한 응답에 근거하여, 데이터의 형식을 판별하는 방법을 예시했지만, 판별하는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드라이버 실행부(12)는, 수신한 포트 번호의 리스트를 참조하여, 8009번의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판별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드라이버 실행부(12)는, 포트 번호의 리스트가 8009번의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경우, 처리를 스텝 SB6으로 이행하고, 8009번의 포트 번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처리를 스텝 SB4로 이행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각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임의로 실현 가능하고, 특정한 하드웨어 구성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말 장치(1), 프린터(5) 또는 프린터(6)의 각 기능을, 이들 장치에 외부 접속되는 다른 장치에 갖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단말 장치(1)는, 외부 접속되는 기억 매체에 기억시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종 동작을 실행하더라도 좋다. 또한, 프린터(5) 또는 프린터(6)는, 잉크젯식의 프린터로 한정되지 않고, 도트 임팩트식, 레이저식, 서멀식 등의 각종 인쇄 장치, 및, 이러한 종류의 인쇄 유닛을 내장한 복합기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고, 인쇄 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인쇄 제어 장치 등에 유용하고, 특히, 인쇄 장치에 특별한 기능을 실장할 필요가 없고, 또한, 인쇄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갖지 않는 인쇄 제어 장치 등에 적합하다. 예컨대, 인쇄 제어 장치는, 인쇄 장치가 응답했는지 아닌지의 정보, 또는, 인쇄 장치가 통신 가능한 통신 포트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인쇄 장치가 처리 가능한, 또한, 고속으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형식을 판별하고, XML 형식, 또는, ESC/POS 형식의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 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1 : 단말 장치(인쇄 제어 장치)
4 : 통신 네트워크
5, 6 : 프린터(인쇄 장치)
10 : 단말 제어부(제어부)
12 : 드라이버 실행부
19 : 프린터 정보(데이터 형식 정보)
23 : 통신 인터페이스(통신부)
100, 101 : 인쇄 시스템

Claims (15)

  1. 적어도 프린트 서버부를 갖는 또는 갖지 않는 어느 하나의 인쇄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고,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프린트 서버부를 갖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제 1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인쇄 장치에 관한 인쇄 장치 정보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 및 상기 인쇄 장치 정보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장치 정보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하는
    인쇄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장치 정보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상기 제 1 데이터의 형태로 판별하고,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제 2 데이터의 형태로 판별하는 인쇄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한 후,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제 1 데이터의 형태로 판별하는 인쇄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에 적합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를 실행시키는 인쇄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상기 인쇄 장치를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인쇄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는
    인쇄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의 판별 결과와 상기 인쇄 장치를 대응시키는 데이터 형식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제어 장치.
  8.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와,
    적어도 프린트 서버부를 갖는 또는 갖지 않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고,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프린트 서버부를 갖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제 1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인쇄 장치에 관한 인쇄 장치 정보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인쇄 장치 정보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 및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인쇄 제어 장치
    를 구비하고,
    인쇄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장치 정보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하는
    인쇄 시스템.
  9. 인쇄 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으로서,
    적어도 프린트 서버부를 갖는 또는 갖지 않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고,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프린트 서버부를 갖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제 1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인쇄 장치에 관한 인쇄 장치 정보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 및 상기 인쇄 장치 정보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하고,
    상기 인쇄 장치 정보 요구에 대한 상기 인쇄 장치의 응답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와 통신하는
    인쇄 제어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 정보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상기 제 1 데이터의 형태로 판별하고,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제 2 데이터의 형태로 판별하는 인쇄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한 후,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를 제 1 데이터의 형태로 판별하는 인쇄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에 적합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를 실행시키는 인쇄 제어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인쇄 장치를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인쇄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특정한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통신을 요구하는
    인쇄 제어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대응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의 판별 결과와 상기 인쇄 장치를 대응시키는 데이터 형식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제어 방법.
KR1020167033967A 2014-06-05 2015-06-04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제어 방법 KR102051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6707A JP6265053B2 (ja) 2014-06-05 2014-06-05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JPJP-P-2014-116707 2014-06-05
JPJP-P-2015-060727 2015-03-24
JP2015060727A JP6520278B2 (ja) 2015-03-24 2015-03-24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PCT/JP2015/002821 WO2015186361A1 (ja) 2014-06-05 2015-06-04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28A KR20170003628A (ko) 2017-01-09
KR102051276B1 true KR102051276B1 (ko) 2019-12-03

Family

ID=5476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967A KR102051276B1 (ko) 2014-06-05 2015-06-04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59673B2 (ko)
EP (1) EP3153962B1 (ko)
KR (1) KR102051276B1 (ko)
CN (1) CN106462368B (ko)
TW (1) TWI573073B (ko)
WO (1) WO2015186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0005B2 (ja) 2017-09-07 2022-02-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56042B2 (ja) 2017-09-07 2022-04-1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シート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52157A (ja) * 2020-09-23 2022-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印刷制御方法、および、印刷制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143A (ja) * 2009-09-11 2011-03-24 Ricoh Co Ltd プログラム導入支援装置、プログラム導入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導入プログラム
JP2011210035A (ja) * 2010-03-30 2011-10-20 Brother Industries Ltd サーバ、プリンタ、及び、サーバ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2998A1 (en) * 2000-12-08 2002-06-13 Haines Robert E. Consumable order-assistance system for computer peripheral devices within a centralized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for replenishing consumable components
JP4027112B2 (ja) * 2001-03-06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通信方法
JP3846384B2 (ja) 2002-08-28 2006-11-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接続制御方法、接続制御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522599B1 (ko) * 2003-02-06 200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의 식별번호를 이용한 데이터 인쇄방법 및 장치
JP2004362240A (ja) 2003-06-04 2004-12-24 Murata Mach Ltd プリンタ制御装置及びプリンタ制御プログラム
JP4115375B2 (ja) * 2003-11-20 2008-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4367929B2 (ja) * 2004-08-27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電話及び印刷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US8478849B2 (en) * 2004-12-07 2013-07-02 Pure Networks LLC. Network administration tool
US8516418B2 (en) * 2006-06-30 2013-08-20 Oracle America, Inc. Application of a relational database in integrated circuit design
US8713483B2 (en) * 2007-06-05 2014-04-29 Mentor Graphics Corporation IC layout parsing for multiple masks
US8380888B2 (en) * 2008-08-18 2013-02-19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inter health
EP2178264B1 (en) * 2008-10-17 2011-08-03 Canon Europa N.V. Multi protocol print client-server communication
RU2533297C2 (ru) 2009-10-20 2014-11-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которое взаимодействует с периферий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способ и управляющая программа
JP5795848B2 (ja) * 2010-09-22 2015-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35704B2 (ja) * 2011-03-18 2016-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周辺装置、管理装置及び機種情報送信方法
EP2732412A1 (en) * 2011-07-14 2014-05-21 Ecrebo Limited A method of enhancing point-of-sale systems
JP2013097428A (ja) 2011-10-28 2013-05-20 Canon Marketing Japa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03365607B (zh) * 2012-03-30 2016-01-2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印刷控制装置、印刷系统及印刷控制方法
JP6245806B2 (ja) 2013-01-08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454075B2 (ja) * 2013-04-26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143A (ja) * 2009-09-11 2011-03-24 Ricoh Co Ltd プログラム導入支援装置、プログラム導入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導入プログラム
JP2011210035A (ja) * 2010-03-30 2011-10-20 Brother Industries Ltd サーバ、プリンタ、及び、サーバ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2368A (zh) 2017-02-22
EP3153962B1 (en) 2021-12-01
WO2015186361A1 (ja) 2015-12-10
US10459673B2 (en) 2019-10-29
TWI573073B (zh) 2017-03-01
EP3153962A1 (en) 2017-04-12
KR20170003628A (ko) 2017-01-09
EP3153962A4 (en) 2018-02-21
CN106462368B (zh) 2019-12-17
US20170192728A1 (en) 2017-07-06
TW201604769A (zh)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83353A1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ing server
KR102051276B1 (ko)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제어 방법
JP2012118633A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150269461A1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control apparatus,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22109916A (ja) 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CN111251732A (zh) 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7367431B2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14846440A (zh) 支援程序、信息处理装置以及印刷方法
JP6520278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US9423987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execute printing using print setting
JP6265053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JP2007179371A (ja) 印刷システム
JP6264978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JP7000746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16128215A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4949127B2 (ja) 印刷装置、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
JP6693196B2 (ja) プログラム
KR100561475B1 (ko)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6962361B2 (ja) プログラム
JP2019128691A (ja) 制御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群
JP2017182257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11200016B2 (en) Print data control apparatus to instruct another printing apparatus at transmission destination to perform desired process, printing apparatus thereof, and printing system
JP2007030439A (ja) 画像出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方法
JP2022053000A (ja) プログラム、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6380505B2 (ja) プリンター、プリンター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ーの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2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25

Effective date: 201908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