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917B1 -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917B1
KR102046917B1 KR1020190049326A KR20190049326A KR102046917B1 KR 102046917 B1 KR102046917 B1 KR 102046917B1 KR 1020190049326 A KR1020190049326 A KR 1020190049326A KR 20190049326 A KR20190049326 A KR 20190049326A KR 102046917 B1 KR102046917 B1 KR 102046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tencil paper
kaolin
upper base
wall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식
남슬기
Original Assignee
남영식
남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식, 남슬기 filed Critical 남영식
Priority to KR102019004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7Embossing, i.e. producing impressions formed by locally deep-drawing, e.g. using roll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profi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5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r oligomers thereof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64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5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orm
    • D21H21/56Foam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 D21H25/06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of impregnated or coat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원지(10)와; 접착층(20)을 통해 상기 상부원지(10)와 결합되어 있되, 일측 단부는 상기 상부원지(1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상부원지(10)의 단부로부터 외곽으로 돌출된 여백부(30)가 형성된 하부원지(40)와; 상기 상부원지(10)의 표면에만 도포되어 건조되되, 고령토가 전체 중량의 5 ~ 15 중량% 포함되어 있는 코팅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해, 상부원지와 하부원지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고, 상부원지에만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코팅층에는 고령토가 일정 중량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엇갈려 배치된 여백부가 갈라지거나 시공 과정에서 풀칠에 의해 쉽게 젖지 않게 함으로써 합지벽지가 서로 겹쳐 시공될 때 시공 이음매의 미감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코팅을 위한 졸 조성물에 발포성이 좋고 부피감이 우수한 전분과 목분이 포함되도록 하되, 목분과 전분의 단점인 높은 수분 흡수력을 고령토가 억제함으로써 친환경성을 유지하면서 방수 성능을 갖게 하려 시공 이음매의 마감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overlapping wallpaper with improved construction}
본 발명은 합지벽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지벽지의 최대 단점인 이음매와 표면 엠보싱 모양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지 벽지는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시공성이 편리하여 국내 일반벽지 시장수요의 절반을 차지한다.
종래의 합지벽지 제조 방법은 통상적으로 원지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다른 원지 일면과 서로 접합 합지한 다음, 원지 표면에 특정색상과 무늬 모양을 인쇄한 후 암수형틀 엠보싱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키며, 표면은 볼록 이면은 올록한 엠보싱 무늬모양이 형성되게 하여 입체감 있는 문양의 미감을 표현하였다.
하지만 시공과정에서 이면의 올록한 요입부에 침투된 풀칠수분에 의해 엠보싱 성형과정에서 원지가 늘어나고 섬유질이 파괴되어, 약 30%정도 엠보싱 함몰현상이 발생된다.
더불어, 벽면 부착 후 건조과정에서는 팽창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약 20% 정도의 펴짐 현상이 발생되어 벽면 시공 후는 약 50% 정도의 엠보싱이 상실되어 시공 전 제품의 입체감 있는 무늬모양의 미감을 기대할 수가 없다.
한편, 합지벽지 완제품은 이음매가 되는 양변을 보면 한쪽 변은 두 장의 원지가 모두 나란히 겹쳐 재단되어 있고 다른 한쪽 변은 한 장 원지(상지)만이 약 5mm 정도가 넓게 재단되어 있다.
그 이유는 시공의 편리성을 위한 것이며 도배 시공 시 두 장의 재단면 위로 한 장의 원지 5mm가 포개어 겹침시공이 되게 한 것이다.
즉, 도배시공 후 이음매의 약 5mm 줄선으로 벽지 폭마다 나타남으로서 장식마감재로서의 보여지는 심미감이 합지벽지의 최대단점으로 꼽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음매 없는 벽지"(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0552호, 특허문헌 1)를 고안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양변 중 상지변과 하지변이 서로 엇갈리게 하여 표면의 상지원지끼리 서로 맞댐이 되도록 하여 상.하지가 동일한 양의 두께로 합지가 되게 함으로서 이음매를 깔끔하게 하려는 것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합지 과정에서 사용되는 접착제가 약간의 방수막을 형성하여 수분 침투를 방해하는 바, 중앙의 겹친 영역에서는 수분 침투의 방해가 이루어지는 반면 외곽, 즉 원지들이 서로 겹쳐지지 않은 부분에서는 수분의 침투 속도가 중앙보다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도배 시공 과정에서 풀칠에 외곽이 빨리 젖어 일부가 떨어져 나가기도 하고, 이음매를 롤러나 주걱으로 문지르게 될 때 엠보싱 형태가 남김없이 사라져버려 시공 후 이음매 부분에 밋밋한 줄생김 표시가 벽지 연결 폭마다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도 엠보싱 공정 등을 처리함에 있어 외곽의 미겹침 영역에서는 원지 섬유질이 쉽게 파괴되어 갈라지는 현상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합지벽지에 발포 기술을 적용시킬 경우 발포성을 위해 사용되는 원료인 목분이나 전분이 수분을 더 많이 흡수하게 되어 도배 시공 과정에서 풀칠 후 쭈글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약 1시간 이상 재움하게 되는데,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풀칠된 면끼리 서로 달라붙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KR 20-0270552 (2002.03.20)
본 발명의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 및 그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원지와 하부원지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고, 상부원지에만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코팅층에는 고령토가 일정 중량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엇갈려 배치된 여백부가 갈라지거나 시공 과정에서 풀칠에 의해 쉽게 젖지 않게 함으로써 합지벽지가 서로 겹쳐 시공될 때 시공 이음매의 미감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을 위한 졸 조성물에 발포성이 좋고 부피감이 우수한 전분과 목분이 포함되도록 하되, 목분과 전분의 단점인 높은 수분 흡수력을 고령토가 억제함으로써 친환경성을 유지하면서 방수 성능을 갖게 하려 시공 이음매의 마감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원지(10)와; 접착층(20)을 통해 상기 상부원지(10)와 결합되어 있되, 일측 단부는 상기 상부원지(1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상부원지(10)의 단부로부터 외곽으로 돌출된 여백부(30)가 형성된 하부원지(40)와; 상기 상부원지(10)의 표면에만 도포되어 건조되되, 고령토가 전체 중량의 5 ~ 15 중량% 포함되어 있는 코팅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벽지 제조 방법은, 상부원지(10)와 하부원지(40)를 준비한 후, 상부원지(10)와 하부원지(40)가 마주보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배접한 다음 건조시켜 합지를 제조하되, 상부원지(10)의 일측 단부는 하부원지(4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고, 하부원지(40)의 타측 단부는 상부원지(10)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돌출됨으로써 합지의 양측에 상부원지(10)와 하부원지(40)가 미중첩된 여백부(30)를 형성하는 합지단계와; 상기 합지의 표면에 특정 색상과 무늬가 형성되도록 인쇄하는 인쇄단계와; 특정한 무늬 모양으로 조각된 요홈이 구비된 롤러에 고령토가 5 ~15 중량% 함유되어 있는 졸 조성물을 도포한 후 독타나이프 장치로 깎아내 무늬 모양이 요홈에만 남겨지도록 한 후 합지를 롤러에 통과시켜 합지의 표면에 졸 조성물을 도포하되, 상부원지(10)의 표면에만 조성물을 도포하는, 조성물도포단계와; 상기 졸 조성물이 도포된 합지를 건조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졸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 고형분 33 ~ 37 중량%, 발포제 0.4 ~ 0.6 중량%, 지당 4 ~ 5 중량%, 목분 9 ~ 11 중량%, 전분 14 ~ 16 중량%, 고령토 9 ~11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건조단계에서 도포된 졸 조성물이 발포되어 졸 발포에 의해 코팅층(50)에 엠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합지단계에서 여백부는 9 ~11mm 형성하고, 상기 발포단계가 끝난 다음 합지벽지의 여백부를 4 ~ 6mm 절단하는 절단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단계 다음에,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암수 형틀 롤러로 상기 합지를 통과시켜 1차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싱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원지와 하부원지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고, 상부원지에만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코팅층에는 고령토가 일정 중량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엇갈려 배치된 여백부가 갈라지거나 시공 과정에서 풀칠에 의해 쉽게 젖지 않게 함으로써 합지벽지가 서로 겹쳐 시공될 때 시공 이음매의 미감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을 위한 졸 조성물에 발포성이 좋고 부피감이 우수한 전분과 목분이 포함되도록 하되, 목분과 전분의 단점인 높은 수분 흡수력을 고령토가 억제함으로써 친환경성을 유지하면서 방수 성능을 갖게 하려 시공 이음매의 마감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벽지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원지(10)와, 하부원지(40), 코팅층(50)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원지(40)는 접착층(20)을 통해 상기 상부원지(10)와 결합되어 있되, 일측 단부는 상기 상부원지(1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상부원지(10)의 단부로부터 외곽으로 돌출된 여백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코팅층(50)은 상기 상부원지(10)의 표면에만 도포되어 건조되되, 고령토가 전체 중량의 5 ~ 15 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령토는 다공질 세립으로 석회질, 변모조류 등의 플랑크톤의 유해 탄산칼슘이 많은 백악기 퇴적암층으로 황토보다 더 넓은 벌집구조로 수많은 공간 구조를 갖고, 원적외선, 음이온이 다량 저장되어 있어 세포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벽제 제조 공정에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얻기 위해 고령토를 사용한 사례가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이러한 고령토를 코팅용 조성물 원료로 활용하여 여러 차례 실험을 거친 결과 발포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목분이나 전분 사용시 특정 함량의 고령토 분말을 첨가하게 될 경우 발포성이 더 향상됨과 더불어 시공 과정에서 여백부가 풀에 의해 젖거나 손상되는 현상이 훨씬 줄어드는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때, 고령토의 함량은 전체 졸 조성물의 5 ~ 1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이때 목분은 9 ~ 11 중량%, 전분은 14 ~ 16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만일 고령토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방수 성능이 저하되고, 15 중량%를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졸 원료가 원할하게 혼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더하여, 목분과 전분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발포 성능이 저하되어 입체감이 떨어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여백부가 쉽게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합지단계
상부원지(10)와 하부원지(40)를 준비한 후, 상부원지(10)와 하부원지(40)가 마주보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배접한 다음 건조시켜 합지를 제조하되, 상부원지(10)의 일측 단부는 하부원지(4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고, 하부원지(40)의 타측 단부는 상부원지(10)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돌출됨으로써 합지의 양측에 상부원지(10)와 하부원지(40)가 미중첩된 여백부(30)를 형성한다.
도 2에는 상부원지(10)가 롤에 권취되어 하부원지(40)와 합지될 때, 접착제(21)가 저장된 콤마코타(1)가 롤에 접착제를 공급함으로써 하부원지(40)와 합지되도록 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합지시 원지의 공급 위치를 조정하여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 양측에 여백부(30)가 형성되도록 한다.
합지가 이루어진 후에는 건조챔버(2)를 통과시켜 접착제가 건조되도록 한다.
2. 인쇄단계
도 2에 모식도로 도시된 인쇄장치(5)를 통과시켜 상기 합지의 표면에 특정 색상과 무늬가 형성되도록 인쇄한다.
이때,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암수 형틀 롤러(3)로 상기 합지를 통과시켜 1차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싱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3. 조성물도포단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한 무늬 모양으로 조각된 요홈이 구비된 롤러(6)에 고령토가 5 ~15 중량% 함유되어 있는 졸 조성물을 도포한 후 독타나이프 장치(4)로 깎아내 무늬 모양이 요홈에만 남겨지도록 한 후 합지를 롤러에 통과시켜 합지의 표면에 졸 조성물을 도포하되, 상부원지(10)의 표면에만 조성물을 도포한다.
도 2에서 도면기호 '51'은 합지 표면에 졸 조성물을 도포한 직후의 조성물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졸 조성물의 바람직한 조성은, 아크릴 수지 고형분 33 ~ 37 중량%, 발포제 0.4 ~ 0.6 중량%, 지당 4 ~ 5 중량%, 목분 9 ~ 11 중량%, 전분 14 ~ 16 중량%, 고령토 9 ~11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구성는 것이다.
이 경우 후술하는 건조단계에서 도포된 졸 조성물이 발포되어 졸 발포에 의한 발포엠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졸 조성물은 원료를 혼합한 다음 4 ~ 6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성을 거치게 되면 발포 후 발포면이 매끄럽게 형성되고, 발포시 점도가 유지되고, 탄성이 좋다.
상기한 조성은 본 출원의 발명자가 선등록받은 특허 제10-1953282호와 비교하여 볼 때, 발포제의 함량은 줄어들었으며, 목분과 전분의 총량은 비슷한 수준이다.
또, 아크릴 수지 고형분 함량은 대폭 늘어난 것이며, 고령토가 특정 비율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크릴 수지 고형분 함량이 늘어난 것은 고령토 분말이 첨가됨으로 인해 보다 분산도를 높이고, 발포된 코팅층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고령토를 상기와 같은 비율로 원료들과 혼합하게 되면 점성을 유지하여 발포시 조성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또, 건조 후에는 방수력이 뛰어나 시공시 풀칠면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해주게 된다.
더불어, 목분은 편백나무나 소나무 목분과 같이 밝은 색으로 구성하는 경우 색상 표현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고령토 중에서 백선토를 사용할 경우 역시 보다 밝은 색으로 이루어져 색상 표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조성물 도포시 만일 하부원지가 돌출된 여백부에 조성물을 도포하게 되면 합지벽지의 겹침 시공시 도포된 부분만큼 표시가 나 미감이 저하되게 된다.
4. 건조단계
상기 졸 조성물이 도포된 합지를 건조챔버(2)를 통과시켜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도면기호 '50'의 코팅층은 발포가 이루어져 부풀어 오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합지단계에서 여백부는 9 ~11mm 형성하고, 상기 발포단계가 끝난 다음 합지벽지의 여백부를 4 ~ 6mm 절단하는 절단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 도배 시공시 풀칠 수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음매 부분을 롤러나 주걱 등으로 문지러도 엠보의 함몰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흔적 없이 맞댐 시공과 같은 깔끔한 이음매가 보장된다.
더불어, 인쇄 후 엠보를 형성한 다음 엠보싱 표면에 졸 조성물을 도포하는 경우 엠보 표면부를 서로 연결하여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최적의 실시예라 하겠다.
이 경우 엠보 표면부를 서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풀칠 수분에 의한 1차 합지 엠보의 펴짐 현상을 현저히 줄여주게 된다.
또, 합지 엠보싱 표면에 졸 조성물이 도포되고, 도포된 조성물이 발포될 경우 2차 엠보가 형성되어 벽지의 인장강도 내구성이 향상되고, 더욱 뛰어난 모양의 입체감을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졸 조성물의 발포에 의해 형성된 엠보는 풀칠 수분에 의해 전혀 지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시공 후 수려한 입체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평량이 80g/㎡인 다공성 원지를 각각 상부원지와 하부원지로 준비하고, 좌우 양측으로 상부원지와 하부원지가 10mm 씩 돌출되도록 하면서 접촉면에 아크릴 수지 고형분 50 중량%와 잔량의 물로 이루어진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동롤러로 배접시킨 후 건조챔버를 통과시켜 합지를 제조하였다.
더하여, 아크릴 수지 고형분 35 중량%, 백선토 10 중량%, 전분 15 중량%, 캡슐발포제 0.5 중량%, 지당 4.5 중량%, 편백 목분 10 중량%, 잔량의 물을 혼합한 다음 5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하여 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라비아 인쇄롤로 합지를 통과시켜 합지 표면에 무늬와 색상을 형성하고, 이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암수 형틀 롤러로 상기 합지를 통과시켜 1차 엠보를 형성하였다.
더하여, 특정한 무늬 모양으로 조각된 요홈이 구비된 롤러에 준비된 졸 조성물을 도포한 후 독타나이프 장치로 깎아내 무늬 모양이 요홈에만 남겨지도록 한 후 합지를 롤러에 통과시켜 상부원지(10)의 표면에만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이어 상기 졸 조성물이 도포된 합지를 건조챔버를 통과시켜 건조 발포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의 준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졸 조성물로 아크릴 수지 고형분 29 중량%, 캡슐 발포제 1.3 중량%, 전분 12 중량%, 목분 14 중량%, 지당 3 중량%,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졸 조성물을 제조한 후, 제조된 졸 조성물을 합지 표면에 도포하여 비교예 1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더불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고령토를 4 중량% 함량이 되도록 첨갛여 비교예 2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또, 고령토가 16 중량% 함량이 되도록 첨가하여 비교예 3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엠보 관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벽지를 뒤집어 표면에 풀칠한 다음 벽면에 겹침 시공하였다.
이어 시공 후 상온에서 24시간 경과시킨 다음 시공된 벽지의 겹침부 엠보 형태를 육안으로 관찰한 후 비교하였다.
측정 방법은 미 시공된 벽지 표면의 엠보를 비교군으로 하여 시공 전 벽지 표면의 엠보 형태를 얼마나 유지하는 지를 9점 평점법으로 점수를 매겨 측정하였다.
측정은 10인이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냈다.
구분 엠보
실시예1 8.7
비교예1 3.2
비교예2 4.7
비교예3 5.4
( 9: 시공전 엠보와 동일함, 0점 : 엠보가 완전히 사라짐)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합지벽지가 겹침부에서 엠보 형상을 원할히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풀칠에 의한 여백부 파손 실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벽지를 뒤집은 다음 여백부에 반복적으로 풀칠을 하여 여백부가 찢겨나가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횟수가 크면 클수록 여백부에 수분이 잘 스며들지 않으며, 횟수가 짧으면 짧을수록 수분이 쉽게 스며들어 파손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냈다.
구분 여백부가 찢겨지는 풀칠 횟수
실시예1 25회
비교예1 3회
비교예2 5회
비교예3 7회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지가 수분을 훨씬 덜 흡수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1 : 콤마코타 2 : 건조챔버
3 : 형틀 롤러 4 : 독타나이프 장치
5 : 인쇄장치 6 : 요홈이 구비된 롤러
10 : 상부원지 20 : 접착층
30 : 여백부 40 : 하부원지
50 : 코팅층 51 : 졸 조성물

Claims (5)

  1. 삭제
  2.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부원지(10)와 하부원지(40)를 준비한 후, 상부원지(10)와 하부원지(40)가 마주보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배접한 다음 건조시켜 합지를 제조하되, 상부원지(10)의 일측 단부는 하부원지(4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고, 하부원지(40)의 타측 단부는 상부원지(10)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돌출됨으로써 합지의 양측에 상부원지(10)와 하부원지(40)가 미중첩된 여백부(30)를 형성하는 합지단계와;
    상기 합지의 표면에 특정 색상과 무늬가 형성되도록 인쇄하는 인쇄단계와;
    특정한 무늬 모양으로 조각된 요홈이 구비된 롤러에 고령토가 5 ~15 중량% 함유되어 있는 졸 조성물을 도포한 후 독타나이프 장치로 깎아내 무늬 모양이 요홈에만 남겨지도록 한 후 합지를 롤러에 통과시켜 합지의 표면에 졸 조성물을 도포하되, 상부원지(10)의 표면에만 조성물을 도포하는, 조성물도포단계와;
    상기 졸 조성물이 도포된 합지를 건조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인쇄단계 다음에,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암수 형틀 롤러로 상기 합지를 통과시켜 1차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싱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졸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 고형분 33 ~ 37 중량%, 발포제 0.4 ~ 0.6 중량%, 지당 4 ~ 5 중량%, 목분 9 ~ 11 중량%, 전분 14 ~ 16 중량%, 고령토 9 ~11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건조단계에서 도포된 졸 조성물이 발포되어 졸 발포에 의해 코팅층(50)에 엠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단계에서 여백부는 9 ~11mm 형성하고,
    상기 발포가 끝난 다음 합지벽지의 여백부를 4 ~ 6mm 절단하는 절단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5. 삭제
KR1020190049326A 2019-04-26 2019-04-26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KR102046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26A KR102046917B1 (ko) 2019-04-26 2019-04-26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26A KR102046917B1 (ko) 2019-04-26 2019-04-26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917B1 true KR102046917B1 (ko) 2019-12-02

Family

ID=6884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326A KR102046917B1 (ko) 2019-04-26 2019-04-26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9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552Y1 (ko) 2001-12-06 2002-04-03 롯데벽지(주) 이음매 없는 벽지
KR101712079B1 (ko) * 2015-10-05 2017-03-03 김천우 난연성 친환경 벽지
KR101953282B1 (ko) * 2018-06-26 2019-03-04 디자인벽지 주식회사 통기성 필름을 이용한 친환경 수성 목분 발포 벽지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552Y1 (ko) 2001-12-06 2002-04-03 롯데벽지(주) 이음매 없는 벽지
KR101712079B1 (ko) * 2015-10-05 2017-03-03 김천우 난연성 친환경 벽지
KR101953282B1 (ko) * 2018-06-26 2019-03-04 디자인벽지 주식회사 통기성 필름을 이용한 친환경 수성 목분 발포 벽지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9746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амината в виде полотна
JP6034004B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
KR101953282B1 (ko) 통기성 필름을 이용한 친환경 수성 목분 발포 벽지의 제조 방법
US2014460A (en) Composite sheet material
KR102060499B1 (ko) 이음매와 엠보싱이 개선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KR102046917B1 (ko) 시공 이음매 마감이 향상된 합지벽지의 제조 방법
GB1578755A (en) Reinforced sheet-type wall covering
CN202519945U (zh) 一种手工多层实木地板
KR102122498B1 (ko) 표면 엠보싱을 개선한 벽지 제조 방법
ES2300669T3 (es) Cinta adhesiva protectora.
JP4952526B2 (ja) 塗工ライ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段ボール
KR101927259B1 (ko) 부분 도포 방식에 의한 친환경 수성 발포 항균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JP3152593U (ja) ファンシー紙
US2754236A (en) Composite paper sheet
JP2003105695A (ja) ガラス繊維混抄塗工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6161322B2 (ja) 加飾シート
KR101780931B1 (ko) 엠보싱 벽지의 제조 방법
JP2016069753A (ja) 塗工ライ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塗工ライナーを有する段ボールシート
JPS6346580Y2 (ko)
JP3780330B2 (ja) 壁紙及び壁紙の貼付方法
KR200349827Y1 (ko) 입체효과가 부여된 염화비닐수지 바닥타일 및 장척상재
KR20240052128A (ko) 양방향 시공 엠보싱 합지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28250A (ko)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JPS5921786B2 (ja) 化粧板
KR20090063322A (ko) 내오염성이 개선된 바닥타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