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048B1 - 윙도어 적재함 화물차량의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 - Google Patents

윙도어 적재함 화물차량의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048B1
KR102046048B1 KR1020190014025A KR20190014025A KR102046048B1 KR 102046048 B1 KR102046048 B1 KR 102046048B1 KR 1020190014025 A KR1020190014025 A KR 1020190014025A KR 20190014025 A KR20190014025 A KR 20190014025A KR 102046048 B1 KR102046048 B1 KR 102046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terminal
stage
pow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하
Original Assignee
이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하 filed Critical 이진하
Priority to KR102019001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윙도어 적재함 화물차량의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트모터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윙작동차단부를 작동시켜 윙컨트롤박스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윙도어 적재함 화물차량의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Engine Lock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윙도어 적재함 화물차량의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트모터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윙작동차단부를 작동시켜 윙컨트롤박스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트럭과 같은 화물을 적재하는 차량은 무개차와 유개차로 나뉜다. 무개차는 우천 또는 눈이 내리는 경우에는 누수로 인한 화물의 손상을 막기가 어렵다. 근래에는 이삿짐이나 중요한 화물과 같이 화물의 손상이 발생하여서는 안되는 경우에는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차량으로서 윙바디 트럭 또는 탑차와 같은 유개차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유개차형 화물차의 적재함은 폐쇄구조를 가지면서 후면에만 여닫이 형태의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위와 같은 화물차는 무게가 무거운 화물을 적재할 때엔 화물을 적재함의 전면까지 이송시켜 적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적재함의 양쪽 면이 개폐되는 윙바디 차량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윙바디 차량은 화물의 상하차를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며 특히 적재능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화물의 상차 또는 하차하는 도중에 운전자의 주의력 결핍으로 인하여 차량이 조금이라도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로 인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이 정차하는 곳이 여러 설비 라인 등이 설치된 도크인 경우 차량이 조금이라도 잘못 움직이게 되면 설비 라인의 손상이 생길 수 있고, 이는 경우에 따라서는 생산 라인의 가동 중단 등 큰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차 또는 하차를 위해서 윙을 여는 경우 차량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시동락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동키가 시동관련 전원부에 위치할 때뿐만 아니라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여 스타트모터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윙컨트롤박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윙작동차단부를 포함하는 윙 연동 시동락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타트모터 전원부, 시동키가 상기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여 스타트모터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오프(Off)되는 비시동관련 전원부, 상기 시동키가 상기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타트모터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시동관련 전원부를 포함하는 시동키박스를 가지는 윙 게이트 차량의 윙 연동 시동락 장치에 있어서,
윙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윙작동감지센서; 시동키가 시동관련 전원부에 위치할 때뿐만 아니라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여 스타트모터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윙컨트롤박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윙작동차단부; 및
상기 윙작동감지센서가 상기 윙의 작동을 감지한 경우, 상기 시동키가 상기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타트모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시동차단부;를 포함하는 윙 연동 시동락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윙작동차단부의 일측과 상기 시동차단부의 일측은 함께 상기 시동관련 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윙작동차단부의 타측과 상기 시동차단부의 타측은 함께 상기 윙작동감지센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윙작동감지센서가 연결된 상기 윙작동차단부의 상기 타측에는 전체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스위치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윙작동감지센서가 연결된 상기 시동차단부의 상기 타측에는 경고등 전원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동차단부는 상기 스타트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스타트모터의 접점을 직접 차단함으로써 상기 스타트모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윙작동차단부와 상기 시동차단부는 모두 릴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윙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윙작동감지센서; 상기 윙작동감지센서의 동작과 무관하게, 차량의 시동을 주기 위해 스타트모터가 작동하는 동안에도 윙컨트롤박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윙작동차단부; 및
상기 윙작동감지센서가 상기 윙의 작동을 감지한 경우, 상기 스타트모터의 작동을 차단하는 시동차단부;를 포함하는 윙 시동락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윙 게이트 차량의 윙을 오픈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 걸림이 차단되고, 반대로 작업자가 시동키를 돌려 차량의 시동을 거는 경우 윙컨트롤박스의 전원이 차단되어 윙도어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윙 연동 시동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가 장착되는 윙 게이트 차량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시동키박스의 각 단에 따라서 각 단자들에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4는 시동키박스의 각 단에 따라서 각 단자들 간에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가 장착되는 윙 게이트 차량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는 스타트모터 전원부, 시동키가 상기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여 스타트모터(2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오프(Off)되는 비시동관련 전원부, 상기 시동키가 상기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타트모터(2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시동관련 전원부(210)를 포함하는 시동키박스를 가지는 윙 게이트 차량의 윙 시동락 장치(100)에 있어서,
윙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윙작동감지센서(110);
시동키가 시동관련 전원부(210)에 위치할 때뿐만 아니라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여 스타트모터(220)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윙컨트롤박스(300)의 전원을 차단하는 윙작동차단부(120); 및
상기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상기 윙의 작동을 감지한 경우, 상기 시동키가 상기 시동관련 전원부(210)에 위치할 때뿐만 아니라 상기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스타트모터(220)의 회전을 차단하는 시동차단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시동키박스의 각 단에 따라서 각 단자들에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3에서 기호 O 는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기호 X 는 전원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시동키박스의 각 단에 따라서 각 단자들 간에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에서 시동키박스의 일례는 키홀의 전원이 오프 단(OFF), 제1 단(ACC), 제2 단(ON), 제3 단(START)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운전자가 시동키를 키홀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순차적으로 상기 각각의 단으로 시동키를 위치시킬 수 있다. 시동키는 제3 단(START)에 위치하여 스타트모터(220)를 작동시킨 뒤에는 리턴스프링에 의하여 다시 제2 단(ON)에 머물게 되고 이 상태에서 차량의 엔진은 시동 온(On)된다(여기서 아이들링 상태가 됨).
이 경우 운전자가 시동키를 오프 단(OFF)에 놓으면 배터리 단자에 상시 전원만이 공급되고, 제1 단(ACC)에 놓으면 ACC 단자에만 전원이 공급되며, 제2 단(ON)에 놓으면 IG1, IG2, ACC 단자에 전원이 공급되며, 제3 단(START)에 놓으면 START 단자(230)와 IG1 단자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IG2, ACC 단자에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구조이다. 배터리(Bt) 상시전원은 오프 단(OFf)뿐만 아니라 시동키가 제1 단(ACC), 제2 단(ON), 제3 단(START)에 순차적으로 위치했다가 다시 제2 단(ON)에 머물게 될때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로 있게 된다.
시동키박스에서 각 단자의 접점은 용도와 모드 별로 어디로 연결되느냐이다. ACC 단자는 오디오나 시가라이터 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START 단자(230)는 스타트모터(220)의 마그네틱을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IG1 단자는 점화코일, 연료펌프, 메인릴레이 등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IG2 단자는 와이퍼나 블로어모터 등 차량의 시동과 관련없는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 외에 배터리 상시전원 단자는 시동키 유무나 시동키의 위치와 관계없이 항상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로서 브레이크등, 실내등 등의 전원을 공급한다.
시동키가 제3 단(START)에 위치할 때 IG2, ACC 단자에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은 배터리의 존재 목적 중 가장 큰 것이 시동이며, 시동시에는 가급적 모든 에너지를 시동에 치중하기 위해서 시동에 불필요한 IG2, ACC 단자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에서 스타트모터 전원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시동키박스의 제3 단(START)과 스타트모터(220)의 마그네틱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동키가 상기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한다는 의미는 운전자가 시동키를 키홀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제3 단(START)에 놓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시동키가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면 스타트모터(220)가 회전하여 차량에 시동이 걸릴 수 있다.
비시동관련 전원부는 시동키가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하여 스타트모터(2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오프(Off)되는 전원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비시동관련 전원부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운전자가 시동키를 키홀에 삽입하고 돌려서 시동키가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되어 스타트모터(220)가 회전할 때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은 예컨대 ACC, IG2 단자를 의미할 수 있다.
시동관련 전원부(210)는 시동키가 제2 단(ON)에 놓여진 경우뿐만 아니라 스타트모터 전원부(제3 단을 의미함)에 위치하여 스타트모터(2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전원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시동관련 전원부(210)는 실시예에 따라서 운전자가 시동키를 키홀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시동키가 스타트모터 전원부에 위치되어 스타트모터(220)가 회전할 때에도 전원의 공급이 유지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자는 예컨대 IG1 단자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에서 윙작동차단부(120)는 윙컨트롤박스(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윙컨트롤박스(300)의 전원을 차단하여 윙의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윙컨트롤박스(300)는 예컨대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윙의 개방 또는 폐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제어장치로서 이 제어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여 윙의 개폐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작동차단부(120)의 작동 조건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윙작동차단부(120)는 시동키가 키홀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시동키가 오프 단(OFF)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시동키가 제1 단(ACC)에 위치하는 경우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윙작동차단부(120)는 동작하지 않으며 윙컨트롤박스(300)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윙컨트롤박스(300)를 조작하여 윙을 동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시동키가 제2 단(ON)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시동키가 제3 단(START)에 위치하는 경우는 윙작동차단부(120)에 전원이 공급되고, 윙작동차단부(120)는 윙컨트롤박스(300)의 작동을 차단한다.
이 경우 시동키가 리턴 스프링에 의해서 제3 단(START)에서 다시 제2 단(ON)으로 복원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원이 공급이 유지되므로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한 스탠바이 상태와 스타트모터(220)를 작동시켜 차량에 시동을 시도하는 과도기 상태와 차량에 시동이 완전히 걸리는 아이들링 상태의 세 가지 상태에서 웡작동차단부는 계속적으로 작동한다.
즉, 작업자가 시동키를 삽입하고 회전시켜 제2 단(ON)에 위치시키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3 단(START)에 위치시켜 스타트모터(220)가 작동하는 동안에도 윙작동차단부(120)는 윙컨트롤박스(300)를 차단하므로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모든 단계에서 윙작동을 차단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윙작동차단부(120)가 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의 일 실시예는 윙작동차단부(120)가 시동키박스의 IG1 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에서 시동차단부(130)는 시동키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시동키박스 중에서 스타트모터(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시동을 차단할 수 있다. 시동키박스는 예컨대 차량의 전장부품 및 시동을 걸기 위한 스타트모터(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이 장치 중에서 스타트모터(220)와 연결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스타트모터(220)의 작동을 차단함으로써 시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 시동락 장치(100)에서 시동차단부(130)는 윙작동감지센서(110)와 연결되어,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윙이 작동하고 있음을 감지한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윙작동감지센서(110)는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윙의 동작을 감지하면 스위치를 온(On)시켜 통전시킴으로써 시동차단부(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차단부(130)의 작동 조건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동차단부(130)는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윙의 작동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시동키가 키홀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시동키가 오프 단(OFF)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시동키가 제1 단(ACC)에 위치하는 경우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시동차단부(130)는 동작하지 않으며 시동키박스 중에서 스타트모터(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으므로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언제든지 시동키박스를 조작하여 차량에 시동을 걸 수 있다.
그러나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윙의 작동을 감지한 상태에서 시동키가 제2 단(ON)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윙의 작동을 감지한 상태에서 시동키가 제3 단(START)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시동차단부(130)에 전원이 공급되고, 시동차단부(130)는 시동키박스 중에서 스타트모터(220)의 작동을 차단한다.
이 경우 시동키가 리턴 스프링에 의해서 제3 단(START)에서 다시 제2 단(ON)으로 복원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시동차단부(130)에 전원이 공급이 유지되므로 시동차단부(130)는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스타트모터(220)의 작동을 차단한다.
스타트모터(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시동키가 제3 단(START)에만 위치할 때이므로 이 경우에만 실질적으로 시동차단부(130)가 차단 기능을 발휘하여 스타트모터(220)의 작동을 차단한다.
즉,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윙의 작동을 감지한 상황에서, 작업자가 시동키를 삽입하고 회전시켜 제2 단(ON)에 위치시키는 경우와 제3 단(START)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시동차단부(1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시동차단부(130)가 작동하여 스타트모터(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시동차단부(130)가 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의 일 실시예는 시동차단부(130)가 시동키박스의 IG1 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스타트모터(22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 시동키박스의 스타트모터(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과 연결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윙작동차단부(120)의 일측과 시동차단부(130)의 일측은 함께 시동관련 전원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윙작동차단부(120)와 시동차단부(130)는 모두 함께 시동관련 전원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시동관련 전원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IG1 단자일 수 있다.
IG1 단자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IG1 단자는 이렇게 공급받은 전원을 윙작동차단부(120)와 시동차단부(13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윙작동차단부(120)의 타측과 시동차단부(130)의 타측은 함께 윙작동감지센서(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연결된 윙작동차단부(120)의 타측은 차체 접지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차체 접지부(250)와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연결된 윙작동차단부(120)의 타측 사이에는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의 전체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스위치(3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윙작동차단부(120)는 일측은 전원이 공급되는 IG1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되며 타측에 장치스위치(320)가 연결되므로 이 온오프 스위치가 온(On)되면 IG1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시동차단부(130)는 일측은 전원이 공급되는 IG1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은 윙작동감지센서(1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시동차단부(130)는 장치스위치(320)가 온(On)되고,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윙 작동을 감지하면 IG1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윙작동감지센서(110)는 온오프 스위치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온(On)되면 통전되므로 시동차단부(130)는 IG1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연결된 시동차단부(130)의 타측에는 경고등(310) 신호전송부가 연결될 수 있다. 즉 경고등(310)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부의 일측은 시동키박스의 배터리 단자(240)에 연결되고 타측은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연결된 시동차단부(130)의 타측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구조는 장치스위치(320)가 온(On)되고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온(On)되면, 경고등(310)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시동차단부(130)는 스타트모터(220)와 직접 연결되어 스타트모터(220)의 접점을 직접 차단함으로써 스타트모터(22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시동차단부(130)의 일측은 스타트모터(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라인에 연결되고, 타측은 시동키박스의 START 단자(230)에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윙작동차단부(120)와 시동차단부(130)는 모두 릴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 장치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은 전자석이 되어 주변의 금속을 담김으로 인해 접점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떨어져 있던 라인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거나, 주변의 금속을 담김으로 인해 접점이 서로 떨어지고, 서로 연결되어 있던 라인이 떨어지는 구조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윙작동차단부(120)와 시동차단부(130)는 전원이 공급되면 접점이 서로 떨어지고, 서로 연결되어 있던 라인이 떨어지는 구조에 의하여 윙컨트롤박스(300) 또는 시동키박스 중에서 스타트모터(220)의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윙 시동락 장치(100)는 배터리 상시 전원부, 악세서리 전원부, 차량의 시동과 관계된 전장부품을 온시키는 IG1 전원부, 상기 차량의 시동과 비관계된 전장부품을 온시키는 IG2 전원부 및 스타트모터(220)를 작동시키는 스타트모터 전원부 각각에 시동키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시동키박스를 가지는 윙 게이트 차량의 윙 연동 시동락 장치(100)에 있어서,
윙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윙작동감지센서(110); 상기 윙작동감지센서(110)의 동작과 무관하게, 차량의 시동을 주기 위해 스타트모터(220)가 작동하는 동안에도 윙컨트롤박스(300)의 전원을 차단하는 윙작동차단부(120); 및
상기 윙작동감지센서(110)가 상기 윙의 작동을 감지한 경우, 상기 스타트모터(220)의 작동을 차단하는 시동차단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윙 연동 시동락 장치
110: 윙작동감지센서
120: 윙작동차단부
130: 시동차단부
210: 시동관련 전원부
220: 스타트모터
230: START 단자
240: 배터리 단자
250: 차체 접지부
300: 윙컨트롤박스
310: 경고등
320: 장치스위치

Claims (8)

  1. 키홀의 전원이 오프 단(OFF), 제1 단(ACC), 제2 단(ON), 제3 단(START)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운전자가 시동키를 상기 키홀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순차적으로 상기 오프 단(OFF), 상기 제1 단(ACC), 상기 제2 단(ON), 상기 제3 단(START)의 각각의 단으로 상기 시동키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시동키는 상기 제3 단(START)에 위치하여 스타트모터를 작동시킨 뒤에는 리턴스프링에 의하여 다시 상기 제2 단(ON)에 머물게 되고 이 상태에서 차량의 엔진은 시동 온(On)되어 아이들링 상태가 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시동키를 상기 제1 단(ACC)에 놓으면 ACC 단자에만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2 단(ON)에 놓으면 IG1 단자, IG2 단자 및 상기 ACC 단자에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3 단(START)에 놓으면 차량의 시동에 치중하기 위하여 START 단자와 상기 IG1 단자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IG2 단자, 상기 ACC 단자에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ACC 단자는 오디오, 시가라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이고, 상기 IG1 단자는 점화코일, 연료펌프, 메인릴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이고, 상기 IG2 단자는 와이퍼, 블로어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동과 관련없는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이고, 상기 START 단자는 상기 스타트모터를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인 시동키박스를 가지는 윙 게이트 차량의 윙 연동 시동락 장치에 있어서,
    윙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윙작동감지센서;
    상기 시동키박스의 상기 IG1 단자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IG1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시동키가 상기 제2 단(ON)에 위치할 때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단(START)에 위치하여 상기 스타트모터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윙컨트롤박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윙작동차단부; 및
    상기 윙작동차단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시동키박스의 상기 IG1 단자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IG1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윙작동감지센서가 상기 윙의 작동을 감지하고, 상기 시동키가 상기 제3 단(START)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타트모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시동차단부;
    를 포함하는 윙 연동 시동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차단부는 상기 스타트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스타트모터의 접점을 직접 차단함으로써 상기 스타트모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연동 시동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작동차단부와 상기 시동차단부는 모두 릴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연동 시동락 장치.
  8. 삭제
KR1020190014025A 2019-02-01 2019-02-01 윙도어 적재함 화물차량의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 KR102046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025A KR102046048B1 (ko) 2019-02-01 2019-02-01 윙도어 적재함 화물차량의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025A KR102046048B1 (ko) 2019-02-01 2019-02-01 윙도어 적재함 화물차량의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048B1 true KR102046048B1 (ko) 2019-11-18

Family

ID=6872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025A KR102046048B1 (ko) 2019-02-01 2019-02-01 윙도어 적재함 화물차량의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0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877A (ko) * 2006-11-20 2006-12-11 최봉추 윙바디스타일 차량의 윙바디 안전장치
JP3886606B2 (ja) * 1997-07-31 2007-02-2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トラックの荷台のウイング閉じ忘れ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6606B2 (ja) * 1997-07-31 2007-02-2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トラックの荷台のウイング閉じ忘れ防止装置
KR20060126877A (ko) * 2006-11-20 2006-12-11 최봉추 윙바디스타일 차량의 윙바디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4688B2 (en) Fuel gas filling system
JP6710581B2 (ja) 車両用バッテリーの過放電防止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0089597A (ja) バッテリーを利用した車両盗難防止装置
JP422528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220120119A1 (en) Locking device to lock and/or unlock movable car closure elements
JPH03105061A (ja) 給電制御装置
KR102046048B1 (ko) 윙도어 적재함 화물차량의 윙도어 연동 엔진 시동락 장치
JP4037242B2 (ja) 気体燃料充填システム
US6800960B2 (en) Short circuit protection system for a starter circuit
KR102383234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10137748A (ja) 電源装置
JP6565792B2 (ja) 電動車両用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3025876B2 (ja) ウイングルーフ付貨物自動車の安全装置
KR100781804B1 (ko) 윙바디스타일 차량의 윙바디 안전장치
JP2007187048A (ja) エンジンの停止制御装置
KR100229462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CN217431917U (zh) 控制电路以及破碎机
JP2006129589A (ja) 電気自動車
JP3886606B2 (ja) トラックの荷台のウイング閉じ忘れ防止装置
KR200185610Y1 (ko) 주유중 엔진구동 제어장치
KR20020055617A (ko) Lpg차량의 엔진 시동장치
JP2001347840A (ja) 開閉部材の作動回路
US20090283389A1 (en) Battery saving circuit
KR20020039769A (ko) 자동차 침수시 전원 차단장치
KR100224208B1 (ko) 차량 도난 방지용 연료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