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076B1 -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076B1
KR102046076B1 KR1020190012847A KR20190012847A KR102046076B1 KR 102046076 B1 KR102046076 B1 KR 102046076B1 KR 1020190012847 A KR1020190012847 A KR 1020190012847A KR 20190012847 A KR20190012847 A KR 20190012847A KR 102046076 B1 KR102046076 B1 KR 10204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late
pole plate
pole
f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산이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산이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산이노스
Priority to KR1020190012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087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 B01J19/08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giving rise to electric dis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기름에 정전기를 인가하여 산패가 지연되도록 하고, 정전기가 넓게 형성되도록 하며, 사용 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전홀(111)을 구비하는 방전판(110)과, 방전판(110)의 전,후방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힌지편(121)과 고정편(122)을 구비하는 절곡편(120)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방전부(100); 방전홀(211)을 구비하는 방전판(210)과, 방전판(210)의 전,후방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힌지편(221)과 고정편(222)을 구비하는 절곡편(220)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방전부(200); 상부방전부(100)와 하부방전부(200)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극판(310)과, 극판(310)들의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봉(320)과, 어느 하나의 극판(310)에 접속되어 트랜스(20)와 연결되는 연결선(330)으로 이루어지는 극판부(300); 극판부(300)의 양측 전,후방에 고정되어 극판(310)과 상,하부방전부(100)(200)를 이격시키는 일측 절연체(410) 및 타측 절연체(420)로 이루어지는 절연부(400); 상,하부방전부(100)(200)의 힌지편(121)(221)과 절연체(41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Freshness holding device for frying}
본 발명은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튀김기의 유조에 담긴 튀김기름에 고전압 저전류의 정전기를 방전하여 튀김기름의 산패가 느리게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튀김기름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켜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전압 저전류를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극판부에 통전시켜 방전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전장을 한층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하부방전부와 극판부를 절첩식으로 간단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 후 상,하부방전부를 간단하게 열고 극판부와 상,하부방전부의 내부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튀김음식물을 조리할 때 내부에 히터가 설치된 튀김통을 구비하는 튀김장치를 사용하여 튀김통에 튀김기름을 붓고 히터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튀김음식물을 조리하다 보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산패되어 인체에 해로운 지방산을 형성하게 되고, 튀김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찌꺼기 등이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러한 지방산과 음식물 찌꺼기는 튀김기름을 쉽게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어 종래의 튀김장치를 사용중에는 튀김기름을 자주 갈아 주어야 하기 때문에 튀김기름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산패된 튀김기름을 방류시키거나 토양에 바로 매립하는 경우 심각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문 업자에 의해 처리하도록 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비용 부담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튀김기름의 잦은 교환에 따른 비용 부담의 경감과 함께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튀김기름의 산화를 방지 또는 지연시키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튀김기름의 산화방지를 위한 노력으로, 튀김기름에 고전압의 음극봉이나 음극으로 대전된 판을 침지시켜 그로부터 발생된 음전자로 고급지방산의 탈수소반응, 즉 산화반응을 지연시키며 산화된 지방을 환원시켜 튀김기름의 사용가능한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의 일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4-0062249호에는 모듈셋트의 AC 220V의 입력을 갖는 승압트랜스에서 2차측 권선의 출력선에 연결된 정전기공급롯드를 튀김용기에 침지시킨 고전압정전기를 이용한 음식물산화방지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고전압정전기를 이용한 음식물산화방지시스템은 신선한 음식물을 튀겨 요리하는 경우 승압트랜스에서 2차측 권선의 출력선에 연결된 정전기공급롯드가 튀김용기의 튀김기름내에 배치되고 튀김용기가 승압트랜스서 2차측 권선의 다른 출력선에 접지되어 있어 튀김용기의 튀김기름에는 풍부한 음전자가 작용하여 환원됨으로서 튀김기름의 산화가 둔화되거나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전압정전기를 이용한 음식물산화방지시스템은 사용중에 정전기공급롯드가 튀김용기나 젓가락에 접촉하게 되면 방전되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일본 특허공보 제3694719호에는 플레이트에 고압의 정전기를 대전시키는 것에 의해 정전장을 발생시키는 정전장 발생장치이며, 고압의 정전기를 대전하는 정전장발생부와, 이 정전장발생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갖추고, 상기 정전장발생부가, 다공판형의 제1, 제2, 제3의 대전판과, 다공판형의 절연성의 절연판과, 절연성의 스페이서와, 상기 제1의 대전판과 상기 제3의 대전판을 접속하는 연결 부품을 포함하는 정전장 발생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정전장 발생장치는 튀김기의 유조에 침하시켜서 튀김기름의 열화를 억제 시키면서, 사용시의 인체에의 통전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전장 발생장치는 고압선이 연결되는 대전판이 단순히 판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정전장을 넓게 형성시킬 수 없어 튀김기름의 열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전장 발생장치는 제1, 제2, 제3의 대전판과 절연판 및 스페이서가 볼트와 너트체결로 조립되어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사용 후 정전장발생부의 세척이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 제10-2004-0062249호(공개일자 : 2004.07.07)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보 제3694719호(등록일자 : 2005.07.0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튀김기의 유조에 담긴 튀김기름에 고전압 저전류의 정전기를 방전하여 음식물을 튀기는 튀김기름의 산패가 느리게 진행되어 튀김기름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극판부와 상,하부방전부의 주위로 형성된 전장(電場)에 의해 정전기가 튀김기름에 직접 인가되므로 튀김기름의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극판부와 상,하부방전부에 의해 넓은 범위로 정전기가 퍼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전장을 한층 더 넓게 형성하여 튀김기름의 산패 지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방전부와 극판부를 간단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힌지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 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튀김기의 유조 바닥에 설치되어 외부 트랜스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으로 정전기를 인가하여 튀김기름의 산패를 지연시키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로서, 상기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는 다수의 방전홀을 구비하는 방전판과, 방전판의 전,후방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일측 힌지편과 타측 고정편을 구비하는 절곡편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방전부; 상기 상부방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수의 방전홀을 구비하는 방전판과, 방전판의 전,후방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일측 힌지편과 타측 고정편을 구비하는 절곡편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방전부; 상기 상부방전부와 하부방전부 사이에 길이방향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극판과, 극판들의 양측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는 간격유지용 지지봉과, 극판들 중 어느 하나의 극판 일측에 접속되어 트랜스와 연결되는 연결선으로 이루어지는 극판부; 상기 극판부의 양측 전,후방에 고정되어 극판과 상,하부방전부를 이격시키는 일측 절연체 및 타측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부; 상기 상,하부방전부의 힌지편과 절연부의 일측 절연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하부방전부의 방전판 일측 중앙부에는 반원형의 선인출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연결선은 다수의 극판들 중 중앙부에 배치된 극판에 접속하여 세척시 상,하부방전부의 방전판을 일직선상으로 펼치면 상기 선인출공으로 연결선이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하부방전부의 힌지편과 절연부의 일측 절연체에는 나사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하부방전부의 힌지편과 일측 절연체의 나사공에 끼워지는 나사 및 나사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방전부의 고정편에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방전부의 고정편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공에 끼워지는 반구형의 고정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하부방전부의 힌지편과 고정편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방전홀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극판부의 극판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극판은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수직으로 배치된 중앙 극판의 일측으로 위치하는 극판들과 타측으로 위치하는 극판들은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극판부의 극판들 중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극판은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수직으로 배치된 양단 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극판들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극판부의 연결선에는 극판에 리벳으로 각각 고정되는 접속단자와 보조단자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부의 일측 절연체는 전방과 후방으로 배치된 극판의 외면에 나사와 너트결로 고정하고, 상기 절연부의 타측 절연체는 전방과 후방으로 배치된 극판과 극판 사이에 끼워 나사체결로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방전부의 방전판 상부 모서리와 하부방전부의 방전판 하부 모서리에는 절연체를 각각 고정한 것이다.
본 발명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에 따르면, 튀김기의 유조 바닥에 극판부가 내장된 상,하부방전부가 설치되고, 극판부는 외부 트랜스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으로 튀김기름에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때문에, 음식물을 튀기는 튀김기름의 산패가 느리게 진행되어 튀김기름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극판부와 상,하부방전부의 주위로 형성된 전장에 의해 정전기가 튀김기름에 직접 인가되므로 튀김기름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극판부와 다수의 방전홀을 구비하는 상,하부방전부에 의해 넓은 범위로 정전기가 퍼지고, 이를 통해 전장을 한층 더 넓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튀김기름의 산패 지연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부방전부와 극판부가 힌지부에 의해 절첩식으로 간단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 후 상,하부방전부를 간단하게 열고 극판부와 상,하부방전부의 내부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닫힌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열린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7은 도 2의 "B"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극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극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방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와 트랜스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고전압 저전류를 극판부에 통전시켜 튀김을 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산패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극판부는 유조에 설치시 상,하부방전부 사이에 내장된다. 상기 극판부와 상,하부방전부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절연부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상기 극판부에는 고전압 저전류가 인가되어 정전기가 발생된다.
즉, 전기의 성질을 띠는 것을 대전(electrification)이라 하고, 대전된 물체가 지닌 전기량을 전하(charge)라고 한다. 대전은 정지된 물체에 전기를 띤다.
이와 같이 정지되어 있는 것 같이 생각되는 전기를 정전기라 한다.
전기력의 전하에는 플러스(+)와 마이너스(-), 즉 양과 음의 두 종류가 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전하는 잡아당기고(흡입) 같은 종류의 전하는 반발되어 떠미는 작용을 한다. 이때, 작용하는 힘을 전기력 또는 정전력이라 한다.
정전기에 관한 쿨롱의 법칙에서 알 수 있듯이 두 가지의 전하 Q1, Q2가 r만큼 떨어져 있을 때, 양 전하간에 작용하는 전기력(정전력)은 양 전하의 곱 Q1, Q2에 비례하고, 양 전하간의 거리 r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 관계를 정전기에 관한 쿨롱의 법칙이라 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Figure 112019011634201-pat00001
Figure 112019011634201-pat00002
의 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에서 ε는 전하가 놓여 있는 유전체(매질)에 따라 정하게 되는 유전율이라 한다.
본 발명은 이의 쿨롱의 법칙을 이용한 것으로서 기름이 담겨진 유조 안에 극판부가 내장된 상,하부방전부를 설치하여 고전압 저전류를 극판부에 통전시켜 정전기에 의한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유조 내의 튀김대상물의 튀김시 극판부에 흐르는 고전압 저전류에 의해 방전되면서 튀김대상물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겉은 바삭하고 내부는 부드럽게 튀겨지는 동시에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튀김기(10)의 유조(11) 바닥에 설치되어 외부 트랜스(20)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으로 정전기를 인가하여 튀김기름의 산패를 지연시키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로서, 상기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는 다수의 방전홀(111)을 구비하는 방전판(110)과, 방전판(110)의 전,후방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일측 힌지편(121)과 타측 고정편(122)을 구비하는 절곡편(120)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방전부(100); 상기 상부방전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수의 방전홀(211)을 구비하는 방전판(210)과, 방전판(210)의 전,후방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일측 힌지편(221)과 타측 고정편(222)을 구비하는 절곡편(220)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방전부(200); 상기 상부방전부(100)와 하부방전부(200) 사이에 길이방향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극판(310)과, 극판(310)들의 양측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는 간격유지용 지지봉(320)과, 극판(310)들 중 어느 하나의 극판(310) 일측에 접속되어 트랜스(20)와 연결되는 연결선(330)으로 이루어지는 극판부(300); 상기 극판부(300)의 양측 전,후방에 고정되어 극판(310)과 상,하부방전부(100)(200)를 이격시키는 일측 절연체(410) 및 타측 절연체(420)로 이루어지는 절연부(400); 상기 상,하부방전부(100)(200)의 힌지편(121)(221)과 절연부(400)의 일측 절연체(41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는 유조(11)에 담긴 튀김기름에 정전기를 인가하여 산패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는 상부방전부(100), 하부방전부(200), 극판부(300), 절연부(400) 및 힌지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튀김기(10)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소정 공간을 갖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된 유조(11)를 구비하는 튀김기케이스(12)와, 가스식이나 전기식 또는 전자기 유도 가열방식 등으로 튀김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유조(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가열수단(13)과, 가열수단(13)에 의해 가열된 튀김기름에 음식물이 튀겨질 수 있도록 음식물이 담기는 튀김바구니(14)와, 튀김기름을 배출할 수 있도록 유조(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밸브(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튀김기(10)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가스식이나 전기식 등의 튀김장치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트랜스(20)는 상용 전원에 연결되어 소정의 고전압을 극판부(300)에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트랜스(20)는 고전압 저전류(전위차)를 극판부(300)에 통전시켜 극판부(300)에서 정전기가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트랜스(2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트랜스케이스(21)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케이스(21)의 내측에는 극판부(300)로 고전압 저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전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트랜스(20)의 일측에는 극판부(300)의 연결선(330)에 구비된 연결잭(331)이 연결되는 접속구(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트랜스(20)의 상부에는 손잡이(23)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되고, 또한 트랜스(20)의 일측에는 스위치(24), 퓨즈(25), 전원입력선(26)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방전부(100)는 극판부(300)에서 방전되는 정전기를 유도하여 소정의 고전압에 의해 전장이 형성되도록 상부방전유도판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방전부(100)는 방전판(110)과 절곡편(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판(110)은 상부방전부(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전판(110)에는 극판부(300)와 함께 고전압 저전류에 의한 정전기의 방전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방전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편(120)은 방전판(110)의 전방과 후방에서 하부로 각각 절곡되는 것으로, 이러한 절곡편(120)의 일측에는 힌지편(121)이 형성되고, 절곡편(120)의 타측에는 고정편(12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방전부(200)는 극판부(300)에서 방전되는 정전기를 유도하여 소정의 고전압에 의해 전장이 형성되도록 하부방전유도판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방전부(200)는 상부방전부(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방전부(200)는 방전판(210)과 절곡편(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판(210)은 하부방전부(20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전판(110)에는 극판부(300)와 함께 고전압 저전류에 의한 정전기의 방전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방전홀(2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방전부(200)의 방전판(210)은 유조(11)의 바닥에 안착된다.
상기 절곡편(220)은 방전판(210)의 전방과 후방에서 상부로 각각 절곡되는 것으로, 이러한 절곡편(220)의 일측에는 힌지편(221)이 형성되고, 절곡편(220)의 타측에는 고정편(2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방전부(200)의 힌지편(221)과 고정편(222)은 상부방전부(100)의 힌지편(121)과 고정편(122) 내측으로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하부방전부(100)(200)의 힌지편(121)(221)과 고정편(122)(222)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방전홀(123)(2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곡편(120)(220)에는 고전압 저전류에 의한 정전기의 방전이 용이하도록 방전홀(123)(223)이 형성되므로 전장을 한층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방전부(100)(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부방전부(100)(200)의 방전홀(123)(223)의 양측에는 고전압 저전류에 의한 정전기의 방전이 한층 더 용이하도록 넓게 확장된 확장홀(123a)(223a)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극판부(300)는 상부방전부(100)와 하부방전부(200) 사이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극판부(300)는 극판(310)과 지지봉(320) 및 연결선(3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극판부(300)는 상,하부방전부(100)(20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극판부(300)는 튀김기름에 고전압 저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트랜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유조(11)에 투입되어 상,하부방전부(100)(200)와 함께 고전압 저전류에 의해 정전기를 방전하여 전장을 넓게 형성한다.
상기 극판(310)은 상부방전부(100)와 하부방전부(200) 사이에 길이방향 수직으로 다수가 배치되어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극판(310)은 지지봉(32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서로 전기가 통하도록 연결되고, 다수의 극판(310)들 중 어느 하나의 극판(310)에는 연결선(330)이 접속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극판(310)이 다수로 이루어지므로 정전기의 발생량을 증가시켜 전장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수로 이루어지는 극판(310)은 종래 단순히 판상으로 형성된 대전판에 비하여 정전기의 발생량을 증가시켜 전장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극판부(300)의 극판(310)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극판(310)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으로 배치된 중앙 극판(310)의 일측으로 위치하는 극판(310)들과 타측으로 위치하는 극판(310)들은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서와 같이 중앙에 위치되는 극판(310)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극판(310)들은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극판(310)들은 중앙의 극판(310)보다 폭을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극판부(300)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면서도 튀김기름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극판(310)의 폭은 10㎜로 형성하고, 나머지 경사지게 배치되는 극판(310)들의 폭은 15㎜로 형성하여 정전기가 방전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극판부(300)의 극판(310)들 중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극판(310)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으로 배치된 양단 극판(310) 사이에 위치하는 극판(310)들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서와 같이 양단에 위치되는 극판(310)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극판(310)들은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극판(310)들은 양단의 극판(310)보다 폭을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극판부(300)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면서도 튀김기름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양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극판(310)의 폭은 10㎜로 형성하고, 나머지 경사지게 배치되는 극판(310)들의 폭은 15㎜로 형성하여 정전기가 방전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320)은 극판(310)들의 양측에 각각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봉(320)은 다수의 극판(310)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수의 극판(310)을 서로 전기가 통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극판(310)의 양측에는 지지봉(320)이 끼워지는 구멍(31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320)은 극판(310)의 구멍(3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연결선(330)은 극판(310)들 중 어느 하나의 극판(310) 일측에 접속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선(330)은 트랜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극판(310)에 고전압 저전류를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연결선(330)의 일단에는 트랜스(20)의 접속구(22)에 접속되는 연결잭(331)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선(330)의 타단은 중앙을 배치된 극판(310)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 연결선(330)은 260℃까지 대응 가능한 내열성을 가진 테프론의 PTFE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극판부(300)의 연결선(330)에는 극판(310)에 리벳(332a)(333a)으로 각각 고정되는 접속단자(332)와 보조단자(33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332)는 연결선(330)을 극판(310)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보조단자(333)는 연결선(330)을 이중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332)와 보조단자(333)에 의해 연결선(330)은 극판(310)에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청소시 단선을 방지한다.
상기 절연부(400)는 극판부(300)의 양측 전방과 후방에 각각 고정되어 극판(310)과 상,하부방전부(100)(200)를 이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절연부(400)는 극판부(300)의 일측 전방과 후방에 각각 고정되는 일측 절연체(410) 및 극판부(300)의 타측 전방과 후방에 각각 고정되는 타측 절연체(4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절연부(400)의 절연체(410)(420)는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연부(400)의 일측 절연체(410)는 전방과 후방으로 배치된 극판(310)의 외면에 나사(S1)와 너트(N)체결로 고정되고, 상기 절연부(400)의 타측 절연체(420)는 전방과 후방으로 배치된 극판(310)과 극판(31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S2)체결로 고정된다.
상기 힌지부(500)는 상,하부방전부(100)(200)의 힌지편(121)(221)과 절연부(400)의 일측 절연체(41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이러한 힌지부(500)는 상,하부방전부(100)(200)를 절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하부방전부(100)(200)를 접으면 상,하부방전부(100)(20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 4에서와 같이 상,하부방전부(100)(200)를 펼치면 상,하부방전부(100)(20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상,하부방전부(100)(200)를 간단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하부방전부(100)(200)를 닫은 상태에서 유조(11)의 내부로 투입하여 튀김기름에 정전기를 인가할 수 있고, 사용 후 세척시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하부방전부(100)(200)를 간단하게 열고 극판부(300)와 상,하부방전부(100)(200)의 내부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전판(110)(210)의 일측 중앙부에는 반원형의 선인출공(112)(21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선(330)은 다수의 극판(310)들 중 중앙부에 배치된 극판(310)에 접속되어 세척시 방전판(110)(210)을 일직선상으로 펼치면 상기 선인출공(112)(212)으로 연결선(330)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세척시 상,하부방전부(100)(200)를 일직선상으로 펼치면 방전판(110)(210)의 선인출공(112)(212)으로 연결선(330)이 끼워지기 때문에, 세척작업시 연결선(300)이 방전판(110)(210)의 모서리에 눌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선(33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하부방전부(100)(200)의 힌지편(121)(221)과 절연부(400)의 일측 절연체(410)에는 나사공(121a)(221a)(41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500)는 나사공(121a)(221a)(411)에 끼워지는 나사(510) 및 나사(510)에 체결되는 너트(5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나사공(121a)(221a)(411)에 나사(510)를 끼우고, 상기 나사(510)에 너트(520)를 체결하면 상,하부방전부(100)(200)와 절연체(410)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방전부(100)의 고정편(122)에는 고정공(122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방전부(200)의 고정편(222)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공(122a)에 끼워지는 반구형의 고정돌기(222a)가 형성된다. 이때, 도 3,5에서와 같이 상,하부방전부(100)(200)를 닫은 상태에서는 고정돌기(222a)가 고정공(122a)에 끼워지면서 고정되므로 상,하부방전부(100)(200)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하부방전부(100)(200)의 타측을 두 손으로 잡고 상하로 벌리면 고정돌기(222a)가 고정공(122a)에서 빠져나오면서 도 4에서와 같이 펼쳐지므로 상,하부방전부(100)(200)를 간단하게 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방전부(100)의 방전판(110) 상부 모서리와 하부방전부(200)의 방전판(210) 하부 모서리에는 절연체(600)가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절연체(600)는 방전판(110)(210)의 외면 모서리에 나사체결로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절연체(600)는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져 유조(11)와 방전판(110)(210)을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방전부(100)의 방전판(110)에도 절연체(600)를 고정한 것은 상,하부방전부(100)(200)를 유조(11)에 반대로 뒤집어서 투입할 경우 유조(11)와 상부방전부(100)의 방전판(110)을 이격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튀기는 과정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튀기기 위해서는, 먼저 유조(11)의 바닥 중앙부에 극판부(300)가 내장된 상,하부방전부(100)(200)를 투입한 상태에서 튀김기(10)의 가열수단(13)으로 튀김기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길 수 있는 온도로 상승시킨다. 이때, 유조(11)에 극판부(300)가 내장된 상,하부방전부(100)(200)를 넣거나 또는 꺼낼 때에는 반드시 트랜스(20)의 스위치(24)를 오프시킨 후 사용해야 한다.
가열수단(13)에 의해 튀김기름이 가열되어 튀김을 하기 적정한 온도로 상승하면 음식물을 튀김바구니(14)에 넣고, 또한 트랜스(20)의 스위치(24)를 온시켜 전기부재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 저전류가 극판부(300)로 인가되도록 하여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트랜스(2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은 고전압이고, 전류는 0.3A 이하로 저전류가 인가된다. 또한, 트랜스(20)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 저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는 그 주변으로 50~60㎐의 파동으로 전해지고, 이러한 파동으로 고전압 정전기에 의해 전장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에 의한 상,하부방전부(100)(200)는 방전판(110)(210)에 형성된 다수의 방전홀(111)(211)을 통해 트랜스(20)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 저전류에 의해 정전기가 방전되는 면적의 범위를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전장(電場)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극판부(300)와 상,하부방전부(100)(200)가 함께 트랜스(20)에서 인가되는 고전압 저전류에 의해 정전기를 발생시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지 않으며, 극판부(300) 및 상,하부방전부(100)(200)에 의해 저주파 진동에 의한 파동 상태로 튀김기름에 전파되어 넓은 범위로 파장이 형성되므로 튀김기름의 신선도가 유지된다.
상기 튀김기(10)에서 튀겨지는 음식물이 튀김기름을 흡유하는 양이 낮아지므로 튀겨진 음식물이 장시간 바삭함을 유지하여 식감이 좋아지는 것은 물론 음식물에서 튀김기름의 흡유가 적어 트랜스지방을 40% 이상 낮출 수 있고, 튀김기름의 산패를 최대한 방지하므로 일반 튀김에서 사용하는 시간에 대비하여 튀김기름을 3배 이상 오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튀김기름이 절감되며, 성질이 서로 다른 음식물을 1대의 튀김기(10)에서 함께 튀겨도 음식물 자체의 맛이 전이되어 베이지 않으므로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1대의 튀김기(10)를 이용하여 튀길 수 있다.
상기 튀김기(10)의 유조(11)에서는 음식물을 넣으면 고전압 정전기가 음식물의 내부로 빠르게 침투하여 내부를 고르게 익혀 겉은 바삭하고 속 육즙은 살아있어 식감이 좋아지게 되고, 또한 열전도율이 높아지므로 음식물을 단시간에 튀길 수 있어 30% 이상 튀김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극판부(300)와 상,하부방전부(100)(200)에 의해 고전압 정전기의 효과가 발생하여 튀김기름과 음식물의 수분과 유화(類化)가 어려워지며, 또한 물 분자의 클러스터를 작게 쪼개어 음식물의 열전도율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유증기와 유연(油煙)이 감소되기 때문에, 유증기 및 유연에 의한 튀김기름의 소모량이 적어 튀김기름이 줄어들지 않는 것은 물론 유증기의 발생이 거의 없는 쾌적한 주방환경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튀김기(10)의 유조(11) 바닥에 극판부(300)가 내장된 상,하부방전부(100)(200)가 설치되고, 극판부(300)는 외부 트랜스(20)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으로 튀김기름에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때문에, 음식물을 튀기는 튀김기름의 산패가 느리게 진행되어 튀김기름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극판부(300)와 상,하부방전부(100)(200)의 주위로 형성된 전장에 의해 정전기가 튀김기름에 직접 인가되므로 튀김기름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극판(310)으로 이루어지는 극판부(300)와 다수의 방전홀(111)(211)을 구비하는 상,하부방전부(100)(200)에 의해 넓은 범위로 정전기가 퍼지고, 이를 통해 전장을 한층 더 넓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튀김기름의 산패 지연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부방전부(100)(200)와 극판부(300)가 힌지부(500)에 의해 절첩식으로 간단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 후 상,하부방전부(100)(200)를 간단하게 열고 극판부(300)와 상,하부방전부(100)(200)의 내부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튀김기 11 : 유조
20 : 트랜스 100 : 상부방전부
110 : 방전판 111 : 방전홀
112 : 선인출공 120 : 절곡편
121 : 힌지편 121a : 나사공
122 : 고정편 122a : 고정공
123 : 방전홀 200 : 하부방전부
210 : 방전판 211 : 방전홀
212 : 선인출공 220 : 절곡편
221 : 힌지편 221a : 나사공
222 : 고정편 222a : 고정돌기
223 : 방전홀 300 : 극판부
310 : 극판 320 : 지지봉
330 : 연결선 331 : 연결잭
332 : 접속단자 332a : 리벳
333 : 보조단자 333a : 리벳
400 : 절연부 410,420 : 절연체
411 : 나사공 500 : 힌지부
510 : 나사 520 : 너트
600 : 절연체 S1,S2 : 나사
N : 너트

Claims (10)

  1. 튀김기(10)의 유조(11) 바닥에 설치되어 외부 트랜스(20)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으로 정전기를 인가하여 튀김기름의 산패를 지연시키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로서, 다수의 방전홀(111)을 구비하는 방전판(110)과, 방전판(110)의 전,후방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일측 힌지편(121)과 타측 고정편(122)을 구비하는 절곡편(120)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방전부(100); 상기 상부방전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수의 방전홀(211)을 구비하는 방전판(210)과, 방전판(210)의 전,후방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일측 힌지편(221)과 타측 고정편(222)을 구비하는 절곡편(220)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방전부(200); 상기 상부방전부(100)와 하부방전부(200) 사이에 길이방향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극판(310)과, 극판(310)들의 양측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는 간격유지용 지지봉(320)과, 극판(310)들 중 어느 하나의 극판(310) 일측에 접속되어 트랜스(20)와 연결되는 연결선(330)으로 이루어지고, 연결선(330)에는 극판(310)에 리벳(332a)으로 고정되는 접속단자(332)가 구비된 극판부(300); 상기 극판부(300)의 양측 전,후방에 고정되어 극판(310)과 상,하부방전부(100)(200)를 이격시키는 일측 절연체(410) 및 타측 절연체(420)로 이루어지는 절연부(400); 상기 상,하부방전부(100)(200)의 힌지편(121)(221)과 절연체(41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방전부(100)의 고정편(122)에는 고정공(122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방전부(200)의 고정편(222)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공(122a)에 끼워지는 반구형의 고정돌기(222a)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방전부(100)(200)의 힌지편(121)(221)과 고정편(122)(222)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방전홀(123)(223)이 형성되고, 상기 방전홀(123)(223)의 양측에는 확장홀(123a)(223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극판부(300)의 연결선(330)에는 극판(310)에 리벳(333a)으로 고정되는 보조단자(3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판(110)(210)의 일측 중앙부에는 반원형의 선인출공(112)(21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선(330)은 다수의 극판(310)들 중 중앙부에 배치된 극판(310)에 접속되어 세척시 방전판(110)(210)을 일직선상으로 펼치면 상기 선인출공(112)(212)으로 연결선(330)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방전부(100)(200)의 힌지편(121)(221)과 절연부(400)의 일측 절연체(410)에는 나사공(121a)(221a)(41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500)는 나사공(121a)(221a)(411)에 끼워지는 나사(510) 및 나사(510)에 체결되는 너트(5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부(300)의 극판(310)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극판(310)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으로 배치된 중앙 극판(310)의 일측으로 위치하는 극판(310)들과 타측으로 위치하는 극판(310)들은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부(300)의 극판(310)들 중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극판(310)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으로 배치된 양단 극판(310) 사이에 위치하는 극판(310)들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400)의 일측 절연체(410)는 전방과 후방으로 배치된 극판(310)의 외면에 나사(S1)와 너트(N)체결로 고정되고, 상기 절연부(400)의 타측 절연체(420)는 전방과 후방으로 배치된 극판(310)과 극판(31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S2)체결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전부(100)의 방전판(110) 상부 모서리와 하부방전부(200)의 방전판(210) 하부 모서리에는 절연체(600)가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KR1020190012847A 2019-01-31 2019-01-31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KR10204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47A KR102046076B1 (ko) 2019-01-31 2019-01-31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47A KR102046076B1 (ko) 2019-01-31 2019-01-31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076B1 true KR102046076B1 (ko) 2019-11-18

Family

ID=6872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847A KR102046076B1 (ko) 2019-01-31 2019-01-31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0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249A (ko) 2003-01-02 2004-07-07 김대원 고전압정전기를 이용한 음식물산화방지시스템
JP3694719B2 (ja) 2001-10-30 2005-09-14 明葵 太箸 静電場発生装置
KR20120119316A (ko) * 2011-04-21 2012-10-31 (주)그린이앤지 식용유용 산화 방지장치
JP2012254248A (ja) * 2011-06-10 2012-12-27 Kanaji Tatsuo フライヤー用高電場形成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備えたフライヤー
KR20170088170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플라즈맵 플라즈마를 이용한 육가공 식품 처리 방법 및 플라즈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4719B2 (ja) 2001-10-30 2005-09-14 明葵 太箸 静電場発生装置
KR20040062249A (ko) 2003-01-02 2004-07-07 김대원 고전압정전기를 이용한 음식물산화방지시스템
KR20120119316A (ko) * 2011-04-21 2012-10-31 (주)그린이앤지 식용유용 산화 방지장치
JP2012254248A (ja) * 2011-06-10 2012-12-27 Kanaji Tatsuo フライヤー用高電場形成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備えたフライヤー
KR20170088170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플라즈맵 플라즈마를 이용한 육가공 식품 처리 방법 및 플라즈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91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heating of food products
JP5970297B2 (ja) 電場処理加熱加工装置
US7654196B2 (en) Electric field forming apparatus for a fryer
EP3503678A1 (en) Pulsed electric field cooking device
KR102046076B1 (ko)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KR102046077B1 (ko) 튀김기의 신선도 유지장치
KR102046078B1 (ko) 튀김기의 걸름망 겸용 신선도 유지장치
US2443806A (en) Electric food warmer
RU2756205C1 (ru) Обж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JP6688020B2 (ja) フライヤー
KR102011929B1 (ko) 튀김기용 신선도 유지를 위한 방전구조
KR102029327B1 (ko) 튀김기용 신선도 유지장치
JP4367984B2 (ja) 静電場処理装置
US31674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stance cooking
JP2001095695A (ja) 電場形成装置及びフライヤー
WO2023007893A1 (ja) 食用油の電界処理装置および食用油の電界処理方法
JP3694719B2 (ja) 静電場発生装置
JP3111795U (ja) フライヤー用プレート
US2980010A (en) Electric cooking device
JPH09266859A (ja) 食用揚油の変敗抑止装置
KR101025548B1 (ko) 기능성 튀김용 식용류 산화방지장치
KR200350163Y1 (ko) 튀김기름 내 정전장발생장치
KR102384982B1 (ko) 튀김 대상물의 종류에 맞춰 방사되는 전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튀김기
CN113576232B (zh) 一种烹饪设备及方法、装置、存储介质
KR20210000296U (ko) 유증발생억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