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600B1 -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600B1
KR102049600B1 KR1020180030762A KR20180030762A KR102049600B1 KR 102049600 B1 KR102049600 B1 KR 102049600B1 KR 1020180030762 A KR1020180030762 A KR 1020180030762A KR 20180030762 A KR20180030762 A KR 20180030762A KR 102049600 B1 KR102049600 B1 KR 10204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nano
powder
heat dissipa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994A (ko
Inventor
김순호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60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28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4Physical treatment, e.g. grinding, treatment with ultrasonic vibrations
    • C09C3/041Gr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4Physical treatment, e.g. grinding, treatment with ultrasonic vibrations
    • C09C3/043Drying, calc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4Physical treatment, e.g. grinding, treatment with ultrasonic vibrations
    • C09C3/045Agglomeration, granulation, pelle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2Treatment with organo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미터 사이즈의 분말로 이루어진 세라믹 필러를 준비하는 필러 준비단계; 상기 세라믹 필러를 나노미터 사이즈의 나노 분체로 제조하는 분체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나노 분체를 구형화하는 분체 구형화단계; 상기 구형화된 나노 분체를 열경화성 접착수지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혼합물을 박막의 필름 형태로 제조하여 방열필름을 완성하는 필름 제조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세라믹 필러의 나노화 및 구형화가 가능함과 더불어 최밀 충전이 가능하여 방열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s nano fused compositee heat-release film}
본 발명은 세라믹 방열필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세라믹 필러의 나노화 및 구형화를 통해 최밀 충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방열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 및 IC 칩, PCB 등 각종 전자제품의 열 발생 부품에는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면 재료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계면 재료는 패드/시트, 박막 필름 및 테이프, 액상의 그리스, 접착제 등 다양한 형태 및 용도로 제공되면서 각각의 용도에 따라 채용된다.
특히, LED 등 소형부품과 진동 등이 심한 자동차 적용 부품의 경우 박막의 접착필름의 채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접착필름의 방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때, 상기 방열 성능을 가지는 접착필름(방열필름)은 통상 열전도성 물질을 미세한 입자의 분말로 분쇄한 후 이렇게 분쇄된 분말을 수지에 혼합시켜 필름 형태로 형성하며, 이러한 필름의 양측 표면에 접착층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274975호, 등록특허 제10-173432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7186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열전도성 물질의 분말화를 위한 분쇄 작업이 단순히 볼밀 작업으로만 이루어짐에 따라 입자의 형태가 고르지 못하고 길이가 길거나 울퉁불퉁한 형태 등을 이루는 경향이 많이 있었으며, 이로써, 최밀 충전을 이루지 못함으로써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이 각각 별도로 제공되는 필름의 경우 접착층 부위에서 열저항이 발생하여 방열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74975호 등록특허 제10-173432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7186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세라믹 필러의 나노화 및 구형화를 통해 최밀 충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방열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에 따르면 출발원료 입도로 50㎛ 이상의 산화물 혹은, 질화물 세라믹 입자를 수직형 어트리션밀을 사용하여 1차 분쇄한 후 고성능 볼밀과 초미립 분쇄매체를 적용하여 2차 분쇄함으로써 100nm 이하의 세라믹 나노 분체로 제조하는 분체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나노 분체를 2500℃ 이상의 수직 방향 화염을 제공하는 구상화로에 분사 방식으로 상기 화염의 중앙을 향해 투입하여 구형함으로써 세라믹 필러로 완성하는 분체 구형화단계; 상기 구형화된 나노 분체의 세라믹 필러를 열경화성 접착수지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혼합물을 박막의 필름 형태로 제조하여 방열필름을 완성하는 필름 제조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에서 상기 세라믹 필러는 서로 입도가 다른 2종 이상으로 구분하여 제공함과 더불어 서로의 배합비를 선정한 후 세라믹 필러 기준 15Wt% 이하의 실란계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150℃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한 후, 48시간 동결 건조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형화단계는 상기 나노 분체를 방사시킴과 동시에 해당 나노 분체에 열을 가하여 표면 일부가 용융되도록 하며, 상기 용융시 로내에 비산된 상태로 표면장력에 의한 구형 형상으로 변경되도록 한 다음 급속 냉각시킴으로써 치밀질의 세라믹 필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노 분체는 불활성 가스인 질소에 의해 만들어진 분위기인 질화 분위기에서 내부 기체의 고압 순환을 통해 와류를 유도시키면서 방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필러는 산화물계 세라믹 분말 혹은, 질화물계 세라믹 분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조된 방열필름은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하거나 혹은, 시트형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적층 보관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은 세라믹 필러의 입자가 나노 입자를 이루면서도 구형을 이룸에 따라 최밀 충전을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세라믹 필러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방열필름의 방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은 세라믹 필러를 구형화하는 방법이 고온의 열을 이용한 표면 용융 및 분사 과정에서 서로 충돌하면서 마찰되도록 하여 수행됨에 따라 최대한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최밀 충전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은 별도의 접착체층이 따로 제공되는 구조가 아니라 접착수지에 구형화된 나노 분체를 혼합한 후 이를 이용하여 방열필름을 얻는 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30㎛이하의 두께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열전도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순서도
도 2는 세라믹 필러의 제공량 대비 열전도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과정에 대한 설명 중 분체로 성형되기 전의 세라믹 필러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를 토대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은 크게 필러 준비단계(S100)와, 나노분체 제조단계(S200)와, 분체 구형화단계(S300)와, 혼합물 제조단계(S400) 및 필름 제조단계(S500)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분체 구형화단계(S300)를 통해 나노 크기의 세라믹 필러가 구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최밀 충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방열 성능이 향상된 방열필름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을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에 대한 제조 과정을 토대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필러 준비단계(S100)를 통해 마이크로미터(㎛) 사이즈(예컨대, 평균입도 50~60㎛ 정도)의 분말 상태로 제공되는 세라믹 필러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세라믹 필러는 산화물계의 세라믹 혹은, 질화물계 세라믹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화물계 세라믹은 Al2O3, SiO2, MgO 등이 있으나, SiO2의 경우 열전도율이 낮고, MgO의 경우 열전도율은 높으나 수화반응이 있기 때문에 저렴하면서도 열전도율이 높은 Al2O3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세라믹 필러는 상기 Al2O3에 일부의 MgO를 첨가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전기 전도도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질화물계 세라믹은 BN, SiC, AlN, Si3N4 등이 있으나, 전기저항, 전기적 특성, 열전도도 등을 감안한다면 BN과 AlN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계에서 준비되는 세라믹 필러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일부는 서로 뭉쳐진 형태의 비구형 구조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세라믹 필러의 준비가 완료되면 이 세라믹 필러를 나노미터(㎚) 사이즈의 나노 분체로 제조하는 나노 분체 제조단계(S200)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분체 제조단계는 볼밀(ball-mill)을 이용하여 수행하며, 이를 통해 마이크로미터 사이즈의 세라믹 필러는 나노미터 사이즈의 나노 분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체 제조는 출발원료 입도로 50㎛ 이상의 비교적 큰 산화물 혹은, 질화물 세라믹 입자를 분쇄하기 위하여 수직형 어트리션밀을 사용하여 1차 분쇄한 후, 고성능 볼밀과 초미립 분쇄매체를 적용한 2차 분쇄를 시행함으로써 100nm 이하의 세라믹 나노 분체를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나노미터 사이즈의 나노 분체를 구형화하는 분체 구형화단계(S300)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분체 구형화단계(S300)는 상기 나노 분체를 고압으로 방사시킴과 동시에 이렇게 방사되는 나노 분체에 고온의 열을 가하여 표면 일부가 용융되도록 함으로써 수행된다.
특히, 상기 나노 분체는 질화 분위기에서 내부 기체의 고압 순환을 통해 와류를 유도시키면서 방사되도록 한다.
즉, 나노 분체의 고압 방사에 의해 각 나노 입자들은 서로 흩어지면서 분사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고온의 열기로 인해 표면 중 각 모서리 부위가 용융됨과 더불어 와류식의 분사로 인한 각 입자 서로 간의 충돌로 인해 해당 입자들은 최대한 구형에 가까운 구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질화 분위기라 함은 불활성 가스인 질소에 의해 만들어진 질소 분위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표면 일부의 용융 및 각 입자 간의 마찰(충돌)에 의해 구형화된 나노 분체는 낙하하는 도중 주변 공기에 의해 냉각되면서 과도한 용융에 의한 서로 간의 붙음 현상은 방지되며, 이를 통해 구형화된 나노 분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나노 분체의 구형화 과정은 화염용융법에 의한 구상화로에 세라믹 원재료를 분사 방식으로 투입하여 구형의 세라믹 입자로 제조된다.
즉, 상기 구상화로에서는 2500℃ 이상의 수직 방향 화염을 만들고, 그 화염의 중앙으로 초미립 분말상의 세라믹 원재료를 분사하며, 이때 분사된 세라믹 원재료는 화염 내 체류하는 짧은 순간에 용융된 후 로 내로 비산된 상태에서 표면장력에 의하여 구형으로 형상이 변경되고, 그 상태로 급속 냉각시킴으로써 치밀질의 초미세 구형 세라믹 소재(세라믹 필러)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나노세라믹의 구형화를 위해 투입되는 세라믹 원재료와 상기 구형화된 상태의 세라믹 재료의 입도는 사실상 동일한 수준에서 형상만 구형으로 변형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형화된 나노 분체는 혼합물 제조단계(S400)를 통해 혼합물로 제조된다.
즉, 상기 구형화된 나노 분체를 미리 준비된 열경화성 접착수지에 혼합함으로써 혼합물이 제조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방열필름을 제조하는 필름 제조단계(S500)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필름 제조단계(S500)에서는 박막의 필름 형태로 제조하여 방열필름을 완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방열필름은 열전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 외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접착제층과 열전도층이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조(접착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열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30㎛이하의 두께로 성형함이 가능하며, 이러한 두께로 형성하더라도 열전도도는 1.5~3.0(W/mK)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초미분의 구형화된 세라믹 필러를 수지와의 컴파운딩시 혼화성과 분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란계의 커필링제를 사용하여 친수성의 세라믹 필러 표면을 소수성으로 처리한다. 즉, 입도가 다른 2종 이상의 구형화된 세라믹 필러를 최적 배합비로 선정한 후 세라믹 기준 15wt% 이하의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150℃ 이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전처리한다. 입자가 다른 세라믹 필러의 최적 배합비는 혼합시 세라믹 필러간 공극율을 최소화하는 기준으로 선정됨과 더불어 수지와의 배합시 점도 등을 고려하여 도출된다.
그리고,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에폭시 기반의 개발된 수지와 상기 전처리된 세라믹 필러를 고속 교반기에서 50℃, 40rpm 기준으로 2시간 이내 혼합하여 컴파운딩한 후 롤 공정을 1~2회 거쳐 두께를 조정한 다음 고진공에서 30분동안 탈포하여 최종 방열필름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열필름은 롤(Roll)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하거나 혹은, 시트형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적층 보관한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방열필름은 LED나 IC, PCB 등 각종 전자부품의 열 발생 부위와 열 해소 구조 사이에 위치하는 계면재료로써 사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은 세라믹 필러의 입자가 나노 입자를 이루면서도 구형을 이룸에 따라 최밀 충전을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세라믹 필러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방열필름의 방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은 세라믹 필러를 구형화하는 방법이 고온의 열을 이용한 표면 용융 및 분사 과정에서 서로 충돌하면서 마찰되도록 하여 수행됨에 따라 최대한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최밀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은 별도의 접착체층이 따로 제공되는 구조가 아니라 접착수지에 구형화된 나노 분체를 혼합한 후 이를 이용하여 방열필름을 얻는 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30㎛이하의 두께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열전도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은 LED 조명장치를 비롯한 LED 관련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며, 특히 전자제품의 전체 두께 및 방열 구조의 설치 공간에 관련한 제약이 있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출발원료 입도로 50㎛ 이상의 산화물 혹은, 질화물 세라믹 입자를 수직형 어트리션밀을 사용하여 1차 분쇄한 후 고성능 볼밀과 초미립 분쇄매체를 적용하여 2차 분쇄함으로써 100nm 이하의 세라믹 나노 분체로 제조하는 분체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나노 분체를 2500℃ 이상의 수직 방향 화염을 제공하는 구상화로에 분사 방식으로 상기 화염의 중앙을 향해 투입하여 구형함으로써 세라믹 필러로 완성하는 분체 구형화단계;
    상기 구형화된 나노 분체의 세라믹 필러를 열경화성 접착수지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혼합물을 박막의 필름 형태로 제조하여 방열필름을 완성하는 필름 제조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에서 상기 세라믹 필러는 서로 입도가 다른 2종 이상으로 구분하여 제공함과 더불어 서로의 배합비를 선정한 후 세라믹 필러 기준 15Wt% 이하의 실란계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150℃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한 후, 48시간 동결 건조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화단계는
    상기 나노 분체를 방사시킴과 동시에 해당 나노 분체에 열을 가하여 표면 일부가 용융되도록 하며,
    상기 용융시 로내에 비산된 상태로 표면장력에 의한 구형 형상으로 변경되도록 한 다음 급속 냉각시킴으로써 치밀질의 세라믹 필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분체는 불활성 가스인 질소에 의해 만들어진 분위기인 질화 분위기에서 내부 기체의 고압 순환을 통해 와류를 유도시키면서 방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필러는 산화물계 세라믹 분말 혹은, 질화물계 세라믹 분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방열필름은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하거나 혹은, 시트형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적층 보관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KR1020180030762A 2018-03-16 2018-03-16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KR102049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62A KR102049600B1 (ko) 2018-03-16 2018-03-16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62A KR102049600B1 (ko) 2018-03-16 2018-03-16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94A KR20190108994A (ko) 2019-09-25
KR102049600B1 true KR102049600B1 (ko) 2019-11-27

Family

ID=6806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62A KR102049600B1 (ko) 2018-03-16 2018-03-16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776B1 (ko) * 2022-10-18 2023-05-04 주식회사 엔비유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방열패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2825A (ja) 2006-12-27 2008-07-17 Kao Corp 球状セラミックス粒子
JP2012020900A (ja) 2010-07-14 2012-02-02 Denki Kagaku Kogyo Kk 球状アルミナ粉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KR101336702B1 (ko) 2012-03-27 2013-12-0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성형성이 우수한 금속나노분말 응집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69093B1 (ko) 2014-04-28 2014-12-04 주식회사 동국알앤에스 구상 세라믹 제조 장치
JP2016017014A (ja) 2014-07-09 2016-02-01 株式会社ジーエル・マテリアルズホールディングス 高熱伝導性・電気絶縁性・低熱膨張性粉末及びそれを用いた放熱構造体、並びにその粉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8468B2 (ja) * 1997-08-25 2003-12-15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無機質球状粒子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274975B1 (ko) 2011-10-17 2013-06-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열전도성 중공형 입자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4324B1 (ko) 2015-08-03 2017-05-25 한국원자력연구원 볼밀링된 붕소분말의 열처리를 이용한 질화붕소나노튜브 제조방법
KR101854026B1 (ko) 2016-05-11 2018-05-02 한국세라믹기술원 질화보론 나노시트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화보론 나노시트/폴리머 나노복합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2825A (ja) 2006-12-27 2008-07-17 Kao Corp 球状セラミックス粒子
JP2012020900A (ja) 2010-07-14 2012-02-02 Denki Kagaku Kogyo Kk 球状アルミナ粉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KR101336702B1 (ko) 2012-03-27 2013-12-0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성형성이 우수한 금속나노분말 응집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69093B1 (ko) 2014-04-28 2014-12-04 주식회사 동국알앤에스 구상 세라믹 제조 장치
JP2016017014A (ja) 2014-07-09 2016-02-01 株式会社ジーエル・マテリアルズホールディングス 高熱伝導性・電気絶縁性・低熱膨張性粉末及びそれを用いた放熱構造体、並びにその粉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94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6921B2 (ja) 六方晶窒化ホウ素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組成物及び放熱材
KR102400206B1 (ko) 질화붕소 응집 입자, 질화붕소 응집 입자의 제조 방법, 그 질화붕소 응집 입자 함유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시트
KR101442070B1 (ko) 그래핀, 흑연나노플레이트, 카본나노튜브 및 나노금속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이용한 방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1140A (ko) 육방정 질화붕소 분말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조성물 및 방열재
JP5689985B2 (ja) 凹部付きbn球状焼結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高分子材料
KR20160016857A (ko) 수지 함침 질화 붕소 소결체 및 그 용도
JP6364883B2 (ja) 窒化ホウ素粒子および窒化ホウ素粒子の製造方法、該窒化ホウ素粒子を含む放熱シート用塗布液、該窒化ホウ素粒子を含む放熱シート、並びにパワーデバイス装置
JP6063589B2 (ja) 熱伝導性セラミック−ポリマー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500339B2 (ja) 放熱シートおよび放熱シート用塗布液、並びにパワーデバイス装置
JP2015193504A (ja) 窒化ホウ素粒子、樹脂組成物および熱伝導性シート
JP6256158B2 (ja) 放熱シートおよび放熱シート製造方法、放熱シート用スラリー、並びにパワーデバイス装置
TW202043142A (zh) 氮化硼粉末及其製造方法、及複合體以及散熱構件
JP7470051B2 (ja) 放熱性樹脂組成物用無機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放熱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7036190A (ja) 窒化ホウ素凝集粒子組成物、bn凝集粒子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れらの成形体、並びに窒化ホウ素凝集粒子の製造方法、
KR20220088418A (ko) 질화 붕소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탄질화 붕소 분말, 및 복합재 및 방열 부재
KR102049600B1 (ko) 세라믹 나노융복합 방열필름 제조방법
JP7467980B2 (ja) 窒化ホウ素凝集粉末、放熱シート及び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10475751B (zh) 粉末混合物
KR20120068116A (ko) 텅스텐-구리 나노 복합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텅스텐-구리 복합체의 제조방법
TW201927922A (zh) 玻璃被覆氮化鋁粒子、其製造方法及包含其之放熱性樹脂組成物
JP2015167181A (ja) 放熱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206405A (ja) 酸化マグネシウム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放熱材料
CN106380853B (zh) 一种球形氮化铝-硅橡胶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734831B1 (ko) (002) 우선 배향의 판상 질화알루미늄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39085B1 (ko) 방열코팅용 조성물,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방열코팅, 및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