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233B1 -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233B1
KR102050233B1 KR1020180135237A KR20180135237A KR102050233B1 KR 102050233 B1 KR102050233 B1 KR 102050233B1 KR 1020180135237 A KR1020180135237 A KR 1020180135237A KR 20180135237 A KR20180135237 A KR 20180135237A KR 102050233 B1 KR102050233 B1 KR 10205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cid
inkjet
antimicrobi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235A (ko
Inventor
이경환
김춘섭
이수웅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
(주)케이씨미디어
(주)세원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 (주)케이씨미디어, (주)세원미디어 filed Critical (주)에스엠
Priority to KR102018013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2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에 관련되며, 이때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은 항균용 유기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함수율이 30 - 50%인 미건조 상태로 포장처리 하므로, 세균 및 곰팡이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됨과 더불어 원단 함수율 및 유기산 코팅층으로 인해 전하들이 방전된 무정전기 출력물을 제공하고, 특히 건조공정 생략으로 잉크젯원단 제조에서 출력물을 얻기까지 제조공정이 단축되도록 하기 위해 잉크젯 원단에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함수율이 30 - 50%인 미건조 상태로 포장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 {Production method for non-static electricity inkjet printouts using antibacterial organic acids}
본 발명은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용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함수율이 30 - 50%인 미건조 상태로 포장처리 하므로, 세균 및 곰팡이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됨과 더불어 원단 함수율 및 유기산 코팅층으로 인해 전하들이 방전된 무정전기 출력물을 제공하고, 특히 건조공정 생략으로 잉크젯원단 제조에서 출력물을 얻기까지 제조공정이 단축되는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잉크젯 프린트용으로 100%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원단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나,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특성상 원단을 직조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잉크 침투성이 저하되면서 균일한 출력 품질을 얻을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특허 등록번호 10-0794908호에서, 소수성 섬유인 폴리에스테르섬유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양 이온성 물질, 양 이온성 고분자물질 또는 무기 염이 함유된 전처리 제로 전처리를 하고 잉크흡수성 코팅액을 도포함으로써 수성안료잉크나 오일잉크가 원단에 완벽하게 안착 되도록 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이처럼, 상기 종래기술은 원단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잉크번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이를 이용하여 인쇄공정을 거쳐 출력물을 제조시, 수성잉크에 포함된 물로 인해 미건조 상태로 포장처리가 불가능한바, 즉 물은 세균, 곰팡이, 악취 및 얼룩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출력 후에는 반드시 열풍 및 송풍에 일정시간 노출시켜 완전건조 후 포장처리함에 따라 제조공정이 다분화되고, 공정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쇄 후 수분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출력물을 완전 건조시, 원단에 존재하는 전자들이 공중으로 방전되지 못하고 마찰에 의해 정전기 발생율이 증가되면서, 재단과정 및 포장과정에서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하여 피로도를 높이고, 특히 정전기 스파크로 인해 화재나, 플로터 출력 프로그램 오류를 유발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항균용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함수율이 30 - 50%인 미건조 상태로 포장처리 하므로, 세균 및 곰팡이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됨과 더불어 원단 함수율 및 유기산 코팅층으로 인해 전하들이 방전된 무정전기 출력물을 제공하고, 특히 건조공정 생략으로 잉크젯원단 제조에서 출력물을 얻기까지 제조공정이 단축되는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항균용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한 후에, 원단 일면 또는 양면에 잉크흡수제를 코팅처리하여 잉크젯 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잉크젯 원단에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함수율이 30 - 50%인 미건조 상태로 포장처리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처리제는 항균용 유기산으로서, 카복실산(RCOOH), 술폰산(RSO₃H), 술핀산(RSO₂H), 페놀(ArOH), 에놀(RCH=C(OH)R'), 티오페놀(ArSH), 이미드(RCONHCOR'), 옥심(RCH=NOH), 방향족 술폰아미드 ArSO₂NH₂, ArSO₂NHR, 일차 및 이차 니트로화합물 RCH₂NO₂, R₂CHNO₂중 1종 또는 적어도 2종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균용 유기산의 사용농도는 0.05 - 30wt%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제는 항균용 무기산으로서, 황산(H2SO4), 염산(HCl), 질산(HNO3), 인산(H3PO4), 설파민산(SO3HNH2), 과염소산(HClO4), 크롬산(HCrO4), 아황산(H2SO3), 아질산(HNO2)중 1종 또는 적어도 2종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균용 무기산의 사용농도는 0.05 - 30wt%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제 처리는 폴리에스테르 원단 염색가공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지거나, 염색가공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제 처리는 잉크젯 원단을 워터제트 직기(water jet loom)에서 직조시 분사되는 물에 혼합되어 항균처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항균용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함수율이 30 - 50%인 미건조 상태로 포장처리 하므로, 건조공정을 거치지 않고 수성잉크에 포함된 물이 내포된 상태로 포장처리가능하여 제조공정 단축과 더불어 인쇄과정에서의 고속운전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출력물에 내포된 함수율로 인해 포장과정에서 출력물을 말거나 접을때 표면저항 감소 및 전하들이 쉽게 방전되어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는 무정전기 기능을 가지므로, 작업자 피로도 감소와 더불어 정전기 스파크로 인한 화재예방 및 전자부품인 플로터 출력 프로그램 오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형성 구성을 타나내는 블록도.
도 2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형성 및 포장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과 일반원단의 곰팡이 얼룩 발생 유무검사 사진.
도 10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의 함수율에 따른 표면저항 및 이염테스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의 표면저항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형성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형성 및 포장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에 관련되며, 이때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은 항균용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함수율이 30 - 50%인 미건조 상태로 포장처리 하므로, 세균 및 곰팡이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됨과 더불어 원단 함수율 및 산 코팅층으로 인해 전하들이 방전된 무정전기 출력물을 제공하고, 특히 건조공정 생략으로 잉크젯원단 제조에서 출력물을 얻기까지 제조공정이 단축되도록 하기 위해 잉크젯 원단에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함수율이 30 - 50%인 미건조 상태로 포장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항균용 유기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한 후에, 원단 일면 또는 양면에 잉크흡수제를 코팅처리하여 잉크젯 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잉크젯 원단에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함수율이 30 - 50%인 미건조 상태로 포장처리된다. 즉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항균용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하는 단계(S1)와, 상기 항균 처리된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잉크흡수제를 코팅처리하여 잉크젯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S2)와, 상기 잉크젯 원단에 수성잉크의 함수율은 70~90%농도로 배합되어 인쇄된 후 원단 함수율이 30 - 50%인 상태로 포장되는 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처리 과정은, 항균용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함침, 코팅 혹은 딥핑 방법으로 전처리된다. 상기 전처리제 항균 처리는 폴리에스테르 원단 염색가공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지거나, 염색가공과 동시에 수행된다. 도 2는 염색가공 전 폴리에스테르 생지원단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은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4는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된 원단 사진이다.
또, 상기 향균처리 과정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처리제 처리는 잉크젯 원단을 워터제트 직기(water jet loom)에서 직조시 분사되는 물에 혼합되어 항균처리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잉크젯 원단은 잉크흡수제를 코팅처리하기 전 단계의 원단으로서, 워터제트 직기(water jet loom)에서 직조시 씨실을 날리기 위해 간헐적으로 분사되는 물에 항균용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가 혼합되어, 사용농도는 0.05 - 30wt% 수용액 농도로 구성된다. 이에 별도의 향균처리 공정이 원단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공정 단축, 설비 간소화를 도모하는 이점이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전처리제는 항균용 유기산으로서, 카복실산(RCOOH), 술폰산(RSO₃H), 술핀산(RSO₂H), 페놀(ArOH), 에놀(RCH=C(OH)R'), 티오페놀(ArSH), 이미드(RCONHCOR'), 옥심(RCH=NOH), 방향족 술폰아미드 ArSO₂NH₂, ArSO₂NHR, 일차 및 이차 니트로화합물 RCH₂NO₂, R₂CHNO₂중 1종 또는 적어도 2종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항균용 유기산은 시중에 유통되는 무기계 항균제(은, 구리 등의 금속재료) 및 염소, 요오드화합물, 페놀, 알코올, 포르말린, 4급 암모늄염과 같은 유기화합물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제조단가 절감을 도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처리제는 항균용 무기산으로서, 황산(H2SO4), 염산(HCl), 질산(HNO3), 인산(H3PO4), 설파민산(SO3HNH2), 과염소산(HClO4), 크롬산(HCrO4), 아황산(H2SO3), 아질산(HNO2)중 1종 또는 적어도 2종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항균용 유, 무기산의 사용농도는 0.05 - 30wt% 수용액 농도로 구성되고, 이때 항균용 유, 무기산의 사용농도가 0.05wt% 이하이면 세균의 번식이 좋아지고, 30wt% 이상이면 원가상승을 초래하므로, 0.05 - 30wt% 수용액 농도가 적합하다. 여기서 유, 무기산의 사용농도는, 이후 수행되는 잉크흡수제 코팅처리 과정에서 유, 무기산의 사용농도가 0.05wt% 이하이면 잉크흡수제 코팅량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발색저하 및 원가상승, 잉크흡수제 부착성 저하현상이 발생되고, 30wt% 이상이면 잉크흡수제 코팅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인쇄적성이 저하되므로, 인쇄적성을 고려하여 항균용 유, 무기산 사용농도는 0.05 - 30wt% 수용액 농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항균용 유, 무기산은 항균기능과 더불어 전처리시 원단 섬유에 흡착되어 섬유를 부드럽게 만들어 마찰을 최소화시켜 정전기를 줄여주는 동시에 섬유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전하들을 재빨리 공기 중으로 방출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출력물 함수율을 이용한 무정전기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흡수제를 코팅처리하는 과정은, 원단 일면 또는 양면에 잉크흡수제를 코팅처리하여 잉크젯 원단이 제조된다. 아래 [표 1]은 잉크흡수제 구성비율을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18110023112-pat00001
상기 코팅층을 이루고 있는 코팅액의 각각 구성요소들의 기능 및 작용을 알아보면, 유기용제(Organic Solvent)로는 메탄올, 톨루엔, 메틸에틸케톤(MEK), 이소프로필알콜(IPA)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기용제들을 점도, 및 용도에 따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전체 중량비의 40~60% 내외로 구성하도록 한다.
또, 아크릴수지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서 일반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에 해당된다. 상기 아크릴수지는 흡수충진제와 원단을 잡아주는 바인더(Binder)역할을 하며 코팅액의 상당부분에 해당되는 아크릴수지는 코팅된 원단의 터치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이다. 이것은 아크릴수지의 원료인 모노머(monomer)로 조정가능하다.
모노머의 종류에는 경질모노머(hard monomer), 연질모노머(soft monomer), 기능성 모노머(function monomer)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모노머의 배합에 따라 수지의 Tg(유리전이온도 - 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값이 정해진다. 우리나라는 하절기, 동절기의 온도차가 20~40℃정도 차이가 난다. 하절기에는 아크릴수지의 Tg(유리전이온도)값을 -5~+20℃로 조정하여 아크릴수지 자체의 hardness를 올려줘 원단의 hardness가 올라가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성(원단 피딩)이 개선되고 내구성 또한 향상된다. 동절기에는 아크릴수지의 Tg(유리전이온도)값을 -20~-5℃로 조정하여 아크릴수지 자체의 hardness를 낮춰줘 코팅된 원단을 부드럽게 해줘 내마모성이 개선된다.
또, 폴리우레탄수지는 발색을 향상시키고 아크릴수지의 부족한 바인더의 역할을 보조해준다. 상기 폴리우레탄수지는 아크릴수지와 상용성이 양호해야하며 코팅액의 점도를 조정해준다.
또한, 위의 폴리우레탄수지와 아크릴수지는 인쇄층을 이루는 안료잉크와 실리카를 원단으로부터 탈락을 방지해주는 가장 큰 요소이다. 폴리우레탄수지와 아크릴수지는 코팅액의 구성요소를 봤을 때 용제를 제외한 요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산화규소(SiO2), 이산화티탄(TiO2), 탄산칼슘(CaCO3) 등의 충진제는 흡착력이 강하여 잉크 중에 포함된 용액(Water)을 흡수하여 출력 시 잉크의 번짐을 방지하고 발색하는 기능을 하며, 코팅 후 출력용 소재의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내산성을 증진시키며 소재의 투명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 중에서도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물성이 우수하다. 실리카는 침강성 실리카이며 입자크기가 2~10㎛ 정도이고, 흡유량(Oil Absorption)은 250~350ml/100g이 가장 적당하다. 실리카의 전체 중량비의 20%를 초과하면 잉크 번짐 현상은 향상되나 발색이 저하되고 내마모성, 내구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실리카의 전체 중량비 5%이하가 되면 내마모성, 내구성은 향상되나 잉크 번짐 현상이 발생하고 원단의 투명도가 높아진다. 5~15wt%가 가장 적당하다.
또, 에틸렌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분자 구조내에 친수기인 수산기(-OH)가 존재하여 잉크가 원단에 뿌려졌을 때 수성잉크를 잡아줘서 잉크 번짐을 방지해준다. 최근에는 고해상도의 프린터가 개발되고, 최종 소비자의 요구 또한 고해상도와 우수한 발색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잉크 사용량이 많게 되어 잉크 번짐을 방지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에틸렌 카보네이트계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잉크 번짐을 방지하였다. 이것은 종래의 제품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효과가 아닐 수 없다. 유동파라핀은 출력하였을 때 잉크의 발색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예는 [표 2]와 같다. 중량%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0023112-pat00002
상기 제조한 코팅조성물을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고안된 전처리제로 전처리한 원단(3)에 나이프코팅으로 2회 코팅하여 제조하였고, 비교예1, 2는 전처리하지 아니한 원단에 나이프코팅으로 2회 코팅하여 잉크젯 출력용 원단을 완성하였다. 출력은 mimaki TS34-1800A에서 출력하였으며 출력 후 1시간 동안 출력물을 상온에서 건조한 다음 물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물성 테스트 결과는 아래의 표2와 같다.
Figure 112018110023112-pat00003
잉크 번짐 테스트 방법은 같은 이미지를 동시에 출력하여 현미경으로 평가하였다. 내수성 테스트는 출력 후 원단이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졌을 때 물에 1시간 동안 침지 후 탈색 여부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잉크젯 원단에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함수율이 30 - 50%인 미건조 상태로 포장처리된다. 이때 수성잉크의 수분함량 즉, 함수율은 70~90%농도로 배합되어 인쇄(프린팅)되고, 도 5 내지 8과 같이 인쇄 직후 별도의 건조공정(열풍기, 송풍기를 이용한 건조)을 거치지 않고 포장처리된다.
여기서 포장처리는 인쇄된 출력물은 접거나 말아서 비닐팩에 넣은 상태로 보관 또는 배송되고, 이때 포장된 출력물은 수성잉크에 포함된 물이 미건조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도 5는 수성잉크 인쇄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6은 인쇄 직후 포장하기 위해 출력물을 접는 사진이며, 도 7은 출력물을 비닐포장한 사진이며, 도 8은 비닐 포장된 출력물을 박스에 포장하는 사진이다.
도 10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의 함수율에 따른 표면저항 및 이염테스트(검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표면저항은 도 18의 고유저항 측정기를 사용하였고, 측정 범위는 103 ~ 1012Ω/sq이고, 103 ~ 1012Ω/sq 범위내에 측정될 경우 정전기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 이염테스트는 수성잉크 출력영역과 백색영역으로 구분하고, 출력직후, 출력물의 수성잉크 출력영역이 백색영역에 포개지도록 접은 상태로 2~10간 경과 후 미출력부분으로 수성잉크가 이염되는지 육안으로 판단하여 검사한다.
도 10 내지 17에서 각 함수율별 표면저항 및 이염테스트(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도 10은 함수율이 2% 조건에서 표면저항 1012Ω/sq 를 초과하여 정전기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이때 이염테스트는 낮은 함수율로 인해 이염이 발생되지 않았다. 도 11 내지 12는 함수율 5%, 10% 조건에서 표면저항 1012Ω/sq이고, 이염은 발생되지 않았으며, 도 13 내지 16은 함수율 20%, 30%, 40%, 50% 조건에서 표면저항 1012Ω/sq이하이고 이염도 발생되지 않았다. 하지만, 도 17과 같이 함수율 60%조건에서는 높은 수분량으로 인해 백색영역으로 수성잉크 이염이 발생되었다.
이처럼, 상기 포장처리시 인쇄물의 함수율이 3%미만이면 표면저항 증가와 더불어 원단이 건조하여 정전기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함수율이 50%초과하면 미건조상태의 수성잉크로 인해 이염이 발생되므로, 인쇄 후 출력물의 함수율이 30 - 50% 미건조 상태로 포장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출력물을 인쇄한 후, 건조공정을 거치지 않고 수성잉크에 포함된 물이 내포된 상태로 포장처리되므로, 제조공정 단축과 더불어 인쇄과정에서의 고속운전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특히 출력물에 내포된 함수율로 인해 포장과정에서 출력물을 말거나 접을때 표면저항 감소 및 전하들이 쉽게 방전되어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는 무정전기 기능을 가지므로, 작업자 피로도 감소와 더불어 정전기 스파크로 인한 화재예방 및 전자부품인 플로터 출력 프로그램 오류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된 잉크젯 원단과 일반 원단(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처리되지 않은 원단)을 이용하여 수성잉크로 인쇄한 후 포장처리하여 48시간 경과 후 곰팡이 얼룩 발생 유무를 검사한 사진이다.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된 본원의 잉크젯 원단은 곰팡이 얼룩이 발견되지 않았고, 일반 원단에서는 수분에 의해 곰팡이 및 얼룩으로 수성인쇄부가 오염이 발생되었다.
이는 본원의 잉크젯 원단은 무정전기 기능을 가지도록 이염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내의 함수율 조건에서 포장배송하더라도 인쇄물의 오염이 방지되는데 반해, 일반 원단은 잉크젯 원단에 포함된 수분으로 포장배송시 쉽게 오염이 발생되므로 수성잉크로 인쇄후 반드시 건조과정을 거쳐야 한다.

Claims (1)

  1.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항균용 산이 포함된 전처리제로 항균 처리하는 단계(S1);
    상기 항균 처리된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잉크흡수제를 코팅처리하여 잉크젯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잉크젯 원단에 수성잉크의 함수율은 70~90%농도로 배합되어 인쇄된 후 원단 함수율이 30 - 50%인 상태로 포장되는 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
KR1020180135237A 2018-11-06 2018-11-06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 KR10205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237A KR102050233B1 (ko) 2018-11-06 2018-11-06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237A KR102050233B1 (ko) 2018-11-06 2018-11-06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317 Division 2018-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235A KR20190126235A (ko) 2019-11-11
KR102050233B1 true KR102050233B1 (ko) 2019-11-29

Family

ID=6853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237A KR102050233B1 (ko) 2018-11-06 2018-11-06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12B1 (ko) * 2021-05-13 2021-09-07 주식회사 모아 탄소함유 유성잉크로 인쇄한 전자파 차단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전자파 차단 직물지
KR102298711B1 (ko) * 2021-05-13 2021-09-07 주식회사 모아 탄소함유 수성잉크로 인쇄한 전자파 차단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전자파 차단 직물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977A (ja) * 2001-08-31 2005-01-20 ミリケン・アンド・カンパニー 布印刷基材
JP2017505324A (ja) * 2014-02-07 2017-02-16 ゴジョ・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胞子及び他の生物に対する効力を有する組成物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977A (ja) * 2001-08-31 2005-01-20 ミリケン・アンド・カンパニー 布印刷基材
JP2017505324A (ja) * 2014-02-07 2017-02-16 ゴジョ・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胞子及び他の生物に対する効力を有する組成物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235A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233B1 (ko) 항균용 산을 이용한 무정전기 잉크젯 출력물 제조방법
US4911218A (en) Polyvinyl alcohol coating containing mica or glass for use on a rubber tire
US8563132B2 (en) Glass fiber-treating agent and glass fiber-treating composition
EP299564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tistatic film
CN108291990B (zh) 电磁能吸收性光学产品及其制造方法
EP2841282B1 (en) Fabric print media
PT2236307E (pt) Produção de papel de transferência para a impressão por jato de tinta
KR102477619B1 (ko) 그라비아 인쇄용 친환경 알코올계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포장필름
JP2007031905A (ja) 防炎性を有する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布帛及びそれを得るための前処理剤
JP6341607B2 (ja) 帯電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794908B1 (ko) 잉크젯 출력용 원단
DE60020874T2 (de) Harzzusammensetzung zu einem tintenstrahlaufzeichnungsblatt, das aufzeichnungsblatt, verfahren zur aufzeich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aufzeichnungsblattes.
JP5784457B2 (ja) 塗布フィルム
JP2020050715A (ja) インクジェット用組成物および防炎処理方法
JP2010215738A (ja) 帯電防止性絵柄印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3081899A (ja) 塗布フィルム
DE112016003393B4 (de) Keramikdrucktintenzusammensetzung mit antibakterieller Funktion sowie deren Verwendung
EP1697142A2 (de) Chitosan und dessen verwendung als farbfixiermittel in ink-jet-aufzeichnungsmaterialien
US20180010000A1 (en) Method of image formation
CN115975497B (zh) 强附着力的可印刷的抗静电乳液、制备方法、抗静电膜及膜制备方法
KR101385400B1 (ko) 바인더 수지 프리형 코팅 조성물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US20210102080A1 (en) Sprayable ink for digital printing process on fabric
JP2006022170A (ja) ガスバリア性塗工剤
KR100784912B1 (ko) 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064453B1 (ko) 수분산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