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159B1 -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159B1
KR102048159B1 KR1020180134220A KR20180134220A KR102048159B1 KR 102048159 B1 KR102048159 B1 KR 102048159B1 KR 1020180134220 A KR1020180134220 A KR 1020180134220A KR 20180134220 A KR20180134220 A KR 20180134220A KR 102048159 B1 KR102048159 B1 KR 102048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xercise
key
user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욱
Original Assignee
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욱 filed Critical 전욱
Priority to KR102018013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3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은, 락카가 설비되어진 시설의 이용시 사용자의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저장관리하며, 사용자에게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제공하여 안내하는 운동관리시스템으로서, 락커의 자물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키(KEY)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밴드형태로 착용되어지며,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정보감지센서와,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는 운동정보감지센서가 구비된 락커키; 관리서버에 회원정보를 전송하면서 회원가입을 요청하여 회원가입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해 회원고유정보를 부여하여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시, 상기 락커키로부터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운동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동정보로부터 운동누적데이터를 산출하고 저장관리하며 상기 생체정보, 상기 운동정보 및 상기 운동누적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locker key}
본 발명은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밴드형 락커키를 이용하여, 락커키에 구비된 센싱부를 통해 신체활동에 따른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해줌으로써 효율적인 운동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운동시 응급상황에 따른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손목시계형태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운동량이나 심박수 등의 바이탈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일명 스마트워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워치에 대해서 공개특허 10-2006-0019869호, 등록특허 10-0466966호, 등록특허 10-0848604호, 등록특허 10-1461622호, 공개특허 10-2016-002875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워치는 고가로서 개개인이 이러한 고가의 스마트워치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부담이 있어,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워치는 개개인의 정보만 수집하는 형태이므로, 실질적으로 헬스장, 골프장 등의 체육시설, 목욕탕 등의 사우나 시설, 워터파크, 놀이동산 등의 놀이시설 등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의 실질적인 운동시간(활동시간) 동안의 운동량이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운동을 관리해주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스마트워치는 체육시설, 놀이시설, 사우나시설 등의 사용자활동시설에 입장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러한 사용자활동시설을 실질적으로 이용할 때의 운동량이나 생체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관리해주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공개특허 10-2006-0019869호 등록특허 10-0466966호 등록특허 10-0848604호 등록특허 10-1461622호 공개특허 10-2016-00287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락커설비가 구축된 시설에서 락커키를 활용하여, 락커키에 구비된 센싱부를 통해 신체활동에 따른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검출하고 저장관리하여 효율적인 운동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시설을 이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응급상황시 구급요원의 빠른 출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응급상황에 대한 빠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은, 락카가 설비되어진 시설의 이용시 사용자의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저장관리하며, 사용자에게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제공하여 안내하는 운동관리시스템으로서, 락커의 자물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키(KEY)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밴드형태로 착용되어지며,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정보감지센서와,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는 운동정보감지센서가 구비된 락커키; 관리서버에 회원정보를 전송하면서 회원가입을 요청하여 회원가입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해 회원고유정보를 부여하여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시, 상기 락커키로부터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운동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동정보로부터 운동누적데이터를 산출하고 저장관리하며상기 생체정보, 상기 운동정보 및 상기 운동누적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커키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순차적인 터치동작에 따라 상기 락커키로부터 해당 락커키의 키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해당 회원의 회원고유정보를 근거리통신방식에 의해 수신하고, 순차적으로 수신된 상기 키고유정보와 상기 회원고유정보를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정보리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정보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키고유정보와 상기 회원고유정보를 매칭하는 매칭부; 및, 상기 락커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운동정보를 바탕으로 누적운동량, 소비칼로리 등의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해당 락커키의 키고유정보와 매칭된 회원고유정보의 회원에 대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운동정보 관리부; 상기 락커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생체정보누적데이터와 생체정보변화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생체정보누적데이터와 생체정보변화데이터를 해당 락커키의 키고유정보와 매칭된 회원고유정보의 회원에 대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생체정보관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는 심박수, 혈압, 맥박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관리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운동정보관리부 및 상기 생체정보관리부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상기 운동정보 및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해주는 운동정보표시부 및 생체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설의 사용자활동공간으로 들어가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통과여부를 감지하여 출입신호를 출력하는 출입검출센서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할 때, 사용자가 착용한 상기 락커키로부터 근거리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키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고유정보를 출력하는 출입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출입신호와 상기 키고유정보 수신시, 운동개시신호를 상기 운동정보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운동정보관리부는 상기 운동개시신호의 수신 이후부터 상기 운동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관리부에 저장되는 생체신호가 기 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 사용자가 응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시설의 위치정보와 함께 응급환자발생신호를 구조센터서버에 송신하는 긴급신호송신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락커키와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정보리더기에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경우, 서로 근거리통신에 의해 페어링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락커키로부터 상기 운동정보와 상기 생체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락커키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정보와 생체정보 및, 상기 운동정보를 바탕으로 운동누적데이터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해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헬스장, 골프장, 체육관 등의 체육시설, 워터파크, 놀이동산 등의 레져놀이시설, 목욕탕 등의 사우나시설 등 락커가 설비되어 있는 다양한 이용시설의 이용시 손목이나 발목등에 착용되는 락커키를 이용하여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시설의 이용시 사용자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스마트워치를 구매하지 않고서도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저가의 이용료만으로도 추후 진행되는 운동에 대한 계획수립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설을 이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응급상황시 자동으로 구급센터에 긴급신호가 발송되어 구급요원의 빠른 출동이 가능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스마트워치 등과 같이, 사용자가 고가의 스마트워치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없이, 이용시설에 구비된 락커키를 활용하여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해당 이용시설의 사용에 따른 실질적인 신체활동이 일어나는 시간동안에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가 획득되어 저장관리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운동관리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이용시설의 출입구에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장치가 구비되어, 락커키를 착용한 사용자가 해당 이용시설의 출입구를 출입하여 사용자의 실질적인 신체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운동정보가 저장되어, 보다 정확한 운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시설의 이용시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혈류 등의 생체정보가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119 등의 구조센터서버에 응급환자발생신호가 송신되어 신속하게 구급요원이 출동할 수 있어, 응급상황에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하여 위급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에서 락카키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출입감지장치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헬스장, 골프연습장, 각종 체육관 등의 체육시설, 워터파크, 놀이동산 등의 놀이시설, 목욕탕, 찜질방 등의 사우나시설 등의 사용자활동시설에는 사용자의 환복을 위한 락커가 설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시스템은 사용자활동시설 등의 이용시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되는 락커키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정보 및/또는 생체정보(바이탈정보)를 검출하고, 이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사용자단말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당 사용자활동시설의 이동에 따른 운동계획 등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은 락커키(10), 사용자 단말(20), 정보리더기(27), 관리서버(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락카키(10)는 사용자활동시설에서 환복을 위해 설비되어진 락커의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기능을 한다. 이때, 락커의 잠금장치가 통상의 자물쇠로 구성되는 경우, 열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락커의 잠금장치가 전자식인 경우, 도 1과 같이, 락커의 잠금장치에 터치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전자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락카키(10)는 밴드(b)가 구비되어 손목시계형태를 갖는 밴드타입으로 이루어져,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락카키(10)에는 생체정보감지센서(12) 및 운동정보센서(14)가 구성되어, 락카키(10)를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30) 및/또는 사용자단말(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생체정보감지센서(12)는 심박수센서, 혈류센서, 혈압센서, 맥박센서 등으로 구현되어, 착용자의 심박수, 혈류, 혈압, 맥박수 등의 생체정보를 관리서버(30) 및/또는 사용자단말(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운동감지센서(14)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충격감지센서, 스윙센서 등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걸음수, 팔스윙수 등의 움직임에 대한 운동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관리서버(30) 및/또는 사용자단말(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락커키(10)는 해당 락커키의 키고유번호와 같은 키고유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키고유정보저장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락커키(10)는 키고유정보저장부(16)에 저장된 키고유정보를 RF방식, 블루투스방식, 적외선, 지그비 방식 등 근거리통신방식을 통해 정보리더기(27)에 출력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키고유정보저장부(16)은 RF태크방식과 같이 락커키(10)를 정보리더기(27)에 터치하는 것에 의해 키고유정보저장부(16)에 저장된 키고유정보가 정보리더기(27)에 출력되어 정보리더기(27)에 키고유정보가 수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관리서버(30)에서 제공하는 앱을 다운로드하여, 이 앱을 설치함으로써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부(21), 회원고유정보송신부(22), 운동정보표시부(23), 생체정보표시부(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원가입부(21)는 사용자에 의해 이름, 전화번호, 주민번호, ID, 비밀번호 등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회원정보를 관리서버(30)에 전송하면서 회원가입을 요청하여 회원가입을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20)은 회원가입에 따라 관리서버(30)에서 부여받은 회원번호와 같은 회원고유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원고유정보송신부(22)는 회원가입에 의해 부여받은 회원고유정보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정보리더기(27)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원고유정보송신부(22)는 RF태크방식과 같이 사용자단말(20)을 정보리더기(27)에 터치하는 경우, 회원고유정보를 정보리더기(27)에 송신하여 정보리더기(27)가 회원고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동정보표시부(23)는 관리서버(3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사용자단말(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생체정보표시부(24)는 관리서버(3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사용자단말(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정보리더기(27)는 RF리더기 등과 같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리더기로서 유무선통신방식을 통해 관리서버(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락커키(10)의 터치시 락커키(10)로부터 키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20)의 터치시 사용자단말(20)로부터 회원고유정보를 수신하여,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키고유정보와 회원고유정보를 관리서버(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관리서버(30)는 회원관리부(32), 매칭부(33), 운동정보관리부(34), 생체정보관리부(35), 긴급신호송신부(3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원관리부(32)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회원정보를 수신하면서 해당 고객에 대해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입된 회원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원관리부(32)는 회원가입되는 회원에 대한 회원번호와 같은 회원고유정보를 부여하고, 부여된 회원고유정보를 사용자단말(20)에 송신하여, 사용자단말(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매칭부(33)는 정보리더기(27)로부터 수신되는 키고유정보와 회원고유정보를 매칭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회원가입한 사용자가 헬스시설에 방문하여 안내데스크에서 락카키(10)를 제공받게 되면, 안내데스크에 설치된 정보리더기(27)에 락카키(10) 및 사용자단말(20)을 순차적으로 태그(터치)하게 되면, 정보리더기(27)가 락키커(10)로부터 키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20)로부터 회원고유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30)에 송신하면, 매칭부(33)는 정보리더기(27)로부터 수신되는 키고유정보와 회원고유정보를 서로 매칭한다.
이렇게 해당 사용자의 회원고유정보에 시설에서 제공된 락카키(10)의 키고유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관리서버(10)는 회원별로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동정보관리부(34)는 락커키(1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운동정보를 바탕으로 누적운동량, 소비칼로리 등의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운동정보관리부(34)는 락커키(1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정보, 산출된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해당 락커키의 키고유정보와 매칭된 회원고유정보의 회원에 대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즉, 특정 회원이 정보리더기(10)에 순차적으로 락커키(10) 및 사용자단말(20)을 태그하게 되면, 이 락커키(10)에 대한 키고유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회원고유정보가 관리서버(30)에 입력되고, 매칭부에서 키고유정보 및 회원고유정보를 매칭함으로써, 운동정보관리부(34)에서는 해당 락커키(1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해당 회원에 대한 저장영역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운동정보관리부(35)는 저장된 운동정보 및 운동누적정보데이터를 사용자단말(20)에 전송하고, 사용자단말(20)의 운동정보표시부(23)는 수신된 운동정보와 운동누적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추후의 운동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생체정보관리부(35)는 락커키(1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정보를 해당 락커키의 키고유정보와 매칭된 회원고유정보의 회원에 대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생체정보관리부(35)는 수신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생체정보누적데이터와 시간에 따른 생체정보변화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생체정보누적데이터와 생체정보변화데이터를 해당 회원에 대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관리부(36)는 저장된 생체정보를 사용자단말(20)에 전송하고, 사용자단말(20)의 생체정보표시부(23)는 수신된 생체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시설의 이용시 자신의 생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운동관리시스템은 헬스장, 골프장, 체육관 등의 체육시설, 워터파크, 놀이동산 등의 레져놀이시설, 목욕탕 등의 사우나시설 등 락커가 설비되어 있는 다양한 이용시설의 이용시 손목이나 발목등에 착용되는 락커키(10)를 이용하여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시설의 이용시 사용자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스마트워치를 구매하지 않고서도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저가의 이용료만으로도 추후 진행되는 운동에 대해 효율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해당 시설 이용시의 심박수, 혈압, 맥박, 혈류 등의 생체정보를 확인하면서 안전한 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긴급신호송신부(36)는 생체정보관리부(35)에 저장되는 생체신호가 기 설정정상범위를 벗어나 사용자가 응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시설의 주소 등을 포함하는 시설의 위치정보와 함께 응급환자발생신호를 구조센터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긴급신호송신부(36)는 해당 시설의 이용시, 사용자가 착용한 락커키(10)로부터 감지된 맥박수, 혈압, 혈류, 심박수가 기 설정된 정상범위(정상인의 생체정보)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가 응급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실시간으로 119 등의 구조센터서버에 응급환자발생신호를 송출하되, 해당시설의 주소와 같은 위치정보를 함께 송신함으로써, 응급대원이 신속하게 해당 시설로 출동하여 응급환자에 대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이러한 긴급신호송신부(36)의 기능은 본 발명의 운동관리 시스템이 목욕탕과 같은 사우나 시설에 적용되어, 사우나 시설을 이용하는 노약자나 환자들이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혈압상승으로 인한 어지러움 등의 응급상황이 발생할 때에 신속하게 응급대원이 출동하여 위독한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락커키(10)와 사용자단말(20)을 정보리더기(27)에 순차적으로 터치함에 따라, 정보리더기(27)가 키고유번호 및 회원고유번호를 읽어 관리서버(30)에 전송하는 경우, 관리서버(30)가 사용자단말(20)에 키고유번호를 전송하여주며, 사용자단말(20)은 키고유번호를 수신하여, 사용자단말(20) 주변에 있는 락커키(10)들 중에서 해당 키고유번호를 갖는 락커키(10)를 검색하고, 해당 커고유번호를 갖는 락커키(10)와 근거리통신방식에 의해 페어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이렇게 사용자단말(20)과 락커키(10)가 근거리통신방식에 의해 페어링된 상태에서, 락커키(1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운동정보가 사용자 단말(20)에 실시간 전송되고, 사용자단말(20)은 락커키(1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 단말(20)은 수신된 운동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누적운동량, 소비칼로리 등의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운동정보들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해당 시설에서 실질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활동공간(s)에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장치(4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헬스장을 예로 들면, 락커룸(r1)과 안내데스크(r2)와는 별도로 헬스기구들이 비치되어 사용자의 실질적인 활동이 일어나는 활동공간(s)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사용자활동공간(s)의 출입구(d) 전방에 출입감지장치(40)가 설치되어, 활동공간(s)에 들어가는 사용자는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입감지장치(40)는 출입검출센서(41)와 키고유정보수신부(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입검출센서(41)는 활동공간(s)의 출입구(d)를 통과하는 사용자의 통과여부를 감지하여 출입신호를 출력하고, 키고유정보수신부(42)는 사용자가 착용한 락커키(10)의 키고유정보저장부(16)에 저장된 키고유정보를 RF태크와 같이 근거리통신방식에 의해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입감지장치(40)는 사용자가 출입구(d)를 통해 활동공간(s)에 들어가는 경우, 출입검출센서(41)가 사용자의 출입을 검출하고 운동개시신호를 관리서버(30)에 전송하고, 이와 함께 키고유정보수신부(42)에 수신된 키고유정보를 관리서버(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리서버(30)는 상기 출입신호의 수신시 운동개시신호를 운동정보관리부(34)에 출력하고 함께 수신된 키고유정보를 운동정보관리부(34)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관리서버(30)의 운동정보관리부(34)는 매칭부(33)를 통해 수신된 키고유정보와 매칭되는 회원고유정보를 검색하고, 회원고유정보에 따라 해당 회원의 저장공간에 락카키(1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이 운동정보를 바탕으로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시말해, 관리서버(30)는 출입감지장치(40)로부터 키고유정보와 운동개시신호를 수신하고, 운동개시신호가 수신된 이후부터 락커키(10)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시설의 이용시, 활동공간(s)에 출입하는 시점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운동을 행하는 활동공간(s)에 있을 때의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해줌으로써, 보다 정확한 운동정보를 획득하게 해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헬스장 이용시 안내데스크(r2)에서 락커키(10)를 수령하고, 락커룸(r1)에 들어가 환복하는 시간에는 실질적인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활동공간(s) 이외의 공간에 있는 경우 운동정보를 획득하는 큰의미가 없다. 따라서, 실질적인 운동이 이루어지는 해당시설의 활동공간(s)에 출입여부를 검출하고, 관리서버(30)는 활동공간(s)에 들어가는 시점부터 락커키(10)로부터 감지되는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이 운동정보를 바탕으로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산출해 줌으로써, 보다 정확한 운동정보 및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에서 본 발명의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30)에 저장되는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가 사용자단말(20)에 제공되어 사용자단말(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관리서버(30)에 유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30)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의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 등 락커키(10)로부터 획득한 각종 정보를 종이 인쇄형태로 출력하는 정보출력 키오스크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헬스장 등의 해당 시설 이용의 완료 후, 정보출력 키오스크를 통해 자신이 운동한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종이형태로 인쇄한 기록지를 받아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락커키
11...생체신호 감지센서
12...운동량 감지센서
13...키고유정보 저장부
20...사용자 단말
21...회원가입부
22...회원고유정보송신부
23...운동정보표시부
24...생체정보표시부
30...관리서버
31...정보리더부
32...회원관리부
33...매칭부
34...운동정보관리부
35...생체정보관리부
36...긴급신호송신부
40...출입감지장치
41...출입검출센서
42...키고유정보 수신부

Claims (7)

  1. 락카가 설비되어진 시설의 이용시 사용자의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저장관리하며, 사용자에게 운동정보 및 생체정보를 제공하여 안내하는 운동관리시스템으로서,
    락커의 자물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키(KEY)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밴드형태로 착용되어지며,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정보감지센서와,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는 운동정보감지센서가 구비된 락커키;
    관리서버에 회원정보를 전송하면서 회원가입을 요청하여 회원가입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운동정보와 생체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해 회원고유정보를 부여하여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시, 상기 락커키로부터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운동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동정보로부터 운동누적데이터를 산출하고 저장관리하며상기 생체정보, 상기 운동정보 및 상기 운동누적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키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순차적인 터치동작에 따라 상기 락커키로부터 해당 락커키의 키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해당 회원의 회원고유정보를 근거리통신방식에 의해 수신하고, 순차적으로 수신된 상기 키고유정보와 상기 회원고유정보를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정보리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정보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키고유정보와 상기 회원고유정보를 매칭하는 매칭부; 및,
    상기 락커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운동정보를 바탕으로 누적운동량, 소비칼로리 등의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정보누적데이터를 해당 락커키의 키고유정보와 매칭된 회원고유정보의 회원에 대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운동정보 관리부;
    상기 락커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생체정보누적데이터와 생체정보변화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생체정보누적데이터와 생체정보변화데이터를 해당 락커키의 키고유정보와 매칭된 회원고유정보의 회원에 대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생체정보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심박수, 혈압, 맥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관리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운동정보관리부 및 상기 생체정보관리부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상기 운동정보 및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해주는 운동정보표시부 및 생체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의 사용자활동공간으로 들어가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통과여부를 감지하여 출입신호를 출력하는 출입검출센서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할 때, 사용자가 착용한 상기 락커키로부터 근거리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키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고유정보를 출력하는 출입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출입신호와 상기 키고유정보 수신시, 운동개시신호를 상기 운동정보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운동정보관리부는 상기 운동개시신호의 수신 이후부터 상기 운동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관리부에 저장되는 생체신호가 기 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 사용자가 응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시설의 위치정보와 함께 응급환자발생신호를 구조센터서버에 송신하는 긴급신호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키와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정보리더기에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경우, 서로 근거리통신에 의해 페어링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락커키로부터 상기 운동정보와 상기 생체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락커키로부터 수신되는 운동정보와 생체정보 및, 상기 운동정보를 바탕으로 운동누적데이터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해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KR1020180134220A 2018-11-05 2018-11-05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KR102048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220A KR102048159B1 (ko) 2018-11-05 2018-11-05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220A KR102048159B1 (ko) 2018-11-05 2018-11-05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159B1 true KR102048159B1 (ko) 2019-11-22

Family

ID=6873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220A KR102048159B1 (ko) 2018-11-05 2018-11-05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1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9216A (zh) * 2021-07-22 2021-10-29 北京易思普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环自助取还系统和取还方法
KR20230007889A (ko) * 2021-07-06 2023-01-13 서민석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966B1 (ko) 2001-10-12 2005-01-24 (주)디지탈스퀘어 다이어트 및 건강 관리용 손목 시계 및 상기 손목 시계를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KR20060019869A (ko)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형 압박 센서를 통한 운동량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848604B1 (ko) 2006-05-29 2008-07-2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혈류측정장치
KR101461622B1 (ko) 2013-07-04 2014-11-20 이성훈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JP2015201159A (ja) * 2014-04-03 2015-1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管理方法
KR20160028759A (ko) 2014-09-04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9177A (ko) * 2015-03-10 2016-09-21 와이유헬스 주식회사 헬스기구의 운동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8922A (ko) * 2015-10-27 2017-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매장의 회원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966B1 (ko) 2001-10-12 2005-01-24 (주)디지탈스퀘어 다이어트 및 건강 관리용 손목 시계 및 상기 손목 시계를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KR20060019869A (ko)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형 압박 센서를 통한 운동량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848604B1 (ko) 2006-05-29 2008-07-2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혈류측정장치
KR101461622B1 (ko) 2013-07-04 2014-11-20 이성훈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JP2015201159A (ja) * 2014-04-03 2015-1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管理方法
KR20160028759A (ko) 2014-09-04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9177A (ko) * 2015-03-10 2016-09-21 와이유헬스 주식회사 헬스기구의 운동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8922A (ko) * 2015-10-27 2017-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매장의 회원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889A (ko) * 2021-07-06 2023-01-13 서민석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KR102602373B1 (ko) * 2021-07-06 2023-11-15 서민석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CN113569216A (zh) * 2021-07-22 2021-10-29 北京易思普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环自助取还系统和取还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6527B2 (en) Workou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US9762581B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throug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133748A1 (en) Interactive system for monitoring and assisting the physical activity of a user within a gym environment
US9901289B1 (en) Biomeasurement devices with user verifica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2347804B1 (en) User status notification system
KR102048159B1 (ko) 락커키를 활용한 운동관리 시스템
JP2016017331A (ja) ロッカーシステム、端末装置、ロッカー、および運動管理方法
US201401245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age, monitoring and management within a health care facility
JP6199270B2 (ja) 測定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測定情報記録方法
US20230154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entry management system
CN106422274A (zh) 一种基于多传感器的瑜伽评估系统
Vuong et al. mHealth sensor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for managing wandering behavior of people with dementia: A review
KR101277177B1 (ko)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운동보조 장치를 이용한 회원들의 운동능력 통합관리 시스템
US20090062073A1 (en) Exercise recording system
KR20110031444A (ko) 건강체력 측정평가 및 운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e et al. Design of a seniors and Alzheimer's disease caring service platform
JP4625684B2 (ja) センサと無線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個人認証システム、不正アクセス追跡システムおよび計算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90002290A (ko) 헬스 존에 구축된 주민 건강 증진 시스템
KR102459002B1 (ko)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101540101B1 (ko)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용 힐링토큰 및 이를 구비한 건강공간
JP2001282975A (ja) 従業者管理システム
KR102333406B1 (ko)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
RU2378701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посетителей
JP2023098444A (ja) 特典付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enkins The weakly identifying system for doorway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