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491B1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491B1
KR102049491B1 KR1020190062614A KR20190062614A KR102049491B1 KR 102049491 B1 KR102049491 B1 KR 102049491B1 KR 1020190062614 A KR1020190062614 A KR 1020190062614A KR 20190062614 A KR20190062614 A KR 20190062614A KR 102049491 B1 KR102049491 B1 KR 10204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ld heat
generating unit
heat gener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9006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38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 A47J41/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comprising heat or cold producing means, i.e. energy transfer from outside the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H01L35/30
    • H01L35/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본체 및 조리 대상인 음식물을 수용하는 음식물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여 상기 용기로 냉열을 전달하는 냉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가공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가 구비된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냉열을 발생시키는 냉열 발생 유닛 및 상기 냉열 발생 유닛과 상기 용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냉열 발생 유닛의 냉열을 상기 용기로 전달하며, 상기 용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냉열 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FOOD PROCESSOR}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에 분쇄, 가공, 조리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식품 조리기가 존재한다.
식품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용기에 넣은 후에 가공 부재(블레이드, 스크류 등)를 이용해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기 중에는 냉장 기능을 구비한 제품이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10-187390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용되는 음식물을 보다 신선하게 보관 또는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본체 및 조리 대상인 음식물을 수용하는 음식물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여 상기 용기로 냉열을 전달하는 냉열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냉열 생성부와 접하여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으로 상기 냉열 생성부가 제공하는 냉열을 전도하는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열 생성부는, 냉열을 발생시키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를 지지하며 상기 열전 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히트 싱크 및 상기 히트 싱크로부터 방열된 열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방출하는 열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는 펠티에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펠티에 소자는 발열면이 상기 히트 싱크를 향하고, 흡열면이 상기 용기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용기의 일부를 수용하는 냉장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냉장 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냉열 발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열 발생 유닛은 상기 냉장 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열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냉장 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전 소자를 지지하며 상기 열전 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일부를 상기 냉장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냉열 생성부가 상기 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 공간은 상기 용기 측을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보울(bowl)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냉장 공간의 측면 형상을 결정하는 냉열 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열 전달 플레이트는 내측과 외측이 서로 다른 평면 상에 형성되고, 내측이 외측에 비해 상기 본체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 공간 내에 수용되는 상기 용기의 일부는 상기 보울 형상에 대응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일부에는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열 전달 플레이트와 접하여 상기 냉열 전달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된 냉열을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으로 전도하는 전도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가공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냉장 공간을 통해 상기 가공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가공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냉장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냉장 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용기 결합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용기 결합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공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가공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가 구비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열 생성부는, 냉열을 발생시키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를 지지하며 상기 열전 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히트 싱크 및 상기 히트 싱크로부터 방열된 열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방출하는 열기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열기 배출구는 상기 본체의 측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용기의 하단을 수용하는 용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열전 소자, 상기 히트 싱크 및 상기 열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 수용 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의 단부는 상기 용기 수용 공간 내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와 상기 용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열전 소자의 냉열을 상기 용기로 전달하며, 상기 용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냉열 전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냉열 생성부에 기체를 공급하며, 상기 냉열 생성부를 통과하며 온도가 낮아진 상기 기체가 상기 용기의 주변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송풍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주변을 둘러싸는 인클로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냉열 생성부를 통과하며 온도가 낮아진 상기 기체는 상기 용기와 상기 인클로져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조리기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보다 신선하게 보관 또는 조리할 수 있다.
아이스크림, 슬러쉬와 같은 저온 음식으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열 생성부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분해 사시도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용기 중 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본체(10)와 용기(20)를 포함하고, 본체(10)는 베이스(110)와 냉열 생성부(12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내부에 모터(112), 진공 펌프(113) 및 모터(112)와 진공 펌프(113)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터(112) 및/또는 진공 펌프(113)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모터(112)와 진공 펌프(113)를 모두 포함하는 조리기(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베이스(110)의 전면 및/또는 측면 등에는 조리기(1)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 수단(11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수단(111)으로, 모터(112) 또는 진공 펌프(113)의 출력을 제어하는 다이얼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식 터치 디스플레이, 전극 스위치 등의 조작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냉열 생성부(12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냉열 생성부(120)는 본체(10)에 장착되는 용기(20)가 안착 및 고정되는 구성임과 동시에, 용기(20)로 냉열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열 생성부(120)는 용기(20)의 일부(전도 플레이트(24), 하단 림(25))를 수용하는 공간(126a, 126b)을 포함하여, 용기(20)가 본체(10)에 장착될 때에, 용기(2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냉열 생성부(1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진공 모터(113)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을 용기(20) 측으로 제공하는 진공 제공부(130)를 더 포함한다. 진공 제공부(130)는 지지 포스트(131), 스윙암(132) 및 흡입 포트(133)를 포함한다.
지지 포스트(131)는 냉열 생성부(12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스윙암(132)은 지지 포스트(13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윙암(132)의 단부에는 흡입 포트(133)가 구비된다.
흡입 포트(133)는 진공 배기 라인(134)을 통해 진공 펌프(113)와 연결된다. 진공 배기 라인(134)은 스윙암(132) 및 지지 포스트(131)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진공 배기 라인(134)은 스윙암(132) 및 흡입 포트(133)가 지지 포스트(131)에 대해 회전할 때에 스윙암(132)을 따라 변형되도록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 포트(133)가 용기(20)의 뚜껑(22)과 밀착된 상태에서, 진공 펌프(113)가 작동하면, 진공 펌프(113)에 의한 진공압이 진공 배기 라인(134) 및 흡입 포트(133)를 통해 용기(20)의 음식물 수용 공간(27)으로 전달되어, 음식물 수용 공간(27) 내부의 기체가 흡입 포트(133)를 통해 배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포트(133)는 용기(20)의 뚜껑(22)과 밀착되어, 진공 펌프(113)에 의한 진공압이 진공 배기 라인(134), 흡입 포트(133) 및 뚜껑(22)을 통해 수용조(21)의 수용 공간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냉열 생성부(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열 생성부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분해 사시도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열 생성부(120)는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 냉열 발생 유닛(122), 지지 프레임(123), 히트 싱크(124), 하우징(125) 및 상부 플레이트(127)를 포함한다.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는 보울(bowl) 형상의 냉장 공간(126a)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장 공간(126a)은 용기(20) 측을 향해 수평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냉장 공간(126a)은 냉장 공간(126a)의 하부에 형성되는 용기 결합 공간(126b)과 연통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형성된다.
이를 위해,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과 외측이 서로 다른 평면 상에 형성되고, 내측이 외측에 비해 상기 본체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는 용기(20) 측을 향해 확관되는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울(bowl) 형상의 냉장 공간(126a)은 냉열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냉장 공간(126a)이 용기(20)를 지지할 수 있다.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는 후술하는 냉열 발생 유닛(122)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용기(20) 측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는 용기(2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20)의 전도 플레이트(24)와 접하는 부재로서,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로 전달되는 냉열과 대기의 온도차로 인해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의 표면에 성에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열 발생 유닛(122)은 냉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본체(1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냉열을 생성하는 복수의 열전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열전 소자의 일례로는, 펠티에 소자가 있다. 이하에서는, 열전 소자로서 펠티에 소자를 사용하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열을 생성할 수 있다면, 펠티에 소자 이외의 열전 소자 또는 열전 소자 이외의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펠티에 소자는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게 하면 서로 다른 금속의 양 단면에 온도차가 발생하는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소자로서, 펠티에 소자의 양단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한쪽 면에서는 흡열이 일어나고, 다른 면에서는 발열이 일어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열 생성부(120)는 대략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펠티에 소자(122)를 포함한다. 각 펠티에 소자(122)는 흡열이 일어나는 흡열면(122a)이 용기(20) 측을 향하고, 발열이 일어나는 발열면(122b)이 히트 싱크(124)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흡열면(122a)은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발열면(122b)은 히트 싱크(124)의 열전 소자 안착면(124a)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의 외측면에는 펠티에 소자(122)의 흡열면(122a)을 수용하는 흡열면 수용홈(121a)이 형성될 수 있다.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와 히트 싱크(124) 사이에는 복수의 펠티에 소자(122)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23)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3)은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와 유사한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펠티에 소자(122)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고, 복수의 펠티에 소자(122)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열전 소자 설치홈(123a)이 각 펠티에 소자(122)의 위치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히트 싱크(124)는 펠티에 소자(122)의 발열면(122b)과 접하여, 펠티에 소자(122)의 발열면(122b)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열한다.
히트 싱크(124)의 상면은 지지 프레임(123) 및 펠티에 소자(122)를 지지하도록,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히트 싱크(124)의 상면에는 펠티에 소자(122)의 발열면(122b)이 안착되는 열전 소자 안착면(124a)이 형성될 수 있다. 히트 싱크(124)는 펠티에 소자(122)에서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되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124)는 역시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장 공간(126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방열핀들이 열전 소자 안착면(124a)이 형성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방열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냉장 공간(126a)의 하부에 용기 결합 공간(126b)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25)은 히트 싱크(124)를 수용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히트 싱크(124)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5)은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동력 전달부 수용홈(125c)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 수용홈(125c)은 모터(112)의 출력축과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114)가 관통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하우징(125)은 동력 전달부 수용홈(125c)의 주변으로 용기 결합 공간(126b)을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 및/또는 지지 프레임(123)은 격벽 상에 설치되고, 히트 싱크(124)는 격벽을 기준으로 용기 결합 공간(126b)의 외측에 배치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 수용홈(125c)을 통해 하우징(125)의 내측으로 삽입된 동력 전달부(114)가 냉열 생성부(120)의 용기 결합 공간(126b) 또는 냉장 공간(126a) 내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25)은 하우징(125)의 외측면과 히트 싱크(124)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 블록(125b)을 포함한다. 팬 블록(125b)에 대응하여 하우징(125)의 외측면에는 열기 배출구(125a)가 형성된다. 히트 싱크(124)로부터 방열된 열기가 열기 배출구(125a)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팬 블록(125b) 내에는 히트 싱크(124)로부터 방열된 열기를 배출하는 팬(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5)의 외측면은 베이스(110)의 외측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수평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베이스(110)와 하우징(125)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27)는 하우징(125)의 외측면의 상단으로부터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의 상단을 덮는 커버 부재이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27)는 용기(20)의 일부가 안착되거나 용기(20)의 일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용기 중 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는 수용조(21), 뚜껑(22), 손잡이(23), 전도 플레이트(24) 및 하단 림(25)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조(21)는 조리 대상인 음식물을 수용하는 음식물 수용 공간(27)을 형성하고, 용기(20)는 수용조(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공하는 가공 부재(28)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 부재(28)는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을 분쇄하는 블레이드 등이 될 수 있다.
수용조(21)의 외측 하부에는 가공 부재(28)와 연결되는 결합 기어(28a)가 구비된다. 가공 부재(28)와 결합 기어(28a)는 수용조(21)를 관통하며 수용조(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축에 의해 연결된다. 결합 기어(28a)는 냉열 생성부(120)의 냉장 공간(126a) 및/또는 용기 결합 공간(126b) 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동력 전달부(114)와 결합되어, 모터(112)의 회전 동력을 가공 부재(28)로 전달한다.
하단 림(25)은 수용조(21)의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냉열 생성부(120)의 용기 결합 공간(126b)으로 삽입되어, 용기(20)가 본체(10)에 안착되도록 한다.
가공 부재(28)가 구비되는 음식물 수용 공간(27)의 하부 영역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수평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수용조(21)의 측면 중 하부 측면(24a)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 림(25)까지 연장된다. 하부 측면(24a)에는 전도 플레이트(24)가 장착될 수 있는 조립 공간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 플레이트(24)는 하부 측면(24a)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도 플레이트(24)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도 플레이트(24)는, 용기(2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열 생성부(120)의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에 접하는 구성으로서,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로 전달되는 냉열과 대기의 온도차로 인해 전도 플레이트(24)의 표면에 성에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 플레이트(24)는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와 밀착되도록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조(21)의 일측면에는 손잡이(23)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본체(10) 측으로 이동하여 본체(10)에 장착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될 있다.
뚜껑(22)은 수용조(21)의 개구된 상단을 덮는 구성으로서, 음식물 수용 공간(27)의 기밀성을 위해 뚜껑(22)에는 수용조(21)와 접하는 부분에 실링 부재가 구비된다.
뚜껑(22)의 상부에는 밸브(26)가 구비되어, 흡입 포트(133)가 용기(20)의 뚜껑(22)과 밀착된 상태에서, 진공 펌프(113)가 작동하면, 밸브(26)를 통해 음식물 수용 공간(27) 내부의 기체가 배기된다.
음식물 수용 공간(27) 내부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진 상태에서 용기(20)를 스윙암(132)을 이동시켜 뚜껑(22)과 흡입 포트(133)를 분리하더라도, 밸브(26)는 대기압과 음식물 수용 공간(27) 내부의 기압 차에 의해 외기(外氣)가 음식물 수용 공간(27)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용조(21)와 뚜껑(22)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밸브(26)를 누르거나 당기면 외기(外氣)가 음식물 수용 공간(27) 내부로 유입되어, 수용조(21)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 차가 같아지며, 사용자가 수용조(21)와 뚜껑(22)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냉열 생성부(12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기(20) 내에 수용된 가공 전 및/또는 가공 후의 음식물을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리기(1)를 이용해 아침에 조리할 음식을 미리 절단하여 수용조(21)에 넣고, 용기(20)를 본체(10)에 장착한 상태에서, 냉열 생성부(120)를 동작시켜, 밤 사이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한 후, 아침에 가공 부재(28)를 작동시켜 조리를 진행하면, 출근이나 등교 등으로 바쁜 아침에 손쉽게 조리된 음식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리기(1)를 이용해 음식물을 조리하고 섭취한 후, 용기(20) 내에 음식물이 남은 경우, 사용자는 냉열 생성부(120)를 동작시켜, 남은 음식물을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냉열 생성부(120)를 포함하므로, 식재료와 음료(우유 등)를 수용조(21)에 넣고 가공하며 냉열 생성부(120)를 동작시키면, 슬러쉬, 아이스크림 등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 다른 조리기(1)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의 본체(210)는 송풍 유닛(141)을 더 포함한다. 송풍 유닛(141)은 냉열 생성부(120)와 베이스(110) 사이에 구비되어, 냉열 생성부(120)를 향해 기체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는 냉열 생성부(120)와 베이스(110) 사이에 송풍 유닛(141)을 설치하기 위한 송풍 유닛 설치 공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유닛 설치 공간(140)은 용기 결합 공간(126b)의 바닥(126c)이 천정이 되고, 베이스(110)의 상면(115)이 바닥이 될 수 있다.
송풍 유닛(141)으로부터 발생한 기체의 흐름이 송풍 유닛 설치 공간(140)으로부터 용기 결합 공간(126b)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송풍 유닛 설치 공간(140)과 용기 결합 공간(126b)을 연결하는 송풍구(142)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142)는 용기 결합 공간(126b)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송풍구(142)는 송풍 유닛 설치 공간(140)과 용기 결합 공간(126b)을 연결할 수 있다면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풍구(142)는 용기 결합 공간(126b)의 바닥(126c)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송풍 유닛(141)에 의해 발생하여 송풍구(142)를 통과한 기체는 냉열 생성부(120)를 통과하며 온도가 낮아져 냉기(冷氣)로 변환된다. 구체적으로 송풍구(142)를 통과한 기체는 냉장 공간(126a) 및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를 통과하며 냉기(冷氣)로 변환된다. 송풍 유닛(141)에 의해 발생한 기체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송풍 유닛 설치 공간(140)의 측면 또는 바닥에는 송풍 유닛 설치 공간(140)으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기체 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냉기(冷氣)는 용기(20)와 냉열 생성부(120) 사이를 통과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20)와 냉열 전달 플레이트(121)의 사이를 통과하여, 용기(20)의 주변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는 냉열 생성부(120)가 용기(20)의 하부를 냉각시키면서 동시에 냉기(冷氣)가 용기(20)의 상부를 냉각시키므로, 용기(20)의 내의 음식물의 신선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의 주변을 둘러싸는 인클로져(30)를 포함하는 경우, 용기(20)와 인클로져(30) 사이로 공급된 냉기(冷氣)가 용기(20)와 인클로져(30) 사이에 유지되므로, 냉기(冷氣)에 의한 용기(20) 상부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는 송풍 유닛(141)이 별도의 송풍 유닛 설치 공간(140)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송풍 유닛 설치 공간(140)이 형성되지 않고, 송풍 유닛(141)은 베이스(111)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송풍 유닛(141)에 의해 발생한 기체의 흐름이 베이스(111) 및 용기 결합 공간(126b)을 관통하여 냉열 생성부(120) 측으로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조리기 10, 210: 본체
20: 용기 21: 수용조
22: 뚜껑 23: 손잡이
24: 전도 플레이트 25: 하단 림
26: 밸브 27: 음식물 수용 공간
28: 가공 부재 28a: 결합 기어
30: 인클로져 110: 베이스
111: 조작 수단 112: 모터
113: 진공 펌프 114: 동력 전달부
120: 냉열 생성부 121: 냉열 전달 플레이트
121a: 흡열면 수용홈 122: 냉열 발생 유닛, 펠티에 소자
122a: 흡열면 122b: 발열면
123: 지지 프레임 124: 히트 싱크
124a: 열전 소자 안착면 125: 하우징
125a: 열기 배출구 125b: 팬 블록
125c: 동력 전달부 수용홈 126a: 냉장 공간
126b: 용기 결합 공간 127: 상부 플레이트
130: 진공 제공부 131: 지지 포스트
132: 스윙암 133: 흡입 포트
140: 송풍 유닛 설치 공간 141: 송풍 유닛
142: 송풍구

Claims (16)

  1. 본체 및
    조리 대상인 음식물을 수용하는 음식물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여 상기 용기로 냉열을 전달하는 냉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가공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가 구비된 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냉열을 발생시키는 냉열 발생 유닛 및
    상기 냉열 발생 유닛과 상기 용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냉열 발생 유닛의 냉열을 상기 용기로 전달하며, 상기 용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냉열 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용기의 일부를 수용하는 냉장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냉열 전달 플레이트는,
    상기 냉장 공간의 측면 형상을 결정하며,
    내측과 외측이 서로 다른 평면 상에 형성되고, 내측이 외측에 비해 상기 본체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냉열 발생 유닛은 상기 냉장 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의 일부를 상기 냉장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냉열 생성부가 상기 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 공간은 상기 용기 측을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보울(bowl)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 공간 내에 수용되는 상기 용기의 일부는 상기 보울 형상에 대응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일부에는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열 전달 플레이트와 접하여 상기 냉열 전달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된 상기 냉열을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으로 전도하는 전도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냉열 전달 플레이트와 접하여 상기 음식물 수용 공간으로 상기 냉열 발생 유닛이 제공하는 상기 냉열을 전도하는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열 발생 유닛은 상기 냉열을 발생시키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열전 소자를 지지하며 상기 열전 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히트 싱크;
    상기 히트 싱크로부터 방열된 열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방출하는 열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는 펠티에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펠티에 소자는 발열면이 상기 히트 싱크를 향하고, 흡열면이 상기 용기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조리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배출구는 상기 본체의 측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 조리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열 발생 유닛은 상기 냉장 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열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냉장 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전 소자를 지지하며 상기 열전 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냉장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냉장 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용기 결합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용기 결합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공 부재와 연결되는, 조리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냉장 공간을 통해 상기 가공 부재와 연결되는, 조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열 생성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되는, 조리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냉열 생성부에 기체를 공급하며, 상기 냉열 생성부를 통과하며 온도가 낮아진 상기 기체가 상기 용기의 주변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송풍 유닛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주변을 둘러싸는 인클로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냉열 생성부를 통과하며 온도가 낮아진 상기 기체는 상기 용기와 상기 인클로져 사이로 공급되는, 조리기.
KR1020190062614A 2019-05-28 2019-05-28 조리기 KR10204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14A KR102049491B1 (ko) 2019-05-28 2019-05-28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14A KR102049491B1 (ko) 2019-05-28 2019-05-28 조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03A Division KR102049490B1 (ko) 2018-11-07 2018-11-07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491B1 true KR102049491B1 (ko) 2019-11-28

Family

ID=6873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614A KR102049491B1 (ko) 2019-05-28 2019-05-28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4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5119A (ja) * 2010-05-28 2011-12-08 Sharp Corp 炊飯器
KR200459379Y1 (ko) * 2011-10-25 2012-03-27 주홍일 믹서기
KR101303618B1 (ko) * 2012-06-19 2013-09-11 이치석 육수 슬러시 냉장고의 교반장치
JP2014233555A (ja) * 2013-06-04 2014-12-15 金澤工業株式会社 ミキサー
KR101873900B1 (ko) 2017-11-28 2018-08-0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5119A (ja) * 2010-05-28 2011-12-08 Sharp Corp 炊飯器
KR200459379Y1 (ko) * 2011-10-25 2012-03-27 주홍일 믹서기
KR101303618B1 (ko) * 2012-06-19 2013-09-11 이치석 육수 슬러시 냉장고의 교반장치
JP2014233555A (ja) * 2013-06-04 2014-12-15 金澤工業株式会社 ミキサー
KR101873900B1 (ko) 2017-11-28 2018-08-0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15503A (zh) 一种多功能料理机
KR102049490B1 (ko) 조리기
CN111802898B (zh) 真空低温烹调器
KR102049491B1 (ko) 조리기
CN112113366A (zh) 制冷制热装置及家用电器
CN216822122U (zh) 多功能饭盒
CN211483975U (zh) 多功能料理机
CN213757928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CN213238012U (zh) 制冷制热装置及家用电器
CN208524667U (zh) 一种通过半导体芯片制冷的料理机
CN213248666U (zh) 刀座组件及料理机
CN216317151U (zh) 蒸笼和烹饪器具
JPH09196533A (ja) 飲食物等の冷却装置
CN210246543U (zh) 机座组件及料理机
CN213248645U (zh) 料理机
CN211961854U (zh) 多功能食物料理机
CN213248476U (zh) 料理机
CN209846994U (zh) 一种多功能饮品料理机
CN214317841U (zh) 一种多功能料理机
CN219962580U (zh) 一种防溢效果好的烹饪器具
CN215383343U (zh) 一种烹饪器具
CN216317072U (zh) 烹饪器具
CN211049072U (zh) 家用电器的供电底座
CN213850303U (zh) 一种制热制冷的搅拌器
CN218915509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