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831B1 -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831B1
KR101173831B1 KR1020120010761A KR20120010761A KR101173831B1 KR 101173831 B1 KR101173831 B1 KR 101173831B1 KR 1020120010761 A KR1020120010761 A KR 1020120010761A KR 20120010761 A KR20120010761 A KR 20120010761A KR 101173831 B1 KR101173831 B1 KR 10117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d
storage
aging
refrigerato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흔
Original Assignee
홍종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흔 filed Critical 홍종흔
Priority to KR1020120010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25D2317/04131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빵이나 반죽의 보관이나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에 별도의 보관실과 숙성실로 된 빵 저장실을 구비하되, 냉장고의 외부 컨트롤패널에서 냉장실과 별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와 별도의 도어에 의해 각각 개폐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빵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빵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빵 저장환경을 제공함으로 항시 빵의 신선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그 섭취시에도 별도의 해동과정 없이 바로 섭취할 수 있게 하며, 필요에 따라 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의 숙성(발효)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 제공되어 반죽의 숙성도 향상으로 인한 맛있는 빵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bread-storage room for storaging bread and aging dough}
본 발명은 빵이나 반죽의 보관이나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에 별도의 빵 저장실을 구비하되, 냉장고의 외부 컨트롤패널에서 냉장실과 별도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그 빵 저장실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히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빵이나 반죽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빵 보관 및 숙성 환경을 제공함으로 항시 빵의 신선도 및 반죽의 숙성도 유지가 가능하게 한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온으로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함으로 신선도 유지 및 그 보관 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항시 신선한 식품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일반적인 냉장고는 함체상의 냉장고에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획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도어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는 식품류를 보관이 용이하게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냉장고에 보관되는 식품류는 그 식품의 종류에 따라 냉동보관이나 냉장보관으로 구분되어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식품류를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식품류에 해당하는 빵의 경우 통상적으로 냉장실에 보관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빵의 경우 야채나 반찬류를 보관하기 위해 설정된 온도의 냉장실에 서 장시간 보관하게 되면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특성상 건조가 쉽게 이루어지고, 냉장실을 여닫을시 발생하는 온도 변화로 인해 빵의 변질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그 보관에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빵의 건조를 최소화하기 위해 냉동실에 보관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빵을 섭취하기 위해 해동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를 이동하여 해동을 하는 것인바, 빵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시 빵의 변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에 별도의 보관실과 숙성실로 된 빵 저장실을 구비하되, 냉장고의 외부 컨트롤패널에서 냉장실과 별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와 별도의 도어에 의해 각각 개폐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빵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빵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빵 저장환경을 제공함으로 항시 빵의 신선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그 섭취시에도 별도의 해동과정 없이 바로 섭취할 수 있게 하는 빵 보관 및 반죽의 보관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의 숙성(발효)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 제공되어 반죽의 숙성도 향상으로 인한 맛있는 빵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냉장실의 내부에 단열벽으로 이루어지고, 단열격벽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보관실도어 및 숙성실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보관실과 숙성실을 갖는 독립된 빵 저장실을 형성하되, 상기 보관실은, 내부에 상기 냉장실의 냉각팬으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유입구와, 내부 습도의 감지가 가능한 보관 습도센서와, 하부에서 습기를 생성 및 보관실 내부로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관습기 발생부를 형성되고, 상기 숙성실은, 내부 습도의 감지가 가능한 숙성 습도센서와, 내부 바닥면에 숙성히터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는 발열판과, 상기 숙성히터의 하부에서 습기를 생성 및 숙성실 내부로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숙성습기 발생부가 형성되며, 컨트롤패널에서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가능한 냉동실과 냉장실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보관습기 발생부와, 숙성습기 발생부는,
각각 바닥면에 물가열히터와, 상기 물가열히터의 상부로 삽탈 가능하고 물가열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물공급 트레이를 갖는 가열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보관실 및 숙성실의 내부 측벽에는 측판에 의해 공간부를 이루는 이동통로가 통공에 의해 가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로의 상부에는 각각의 보관실 및 숙성실로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습기공급팬이 각각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는,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와 별도로 개폐가능한 저장실 도어를 갖는 별도의 빵 저장실을 구비함으로 냉장실을 여닫을 시 발생하는 냉장실 내부의 온도 변화에도 반응하지 않는 독립된 보관실에서 빵의 종류에 따라 온도 및 습도의 조절로 최적의 빵 저장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섭취시에도 신선하게 저장된 빵을 바로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독립된 숙성실에서 필요에 따라 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의 숙성이 가능하여 숙성도 향상으로 인한 맛있는 빵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빵 저장실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빵 저장실을 나타낸 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보관실을 나타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숙성실의 습도 조절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보관실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숙성실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빵 저장실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빵 저장실을 나타낸 정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1)는, 냉각수단에 의해 냉기를 생성 및 냉각팬(30)에 의해 냉기의 공급이 가능한 냉동실(10)과 냉장실(20)이 형성되고, 외부 컨트롤패널(40)에 의해 조절되는 통상의 냉장고(1)로부터,
상기 냉장실(20)의 내부에서 단열벽(110)으로 이루는 독립된 함체상의 빵 저장실(100)이 형성하되, 상기 빵 저장실(100)은, 내부에 단열격벽(120)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 형성되어 각각의 보관실도어(210) 및 숙성실도어(310)에 의해 개폐되는 보관실(200)과 숙성실(300)로 구획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관실(20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후면에 상기 냉장실(20)의 냉각팬(30)으로부터 냉기를 공급받기 위한 냉기유입구(220)가 형성되고, 그 냉기유입구(220)에는 상기 냉장실(20)의 냉각팬(30)이 삽입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보관실(200) 내측 상부에는, 보관실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보관 습도센서(230)가 형성된다.
또한, 보관실(200)에는, 보관실(200)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습기를 생성 및 그 보관실(200) 내부로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관습기 발생부(240)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관습기 발생부(240)는, 보관실(200)의 바닥면에서 통상의 단열재로 된 열차단재(280)에 의해 구획되는 가열부(250)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열부(250)는, 바닥면에 물가열히터(251)가 형성되고, 상기 물가열히터(251)의 상부에는 외부로 삽탈 가능하고 습기를 생성하기 위한 물이 충전되는 물공급 트레이(252)가 형성되며, 보관실(200)의 내부 일측 측벽에는 그 측벽과 이격 되게 측판(261)이 형성되어 그 측벽과 측판(261) 사이에 공간부를 이루는 이동통로(262)가 형성되며, 그 이동통로(262)는 통공(263)에 의해 상기 가열부(250)와 연통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262)의 상부에는 습기공급팬(270)이 이 형성되어 이동통로(262)를 따라 이동하는 습기를 보관실(200) 내부로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숙성실(300)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내측 상부에 숙성실(30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숙성 습도센서(320)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는 숙성히터(330)에 의해 숙성실(3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발열판(331)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판(331)의 숙성히터(330) 하부에는 통상의 단열재로 된 열차단재(380)에 의해 구획되는 가열부(350)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열부(350)는 바닥면에 물가열히터(351)가 형성되고, 상기 물가열히터(351)의 상부에는 외부로 삽탈 가능하고 습기를 생성하기 위한 물이 충전되는 물공급 트레이(352)가 형성되며, 보관실(200)의 내부 일측 측벽에는 그 측벽과 이격 되게 측판(361)이 형성되어 그 측벽과 측판(361) 사이에 공간부를 이루는 이동통로(362)가 형성되며, 그 이동통로(362)는 통공(363)에 의해 상기 가열부(350)와 연통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362)의 상부에는 습기공급팬(370)이 이 형성되어 이동통로(362)를 따라 이동하는 습기를 보관실(200)의 내부로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는 냉장실 내부에 별도의 보관실 및 숙성실을 갖는 빵 저장실을 구비하되, 보관실에 의해 제조된 빵의 종류에 따라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숙성실에 의해 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의 보관 및 숙성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미리 제조된 빵이나 반죽을 보관하고자 할 시에는,
도 6은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보관실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냉장실(20) 내부 빵 저장실(100)의 보관실(200)에 빵이나 반죽을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즉, 냉장실(20)의 외부도어(21)를 개방하고, 빵 저장실(100)의 보관실도어(210) 만을 개방 후, 그 내부에 빵이나 반죽을 수용시키면 되는 것이고, 이후, 냉장고(1)의 컨트롤패널(40)을 이용하여 빵의 종류에 따라 그 보관실(200) 내부의 보관 온도 및 수용된 빵이나 반죽의 보관에 적합한 습도를 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정되는 온도는 통상적으로 저온 보관시에는 통상의 2~4℃의 온도로 설정하고 냉동 보관시에는 10~-20℃로 설정함이 바람직한 것이고, 그 습도는 15~20%로 설정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빵의 종류 및 방법에 따라 선택 사용함으로 그 신선도 및 보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설정된 설정값에 의해 보관실(200)에는 냉각팬(30)을 통해 냉기가 보관실(200) 내부로 유입되어 수용된 빵이나 반죽의 종류에 따라 보관이 가능한 온도의 환경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습도 조절시에는, 보관실(200) 내부의 보관 습도센서(230)에는 내부의 습도값이 설정되는 것인바, 보관실(200) 내부의 습도가 설정 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보관습기 발생부(240)의 작동으로 그 내부의 습도를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즉, 보관습기 발생부(240)에서는, 가열부(250)의 물가열히터(251)가 작동되는 것이고, 그 물가열히터(251)의 작동에 의해 미리 물이 충전된 물공급 트레이(252)를 가열하게 된다.
이에, 물공급 트레이(252)에서 가열되는 물은 수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때, 발생한 수증기는 통공(263)을 통해 이동통로(262)로 유입 및 습기공급팬(270)의 작동에 의해 보관실(20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고, 보관 습도센서(230)에 의해 설정된 습도에 도달하게 되면 그 작동이 멈추어 보관실(200) 내부의 습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을 숙성하고자 할 시에는,
도 7은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의 숙성실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제조된 반죽을 냉장실(20) 내부의 빵 저장실(100)의 숙성실(300)에서 숙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냉장실(20)의 외부도어(21)를 개방하고, 빵 저장실(100)의 숙성실도어(310) 만을 개방 후 그 내부에 반죽을 수용시키면 되는 것이고, 이후, 냉장고(1)의 컨트롤패널(40)을 이용하여 반죽의 종류에 따라 그 숙성실(300) 내부의 숙성 온도 및 수용된 반죽의 숙성에 적합한 습도를 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정되는 온도는 통상적으로 반죽을 숙성(발효) 시키기 위해서는 따뜻한 온도에서 일정한 습도가 유지된 상태의 숙성시 그 숙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인바, 통상의 20~50℃의 온도로 설정하고, 그 습도는 반죽의 종류에 따라 70~85%로 설정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설정된 설정값에 의해 숙성실(300) 에는 바닥의 숙성히터(330)의 작동과 열원을 공급받은 발열판(331)의 가열로 그 숙성실(300) 내부의 온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습도 조절시에는, 숙성실(300) 내부의 숙성 습도센서(320)에는 내부의 습도값이 설정되는 것인바, 숙성실(300) 내부의 습도가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숙성습기 발생부(340)의 작동으로 그 내부의 습도를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즉, 숙성습기 발생부(340)에서는, 가열부(350)의 물가열히터(351)가 작동되는 것이고, 그 물가열히터(351)의 작동에 의해 미리 물이 충전된 물공급 트레이(352)를 가열하게 된다.
이에, 물공급 트레이(352)에서 가열되는 물은 수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때, 발생한 수증기는 통공(363)을 통해 이동통로(362)로 유입 및 습기공급팬(370)의 작동에 의해 숙성실(30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고, 숙성 습도센서(320)에 의해 설정된 습도에 도달하게 되면 그 작동이 멈추어 숙성실(300) 내부의 습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숙성실(300)에서는 반죽은 숙성은 물론 온도 조절에 따라 보관실(200)에서 냉동 보관된 빵이나 반죽의 해동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빵이나 반죽을 그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그 사용에 따라 과자류, 케익류 등 전분을 이용한 식품류의 보관에 사용 가능한 것이며, 특히, 케익류의 경우 크림이나 토핑의 보관에 매우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는, 통상의 냉장고로 사용함은 물론, 그 냉장실의 내부에 보관실과 숙성실을 갖는 별도의 독립형 빵 저장실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보관실 내에서 최적의 환경으로 빵의 보관이 가능하여 장시간 신선한 빵의 보관이 가능하고, 숙성실에서는 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을 숙성(발효) 시키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함으로 반죽의 숙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100 : 빵 저장실 110 : 단열벽
120 : 단열격벽
200 : 보관실 210 : 보관실도어
220 : 냉기유입구 230 : 보관 습도센서
240 : 보관습기 발생부 250 : 가열부
251 : 물가열히터 252 : 물공급 트레이
261 : 측판 262 : 이동통로
263 : 통공 270 : 습기공급팬
280 : 열차단재
300 : 숙성실 310 : 숙성실도어
320 : 숙성 습도센서 330 : 숙성히터
331 : 발열판 340 : 숙성습기 발생부
350 : 가열부 351 : 물가열히터
352 : 물공급 트레이 361 : 측판
362 : 이동통로 363 : 통공
370 : 습기공급팬 380 : 차단재

Claims (3)

  1. 냉장실(20)의 내부에 단열벽(110)으로 이루어지고, 단열격벽(120)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보관실도어(210) 및 숙성실도어(310)에 의해 개폐되는 보관실(200)과 숙성실(300)을 갖는 독립된 빵 저장실(100)을 형성하되, 상기 보관실(200)은, 내부에 상기 냉장실(20)의 냉각팬(30)으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유입구(220)와, 내부 습도의 감지가 가능한 보관 습도센서(230)와, 하부에서 습기를 생성 및 보관실(200) 내부로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관습기 발생부(240)를 형성되고, 상기 숙성실(300)은, 내부 습도의 감지가 가능한 숙성 습도센서(320)와, 내부 바닥면에 숙성히터(33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는 발열판(331)과, 상기 숙성히터(330)의 하부에서 습기를 생성 및 숙성실(300) 내부로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숙성습기 발생부(340)가 형성되며, 컨트롤패널(40)에서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가능한 냉동실(10)과 냉장실(20)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보관습기 발생부(240)와, 숙성습기 발생부(340)는,
    각각 바닥면에 물가열히터(251)(351)와, 상기 물가열히터(251)(351)의 상부로 삽탈 가능하고 물가열히터(251)(351)에 의해 가열되는 물공급 트레이(252)(352)를 갖는 가열부(250)(350)가 형성되고, 각각의 보관실(200) 및 숙성실(300)의 내부 측벽에는 측판(261)(361)에 의해 공간부를 이루는 이동통로(262)(362)가 통공(263)(363)에 의해 가열부(250)(350)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로(262)(362)의 상부에는 각각의 보관실(200) 및 숙성실(300)로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습기공급팬(270)(370)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실(200) 및 숙성실(300)의 가열부(250)(350)는,
    각각 열차단재(280)(380)에 의해 습기 생성시 보관실(200) 및 숙성실(300)로의 열 전달이 차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KR1020120010761A 2012-02-02 2012-02-02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KR10117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761A KR101173831B1 (ko) 2012-02-02 2012-02-02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761A KR101173831B1 (ko) 2012-02-02 2012-02-02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831B1 true KR101173831B1 (ko) 2012-08-16

Family

ID=4688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761A KR101173831B1 (ko) 2012-02-02 2012-02-02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8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53B1 (ko) * 2013-04-11 2014-11-20 주식회사 밀원 찐빵 제조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숙성실
KR20180135547A (ko) 2017-06-13 2018-12-21 최영수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
WO2019032738A1 (en) 2017-08-08 2019-02-14 Pendram, Inc. SYSTEM AND METHODS FOR STORING PERISHABLE OBJECTS
CN109780809A (zh) * 2018-12-20 2019-05-2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冰箱的控湿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9037A (ja) 2008-03-25 200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品貯蔵装置、冷蔵庫、製氷装置、高周波加熱調理器、並びに高周波放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9037A (ja) 2008-03-25 200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品貯蔵装置、冷蔵庫、製氷装置、高周波加熱調理器、並びに高周波放射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53B1 (ko) * 2013-04-11 2014-11-20 주식회사 밀원 찐빵 제조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숙성실
KR20180135547A (ko) 2017-06-13 2018-12-21 최영수 베이커리전용 냉장 장치 및 그의 냉기 순환 방법
WO2019032738A1 (en) 2017-08-08 2019-02-14 Pendram, Inc. SYSTEM AND METHODS FOR STORING PERISHABLE OBJECTS
EP3664599A4 (en) * 2017-08-08 2021-05-05 Pendram, Inc.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OF PERISHABLE OBJECTS
CN109780809A (zh) * 2018-12-20 2019-05-2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冰箱的控湿方法
CN109780809B (zh) * 2018-12-20 2020-12-1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冰箱的控湿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7183Y1 (ko) 김치실용 냉기순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JP6138708B2 (ja) 冷蔵庫
KR101173831B1 (ko) 빵 보관 및 반죽의 숙성이 가능한 빵 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CN108027193A (zh) 冷藏库
KR101986575B1 (ko) 냉장, 숙성, 해동 및 냉동보관을 위한 다용도 일체형 식품저장창고
JP5188457B2 (ja) 冷蔵庫
JP2007101084A (ja) 冷蔵庫
JP2011017472A (ja) 冷蔵庫
JP5011267B2 (ja) 冷蔵庫
CN212720409U (zh) 制冷设备
CN110131943A (zh) 一种超冰温保鲜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8004228A (ja) 冷蔵庫
JP2022189869A (ja) 冷蔵庫
JP6298982B2 (ja) 冷蔵庫
ITRN20070056A1 (it) Dispositivo di refrigerazione.
JP7308427B2 (ja) 冷蔵庫
JP3594545B2 (ja) 冷蔵庫
RU2628430C2 (ru) Холодильник
JPH0719700A (ja) 冷蔵庫
JP4367574B2 (ja) 冷蔵庫
CN114165967A (zh) 冰箱
JPH02126073A (ja) 冷蔵庫
CN105627670A (zh) 一种五门风冷冰箱
CN113915882A (zh) 一种冰箱
JP2018204876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