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089B1 - 타일 시공용 시트 - Google Patents

타일 시공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089B1
KR102051089B1 KR1020170178795A KR20170178795A KR102051089B1 KR 102051089 B1 KR102051089 B1 KR 102051089B1 KR 1020170178795 A KR1020170178795 A KR 1020170178795A KR 20170178795 A KR20170178795 A KR 20170178795A KR 102051089 B1 KR102051089 B1 KR 102051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adhesive layer
convex portions
she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739A (ko
Inventor
장갑현
장진수
Original Assignee
동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산산업(주) filed Critical 동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7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0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타일 시공용 시트는 제1 보호층, 제1 보호층 위에 위치하고, 타일 시공 대상에 부착되는 제1 접착층, 제1 접착층 위에 위치하고,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고,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볼록부를 포함하는 기재층, 기재층 위에 위치하고, 타일 접착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제1 볼록부와 중첩하여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 볼록부를 포함하는 제2 접착층, 그리고 제2 접착층 위에 위치하는 제2 보호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일 시공용 시트{SHEET FOR INSTALLING TILE}
타일 시공용 시트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 화장실, 주방 등에 타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타일 전문 시공자가 필요하며, 일반인이 타일을 직접 시공하기는 어렵다. 타일의 수평을 맞추고, 타일 간 가로 및 세로 정렬을 바르게 하고, 타일 사이에 줄눈을 만들어, 타일을 시공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이다. 또한 타일 전문 시공자 역시 타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타일 시공의 복잡성과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타일 시공과 관련하여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등록특허 3,200,478은 "타일 일체형 방수 시트"에 대한 것으로, 한 면에 타일과 줄눈재를 모두 부착되어 있는 타일 일체형 시트이며, 시트의 다른 면에 차례로 부착된 점착체층과 박리 시트를 포함하며, 박리 시트를 제거한 후 벽 면에 타일 일체형 시트를 시공하는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타일 일체형 시트는 많은 종류의 타일 중 사용자가 원하는 타일을 골라서 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며, 미리 정해진 타일 일체형 시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 면에 서로 다른 종류의 타일을 시공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일본공개특허 2015-059322는 "타일 접착 시트"에 대한 것으로, 이면에 부착층을 갖는 베이스 시트와 관통 구멍을 포함하면서 베이스 시트의 한 면에 접착된 연질 수지로 구성되며, 연질 수지의 관통 구멍에 타일이 접착되는 내용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통 구멍을 갖는 연질 시트를 형성하는 것은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며, 연질 시트의 재료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상승한다.
일본공개특허 2007-247209는 "타일 시트"에 대한 것으로, 타일 시공 능률을 향상시키고 숙련된 기술 없이도 타일을 시공하기 위하여, 표면에 일정한 피치로 타일의 가로 줄눈 부분을 볼록형으로 마련한 플라스틱계 시트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볼록형 가로 줄눈을 형성하는 것 역시 제조 공정이 복잡하며, 재료 비용 발생으로 제조 원가가 상승한다. 또한, 이러한 타일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타일을 세로 방향으로 정렬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타일을 편하고 빠르고 자유롭게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제조 공정이 단순하면서도 제조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 시트는 제1 보호층, 제1 보호층 위에 위치하고, 타일 시공 대상에 부착되는 제1 접착층, 제1 접착층 위에 위치하고,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고,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볼록부를 포함하는 기재층, 기재층 위에 위치하고, 타일 접착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제1 볼록부와 중첩하여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 볼록부를 포함하는 제2 접착층, 그리고 제2 접착층 위에 위치하는 제2 보호층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제1 볼록부는 타일과 타일 사이의 가상의 경계선들과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볼록부는 가상의 경계선들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 또는 가상의 경계선들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만나는 꼭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볼록부의 폭은 시공되는 타일과 타일 사이의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제1 접착층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2액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에폭시 경화제에 의해 경화 접착층이 되어 타일 시공 대상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접착층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2액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에폭시 경화제에 의해 경화 접착층이 되어 타일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타일을 편하고 자유롭게 시공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단순하면서도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의 기재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의 기재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를 이용하여 타일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의 기재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의 기재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트를 이용하여 타일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타일 시공용 시트(1)는 제1 보호층(10), 제1 보호층 위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20), 제1 접착층(20) 위에 위치하는 기재층(30), 기재층(30) 위에 위치하는 제2 접착층(40), 그리고 제2 접착층(40) 위에 위치하는 제2 보호층(5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타일 시공용 시트(1)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타일을 원하는 대로 시공할 수 있다.
제1 보호층(10)은 타일(60) 시공 전까지 제1 접착층(2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타일(60)을 시공하기 전에 타일 시공용 시트(1)의 제1 보호층(10)을 제거한 후, 타일 시공용 시트(1)를 타일 시공 대상(90)에 부착한다.
제1 보호층(10)은 PET, PP 등의 고분자 재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10)은 표면 가공되거나 코팅된 종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보호층(10)은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보호층(10) 위에 제1 접착층(20)이 위치한다. 타일(60)을 시공할 때, 제1 접착층(20)은 타일 시공 대상(90)에 접착되며, 이에 따라 타일 시공용 시트(1)가 타일 시공 대상(9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20)은 2액형 접착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2액형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경화제와 반응하여 뛰어난 접착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에폭시 경화제는 아민류, 폴리아미드 등이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타일(60)을 시공할 때, 타일 시공 대상(90)에 에폭시 경화제를 도포한 후, 제1 보호층(10)이 제거된 타일 시공용 시트(1)의 제1 접착층(20)을 타일 시공 대상(90)에 부착한다. 이 경우, 제1 접착층(20)은 경화되어 경화 접착층(25)으로 되면서 타일 시공 대상(90)에 매우 강하게 접착된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경화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무거운 타일이 벽면 등에 시공되어도, 타일 시공용 시트가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접착층(20) 위에 기재층(30)이 위치한다. 기재층(30)은 PET, PP 등의 고분자 재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타일 시공시 기재층(30)은 경화 접착층(25)과 매우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기재층(30)은 복수개의 볼록부(31, 32, 33, 3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볼록부(31, 32, 33, 34)는 돌출되어 있으며, 반구 형상, 직육면체 형상, 원통 형상, 원뿔 형상 등일 수 있다. 복수개의 볼록부(31, 32, 33, 34)는 기재층(30)이 열처리된 후, 복수개의 구멍이 있는 플레이트, 벨트 등에서 진공 석션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볼록부 자체가 기재층(30)과 일체로 형성되어 별도의 공정이나 재료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하면서도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볼록부(31, 32, 33, 34)는 타일과 타일 사이의 가상의 경계선들(38, 39)과 중첩하여 위치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볼록부(31, 32, 33, 34)가 타일(60)이 부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동시에 타일(60)이 가상의 경계선들(38, 39)을 넘지 않고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잘 정렬되도록 만들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하고 빠르게 타일을 시공할 수 있다. 기재층(30)에서 가상의 경계선들(38, 39) 위치에 실제 선이 인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더욱 편하고 빠르게 타일을 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볼록부(31, 32, 33, 34)는 서로 교차하는 가상의 경계선들(38, 39)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교차점으로부터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위치이면서 가상의 경계선들(38, 39)과 중첩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타일 시공용 시트(1)의 가로 또는 세로 단부에는 1 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서로 교차하는 가상의 경계선들(38, 39)은 서로 직교하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형 타일을 시공하는 경우, 세 개의 가상의 경계선들이 60도로 교차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6 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상의 경계선들은 교차하지 않고, 한 개의 꼭지점에서 만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볼록부는 꼭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꼭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이면서 가상의 경계선들과 중첩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각형 타일을 시공하는 경우, 세 개의 가상의 경계선들이 120도를 이루며 만나 꼭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꼭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3 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교차점과 꼭지점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름모 타일 3 개가 모여 육각형을 이루도록 마름모 타일을 시공하는 경우, 세 개의 가상의 경계선이 60도로 교차하는 교차점과 세 개의 경계선들이 120도를 이루며 만나는 꼭지점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6 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동시에 꼭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3 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상의 경계선들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교차하거나 꼭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름모 타일을 4 개가 모여 마름모를 이루도록 마름모 타일을 시공하는 경우, 2 개의 가상의 경계선이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며 교차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4 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팔각형 타일과 정사각형 타일을 함께 시공하는 경우, 세 개의 가상의 경계선들이 135도, 135도, 90도를 이루며 만나 꼭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꼭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3 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 타일 외에도, 곡선을 포함한 타일을 시공하는 경우, 2 개 이상의 가상의 경계선들은 곡선일 수 있으며, 교차점, 꼭지점, 또는 이들 모두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교차점 또는 꼭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2 개 이상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볼록부(31, 32, 33, 34)의 폭은 타일들(60) 사이의 줄눈(70)의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줄눈(70)의 폭이 1 mm 이상 20 mm 이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개의 볼록부(31, 32, 33, 34)의 폭도 1 mm 이상 20 mm 이하일 수 있다.
기재층(30) 위에 제2 접착층(40)이 위치한다. 타일(60)을 시공할 때, 제2 접착층(40) 위에 위치한 제2 보호층(50)을 제거한 후, 제2 접착층(40)이 타일(60)에 접착될 수 있다.
제2 접착층(40)은 타일 접착제를 포함한다. 타일 접착제는 2액형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액형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경화제와 반응하여 뛰어난 접착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에폭시 경화제는 아민류, 폴리아미드 등이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타일(60)을 시공할 때, 타일(60)의 한 면에 에폭시 경화제를 도포한 후, 제2 보호층(50)이 제거된 제2 접착층(40) 위에 에폭시 경화제가 도포된 타일(60) 면을 부착한다. 이 경우, 제2 접착층(40)은 경화되어 경화 접착층으로 되면서 타일(60)에 매우 강하게 접착된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경화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무거운 타일이 벽면 등에 시공되어도, 타일 시공용 시트가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2 접착층(40)은 기재층(30)의 복수개의 볼록부(31, 32, 33, 34)와 중첩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볼록부(31, 32, 33, 34)의 형상을 따라 돌출된 복수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층(40)의 복수개의 볼록부는 타일(60)이 부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동시에 타일(60)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잘 정렬되도록 만들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하고 빠르게 타일을 시공할 수 있다. 제2 접착층(40)의 복수개의 볼록부의 폭은 타일들(60) 사이의 줄눈(70)의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줄눈(70)의 폭이 1 mm 이상 20 mm 이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접착층(40)의 복수개의 볼록부의 폭도 1 mm 이상 20 mm 이하일 수 있다.
제2 접착층(40) 위에 제2 보호층(50)이 위치한다. 제2 보호층(50)은 타일(60) 시공 전까지 제2 접착층(4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타일(60)을 시공하기 전에 타일 시공용 시트(1)의 제2 보호층(50)을 제거한 후, 타일(60)을 제2 접착층(40)에 부착한다.
제2 보호층(50)은 PET, PP 등의 고분자 재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층(50)은 표면 가공되거나 코팅된 종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보호층(50)은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타일들(60) 사이에 줄눈(70)이 시공될 수 있다. 줄눈(70)의 재료로 백시멘트,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타일(60)을 시공할 때, 십자 모양의 스페이서와 스페이서의 관통 공에 삽입하는 쐐기를 추가로 이용하여, 타일들(60)을 더욱 정확히 정렬할 수 있으며, 타일들(60)의 수평을 더욱 정확히 맞출 수 있다. 또한 타일(60)을 시공한 후, 제1 접착층(20), 경화 접착층(25), 제2 접착층(40) 등의 접착 성분이 굳을 때까지 타일들(60)을 일정 시간 동안 고정할 수 있으므로, 확장 또는 수축에 의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타일 시공용 시트(1)는 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타일 시공용 시트(1)는 롤 형태 외에도 시트 형으로 1 장씩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타일 시트 10: 제1 보호층
20: 제1 접착층 25: 경화 접착층
30: 기재층 40: 제2 접착층
50: 제2 보호층 60: 타일
70: 줄눈 90: 타일 시공 대상

Claims (4)

  1. 제1 보호층,
    상기 제1 보호층 위에 위치하고, 타일 시공 대상에 부착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위에 위치하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며, 돌출된 복수개의 원뿔형 제1 볼록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 위에 위치하고, 타일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볼록부와 중첩하여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 볼록부를 포함하는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PET 또는 상기 PP를 포함하는 제2 보호층
    을 포함하고,
    상기 원뿔형 제1 볼록부는 상기 기재층을 열처리한 후 복수개의 구멍이 있는 플레이트 또는 벨트에서 진공 석션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원뿔형 제1 볼록부는 타일과 타일 사이의 가상의 경계선들과 중첩하여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원뿔형 제1 볼록부는 상기 가상의 경계선들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 또는 상기 가상의 경계선들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만나는 꼭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원뿔형 제1 볼록부의 폭은 시공되는 타일과 타일 사이의 폭과 같거나 작으며,
    상기 복수개의 원뿔형 제1 볼록부의 폭은 1mm 이상 20mm 이하이고,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각각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2액형 접착제를 포함하고, 에폭시 경화제에 의해 경화 접착층이 되어 타일 시공 대상에 부착되는 타일 시공용 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78795A 2017-12-22 2017-12-22 타일 시공용 시트 KR102051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95A KR102051089B1 (ko) 2017-12-22 2017-12-22 타일 시공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95A KR102051089B1 (ko) 2017-12-22 2017-12-22 타일 시공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739A KR20190076739A (ko) 2019-07-02
KR102051089B1 true KR102051089B1 (ko) 2019-12-02

Family

ID=6725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795A KR102051089B1 (ko) 2017-12-22 2017-12-22 타일 시공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2449B (zh) * 2019-12-10 2021-02-09 武汉市科达云石护理材料有限公司 环氧干挂胶固化剂组份的保护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151A (ja) * 1999-08-27 2001-03-13 Kyushu Kaihatsu Kikaku:Kk 化粧壁面パネル
WO2008016188A1 (en) * 2006-08-04 2008-02-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ile unit, tile adhering sheet, and method of installing ti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151A (ja) * 1999-08-27 2001-03-13 Kyushu Kaihatsu Kikaku:Kk 化粧壁面パネル
WO2008016188A1 (en) * 2006-08-04 2008-02-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ile unit, tile adhering sheet, and method of installing t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739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0881B2 (ja) 床板
CA2835338C (en) Mortarless til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tiles
US8720143B2 (en) Tile spacer
US9057196B2 (en) Subfloor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057193B2 (en) Subfloor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7182751A (ja) タイル
US20080141617A1 (en) Tile spacing tool
KR102051089B1 (ko) 타일 시공용 시트
US20190292797A1 (en) Tile spacer and wedge tool
IT201800005016A1 (it) Distanziatore per la posa di piastrelle, mattonelle e simili con interposizione di fughe
US3350825A (en) Wallboard corner construction and method
US9469998B1 (en) Wall lath with self-furring ridges
GB2167797A (en) Device for use in applying a surface layer to a wall
JP2020026621A (ja) 下地層形成用定木、タイル貼着方法
KR200442721Y1 (ko) 시공 위치 조정이 가능한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
JP7053012B2 (ja) 壁コーナ用下地材
JPH0243934Y2 (ko)
TW201932690A (zh) 衛浴構件
KR200442720Y1 (ko) 시공 위치 조정이 가능한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
JP2004060153A (ja) 養生ボード及び床面の養生方法
JP6373628B2 (ja) 床タイルの施工方法
JP7274956B2 (ja) 下地層形成用定木、タイル貼着方法
WO2019146349A1 (ja) 水廻り部材
WO2019146536A1 (ja) 水廻り部材
CA2858887C (en) Subfloor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