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339B1 -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339B1
KR102046339B1 KR1020190041752A KR20190041752A KR102046339B1 KR 102046339 B1 KR102046339 B1 KR 102046339B1 KR 1020190041752 A KR1020190041752 A KR 1020190041752A KR 20190041752 A KR20190041752 A KR 20190041752A KR 102046339 B1 KR102046339 B1 KR 10204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tray
dishwash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열
Original Assignee
김화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열 filed Critical 김화열
Priority to KR102019004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0Time, e.g. elapsed operating ti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6Loading door status, e.g. door latch opened or close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 도어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는, 세척물을 보관하는 트레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몸체부, 바닥면과 접촉하되, 상기 몸체부를 지탱하는 제1지지부, 셔터방식으로 슬라이딩되는 도어부, 내부에 상기 도어부를 수용할 공간이 마련된 상단부; 상기 몸체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단부를 지탱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도어장치{Dishwasher doo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 상단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도어를 완전히 수용하는 것이 특징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을 보다 위생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세척기의 하부 탱크들에 각각 담긴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에 의하여 공급관을 통해 이송되어 회전되는 분사관의 노즐들을 통해 고압 분사되어 랙에 놓여진 식기들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76389호에 의한 오버 카운터형 식기 세척기의 경우 상단 덮개를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임펠러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세척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공간인 세척실이 개방되고, 사용자는 랙을 집어넣은 후 상단 덮개를 아래로 내리고 식기세척기를 작동한다. 다만 이러한 오버 카운터형 식기세척기의 경우 높이 방향으로 공간의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한국등록특허 제10-1290506호의 언더 카운터형 식기세척기이다. 언더 카운터형 식기세척기의 경우 도어를 앞으로 잡아당겨 90도 정도로 도어를 펼침으로 해서 세척실의 전면이 개방되고, 사용자는 랙을 집어넣은 후 도어를 덮고 식기세척기를 작동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언더 카운터형 식기세척기의 경우, 도어가 90도 정도의 각도에서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 장치가 필요하며,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계속되는 사용상의 충격에 의하여 변형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작하되, 도어를 상단부의 내부 공간에 수납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공간의 제약 없이 식기세척기의 개폐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단부 내부에 도어를 완전히 수용되되, 하나의 결합된 형태 또는 개별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탈부착되는 도어를 마련함으로써, 손잡이의 위치 및 세척물의 부피에 관계없이 트레이의 수납이 간편하며, 내부 세척 및 건조가 용이한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세척물 트레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간편하게 트레이를 수납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때, 각 도어의 개폐 정도를 감지하되, 오작동 시 알람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문제상황을 빠르게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체 사용량을 데이터화하여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집중사용시간을 지정하되, 집중사용시간 동안만 최대 출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기 및 물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세척물을 보관하는 트레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몸체부; 바닥면과 접촉하되, 몸체부를 지탱하는 제1지지부; 셔터방식으로 슬라이딩되는 도어부; 내부에 도어부를 수용할 공간이 마련된 상단부; 및 몸체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단부를 지탱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부는, 하단에 홈이 마련되어 몸체부와 결합되되,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단부는, 하방에 도어부가 개방되도록 상측 방향으로 만곡되며 슬라이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도어부의 슬라이딩 상태를 고정하는 걸림장치; 및 일측에 도어부와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부는, 도어부의 개폐 및 세척 기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부; 및 외부면 일측에 동작모드, 동작시간, 급수온도, 세척강도 및 건조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되, 자동제어부는, 트레이를 인식하는 트레이인식부; 도어부의 개폐 정도를 측정하는 거리인식부; 자동으로 도어부의 개폐를 수행하는 모터부; 및 오작동 시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에 알람신호를 전달하는 알람생성부;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부는, 세척 및 건조 동작의 설정 조건을 입력받는 키패드; 및 입력된 설정 조건을 표시하고, 수행중인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트레이인식부는, 몸체부 전면에 마련되되, 인식된 트레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면, 모터부에 상기 도어부의 개방신호를 전달하며, 거리인식부는, 상기 도어부의 개폐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동안, 도어부 하단과 몸체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되, 각 도어별로 측정된 거리의 평균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이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오작동을 인식하여 도어부의 개폐동작을 중단하는 신호 및 알림신호를 모터부 및 알람생성부에 각각 전달하고, 알람생성부는, 거리인식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알림음을 발생시키고,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을 전송하며,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인터페이스부의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기설정된 알림음이 종료되고, 자동제어부는,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통신하며, 전체 사용량을 데이터화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시간대별 사용량을 분석하여 최다사용시간을 산출하되, 산출된 최다사용시간에 기초하여, 집중사용시간을 설정하고, 집중사용시간 동안 최대출력으로 동작하도록 모터부의 출력신호를 제어하며, 집중사용시간 외에 사용될 모터부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지정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알림을 통하여 동작 상황, 동작 시간 및 오작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신된 알림에 기초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작하되, 도어를 상단부의 내부 공간에 수납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공간의 제약 없이 식기세척기의 개폐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는 상단부 내부에 도어를 완전히 수용되되, 하나의 결합된 형태 또는 개별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탈부착 되는 도어를 마련함으로써, 손잡이의 위치 및 세척물의 부피에 관계없이 트레이의 수납이 간편하며, 내부 세척 및 건조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는 세척물 트레이에 부착된 센서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간편하게 트레이를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는 도어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때, 각 도어의 개폐 정도를 감지하되, 오작동 시 알람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문제상황을 빠르게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는 전체 사용량을 데이터화하여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집중사용시간을 지정하되, 집중사용시간 동안만 최대 출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기 및 물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도어부의 탈부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상단부의 내부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상단부와 도어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AB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자동제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자동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인터페이스부의 구조를 성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세척물을 보관하는 트레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몸체부(100), 바닥면과 접촉하되, 상기 몸체부(100)를 지탱하는 제1지지부(20), 셔터방식으로 슬라이딩되는 도어부(300), 내부에 상기 도어부(300)를 수용할 공간이 마련된 상단부(400) 및 상기 몸체부(100)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단부(400)를 지탱하는 제2지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례로,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 공간 일측에 돌출된 구성이 마련되어 세척물이 담긴 트레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하고, 외부면 일측에 수행 동작을 제어하는 키패드와, 현재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패드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급수온도, 동작시간, 세척강도 및 건조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00)는, 원기둥 또는 직각기둥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마련되되, 바닥과 접촉되는 면은 고무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500)는, 상기 제1지지대(200)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상기 제2지지대(50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트레이의 폭보다 최소 20cm 이상 넓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단부(300)를 지탱할 수 있으되, 물에 강한 금속 소재(ex. 황동, 스테인리스 등)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도어부의 탈부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도어부(300)는 하단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0)와 결합되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부(300)의 하단에 마련된 홈은 고무 소재의 패킹으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100)와 결합 시 내부 및 외부를 완벽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상단부의 내부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상단부와 도어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AB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4를 참고하면, 상기 상단부(400)는 하방에 상기 도어부(300)가 개방되도록 상측 방향으로 만곡되며 슬라이딩되는 수용공간(430)이 마련되고, 상기 도어부(300)를 슬라이딩 상태를 고정하는 걸림장치(410) 및 일측에 상기 도어부(300)와 결합되는 체결돌기(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단부(400)의 수용공간(430)은 상기 도어부(300)의 두께를 수용하는 너비로 'ㄱ'자 형상의 공간이 마련되되,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 상기 도어부(300) 전체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부(300)의 3면이 개방된다고 가정할 때, 세척기의 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상기 수용공간(430)은 상기 상단부(400)의 최하방에 위치하며, 전측에 위치한 상기 수용공간(430)은 상기 상단부(400)의 중반에 위치하며, 좌측에 위치한 상기 수용공간(430)은 상기 상단부(400)의 최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430) 일측에 마련된 상기 걸림장치(410)는 상측으로 슬라이딩시킨 상기 도어부(300)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300)가 하측 방향으로 밀려 내려오지 않도록 고정시켜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목적에 맞게 상기 도어부(3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개방시켜 둘 수 있으며, 하측 방향의 슬라이딩은 상기 걸림장치(410)에 의해 상기 도어부(300)를 완전히 상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에만 하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체결돌기(420)는 상기 수용공간(430) 내부의 일면을 따라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되, 상기 도어부(300)의 양측면에 마련된 홈과 결합가능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세척 또는 교체를 위해 분리시킨 상기 도어부(300)를 다시 상기 상단부(400)와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부(30)의 일단을 상기 상단부(400)의 내부 공간을 향하되, 상기 도어부(300)의 양측면에 마련된 홈과 상기 체결돌기(420)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일실시례로, 상기 체결돌기(420)와 상기 도어부(300) 일측에 기어를 추가하여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자동제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자동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의 인터페이스부의 구조를 성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 및 세척 기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부(110) 및 외부면 일측에 동작모드, 동작시간, 급수온도, 세척강도 및 건조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자동제어부(110)는, 상기 트레이를 인식하는 트레이인식부(111),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 정도를 측정하는 거리인식부(112), 자동으로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를 수행하는 모터부(113) 및 오작동 시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생성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세척 및 건조 동작의 설정 조건을 입력받는 키패드 및 상기 입력된 설정 조건을 표시하고, 수행중인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인식부(111)는, 상기 몸체부(100) 전면에 마련되되, 상기 인식된 트레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부(113)에 상기 도어부(300)의 개방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거리인식부(112)는,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동안, 상기 도어부(300) 하단과 상기 몸체부(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되, 각 도어별로 측정된 거리의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이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오작동을 인식하여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동작을 중단하는 신호 및 알림신호를 상기 모터부(113) 및 상기 알람생성부(114)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알람생성부(114)는, 상기 거리인식부(112)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알림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을 전송하며, 상기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20)의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상기 기설정된 알림음이 종료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트레이인식부(111)는, 카메라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고하면, 상기 트레이인식부(111)는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되되,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인식 가능한 태그가 트레이 일면에 부착되어 있다면,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태그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부(300)를 자동으로 개방할 지 판단할 수 있다. 단순히 이동중인 트레이가 감지되어 상기 도어부(300)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므로, 인식 가능한 태그와의 범위(ex. 30cm)를 제한하고, 기설정된 시간(ex. 3초)동안 끊김 없이 인식된다면, 상기 도어부(30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조건을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트레이인식부(111)는 상기 모터부(113)에 개방신호를 전달하며, 만약, 다수의 트레이가 동시에 감지된 경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으되, 상기 트레이인식부(111)가 가장 오랜시간동안 신호를 수신한 트레이를 우선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고하면, 상기 거리인식부(112)는,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거리 센서를 상기 도어부(300)의 각 하단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100) 일측에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거리인식부(112)는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동안에만 동작하며,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비교하여 오작동 상황을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리인식부(112)는 각 도어별로 상기 측정된 거리의 평균을 도출하여 기설정된 시간(ex. 5초)마다 저장하되, 도출된 평균이 기설정된 오차범위(ex. 5cm)를 초과하여 달라지는 경우,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건과 일치하는 오작동 상황이 판단되면, 상기 거리인식부(112)는 개폐 동작을 즉시 중지하도록 상기 모터부(113)에 신호를 전달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문제 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생성부(114)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거리인식부(11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알람생성부(114)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알림음을 발생시키며, 상기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거리에 위치하더라도 오작동 상황을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20)에 마련된 키패드를 조작하거나, 상기 기지정된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알림음을 종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람생성부(114)에서 알림신호를 발생시켰다면, 상기 키패드에 마련된 버튼을 직접 누르거나, 상기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알림음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20)의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세척 및 건조 동작에 필요한 수치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수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 및 건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정보와 동작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생성부(114)에 의해 알림음이 발생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오작동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제어부(110)는 상기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며, 전체 사용량을 데이터화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시간대별 사용량을 분석하여 최다사용시간을 산출하되, 상기 산출된 최다사용시간에 기초하여, 집중사용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집중사용시간 동안만 최대출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모터부(113)의 출력신호를 제어하며, 상기 집중사용시간 외에 사용될 상기 모터부(113)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지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알림을 통하여 동작 상황, 동작 시간 및 오작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알림에 기초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자동제어부(110)는 전체 사용량을 데이터화하여 서버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에 따라 분석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루동안 가장 많이 사용된 시간대를 분석하도록 설정했다면, 기설정된 기간(ex. 3개월) 내에 전체 사용량을 분석하여 하루 동안 가장 많이 사용되는 최다사용시간대를 도출할 수 있으며, 상기 도출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ex. PC, 휴대폰)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제어부(110)는 상기 도출된 시간을 집중사용시간으로 지정하여, 상기 집중사용시간 동안만 최대 출력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터부(113)의 출력신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집중사용시간을 제외한 시간은 최대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집중사용시간이 오전 11시에서 오후 2시로 지정되었다면, 상기 지정된 3시간 동안만 최대출력으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집중사용시간을 제외한 시간은 최대출력의 80%만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설정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는 전체사용량 및 지정된 기간별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알람생성부(11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즉시 확인 가능하며, 원격으로 세척 또는 건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례로, 상기 세척기 배관 내부의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기준 수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의 세척 및 건조를 자동으로 수행하며, 급수 펌프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여, 상기 배관 및 노즐 내부에 생성된 석회물질을 감지하고, 상기 측정된 부하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세척기 내부에 마련된 약제통에서 약품을 공급하여 석회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에 따르면,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작하되, 도어를 상단부의 내부 공간에 수납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공간의 제약 없이 식기세척기의 개폐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단부 내부에 도어를 완전히 수용되되, 하나의 결합된 형태 또는 개별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탈부착되는 도어를 마련함으로써, 손잡이의 위치 및 세척물의 부피에 관계없이 트레이의 수납이 간편하며, 내부 세척 및 건조가 용이한 식기세척기 도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세척물 트레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간편하게 트레이를 수납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때, 각 도어의 개폐 정도를 감지하되, 오작동 시 알람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문제상황을 빠르게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체 사용량을 데이터화하여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집중사용시간을 지정하되, 집중사용시간 동안만 최대 출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기 및 물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장치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200 : 제1지지부
300 : 도어부
400: 상단부 41 : 결합장치
42 : 체결돌기
43 : 수용공간
500: 제2지지부
110 : 자동제어부 111 : 트레이인식부
112 : 거리측정부
113 : 모터부
114 : 알람생성부
120 : 인터페이스부

Claims (4)

  1. 세척물을 보관하는 트레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몸체부(100);
    바닥면과 접촉하되, 상기 몸체부(100)를 지탱하는 제1지지부(200);
    셔터방식으로 슬라이딩되는 도어부(300);
    내부에 상기 도어부(300)를 수용할 공간이 마련된 상단부(400); 및
    상기 몸체부(100)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단부(400)를 지탱하는 제2지지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 및 세척 기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부(110); 및
    외부면 일측에 동작모드, 동작시간, 급수온도, 세척강도 및 건조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부(1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동제어부(110)는,
    상기 트레이를 인식하는 트레이인식부(111);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 정도를 측정하는 거리인식부(112);
    자동으로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를 수행하는 모터부(113); 및
    오작동 시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에 알람신호를 전달하는 알람생성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세척 및 건조 동작의 설정 조건을 입력받는 키패드; 및
    상기 입력된 설정 조건을 표시하고, 수행중인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인식부(111)는,
    상기 몸체부(100) 전면에 마련되되, 상기 인식된 트레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부(113)에 상기 도어부(300)의 개방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거리인식부(112)는,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동안, 상기 도어부(300) 하단과 상기 몸체부(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되, 각 도어별로 측정된 거리의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이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도어부(300)의 오작동을 인식하여 상기 도어부(300)의 개폐동작을 중단하는 신호 및 알림음을 생성하는 신호를 상기 모터부(113) 및 상기 알람생성부(114)에 각각 전달하고,
    상기 알람생성부(114)는,
    상기 거리인식부(112)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알림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을 전송하며, 상기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20)의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상기 기설정된 알림음이 종료되며,
    상기 자동제어부(110)는,
    상기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며, 전체 사용량을 데이터화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시간대별 사용량을 분석하여 최다사용시간을 산출하되,
    상기 산출된 최다사용시간에 기초하여, 집중사용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집중사용시간 동안만 최대출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모터부(113)의 출력신호를 제어하며, 상기 집중사용시간 외에 사용될 상기 모터부(113)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지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알림을 통하여 동작 상황, 동작 시간 및 오작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알림에 기초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300)는,
    하단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0)와 결합되되, 탈부착 가능하도록 측면에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400)는,
    하방에 상기 도어부(300)가 개방되도록 상측 방향으로 만곡되며 슬라이딩되는 수용공간(430)이 마련되고,
    상기 도어부(300)의 슬라이딩 상태를 고정하는 걸림장치(410); 및
    일측에 상기 도어부(300)와 결합되는 체결돌기(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4. 삭제
KR1020190041752A 2019-04-10 2019-04-10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KR10204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52A KR102046339B1 (ko) 2019-04-10 2019-04-10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52A KR102046339B1 (ko) 2019-04-10 2019-04-10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339B1 true KR102046339B1 (ko) 2019-11-20

Family

ID=6872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752A KR102046339B1 (ko) 2019-04-10 2019-04-10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6474A1 (de) * 2021-01-12 2022-07-13 Miele & Cie. KG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092A (ja) * 1992-02-20 1993-09-07 Shierupa Seisakusho:Kk 食器洗浄機
KR101247423B1 (ko) * 2010-08-13 2013-03-25 최숙주 개방형 조립방식을 택한 단위 유니트형 식기 세척기
KR20180006103A (ko) * 2016-07-08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개폐방법
KR20180091140A (ko) * 2017-02-06 2018-08-16 주식회사 피닉스 업소용 식기세척기
JP2019033964A (ja) * 2017-08-18 2019-03-07 株式会社トクヤマ 殺菌及び/又は洗浄機能付き装置又は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092A (ja) * 1992-02-20 1993-09-07 Shierupa Seisakusho:Kk 食器洗浄機
KR101247423B1 (ko) * 2010-08-13 2013-03-25 최숙주 개방형 조립방식을 택한 단위 유니트형 식기 세척기
KR20180006103A (ko) * 2016-07-08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개폐방법
KR20180091140A (ko) * 2017-02-06 2018-08-16 주식회사 피닉스 업소용 식기세척기
JP2019033964A (ja) * 2017-08-18 2019-03-07 株式会社トクヤマ 殺菌及び/又は洗浄機能付き装置又は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6474A1 (de) * 2021-01-12 2022-07-13 Miele & Cie. KG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918B2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260269B2 (en)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KR101991957B1 (ko) 조리기기
KR20130033811A (ko) 식기세척기
US10149594B2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378630B2 (en) Method for preventing input on an apparatus having a user interface
US20140000663A1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rack assembly projections
KR102046339B1 (ko)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TW201531275A (zh) 餐具清洗機
KR20150057058A (ko) 싱크대용 식기세척기
KR20210074234A (ko)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7113731B2 (ja) 食器洗浄機
KR101824816B1 (ko) 다기능 싱크대
US11471023B2 (en) Front and top loading dishwasher with restricted basket movement
JP2008206909A (ja) 食器洗い機
KR20180006103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개폐방법
US11006811B2 (en) Rack detection system for child safety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hwasher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JP2008119152A (ja) 食器洗い機
JP2010142326A (ja) 食器洗い機
JP7229191B2 (ja) 食器洗浄機
JP2017153685A (ja) 電気機器
KR20230166022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4000790A (ja) 食器洗浄機
KR20240023786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