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737B1 -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737B1
KR102045737B1 KR1020170161219A KR20170161219A KR102045737B1 KR 102045737 B1 KR102045737 B1 KR 102045737B1 KR 1020170161219 A KR1020170161219 A KR 1020170161219A KR 20170161219 A KR20170161219 A KR 20170161219A KR 102045737 B1 KR102045737 B1 KR 10204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ade
unit
blade
sensor unit
recogni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727A (ko
Inventor
심명흠
Original Assignee
제이스테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스테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스테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7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63Controlling cutting, cutting resulting in special shapes of the cutting line, e.g. controlling cutting positions, e.g. for cutting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a printed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6Alarms, indicators, or feed-disabling devices responsible to material breakage or exhaustion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은, 고정날과 면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고정날 과의 사이로 배출되는 용지를 절단하도록 상기 고정날로 전진한 후 원위치로 후진하는 가동날을 구비하는 가동날 유닛 및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Location Recognition Module for Moving Cutter And Prin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여 용지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프린터의 경우, 가동날이 용지를 완전히 절단하지 못한 경우, 가동날이 고정날과 접하여 멈춘 상태에서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데, 상기 가동날과 연결된 구동부는 정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는 과정을 완료하였기 때문에, 프린터 자신은 용지가 완전히 컷팅되었는지 또는 불완전하게 컷팅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가 없다. 그리고, 위와 같이,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 된 상태에서, 용지 배출 및 컷팅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용지걸림에 의한 jam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고정날로 전진한 후 원위치로 후진하는 가동날과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가동날 유닛 및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도록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구비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날이 원위치에서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온 또는 오프되는 배열상태 및 배열순서에 의해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여 용지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경우, 감지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경고표시를 하는 알람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지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알릴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가동날의 메인가이드부의 후방 끝단을 제1센서부의 제1발광부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및 형성하여 가동날이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원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즉시 원위치를 벗어난다는 것을 감지부가 인식하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를 벗어난 후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상태에서 정전 등 외부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가동날이 다시 진정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는, 고정날과 면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고정날 과의 사이로 배출되는 용지를 절단하도록 상기 고정날로 전진한 후 원위치로 후진하는 가동날을 구비하는 가동날 유닛 및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날유닛은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가동날의 이동위치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는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바는 메인가이드부;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서브가이드부 및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서브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유닛은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경로상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발광부와 제1수광부를 구비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경로상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발광부와 제2수광부를 구비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메인가이드부 또는 상기 서브가이드부가 자신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오프, 위치하지 않을 때 온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유닛은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이드바가 원위치에서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온 또는 오프되는 배열상태 및 배열순서에 의해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가이드부의 후방 끝단은 상기 제1발광부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및 형성되어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즉시 원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서브가이드부는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날이 상기 고정날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및 온/오프 되는 상태 중 어느 한 상태까지 된 후,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후진한 경우,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상태이다.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과정 중 어느 한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표시를 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동날이 상기 고정날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온/오프 및 온/온되고,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후진한 경우, 용지가 완전하게 컷팅되는 상태이다.
가동날이 원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외부전력이 차단된 경우,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장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고정날의 끝단은 상기 가동날의 끝단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에 감지유닛을 구비하여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함으로써, 인쇄용지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에게 인쇄용지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알려서, 불완전하게 컷팅된 용지를 제거함으로써, 용지걸림에 의한 jam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가동날이 원위치를 벗어난 후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상태에서 정전 등 외부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가동날이 다시 진정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용지가 가동날과 고정날 사이에 끼여서 jam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을 구비한 인쇄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의 가동날유닛 및 고정날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의 가동날유닛 및 감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의 가동날유닛 및 감지유닛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의 가동날유닛이 용지를 컷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프린터 등의 인쇄장치에 구비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 및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을 포함한 인쇄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은 가동날유닛(200) 및 감지유닛(500)으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인쇄장치(10)의 일측에는 고정날(30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날(300)에 면접하여 가동날(210)이 구비된 가동날유닛(200)이 설치된다.
가동날유닛(200)은 가동날(210) 및 상기 가동날(210)과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는 이송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재(230)의 양측 하부에는 가이드기어(23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기어(232)가 구동부(M)와 연결된 복수개의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가동날(2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날유닛(200)은 배출되는 용지에 인쇄가 완료되면 용지를 절단하도록 기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날(300)이 인쇄장치(10)의 커버에 설치되며 가동날유닛(200)이 본체에 설치되나, 인쇄장치(10)의 타입에 따라 고정날(300)이 본체에 설치되고 가동날유닛(200)이 커버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동날유닛(200)과 고정날(300) 사이로는 인쇄용지가 상방으로 배출되며, 가동날유닛(200)의 가동날(210)은 배출되는 용지를 절단하도록 고정날(300)을 향해 전진하며, 전진한 후에는 원위치로 후진된다. 상기 가동날(210)이 전진 및 후진하는 이동거리는 인쇄장치(10)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날(300)의 전방 하부에는 스프링(미도시) 등의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평소에는 고정날(300)의 전방이 상향경사지게 기울어져 있으나, 가동날(210)이 고정날(300)로 전진하는 경우, 상기 고정날(300)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가동날(210)이 고정날(300)을 탄성적으로 누름으로써, 인쇄용지의 컷팅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가동날(210)의 양단에는 하부에 상향 경사진 경사돌기(217)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인쇄용지(900)를 컷팅하면서, 상기 경사돌기(217)가 고정날(300)을 타고 넘어가면서 가위와 같은 전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감지유닛(500)은 가동날(210)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함으로써, 인쇄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가동날(210)과 연결된 구동부(M)는 가동날(210)을 기설정된 이동거리만큼 전진시키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가동날(210)이 전진된 후에는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종래기술의 프린터의 경우, 배경기술 항목에 기술한 바와 같이, 가동날이 용지를 완전히 절단하지 못한 경우, 가동날이 고정날과 접하여 멈춘 상태에서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데, 상기 가동날과 연결된 구동부는 정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는 과정을 완료하였기 때문에, 프린터 자신은 용지가 완전히 컷팅되었는지 또는 불완전하게 컷팅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가 없다. 그리고, 위와 같이,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 된 상태에서, 용지 배출 및 컷팅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용지걸림에 의한 jam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가동날유닛(200)의 가이드바(250) 및 감지유닛(500)을 구비하여, 가동날(210)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함으로써, 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하여, 용지걸림에 의한 jam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동날유닛(200)은 가동날(210) 및 상기 가동날(210)과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는 이송부재(23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재(230)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가동날(210)과 결합되나, 이중사출 등의 방법을 통해 상기 이송부재(230)와 상기 가동날(2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동날(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 부분이 완만한 V자 형상이며, 중앙부에는 절단홈(2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날(210)의 절단홈(215) 부분 전부가 고정날(300)에 전진되는 경우, 용지(900)가 완전히 절단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날(210)의 절단홈(215) 부분까지만 상기 고정날(300)에 전진되어, 용지가 상기 절단홈(215)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남겨두고 나머지가 모두 절단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지를 티슈 뽑듯이 손으로 뜯어 낼 수 있다.
이송부재(230)는 가동날(210)의 이동위치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는 가이드바(25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바(250)는 이송부재(230)의 하면 후방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가이드부(253),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서브가이드부(257) 및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와 상기 서브가이드부(257)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255)로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가이드부(253)와 서브가이드부(257)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가이드부(253)의 길이가 서브가이드부(257)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은 가동날(210)과 후술할 제1, 제2센서부(510, 520)와 관계에서 가동날(210)의 위동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여 용지(900)가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컷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감지유닛(500)은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센서부(510)는 제1발광부(511)와 제1수광부(513)로 구성되며, 상기 제1발광부(511)와 제1수광부(513)는 각각 가동날(210)과 결합된 가이드바(250)의 이동 경로상의 양 측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제1발광부(511)에서는 빛이 방출되고, 제1수광부(513)에서는 상기 제1발광부(511)에서 방출되는 빛이 입사된다.
가이드바(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가이드부(253),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서브가이드부(257) 및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와 상기 서브가이드부(257)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255)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날(210)이 이동되면서,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 또는 서브가이드부(257)가 제1발광부(511)와 제1수광부(51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1발광부(511)에서 방출되는 빛이 메인가이드부(253) 또는 서브가이드부(257)에 의해 막혀서 제1수광부(513)로 입사되지 못하므로, 제1센서부(510)는 오프(off)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메인가이드부(253) 또는 서브가이드부(257)가 제1발광부(511)와 제1수광부(513) 사이를 이탈하는 경우는 제1발광부(511)에서 방출되는 빛이 제1수광부(513)로 입사되므로, 제1센서부(510)는 온(on) 된다.
즉, 제1센서부(510)는 메인가이드부(253) 또는 서브가이드부(257)가 자신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오프(off), 위치하지 않을 때 온(on)이 된다.
제2센서부(520)는 제2발광부(522)와 제2수광부(524)로 구성되며, 제1센서부(510)와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발광부(522)와 제2수광부(524) 역시, 가동날(210)과 결합된 가이드바(250)의 이동 경로상의 양 측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제1센서부(510)와 마찬가지로, 메인가이드부(253) 또는 서브가이드부(257)가 자신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오프(off), 위치하지 않을 때 온(on)이 된다.
감지유닛(500)은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가이드바(250)가 고정날(300)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온 또는 오프되는 배열상태 및 배열순서에 의해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지, 상기 가동날(210)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여 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은 2개의 센서부인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센서부(510, 520) 사이로 이동되는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 및 서브가이드부(257)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다.
위와 같은 구성상 특징을,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인쇄장치 상에서, 가동날(210) 및 가동날(210)과 결합된 가이드바(250)가 원위치에 있는 경우,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가 제1센서부(510)인 제1발광부(511)와 제1수광부(513)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에 의해, 제1발광부(511)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제1수광부(513)로 입사되지 못하므로, 제1센서부(510)는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제2센서부(520)는 온 상태에 있게 된다.
즉, 바꾸어 말하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경우,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가동날(210)이 고정날(300) 방향으로 전진을 시작하게 되면, 가이드바(250)의 관통부(255)가 제1센서부(510)에 위치하므로, 이 경우,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모두 온/온이 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가동날(210)이 고정날(300) 방향으로 전진을 계속하게 되면, 가이드바(250)의 관통부(255)가 제1센서부(510)에 위치하고, 메인가이드부(253)가 제2센서부(520)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는 각각 온/오프 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7-d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동날(210)이 고정날(300) 방향으로 전진을 계속하게 되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는 순차적으로, 각각 오프/오프(도 7-d) → 온/오프(도 8-a) → 온/온(도 8-b) → 온/오프(도 8-c) 되는 배열순서를 가지게 된다.
위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는, 가동날(210)의 절단홈(215)이 고정날(300)까지 완전히 도달되지 못하여 인쇄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인쇄용지(900)가 컷팅되는 과정에서, V자 형태의 가동날(210)의 가장자리 칼날 부분부터 중앙부에 형성된 절단홈(215)까지 도달되지 못한 상태이다.
그리고, 위와 같이,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 된 상태에서, 위 과정과 역순으로, 가동날(210)은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감지부(미도시)는 위와 같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온 또는 오프되는 배열상태 및 배열순서에 의해 가동날(210)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여 인쇄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한다.
만약, 센서부가 1개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센서부는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지 없는지만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가동날(210)이 어느 위치까지 이동되었다가 되돌아왔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없다.
만약, 센서부가 2개이더라도,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와 서브가이드부(257)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면, 위 2개의 센서부가 모두 온/온 또는 모두 오프/오프 되는 경우의 수만 발생하므로, 가동날(210)이 전진하는 경우인지 또는 후진하는 경우인지 여부를 알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은 2개의 센서부인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센서부(510, 520) 사이로 이동되는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 및 서브가이드부(257)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서로 상이한 가이드바(250)의 메인가이드부(253) 및 서브가이드부(257)가 제1, 제2센서부(510, 520) 사이로 이동되면서,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및 온/오프 되는 상태 중 어느 한 상태가 되도록 위치된 후, 다시 역순으로 돌아오게 되는 배열 순서를 감지부가 인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동날(210)이 어느 위치까지 이동되었다가 다시 되돌아오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인쇄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100)은 위와 같이,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경우, 감지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경고표시를 하는 알람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경우, 경고음이 발생하게 하거나, 램프가 깜빡거리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지(900)의 불완전 컷팅 여부를 알릴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알람부에 의해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되었음을 인식한 후에는, 프린터 본체에서, 가동날(210) 또는 고정날(300)이 설치된 커버를 오픈하여, 불완전하게 컷팅된 용지(900)를 제거하면 된다.
이로써,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상태에서, 용지(900)배출 및 컷팅 과정 반복에 의한 jam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커팅되었든 또는 용지(900)가 완전하게 컷팅되었든 가동날(210)이 고정날(300)로 전진하여 배출되는 용지(900)를 절단한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후진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정전 등이 일어나 외부전력이 차단된 경우에도,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정전 등 외부전력이 차된된 경우,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교환방식 전원공급 장치) 등의 장치에 의해 가동날(210)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경우, 가동날(210)은 원위치에 있게 되고,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가동날(210)의 메인가이드부(253)의 후방 끝단은 제1센서부(510)의 제1발광부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및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의 후방 끝단은 제1센서부(510)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의 후방 끝단은 상기 제1센서부(510)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동날(210)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원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즉시 원위치를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메인가이드부(253)의 후방 끝단이 길게 형성되어 제1센서부(510)와의 이격거리가 길게 형성된다면, 가동날(210)이 전방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된 경우에도, 감지부는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 것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가동날(210)이 전방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된 경우에도, 감지부(미도시)가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 것으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에는, 정전 등 외부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가동날(210)이 진정한 원위치에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상기 가동날(210)이 진정한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날(210)의 메인가이드부(253)의 후방 끝단을 제1센서부(510)의 제1발광부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및 형성하여 가동날(210)이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원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즉시 원위치를 벗어난다는 것을 감지부가 인식하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를 벗어난 후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상태에서 정전 등 외부전력이 차단되면 가동날(210)이 고정날(300)과 접한 상태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동날(210)이 다시 진정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용지(900)가 가동날(210)과 고정날(300) 사이에 끼여서 jam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날(210)은 본체에 구비되어 있고, 고정날(300)은 커버에 구비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고정날(300)이 본체에 구비되고 가동날(210)이 커버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전술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동날(210)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고정날(300)의 끝단은 상기 가동날(210)의 끝단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용지(900)가 불완전하게 컷팅된 상태에서 정전 등으로 인해 외부전력이 차단되면, 가동날(210)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고정날(300)이 구비된 커버를 가동날(210)이 구비된 본체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고 오픈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커버를 오픈한 후 불완전하게 컷팅되어 구겨져 있는 상태의 용지(900)를 꺼냄으로써, jam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8-d를 참조하면,
가동날(210)이 고정날(300)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제1센서부(510) 및 제2센서부(520)가 각각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온/오프 되고, 이후, 온/온 상태까지 된 후,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가동날(210)이 후진하여 홈 상태에 위치한 경우, 용지(900)가 완전하게 컷팅되는 정상적인 가동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인쇄장치 100: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200: 가동날유닛 210: 가동날
215: 절단홈 217: 경사돌기
230: 이송부재 232: 가이드기어
250: 가이드바 253: 메인가이드부
255: 관통부 257: 서브가이드부
300: 고정날 500: 감지유닛
510: 제1센서부 511: 제1발광부
513: 제1수광부 520: 제2센서부
522: 제2발광부 524: 제2수광부
900: 용지 M: 구동부

Claims (14)

  1. 고정날과 면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고정날 과의 사이로 배출되는 용지를 절단하도록 상기 고정날로 전진한 후 원위치로 후진하는 가동날을 구비하는 가동날 유닛; 및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는 감지유닛;
    을 포함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유닛은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가동날의 이동위치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는 가이드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바는 메인가이드부;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서브가이드부; 및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서브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경로상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발광부와 제1수광부를 구비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제1센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경로상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발광부와 제2수광부를 구비하는 제2센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메인가이드부 또는 상기 서브가이드부가 자신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때 오프, 위치하지 않을 때 온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감지유닛은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이드바가 원위치에서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온 또는 오프되는 배열상태 및 배열순서에 의해 상기 가동날의 원위치, 이동된 위치 및 전후진 이동순서를 인식하고,
    상기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서브가이드부는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가이드부의 길이는 상기 서브가이드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발광부와 상기 제2발광부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길이는 상기 제1발광부와 상기 제2발광부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가동날이 상기 고정날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온/오프 및 온/온되고,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후진한 경우, 용지가 완전하게 컷팅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오프/온 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메인가이드부의 후방 끝단은 상기 제1발광부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및 형성되어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즉시 원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상기 고정날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가 각각
    원위치인 오프/온 상태에서, 온/온, 온/오프 된 후,
    순차적으로, 오프/오프, 온/오프, 온/온 및 온/오프 되는 상태 중 어느 한 상태까지 된 후,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후진한 경우,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불완전하게 컷팅되는 과정 중 어느 한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표시를 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11. 삭제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외부전력이 차단된 경우,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13. 제 1항에 따른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인쇄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원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고정날의 끝단은 상기 가동날의 끝단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인쇄장치.
KR1020170161219A 2017-11-29 2017-11-29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 KR10204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19A KR102045737B1 (ko) 2017-11-29 2017-11-29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19A KR102045737B1 (ko) 2017-11-29 2017-11-29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27A KR20190062727A (ko) 2019-06-07
KR102045737B1 true KR102045737B1 (ko) 2019-11-19

Family

ID=6684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219A KR102045737B1 (ko) 2017-11-29 2017-11-29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7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1965A (ja) * 2011-12-01 2013-06-10 Toshiba Tec Corp プリンタのカッタ機構及びカッタ機構付きプリンタ
JP5538778B2 (ja) * 2009-08-27 2014-07-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切断装置、記録装置
JP2014217959A (ja) * 2013-05-01 2014-11-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リンタ装置
JP5941657B2 (ja) * 2011-10-31 2016-06-2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8778B2 (ja) * 2009-08-27 2014-07-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切断装置、記録装置
JP5941657B2 (ja) * 2011-10-31 2016-06-2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2013111965A (ja) * 2011-12-01 2013-06-10 Toshiba Tec Corp プリンタのカッタ機構及びカッタ機構付きプリンタ
JP2014217959A (ja) * 2013-05-01 2014-11-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リン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27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6662B1 (en) Hygienic sheet material dispenser
KR960031150A (ko) 용지배출장치
US20110048198A1 (en) Cutter and recorder
KR20020025794A (ko) 테이프 인쇄 장치
KR100944514B1 (ko) 수동 방식의 절단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프린터
EP2062703A1 (en) Sheet cutter
KR102045737B1 (ko) 가동날 위치 인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
US8333377B2 (en) Paper ejector unit
JP2013184765A (ja) 用紙排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N107820465B (zh) 打印设备及打印方法
JP2009045921A (ja) 用紙処理装置
US20080264226A1 (en) Punch unit
US9586423B2 (en) Tape cartridge and tape feeding apparatus
US9352597B2 (en) Paper ejector unit for use with a printing mechanism of a printer having a paper transport path
US10576760B2 (en) Printer using roll paper
JP2008094557A (ja) 連続シート給送装置
RU2702247C2 (ru) Печат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6624902B2 (ja)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US9539833B2 (en) Tape cartridge and tape printing apparatus
CN211362446U (zh) 减少纸张堆积的剪式切刀机构和热敏打印机
JP6545600B2 (ja) 印字ユニットおよびプリンタ
KR19980081019A (ko)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JP4925425B2 (ja) 裁断装置の投入口構造
US8813619B2 (en) Cutting assembly with ejector posts
JP2005179007A (ja) マークテープ切断送り込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