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542B1 - 필름 권출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권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542B1
KR102049542B1 KR1020190083528A KR20190083528A KR102049542B1 KR 102049542 B1 KR102049542 B1 KR 102049542B1 KR 1020190083528 A KR1020190083528 A KR 1020190083528A KR 20190083528 A KR20190083528 A KR 20190083528A KR 102049542 B1 KR102049542 B1 KR 102049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winding
roller
guide
unit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이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기 filed Critical 이원기
Priority to KR102019008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6Mounting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H2301/41366Mounting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for mounting and supporting and -preferably- driving the (un)winding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6Mounting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H2301/41368Mounting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e or two lateral flanges covering part of or entire web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권출장치로서, 소정의 거치수단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바 형상의 회전유닛; 및 롤형태로 권취되어 상기 회전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기반하여 권출되는 권출 대상물을 포함하며, 상기 권출 대상물은 상기 회전유닛에서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 사이에 위치된 채 권출되는 필름 권출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권출 대상물로부터 필름을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권출시키며, 권출 프로세서 전반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필름 권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름 권출장치{FILM UNW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필름 권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된 권출 대상물로부터 필름을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권출시키며, 권출 프로세서 전반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필름 권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름을 권출하는 통상의 기술의 경우 감속기, 연결풀리, 벨트, 전달풀리, 전달축, 전달스프로킷, 전달체인, 고정스프로킷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복잡한 동력전달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정작, 필름의 안정적인 권출과 이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현장의 운용환경 개선을 위한 기술은 여전히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권출 대상물로부터 필름을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권출시키며, 권출 프로세서 전반의 안정적인 운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4787호
본 발명은 권취된 권출 대상물로부터 필름을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권출시키며, 권출 프로세서 전반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필름 권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름 권출장치로서, 소정의 거치수단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바 형상의 회전유닛; 및 롤형태로 권취되어 상기 회전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기반하여 권출되는 권출 대상물을 포함하며, 상기 권출 대상물은 상기 회전유닛에서 제1 패널부와 제2 패널부 사이에 위치된 채 권출되는 필름 권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권출 대상물로부터 필름을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권출시키며, 권출 프로세서 전반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필름 권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필름 권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출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출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출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 및 도 20은 장력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필름 권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필름 권출장치(100)는 소정의 거치수단(110)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바(bar) 형상의 회전유닛(120); 및 롤형태로 권취되어 상기 회전유닛(120)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유닛(120)의 회전에 기반하여 권출되는 권출 대상물(130)을 포함한다. 상기 권출 대상물(130)은 상기 회전유닛(120)에서 제1 패널부(140)와 제2 패널부(15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거치수단(110)은 하부에 베이스영역(21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영역(210)은 중앙에 제1 구동체(211)와, 상기 제1 구동체(211)의 일측에 연동되는 제2 구동체(212)와, 상기 제1 구동체(211)의 타측에 구비되어 연동되는 제3 구동체(21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구동체(212)의 하부에 제1 다리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제3 구동체(213)의 하부에 제2 다리부(230)가 구비되며, 제1 다리부(220)와 제2 다리부(230)는 상호간에 연동결속된다.
상기 제1 다리부(220)는, 하방에 제1 결속수단(222)이 권취되는 제1 권출부(221)가 구비되며, 상방에 소정의 제1 결속부(2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다리부(230)는, 하방에 제2 결속수단(232)이 권취되는 제2 권출부(231)가 구비되며, 상방에 소정의 제2 결속부(23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결속부(223)는 상기 제2 권출부(231)에서 권출되는 상기 제2 결속수단(232)이 결속되며, 상기 제2 결속부(233)는 상기 제1 권출부(221)에서 권출의 상기 제1 결속수단(222)이 결속된다.
상기 제1 다리부(220)와 상기 제2 다리부(230)는, 상기 제1 권출부(221) 및 상기 제2 권출부(231) 각각의 상기 제1 결속수단(222)과 상기 제2 결속수단(232)에 대한 회전방식의 권취에 기반하여 상호간에 연동 고정되며, 상기 제1 구동체(21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결속수단(222)과 상기 제2 결속수단(23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모듈(24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모듈(240)은, 상하 유동되는 상부 가압체(2411)와, 상기 가이드 몸체부(241)에서 상하 유동되는 하부 가압체(2412)가 구비되는 소정의 가이드 몸체부(241)와, 상기 가이드 몸체부(241)에 결속되어, 상기 제1 결속수단(222)을 내부에 경유시키는 제1 가이드부(242)와, 상기 가이드 몸체부(241)에 결속되어, 상기 제2 결속수단(232)을 내부에 경유시키는 제2 가이드부(2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수단(242)와 상기 제2 가이드부(243)는 상기 가이드 몸체부(241)에서 상호 엇갈려 일정범위로 유동하거나 고정핀(LP)을 통해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LP)은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으로 조임동작 된다.
상기 제1 가이드수단(242)와 상기 제2 가이드부(243)가 상호 대각으로 엇갈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압체(2411)는 상기 제1 가이드수단(242)와 상기 제2 가이드부(243)의 상부 영역을 접촉 가압하며, 상기 제1 가이드수단(242)와 상기 제2 가이드부(243)가 상호 대각으로 엇갈린 상태에서상기 상부 가압체(2411)는 상기 제1 가이드수단(242)와 상기 제2 가이드부(243)의 상부 영역을 접촉 가압한다.
상기 제1 다리부(220)는, 상기 제2 구동체(212)로부터 일정범위 내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제1 다리부(220)를 일정범위 내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결속수단(222)과와 상기 제2 결속수단(232)를 매개로 상기 제1 다리부(220)와 상기 제2 다리부(230) 사이에 고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기 위한 제1 회전모듈(31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회전모듈(310)은, 상기 제1 다리부(220)가 수용되는 제1 회전부311)와, 상기 제1 회전부(311)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구동부(312)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다리부(230)는, 상기 제3 구동체(213)로부터 일정범위 내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제2 다리부(230)를 일정범위 내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결속수단(222)과와 상기 제2 결속수단(232)를 매개로 상기 제1 다리부(220)와 상기 제2 다리부(230) 사이에 고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기 위한 제2 회전모듈(32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회전모듈(320)은, 상기 제2 다리부(230)가 수용되는 제2 회전부(321)와, 상기 제2 회전부(321)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구동부(3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구동체(211)는, 상기 제2 구동체(212)와 상기 제3 구동체(213) 각각을 이격 동 시키거나 근접 유동시키며, 상기 가이드 몸체부(241)를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범위로 유동시킨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출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름 권출장치(100)는, 상기 제1 패널부(140)와 상기 제2 패널부(150) 중 어느 하나의 대상 패널부를 관통하는 제1 연동부재(172)를 통해 상기 권출 대상물(130)의 상방 둘레부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내측에 구비되는 제1 회전 보조수단(예 : 롤러, 바퀴 등)으로 상기 권출 대상물(13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모듈(170)과, 상기 제1 패널부(140)와 상기 제2 패널부(150) 중 어느 하나의 대상 패널부를 관통하는 제2 연동부재(182)를 통해 상기 권출 대상물(130)의 하방 둘레부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내측에 구비되는 제2 회전 보조수단(예 : 롤러, 바퀴 등)으로 상기 권출 대상물(13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모듈(180)을 포함한다.
상기 대상 패널부는, 상기 제1 연동부재(172)가 수용되는 제1 설치홈(173)과, 상기 제2 연동부재(182)가 수용되는 제2 설치홈(183)과, 상기 제1 설치홈(173)에서 탄성체(174)를 매개로 상기 제1 연동부재(172)를 가압하는 제1 탄성가압체(175)와, 상기 제2 설치홈(183)에서 탄성체(184)를 매개로 상기 제2 연동부재(182)를 가압하는 제2 탄성가압체(185)가 구비된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출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수단(110)의 하부에는 탄성 지지대(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대(400)는 단순 거치되거나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식 등으로 결속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 지지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상판(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휠(340)과 밀착되며,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420)는,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400)는, 휠(340)과 대향하는 회동 프레임(362)의 하측면에 케이스(420)가 설치되며, 회동 프레임(362)이 휠(340) 방향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탄성력을 형성하는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판(410)과 휠(340) 밀착되어 휠(340)을 제동시킨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 (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432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4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4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4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4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4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출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거치수단(110)의 하부에는 탄성 지지부(5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부(500)는 단순 거치되거나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식 등으로 결속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몸체부(510),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포함한다. 몸체부(5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스탠드(520a, 520b, 520c, 530a, 530b, 530c)가 연결 설치된다.
제1 스탠드(520)는,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물체를 지지한다.
제2 스탠드(530)는,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몸체부(510)를 지지한다.
도 13의 제2 스탠드(5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스탠드(5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몸체부(510)는, 바디(511), 상부 설치홈(512), 하부 설치홈(513), 탄성 지지체(514) 및 충격흡수 패드(515)를 포함한다. 바디(5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512) 및 하부 설치홈(513)에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설치홈(512)은, 제1 스탠드(5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스탠드(5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설치홈(513)은,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스탠드(5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러 하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지지체(514)는, 상부 설치홈(512)에 설치된 제1 스탠드(520) 또는 하부 설치홈(513)에 설치된 제2 스탠드(53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제1 스탠드(520)의 일측면과 상부 설치홈(512)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제2 스탠드(530)의 일측면과 하부 설치홈(513)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지지한다.
충격흡수 패드(515)는, 제1 스탠드(520) 또는 제2 스탠드(53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설치홈(512)의 입구 및 하부 설치홈(5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도 15는 도 13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스탠드(520)는, 지지바아(521), 받침대(522) 및 슬라이딩 패드(523)를 포함한다. 지지바아(521)는, 상부 설치홈(5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탄성 지지체(5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받침대(52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홈(5211)을 형성한다.
받침대(522)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지바아(5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5211)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패드(523)는,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14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142)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받침대(522)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52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5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패드(523)는, 슬라이딩홈(522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5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토류벽이 하강함에 따라 결속홈(142)을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패드(523)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받침대(522)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바아(521)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제2 스탠드(53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2 스탠드(5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각 실시예들은 통상의 당업자가 본 명세서를 토대로 상호간에 복합적으로 실시되거나 독립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9 및 도 20은 장력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상기 필름 권출장치는 장력 조절부(1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 조절부(1500)는 권출 대상물(130)이 권출되는 회전유닛(120)의 후단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회전유닛(120)를 통해 이송되는 권출 대상물(130)의 장력을 조절한다.
여기서, 장력 조절부(1500)의 구 성은 도 19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필름 권출장치는, 각 구성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하여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필름의 이동에 따른 이동 방향 변경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장력 조절부(1500)는, 제1 롤러(151), 제2 롤러(152), 제1 가이드 프레임(153-1)과 제2 가이드 프레임(153-2) 및 장력 조절 롤러(154)를 포함한다.
제1 롤러(151)는, 제2 롤러(152)의 전단에 이격 설치되고, 제2 롤러(152)와의 사이 공간에 장력 조절 롤러(154)가 설치되며, 회전유닛(120)로부터 권출 대상물(130)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제2 롤러(152)로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제2 롤러(152)는, 제1 롤러(151)의 후단에 이격 설치되고, 제1 롤러(151)와의 사이 공간에 장력 조절 롤러(154)가 설치되며, 제1 롤러(151)로부터 권출 대상물(130)을 전달받아 제1 롤러(15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시킨다.
제1 가이드 프레임(153-1)과 제2 가이드 프레임(153-2)은, 제1 롤러(151)와 제2 롤러(152)의 이격된 사이 공간의 일측과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C형강 형태로 형성되고, 각 내측 공간에 장력 조절 롤러(154)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삽입되어 장력 조절 롤러(15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1531-1, 1531-2)을 제공한다.
다만, 제1 가이드 프레임(153-1)과 제2 가이드 프레임(153-2)은, 그 형태상의 특징에 있어서 상술한 C형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공간의 양측에 각각 날개가 형성된 형태이면 그 명칭에 구애되지 아니하고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장력 조절 롤러(154)는,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제1 가이드 프레임(153-1) 또는 제2 가이드 프레임(153-2)의 내측 공간, 즉, 슬라이딩 홈(1531-1, 1531-2)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제1 롤러(151)로부터 제2 롤러(152)로 이송되는 권출 대상물(130)의 상부에 놓여 하측 방향으로 눌러 권출 대상물(130)의 장력을 조절한다.
이때, 제1 롤러(151) 또는 제2 롤러(152)는, 권출 대상물(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여 권출 대상물(130)을 이송시키는 것이 아니라, 롤러 자신 외측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권출 대상물(130)을 이송시켜준다.
따라서, 제1 롤러(151) 또는 제2 롤러(152)는, 외측면이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힘든 민무늬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필름과의 어느 정도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메시(mesh) 또는 체크 무늬 등과 같은 형태의 돌출형 무늬를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력 조절 롤러(154)는, 이송되는 권출 대상물(130)의 이송 장력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 이동하며, 이송되는 권출 대상물(130)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즉, 장력 조절 롤러(154)는, 스스로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아 능동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이송되는 권출 대상물(130)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장력 조절 롤러(154)는, 권출 대상물(130)의 이송 장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프레임(153)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될 것이고, 권출 대상물(130)의 이송 장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프레임(153)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장력 조절 롤러(154)는, 이송되는 권출 대상물(130)을 일정한 힘으로 눌러줌에 따라 이송되는 권출 대상물(13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력 조절부(1500)는, 별도의 구동 전원 없이도 필름을 잡아당기는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필름의 이송에 필요로 하는 적절한 장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거치수단
120 : 회전유닛
130 : 권출 대상물
140 : 제1 패널부
150 : 제2 패널부
160 : 제3 패널부

Claims (2)

  1. 필름 권출장치로서,
    소정의 거치수단(110)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바(bar) 형상의 회전유닛(120); 및
    롤형태로 권취되어 상기 회전유닛(120)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유닛(120)의 회전에 기반하여 권출되는 권출 대상물(130)을 포함하며,
    상기 권출 대상물(130)은 상기 회전유닛(120)에서 제1 패널부(140)와 제2 패널부(150) 사이에 위치된 채 권출되고,
    상기 거치수단(110)은
    하부에 베이스영역(21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영역(210)은 중앙에 제1 구동체(211)와, 상기 제1 구동체(211)의 일측에 연동되는 제2 구동체(212)와, 상기 제1 구동체(211)의 타측에 구비되어 연동되는 제3 구동체(21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구동체(212)의 하부에 제1 다리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제3 구동체(213)의 하부에 제2 다리부(230)가 구비되며, 제1 다리부(220)와 제2 다리부(230)는 상호간에 연동결속되되,
    상기 제1 다리부(220)는,
    하방에 제1 결속수단(222)이 권취되는 제1 권출부(221)가 구비되며, 상방에 소정의 제1 결속부(2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다리부(230)는,
    하방에 제2 결속수단(232)이 권취되는 제2 권출부(231)가 구비되며, 상방에 소정의 제2 결속부(2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부(223)는 상기 제2 권출부(231)에서 권출되는 상기 제2 결속수단(232)이 결속되며,
    상기 제2 결속부(233)는 상기 제1 권출부(221)에서 권출의 상기 제1 결속수단(222)이 결속되며,
    상기 제1 다리부(220)와 상기 제2 다리부(230)는,
    상기 제1 권출부(221) 및 상기 제2 권출부(231) 각각의 상기 제1 결속수단(222)과 상기 제2 결속수단(232)에 대한 회전방식의 권취에 기반하여 상호간에 연동 고정되며,
    상기 제1 구동체(21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결속수단(222)과 상기 제2 결속수단(23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모듈(24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모듈(240)은,
    상하 유동되는 상부 가압체(2411)와, 가이드 몸체부(241)에서 상하 유동되는 하부 가압체(2412)가 구비되는 소정의 가이드 몸체부(241)와,
    상기 가이드 몸체부(241)에 결속되어, 상기 제1 결속수단(222)을 내부에 경유시키는 제1 가이드부(242)와,
    상기 가이드 몸체부(241)에 결속되어, 상기 제2 결속수단(232)을 내부에 경유시키는 제2 가이드부(2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부(242)와 상기 제2 가이드부(243)는 상기 가이드 몸체부(241)에서 상호 엇갈려 일정범위로 유동하거나 고정핀(LP)을 통해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LP)은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으로 조임동작 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242)와 상기 제2 가이드부(243)가 상호 대각으로 엇갈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압체(2411)는 상기 제1 가이드부(242)와 상기 제2 가이드부(243)의 상부 영역을 접촉 가압하며,
    상기 제1 가이드부(242)와 상기 제2 가이드부(243)가 상호 대각으로 엇갈린 상태에서상기 상부 가압체(2411)는 상기 제1 가이드부(242)와 상기 제2 가이드부(243)의 상부 영역을 접촉 가압하고,
    상기 필름 권출장치는 장력 조절부(1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 조절부(1500)는 권출 대상물(130)이 권출되는 회전유닛(120)의 후단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회전유닛(120)를 통해 이송되는 권출 대상물(130)의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장력 조절부(1500)는, 제1 롤러(151), 제2 롤러(152), 제1 가이드 프레임(153-1)과 제2 가이드 프레임(153-2) 및 장력 조절 롤러(15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151)는, 제2 롤러(152)의 전단에 이격 설치되고, 제2 롤러(152)와의 사이 공간에 장력 조절 롤러(154)가 설치되며, 회전유닛(120)로부터 권출 대상물(130)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제2 롤러(152)로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2 롤러(152)는, 제1 롤러(151)의 후단에 이격 설치되고, 제1 롤러(151)와의 사이 공간에 장력 조절 롤러(154)가 설치되며, 제1 롤러(151)로부터 권출 대상물(130)을 전달받아 제1 롤러(15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시키는,
    필름 권출장치.
  2. 삭제
KR1020190083528A 2019-07-11 2019-07-11 필름 권출장치 KR102049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528A KR102049542B1 (ko) 2019-07-11 2019-07-11 필름 권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528A KR102049542B1 (ko) 2019-07-11 2019-07-11 필름 권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542B1 true KR102049542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528A KR102049542B1 (ko) 2019-07-11 2019-07-11 필름 권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5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626A (ko) * 2007-11-01 2009-05-07 오태진 원단 권취기의 초기 원단 권취부
KR20170074787A (ko) 2015-12-22 2017-06-3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권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626A (ko) * 2007-11-01 2009-05-07 오태진 원단 권취기의 초기 원단 권취부
KR20170074787A (ko) 2015-12-22 2017-06-3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권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75603A (zh) 一种传输系统
JP2013522054A (ja) 垂直式金属製シート巻戻装置
CN102717223B (zh) 一种可调式滚轮架
CN112390188B (zh) 一种电力设备安装用提升装置
KR102049542B1 (ko) 필름 권출장치
US20160114369A1 (en) Belt replacement device
KR102029390B1 (ko) 원단 권취장치
CN114180308A (zh) 一种翻转承接装置及翻转传输方法
CN205529091U (zh) 一种压板装置、连续送料系统及连续垂直电镀生产线
JP5979686B1 (ja) ロール支持スタンド
CN104925311B (zh) 供膜机构和封切设备
CN107472879A (zh) 一种收放板机用输送段装置
EP2468635B1 (en) Wrapping machine
JP5422850B2 (ja) アキューム装置
CN210391817U (zh) 一种用于耐磨篮球袜加工的快速贴标装置
CN106311804A (zh) 一种收卷机的卸料推板结构
CN210063519U (zh) 一种包装膜放膜及输送装置
CN107826606A (zh) 一种平台换向传送机构
CN104555377B (zh) 平底箱体调整输送装置
CN109399087A (zh) 一种用于层压机的剪叉升降式传送设备
CN105916613A (zh) 用于加工具有由金属制成的带体的环形带的设备
CN112719366A (zh) 一种电梯导轨打孔装置用送料机构
KR102032973B1 (ko) 체인지홀 필름 및 체인지홀 필름 권취장치
CN202325172U (zh) 电动卷帘门用的可移动边板装置
JP2009269716A (ja) 昇降機能を備えた台車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