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619B1 -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 - Google Patents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619B1
KR102045619B1 KR1020170073671A KR20170073671A KR102045619B1 KR 102045619 B1 KR102045619 B1 KR 102045619B1 KR 1020170073671 A KR1020170073671 A KR 1020170073671A KR 20170073671 A KR20170073671 A KR 20170073671A KR 102045619 B1 KR102045619 B1 KR 102045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refrigeration cycle
cold
storage space
cycl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547A (ko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키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키피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키피오
Priority to KR102017007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61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3/0452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cooled storag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7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A47F3/0486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for charging, display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 A47F3/0491Cooled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2003/046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shelves having ai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커리가 보관되는 모든 공간에서 균일한 냉장이 가능하고,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뛰어나며,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 보관공간과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으로 구획되며, 일측에 개폐 도어가 설치되는 냉장장치 바디; 상기 냉장 보관공간에 상하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복수의 선반 부재;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에 설치되는 냉동사이클장치;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에 구비되어 냉동사이클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일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냉기가이드 덕트; 일측부는 상기 냉기가이드 덕트에 연통되고 타측부는 냉장 보관공간에 구비되며, 복수의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 보관공간으로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내 냉기 공급덕트; 및 상기 냉장장치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포함하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REFRIGERATOR FOR BAKERY AND COOLING AIR CIRCU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커리가 보관되는 모든 공간에서 균일한 냉장이 가능하고,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뛰어나며,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온으로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함으로 신선도 유지 및 그 보관 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항시 신선한 식품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품류인 빵의 경우에도, 베이커리 판매점이나 제과점에서 전용 냉장실에 보관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베이커리 전용 냉장고에 있어서, 종래는 베이커리 제품 내부의 냉기 순환은 바람이 제품 앞면의 냉기 에어 흡입구를 통하여 증발기 팬 모터와 증발기를 거쳐 냉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전달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성의 베이커리 전용 냉장고는 냉기 전달 과정에서 하측 선반에 냉기가 부딪혀서 상부의 선반 위에 냉기가 도달하지 않음으로 인해 냉기가 하부에 저장되어 보관 음식물이 동결되는 반면에, 상측 선반에는 냉기가 도달하지 못하여 음식물이 변질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상부 측에서의 냉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운전 시간을 길게 하는데, 이는 압축기의 동작을 필요 이상으로 운전시킴으로 인해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고, 이는 사용자의 고객 불만 사항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베이커리 저장부의 하면에 냉기 토출구가 구성되는데, 이는 슬라이딩 글라스 도어를 통해 베이커리 제품을 수납할 때 에어 토출구로 음식물이 떨어져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청소를 자주 해야 하는 문제점과 장시간 청소를 못 할 시 낙하된 베어커리 낙하물(음식물)이 부패 되어 위생 문제가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3831호(2012.08.16.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5190호(2006.01.13.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커리가 보관되는 모든 공간에서 균일한 냉장이 가능하고,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뛰어나며,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냉장 보관공간과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으로 구획되며, 일측에 개폐 도어가 설치되는 냉장장치 바디; 상기 냉장 보관공간에 상하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복수의 선반 부재;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에 설치되는 냉동사이클장치;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에 구비되어 냉동사이클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일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냉기가이드 덕트; 일측부는 상기 냉기가이드 덕트에 연통되고 타측부는 냉장 보관공간에 구비되며, 복수의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 보관공간으로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내 냉기 공급덕트; 및 상기 냉장장치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포함하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열교환으로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 측으로 공기를 유도하고 그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냉기가이드 덕트는 상기 증발기의 냉기 토출 측의 일측으로부터의 냉기를 가이드하도록 일단부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제1 냉기가이드 덕트와, 일단부가 증발기의 냉기 토출 측의 중앙부로부터의 냉기를 가이드하도록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의 중앙 측에 위치되는 제2 냉기가이드 덕트, 및 일단부가 증발기의 냉기 토출 측의 타측으로부터의 냉기를 가이드하도록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제3 냉기가이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냉장 보관공간과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패널에 형성되되, 상기 개폐 도어가 위치되는 측의 반대 측에 토출 냉기를 흡입하기 위한 냉기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에는, 상기 냉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순환 냉기를 냉각팬을 거쳐 증발기의 일면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흡기측 가이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내 냉기 공급덕트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냉기가이드 덕트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장 보관공간의 일측 상단부에 위치되는 제1 고내 냉기 공급덕트와, 일단부가 상기 제2 냉기가이드 덕트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장 보관공간의 중앙 상단부에 위치되는 제2 고내 냉기 공급덕트, 및 일단부가 상기 제3 냉기가이드 덕트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장 보관공간의 타측 상단부에 위치되는 제3 고내 냉기공급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 고내 냉기공급덕트는 냉장 보관공간에 노출되는 측에 냉기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내 냉기공급 덕트 각각의 타단부에 연통되고, 하방을 지향하는 복수의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냉장 보관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루프(roof) 고내 냉기공급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베이커리가 보관되는 냉장 장치에서 냉기를 순환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냉장 보관공간과 구획되어 구성된 설비공간에 마련된 냉동사이클장치의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송풍시키고; 상기 발생 냉기를 하나 이상의 냉기 가이드덕트를 통해 설비공간의 일측으로 가이드하여 가이드된 냉기를 냉장 보관공간에 구비된 고내 냉기 공급 덕트를 통해 냉장 보관공간에서 종방향으로 냉기를 공급하고; 상기 냉장 보관공간 내의 냉기를 상기 설비공간으로 흡입하여 설비공간에 마련된 흡입 가이드덕트를 통해 상기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베어커리전용 냉장 장치의 냉기 순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냉장 보관공간에서의 냉기의 공급은 고내 냉기 공급 덕트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루프 고내 냉기 공급 덕트를 통해 냉장 보관공간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간단 용이한 구성을 통해 베이커리가 보관되는 모든 공간에서 균일하게 냉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냉장사이클의 과 동작을 방지하여 상대적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베어커리 저장공간의 바닥부에 냉기 토출구를 등을 구성하지 않아 베이커리 찌꺼기가 떨어져 있더라도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뛰어나며, 위생적인 냉장 공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방 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냉기 순환 구조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의 냉장 보관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용어에서 좌측, 우측 및 중앙은 설명의 명확화와 구분을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보다는 제1, 제2 등 서수적 의미로 해석됨이 바람직한 것을 전제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방 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냉기 순환 구조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의 냉장 보관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구획 패널(110)에 의해 냉장 보관공간(120)과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130)으로 구획되며, 냉장 보관공간(120)의 일측에 개폐가능한 개폐 도어(140)가 설치되는 냉장장치 바디(100); 상기 냉장장치 바디(100)의 냉장 보관공간(120)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어 베이커리 제품이 놓이는 복수의 선반 부재(150); 상기 냉장장치 바디(100)의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130)에 설치되는 냉동사이클장치;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130)에 구비되어 냉동사이클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수렴되게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냉기가이드 덕트(210, 220, 230); 일측부(하단부)는 상기 냉기가이드 덕트(210, 220, 230) 각각에 연통되고 타측부는 냉장 보관공간(120)에 구비되며, 복수의 냉기 토출구(301)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 보관공간(120)으로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고내 냉기 공급덕트(310, 320, 330) 및 상기 냉장장치 바디(100)에 마련되어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냉장장치 바디(100)의 냉장 보관공간(120)과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패널(110)에는 냉기순환을 위하여 상기 고내 냉기 공급덕트(310, 320, 330)를 통해 토출된 냉기를 흡입하기 위한 냉기 흡입구(11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냉기 흡입구(111)는 바람직하게 고내 냉기 공급덕트(310, 320, 330)와 대향하는 측에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내 냉기 공급덕트(310, 320, 330)는 개폐 도어(140)가 구비되는 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 흡입구(111)는 그 반대 측에 구성된다.
상기 선반 부재(150)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데, 선반 부재(150)의 폭은 냉장장치 바디(100)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적절히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도 1의 예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냉장장치 바디(100)의 냉장 보관공간(120)이 상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하광상협(下廣上狹)의 구조인 경우 상측으로 갈수록 선반 부재(150)의 폭은 작아지게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반 부재(150)가 냉장장치 바디(100)에 구비됨에 있어 그 높낮이(즉, 선반 부재 간의 간격)가 조정되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예시와 같이 증발기(E)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E) 측으로 공기를 유도하고 그로부터 냉기를 송풍할 수 있는 팬(P)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130)에는, 상기 냉기 흡입구(111)로부터 흡입되는 순환 냉기를 냉각팬(P)을 거쳐 증발기(E)의 일면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흡기측 가이드 덕트(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냉기가이드 덕트(210, 220, 230)는 증발기(E)의 냉기 토출 측의 일측(좌측)으로부터의 냉기를 가이드하도록 일단부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130)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좌측 냉기가이드 덕트(제1 냉기가이드 덕트)(210)와, 일단부가 증발기(E)의 냉기 토출 측의 중앙부로부터의 냉기를 가이드하도록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130)의 중앙 측에 위치되는 중앙 냉기가이드 덕트(제2 냉기가이드 덕트)(220), 및 일단부가 증발기(E)의 냉기 토출 측의 타측(우측)으로부터의 냉기를 가이드하도록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130)의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우측 냉기가이드 덕트(제3 냉기가이드 덕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냉기가이드 덕트(210 내지 230)는 설명 및 도면에서 3개의 경우를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기가이드 덕트(210 내지 230)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냉기의 효율적인 제공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해당 고내 냉기공급 덕트(310 내지 330)로 원활하고 신속한 공급을 위하여 구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고내 냉기 공급덕트(310, 320, 330)는 일단부가 상기 좌측 냉기가이드 덕트(제1 냉기가이드 덕트)(210)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장 보관공간(120)의 좌측 상단부에 위치되는 좌측 고내 냉기 공급덕트(제1 고내 냉기 공급덕트)(310)와, 일단부가 상기 중앙 냉기가이드 덕트(제2 냉기가이드 덕트)(220)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장 보관공간(120)의 중앙 상단부에 위치되는 중앙 고내 냉기 공급덕트(제2 고내 냉기 공급덕트)(320), 및 일단부가 상기 우측 냉기가이드 덕트(제3 냉기가이드 덕트)(230)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장 보관공간(120)의 우측 상단부에 위치되는 우측 고내 냉기공급 덕트(제3 고내 냉기 공급덕트)(33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고내 냉기공급덕트(310 내지 330)는 냉장 보관공간(120)에 노출되는 측에 냉기 토출구(3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내 냉기공급덕트(310 내지 330)에서, 상기 중앙 고내 냉기공급 덕트(320)의 양 측벽 각각에는 복수의 측벽 냉기 토출구(에어커튼용 냉기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상기 중앙 고내 냉기공급덕트(320)를 향하는 좌측 고내 냉기공급 덕트(310)의 대향 벽 및 우측 고내 냉기공급 덕트(330)의 대향 벽에도 복수의 측벽 냉기 토출구(에어커튼용 냉기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 냉기 토출구는 중앙 고내 냉기공급덕트(320)에만 형성되거나 중앙 고내 냉기공급덕트(320)에 대향하는 좌측 및 우측 고내 냉기공급 덕트(330)의 대향 벽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복수의 측벽 냉기 토출구는 중앙 고내 냉기공급덕트(320)의 양 측벽 및 상기 중앙 고내 냉기공급덕트(320)를 향하는 좌측 고내 냉기공급덕트(310)의 대향벽과 우측 고내 냉기공급덕트(330)의 대향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측벽 냉기 토출구는 개폐 도어(140)의 폐쇄 시 외부와 바로 접하는 측으로 인한 온도 유지 및 개폐 도어(140)의 개방 시 외기의 유입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는 에어커튼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고내 냉기공급 덕트(310 내지 330) 각각의 타단부에 연통되고, 하방을 지향하는 복수의 냉기 토출구(341)가 형성되며, 냉장 보관공간(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루프(roof) 고내 냉기공급 덕트(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내 냉기공급 덕트(340)의 냉기 토출구(341)는 포트(port)와 같은 구성뿐만 아니라, 확장형 호퍼(hopper)와 같이 완전 개방된 토출구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냉장 보관공간(120)의 상단부에서의 냉기공급이 다른 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부 측에서의 원활한 냉기공급과 균일한 냉장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반은 기본적으로 장치를 온/오프하는 온/오프 스위치, 및 냉장 보관공간(120)에 구비되는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표시하거나 운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반은 냉장 보관공간(120)이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동작 중지 온도에 도달할 경우 냉동사이클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다시 설정 동작온도에 도달할 경우 냉동사이클장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에 의하면, 베이커리가 보관되는 모든 공간에서 균일하게 냉장시킬 수 있고, 냉동사이클장치의 과 동작을 방지하여 상대적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베어커리 저장공간의 바닥부에 냉기 토출구를 등을 구성하지 않아 베이커리 찌꺼기가 떨어져 있더라도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뛰어나며, 위생적인 냉장 공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냉장장치 바디
110: 구획 패널
111: 냉기 흡입구
112: 흡기측 가이드 덕트
120: 냉장 보관공간
130: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
140: 개폐 도어
150: 선반 부재
210: 좌측 냉기가이드 덕트(제1 냉기가이드 덕트)
220: 중앙 냉기가이드 덕트(제2 냉기가이드 덕트)
230: 우측 냉기가이드 덕트(제3 냉기가이드 덕트)
310: 좌측 고내 냉기공급 덕트(제1 냉기공급 덕트)
320: 중앙 고내 냉기공급 덕트(제2 냉기공급 덕트)
330: 우측 고내 냉기공급 덕트(제3 냉기공급 덕트)
340: 루프 고내 냉기공급 덕트
E: 증발기
P: 송풍팬

Claims (10)

  1. 냉장 보관공간과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으로 구획되며, 일측에 개폐 도어가 설치되는 냉장장치 바디;
    상기 냉장 보관공간과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냉장 보관공간과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을 연통시키는 냉기 흡입구를 포함하는 구획 패널;
    상기 냉장 보관공간에 상하 간격을 갖고 설치되어, 상기 냉장 보관공간을 구분하는 복수의 선반 부재;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에 설치되는 냉동사이클장치;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에 구비되어 냉동사이클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일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냉기가이드 덕트;
    일측부는 상기 냉기가이드 덕트에 연통되고 타측부는 냉장 보관공간에 구비되며, 복수의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 보관공간으로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고내 냉기 공급덕트;
    상기 냉동사이클장치와 상기 냉기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냉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냉동사이클장치로 가이드하는 흡기측 가이드 덕트; 및
    상기 냉장장치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냉동사이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냉기 토출구는 상기 구분된 냉장 보관공간의 상측으로 갈수록 개수가 감소하고,
    상기 복수의 고내 냉기 공급덕트는 상기 개폐 도어에 인접하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벽에 형성된 복수의 측벽 냉기 토출구를 포함하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사이클장치는 열교환으로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 측으로 공기를 유도하고 그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냉기가이드 덕트는 상기 증발기의 냉기 토출 측의 일측으로부터의 냉기를 가이드하도록 일단부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제1 냉기가이드 덕트와, 일단부가 증발기의 냉기 토출 측의 중앙부로부터의 냉기를 가이드하도록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의 중앙 측에 위치되는 제2 냉기가이드 덕트, 및 일단부가 증발기의 냉기 토출 측의 타측으로부터의 냉기를 가이드하도록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동사이클장치 설비공간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제3 냉기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 냉기 공급덕트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냉기가이드 덕트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장 보관공간의 일측 상단부에 위치되는 제1 고내 냉기 공급덕트와, 일단부가 상기 제2 냉기가이드 덕트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장 보관공간의 중앙 상단부에 위치되는 제2 고내 냉기 공급덕트, 및 일단부가 상기 제3 냉기가이드 덕트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냉장 보관공간의 타측 상단부에 위치되는 제3 고내 냉기공급 덕트를 포함하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내 냉기공급덕트는 냉장 보관공간에 노출되는 측에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 냉기공급 덕트 각각의 타단부에 연통되고, 하방을 지향하는 복수의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보관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루프(roof) 고내 냉기공급 덕트를 더 포함하는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73671A 2017-06-13 2017-06-13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 KR10204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671A KR102045619B1 (ko) 2017-06-13 2017-06-13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671A KR102045619B1 (ko) 2017-06-13 2017-06-13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547A KR20180135547A (ko) 2018-12-21
KR102045619B1 true KR102045619B1 (ko) 2019-11-18

Family

ID=6495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671A KR102045619B1 (ko) 2017-06-13 2017-06-13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6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488B1 (ko) * 2006-05-19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2639B2 (ja) * 1988-01-20 1996-12-11 三洋電機株式会社 低温商品貯蔵ケースの温度制御方式
KR20050005190A (ko) 2003-07-07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빵수납 구조
KR101173831B1 (ko) 2012-02-02 2012-08-16 홍종흔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488B1 (ko) * 2006-05-19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547A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6297A (ko) 음식물 보관기기
KR100980896B1 (ko) 쇼케이스
CN106546056B (zh) 风冷冰箱
JP2003075047A (ja) 冷蔵庫の冷気循環装置
KR102045619B1 (ko)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
KR20210074248A (ko) 냉장고
JP7211857B2 (ja) 食材熱処理庫
AU2020384836B2 (en) Refrigerator
KR20090128898A (ko) 냉장고
KR20100102302A (ko) 냉장고의 야채실 및 이의 제어방법
CN113154748B (zh) 卧式冷柜
CN113108524B (zh) 风冷卧式冷柜
KR20090118778A (ko) 냉장고
JP2004278944A (ja) 解凍機能付き冷却貯蔵庫
KR101813275B1 (ko) 쇼 케이스
JP4335083B2 (ja) 冷却庫
MX2012010213A (es) Sistema y metodo de igualacion de temperatura aplicados a la puerta de aparatos electricos domesticos.
JP2020133980A (ja) 解凍保冷庫
KR200292004Y1 (ko) 냉장고
JPH09280717A (ja) 冷却貯蔵庫
JP2000245541A (ja) 温冷蔵庫
KR20150113750A (ko) 저장고의 냉기순환장치
JP2614559B2 (ja) 冷却貯蔵庫
KR100859460B1 (ko) 냉기 순환 기능을 구비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
JP2614558B2 (ja) 冷却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