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940B1 -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을 검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을 검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940B1
KR102044940B1 KR1020147034082A KR20147034082A KR102044940B1 KR 102044940 B1 KR102044940 B1 KR 102044940B1 KR 1020147034082 A KR1020147034082 A KR 1020147034082A KR 20147034082 A KR20147034082 A KR 20147034082A KR 102044940 B1 KR102044940 B1 KR 102044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d14
dic
infectious
disseminated intravascular
intravascular coag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804A (ko
Inventor
히로야스 이시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엘에스아이 메디엔스
각꼬우호우진 후쿠오카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엘에스아이 메디엔스, 각꼬우호우진 후쿠오카다이가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엘에스아이 메디엔스
Publication of KR2015002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96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5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blood clotting factors, e.g. involving thrombin, thromboplastin, fibrinog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8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coagulating time or factors, or their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96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G01N2333/70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2Haemat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2Haematology
    • G01N2800/224Haemostasis or coag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DIC) 또는 감염성 DIC의 진단에 유효한 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DIC 검출 방법에서는, 시료 중의 sCD 14-ST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감염성 DIC의 검출 방법에서는 시료 중의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를 측정한다.

Description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을 검출하는 방법 {Method for detecting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or infectious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본 발명은,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을 검출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감염성 DIC)을 검출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DIC)은 소비성 응고 장애로 인한 출혈 경향과, 미소 혈관 내 혈전에 의한 장기 장해를 특징으로 한 사망률이 매우 높은 증후군이며,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환자의 생명 유지나 예후 개선에 필요하다. 종래부터, DIC의 진단에는 후생 노동성이 정하는 진단 기준을 비롯한, 다양한 응고 선용계(線溶系) 분자 마커 [예를 들면, 가용성 피브린 모노머 (SF), D-dimer (DD), 트롬빈·안티트롬빈 III 복합체 (TAT), 플라스민·α2플라스민인히비터 복합체 (PIC)]의 측정 등이 임상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 밖에, 후생 노동성 기준을 수정한 ISTH overt-DIC 진단 기준이나 급성기 DIC 진단 기준이 있다. 그러나 후생 노동성 기준과 ISTH overt-DIC 진단 기준은 감도가 낮고, 급성기 DIC 진단 기준은 특이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더욱 정확도가 큰 진단을 위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특허 문헌 1), 예를 들어, 감도와 특이도가 더욱 높은 마커의 발견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DIC는, 악성 종양, 백혈병, 또는 중증 감염증 (혹은 중증 패혈증) 등 심각한 기초 질환에 합병하여 생기는 질환이다. 특히, 중증 패혈증의 약 35%는 DIC를 합병하고, DIC를 합병하면 사망률은 비DIC에 비해 22.2 ~ 26.5%에서 40 ~ 46.2%로 상승하기 때문에, 패혈증성 DIC를 진단하는 것은, 패혈증의 예후를 개선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모든 DIC에는 반드시 기초 질환이 존재하기 때문에, 먼저 기초 질환의 치료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급성 백혈병이나 진행 암에 대한 화학 요법, 패혈증에 대한 감수성 있는 항생제 치료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기초 질환이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질환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유효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같은 DIC로 진단되어도 잘못 치료하면 심각한 상태에 빠져 버리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패혈증성 DIC의 경우에는, 안티트롬빈 제제(製劑)를 중심으로 하는 치료에 난지성(難知性)이었던 환자에서, 항응고 작용에 추가하여 항염증 작용을 겸비하는 유전자 조작 트롬보모듈린(トロンボモジュリン) 제제로 치료 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2).
종래, 패혈증성 DIC인 것으로는, 패혈증 또는 DIC 진단 기준에 기초하여, 의사의 판단에 의해 진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DIC의 진단에는 후생 노동성이 정하는 진단 기준을 비롯한, 다양한 응고 선용계 분자 마커 [예를 들어, 가용성 피브린 모노머(SF), D-dimer (DD), 트롬빈·안티트롬빈 III 복합체 (TAT), 플라스민·α2 플라스민인히비터 복합체 (PIC)]의 측정 등이 임상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 밖에, 후생 노동성 기준을 수정한 ISTH overt-DIC 진단 기준이나 급성기 DIC 진단 기준이 있다. 그러나, 후생 노동성 기준이나 ISTH overt-DIC 진단 기준은 감도가 낮고, 급성기 DIC 진단 기준은 특이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편, 패혈증의 진단에는, 혈액 배양, 백혈구 수, 체온, 화상 진단,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IRS)의 지속 기간 등의 혈액 생화학 소견 등을 지표로 하고 있다. 또한 간편하게 패혈증을 검출할 수 있는 마커로서 프로칼시토닌 (PCT) 및 sCD14-ST가 보고되고 있다.
패혈증에서 시료 중의 sCD14-ST 값은 건강한 정상인 보다도 매우 높아서, sCD14-ST를 측정하여 패혈증을 진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1). 또한 sCD14-ST를 그의 특이적 항체에 의해 측정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또한 그의 조기 검출 및 중증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비특허 문헌 3-5). 이와 같이, sCD14-ST는, 세균 감염을 수반하는 패혈증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지만, DIC의 검출에 유용하다는 보고는 없다.
이상과 같이, 아직도, 패혈증성 DIC (또는 감염성 DIC)의 진단을 간편하고 정밀하게 실시할 수 있는 마커의 보고는 없어서, 의사는 패혈증성 DIC (또는 감염성 DIC)의 진단에 고심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며, 그러한 마커의 발견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 4040666호 명세서 특허 문헌 2: 특개 2005-106694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의학 아유미(醫學のあゆみ) 2011; 238 (1): 63-68. 비특허 문헌 2: 의학 아유미 2011; 238 (1): 114-119. 비특허 문헌 3: J Infect Chemother 2005; 11: 234-238. 비특허 문헌 4: Medical Postgraduates 2010; 48: 25-27. 비특허 문헌 5: Therapeutic Reserach 2004; 25: 1689-1694.
본 발명의 과제는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DIC) 또는 감염성 DIC의 진단에 유효한 마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감염성 DIC가 의심된 후,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방침을 신속히 결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을 예의 탐구하는 가운데, 본 발명자는, 임상 시험에서, 혈액 중 sCD14-ST의 양을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DIC)과의 관계를 검토 한 바, sCD14-ST는, DIC 환자에게 대해 높은 감도와 특이성을 가지고 반응하는 특이적인 마커이며, 그 측정값 또는 정도로부터, DIC를 감지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특히, 감염 유무와 관계없이, DIC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은, 놀라운 발견이었다.
또한, 본 발명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감염성 DIC)이 의심될 때에, 시료 중의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를 측정함에 의해, 그 측정값 또는 정도로부터, 간편하게 감염성 DIC를 검출하고, 또한 그의 병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특이적인 마커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은
[1] 시료 중의 sCD14-ST를 측정하는,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방법,
[2]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환자에서 채취한 시료 중의 sCD14-ST를 측정하는 공정, 및
sCD14-ST 값이 비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환자와 비교하여 높은값인 경우에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라고 판단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1]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방법,
[3] 상기 판단 공정에서, sCD14-ST값과 미리 결정된 역치와 비교하는, [2]의 방법,
[4] 상기 sCD14-ST를 면역학적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
[5] 상기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며, sCD14-ST 기능에 추가로 시료 중의 응고 관련 마커를 측정하는 [1]의 방법,
[6]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환자에게서 채취한 시료 중의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를 측정하는 공정, 및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이 감염성 비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환자와 비교하여 변화하는 경우에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다 라고판단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5]의 방법,
[7] 상기 판단 공정에서, 측정된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과 각각의 미리 결정된 역치와 비교하는, [6]의 방법
[8] 상기 응고 관련 마커가, D-dimer, FDP, 트롬빈·안티트롬빈 III 복합체, 혈소판 수, 단백질 C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5] ~ [7] 중 어느 하나의 방법,
[9] 상기 sCD14-ST를 면역학적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는, [5] ~ [8] 중 어느 하나의 방법,
[10]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을 검출하는 키트이며,
(a) sCD14-ST에 특이적인 항체,
(b) 시료 중의 sCD14-ST의 양과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 데이터,
(c) 취급 설명서
를 포함하는, 상기 키트,
[11]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을 검출하는 키트이며,
(a) sCD14-ST에 특이적인 항체,
(b) 응고 관련 마커 측정용 시약,
(c) 시료 중의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과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 데이터,
(d) 취급 설명서를 포함하는, 상기 키트,
[12] 상기 응고 관련 마커가, D-dimer, FDP, 트롬빈·안티트롬빈 III 복합체, 혈소판 수, 단백질 C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11]의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간 sCD14-ST」(별칭으로서 프레세프신(プレセプシン) (등록 상표)라고도 함)으로는, 특허 제 4040666호 명세서에 기재된 「제 1 양태의 가용성 CD14 항원」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1) ~ 3)의 성질을 가지는 가용성 CD14 항원이다.
1) 비환원 조건 하 SDS-PAGE에서는, 분자량 13 ± 2kDa,
2) N 말단 서열에 서열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그리고
3) 서열 번호 2에 기재된 16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항원으로서 제작한 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서열 번호 1:
Thr Thr Pro Glu Pro Cys Glu LeuAsp Asp Glu
1 5 10
서열 번호 2:
Arg Val Asp AlaAsp Ala Asp Pro Arg Gln Tyr Ala Asp Thr Val Lys
1 5 10 15
본 명세서에서 「감염」으로는, 세균, 진균, 기생충, 또는 바이러스 등의 감염을 들 수 있다.
감염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혈액 배양 외에 유전자 동정법 (PCR, RT-PCR 등), 화상 진단, 초음파 진단, 내시경 검사, 생검 등을 들 수 있다 (Am J Infect Control 1988; 16: 128-140).
본 발명 문서에서 「감염증」으로는, 미생물의 정상 조직에의 침습 혹은 그 존재에 대한 염증 반응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현상이다 (Chest 1992; 101 (6): 1644-1655). 감염증을 일으키는 병원체에는, 세균, 진균, 기생충, 또는 바이러스를 들 수 있다. 균혈증, 패혈증, 중증 패혈증 및 패혈증성 쇼크는 「감염증」 중에 포함된다. 균혈증은, 혈액 중에 세균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세균감염증 최신내과학대계 제27권 1994: 69-84). 패혈증은, 감염에 의해 발생된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IRS)으로, 체내의 감염 병소에서 세균이나 진균 등의 미생물 및 그 대사 산물이 지속적으로 혈액으로 이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명세서에서 「패혈증」으로는, 감염에 의해 발생된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IRS)이다. 즉, 감염증이 전신에 파급한 것으로 매우 심각한 상태이며, 무치료로는 쇼크, DIC, 다장기부전(多臟器不全) 등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패혈증」의 진단은 상기 감염의 존재 이외에, 예를 들어,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 (SIRS) 진단 항목인 이하의 4 항목 중 2 항목 이상을 충족하는 상태의 것을 말한다 (Chest 1992; 101(6): 1644-1655).
1) 체온> 38 ℃ 또는 <36 ℃
2) 심박수> 90 회/분
3) 호흡 수> 20 회/분 또는 PaCO2> 32Torr
4) 백혈구 수> 12000, <4000 /mm3 또는 미숙형 백혈구> 10 %
본 명세서에서 「감염성 DIC」로는, 감염증 (또는 패혈증)을 기초 질환으로가지는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DIC)이다. 예를 들면, 중증 패혈증의 약 35 %는 DIC를 합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방법으로는, 「감염성 DIC」(또는 「패혈증성 DIC」)의 진단은, 의사가, 상기 감염증 (또는 패혈증)의 진단 기준 및 DIC 진단 기준에 맞게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그의 병태를 파악한다.
또한 그 치료법은 각각의 병태의 대처 요법이며, 예를 들면, 감염증 (또는 패혈증)의 치료를 위해 항균제 등, 그리고 DIC의 치료를 위해서는 항응고제 등이 적절히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DIC) 또는 감염성 DIC의 발생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 방침을 책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임상 시험에 등록된 환자(49명)에 대해,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23례)와 비DIC군 (26례)으로 분류하고, 내원시에 채취한 검체의 sCD14-ST값, 프로칼시토닌(PCT)값, 인터루킨-6(IL-6)값 각각에 대해 DIC 검출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과 같은 분류를 한 환자에 대해, 내원시에 채취한 검체의 C 반응성 단백(CRP)값, D-dimer값,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 값 각각에 대해, DIC 검출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임상 시험에 등록된 환자(49명)에 대해, 후생 노동성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23례)와 비DIC군 (26례)으로 분류하여, 내원시 채취한 검체의 sCD14-ST 값, 프로칼시토닌(PCT)값, 인터루킨-6(IL-6)값 각각에 대해, DIC 검출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은 분류를 한 환자에 대해, 내원시에 채취한 검체의 C 반응성 단백(CRP)값, D-dimer값,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FDP)값 각각에 대해, DIC 검출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임상 시험에 등록된 환자 (49명)에 대해, ISTH overt-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23례)와 비DIC군 (26례)으로 분류하여, 내원시에 채취한 검체의 sCD14- ST값, 프로칼시토닌(PCT)값, 인터루킨-6(IL-6)값 각각에 대해, DIC 검출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와 같은 분류를 한 환자에 대해, 내원시에 채취한 검체의 C 반응성 단백(CRP)값, D-dimer값,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FDP) 값 각각에 대해, DIC 검출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급성기 DIC 기준으로 한 ROC 분석 결과로부터, sCD14-ST의 임상 감도 및 특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sCD14-ST값, 세로축은 감도 또는 특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 3의 후생 노동성 DIC 기준으로 한 ROC 분석 결과로부터, sCD14-ST의 임상 감도 및 특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sCD14-ST값, 세로축은 감도 또는 특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 2의 급성기 DIC 기준으로 한 ROC 분석 결과로부터, D-dimer의 임상 감도 및 특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D-dimer값, 세로축은 감도 또는 특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예 3의 후생 노동성 DIC 기준으로 한 ROC 분석 결과로부터, D-dimer의 임상 감도 및 특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D-dimer값, 세로축은 감도 또는 특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2의 급성기 DIC 기준으로 한 ROC 분석 결과로부터, 피브린· 피브리노겐 분해 산물(FDP)의 임상 감도 및 특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FDP값, 세로축은 감도 또는 특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예 3의 후생 노동성 DIC 기준으로 한 ROC 분석 결과로부터,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FDP)의 임상 감도 및 특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FDP값, 세로축은 감도 또는 특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임상 시험에 등록된 환자 (49명) 중 비감염이었던 SIRS 또는 비감염성 질환의 증례 13례를 대상으로,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4례)과 비DIC군 (9례)으로 분류하여, 내원시에 채취한 검체의 sCD14-ST값, 프로칼시토닌(PCT)값, 인터루킨-6(IL-6)값 각각에 대해, DIC 검출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도 13와 같은 분류를 한 환자에 대해 내원시에 채취한 검체의 C반응성 단백(CRP)값, D-dimer값,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FDP)값 각각에 대해, DIC 검출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임상 시험에 등록된 환자 (49명)중, 감염을 수반하는 패혈증, 중증 패혈증, 패혈증성 쇼크 또는 감염성 질환의 증례 33례를 대상으로 해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sCD14-ST를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의 sCD14-ST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16은 도 15와 같은 증례 33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프로칼시토닌(PCT)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PCT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
도 17은 도 15와 같은 증례 33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C반응성 단백(CRP)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CRP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18은 도 15와 같은 증례 33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인터루킨-6(IL-6)를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IL-6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19는 임상 시험에 등록된 환자 (49명)에 대해, 비감염군(SIRS 및 비감염성 질환) 13례와 감염군 (패혈증, 중증 패혈증, 패혈증성 쇼크 및 감염성 질환) 36 례로 분류하고, 감염증 검출에 있어서 sCD14-ST 값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임상 시험에 등록된 환자 (49명) 중, 감염을 동반한 패혈증, 중증 패혈증, 패혈증성 쇼크 또는 감염성 질환의 증례 36례를 대상으로,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19례)과 비DIC군 (17례)으로 분류하고, 감염성 DIC 검출에 있어서 sCD14-ST값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임상 시험에 등록된 환자 (49명) 중, 감염을 수반하는 패혈증, 중증 패혈증, 패혈증성 쇼크 또는 감염성 질환의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D-dimer를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D-dimer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22는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FDP)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FDP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23은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혈소판 (Plt)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혈소판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24는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프로트롬빈 시간(PT)(초)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PT(들)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25는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프로트롬빈 시간(PT)(%)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PT(%)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26은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INR값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INR값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27은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APTT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28은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피브리노겐 (FIB)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피브리노겐 수치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29는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안티트롬빈III(ATIII)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안티트롬빈III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30은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젖산 (Lact)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젖산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31은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트롬빈·안티트롬빈III 복합체 (TAT)를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TAT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32는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플라스민·α2 플라스민인히비터 복합체 (PIC)를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PIC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33은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단백질C(PC)를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단백질C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34는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트롬보모듈린(TM)를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트롬보모듈린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35는 도 21과 같은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DIC 스코아를 구하는 동시에 조직 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tPA)·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 억제제(PAI-1) 복합체 (Total PAI-1)을 측정하고, DIC 스코아 별 Total PAI-1의 측정값 분포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상자 그림이다.
도 36은 임상 시험에 등록된 환자 (49명) 중, 비감염이었던 SIRS 또는 비감염성 질환의 증례 13례를 대상으로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4례)과 비DIC군 (9 례)으로 분류하여, 내원시에 채취한 검체의 sCD14-ST값, 프로칼시토닌 (PCT)값, 인터루킨-6(IL-6)값 각각에 대해 DIC 검출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7은 도 36과 같은 분류를 한 환자에 대해, 내원시에 채취한 검체의 C반응성 단백(CRP)값, D-dimer값,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FDP) 값 각각에 대해 DIC 검출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검출 방법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이라 칭한다)에서는, 피검 대상자, 특히,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DIC)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DIC 환자로부터 채취한 시료 중의 sCD14-ST를 측정한다. 또한,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감염성 DIC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감염성 DIC)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감염성 DIC 환자로부터 채취한 시료 중의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응고 관련 마커는, 예를 들어, D-dimer, 피브린· 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 혈소판 수 (Plt), 프로트롬빈 시간(PT), INR 값,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APTT), 피브리노겐 (FIB), 안티트롬빈 III (ATIII) (정량·활성), 젖산(Lact), 트롬빈-안티트롬빈 복합체 (TAT), α2 플라스민인히비터·플라스민 복합체 (PIC), 단백질C (PC, 정량·활성), 트롬보모듈린 (TM) 및 조직 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 (tPA)·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 억제제 (PAI-1) 복합체 (Total PAI-1), 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 억제제 (PAI-1), 가용성 피브린(SF), E-셀렉틴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D-dimer, FDP, TAT, 혈소판 수, PC이다.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 방법 자체는 공지이며, 시판의 측정 시약이나 측정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백질의 각종 공지 분석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항체를 이용하는 면역학적 분석 방법, 전기 영동 등의 생화학적 분석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임상 검사용의 자동 분석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RNA 압타머(アプタマ-)등 항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는 분석 방법도 본 발명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특허 제 4040666호 명세서에는, 인간 sCD14-ST의 측정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열 번호2에 기재된 16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펩티드 (특허 제 4040666 호 명세서에 기재된 S68 펩티드)를 항원으로 제작한 폴리클론 항체 (S68항체), 모노클론 항체 (F1146-17-2 항체)와, 항CD14 항원 모노클론 항체 (예 F1031-8-3 항체, F1106-13-3 항체 등)과 조합을 이용한 샌드위치 EIA계 [특허 제 4040666호 명세서의 실시예 7-(1)]가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와 나타난 바와 같이, sCD14-ST 측정 시약은, 자성 입자를 사용한 화학 발광 효소 면역 측정법에 따라, 자동 화학 발광 면역 측정 장치 (PATHFAST; 미쯔비시 화학 메디엔스 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 시료로서는, sCD14-ST (바람직하게는 응고 관련 마커)를 측정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혈액 시료(예를 들어, 전혈, 혈장, 혈청)를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시료 중의 sCD14-ST 농도의 상승을, DIC의 지표로 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DIC 환자에서는 유의하게 sCD14-ST 값이 높아진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5나 실시예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sCD14-ST의 컷오프 값 (역치)이 1100 pg/mL로 고가이며, 이를 이용하여, 높은 감도나 특이도에서 DIC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sCD14-ST 값이 높게 나타난 경우에는, DIC를 일으키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한편, sCD14-ST 값이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DIC를 일으키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료 중의 sCD14-ST 농도가 건강한 정상인이나 비DIC 환자의 분위수 (예를 들어, 중앙값)보다 높으면, DIC를 일으키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Cox 회귀나 로지스틱 회귀 등의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판정을 위한 기준은 사전에 준비해 놓은 「역치」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DIC를 검출하기 위한 sCD14-ST 농도의 역치는 다양한 조건, 예를 들면, 성별, 연령 등에 따라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당업자라면 피검자에 대응하는 모집단을 적절히 선택하여, 그 집단에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학적 처리를 실시하여, 판정용 역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집단으로는, 건강한 정상인군, 비DIC 군, DIC군의 각 병태 유형군을 선택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 5에서는, 비DIC군, DIC군의 ROC 분석으로부터, 1100 pg/mL의 최적 컷오프 값을 결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판정용 역치를 결정하고, 시료 중의 sCD14-ST 농도의 측정값과 판정용 역치를 비교하여 의사의 판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으로 DIC의 검출을 할 수 있다.
DIC를 검출하기 위한 컷오프 값은, DIC군과 비DIC군의 분포에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50 ~ 10000 pg/mL, 바람직하게는 250 ~ 5000 p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2300 pg/mL를 들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 범위에서 과도한 시행 착오없이 적절하게 1 점의 컷오프값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시료 중의 sCD14-ST값 및 응고 관련 마커값의 상승 또는 저하를, 감염성 DIC의 지표로 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 11 및 실시예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염성 DIC가 있는 경우에는, sCD14-ST값, D-dimer 값,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FDP) 값, 프로트롬빈 시간 (PT(초)) 값, INR 값, 젖산 값, 트롬빈-안티트롬빈 복합체 (TAT) 값, α2 플라스민인히비터·플라스민 복합체(PIC 값), 트롬보모듈린 (TM 값), 조직 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 (tPA)·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 억제제 (PAI-1) 복합체 (total PAI-1) 값이 높아지고, 한편, 혈소판 (Plt) 수 값, PT (%) 값,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APTT) 값, 피브리노겐 (FIB) 값, 안티트롬빈III (AtIII) 값 (%), 단백질C(PC)값(%)은 낮아진다. 특히 sCD14-ST와 상기 응고 관련 마커를 조합시켜 지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sCD14-ST와 D-dimer, FDP, TAT, 혈소판 수, PC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응고 관련 마커를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패혈증 마커 또는 응고 관련 마커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D14-ST가 고가이며, D-dimer, FDP 또는 TAT가 고가 또는 혈소판 수 또는 PC 값이 낮은 값인 경우는 감염성 DIC를 일으키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고, sCD14-ST가 낮은 값이나, D-dimer, FDP 또는 TAT가 낮은 값 또는 혈소판 수 또는 PC 값이 고가인 경우는 감염성 DIC를 일으키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고가 또는 낮은 값은 각각의 값이 건강한 정상인이나 감염성 비DIC 등의 분위수 (예를 들어, 중앙값)와 비교하여 나타낼 수 있다. 비교는 Cox 회귀나 로지스틱 회귀 등의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판정을 위한 기준은, 사전에 준비해 놓은 「역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감염성 DIC를 검출하기 위한 sCD14-ST 농도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의 역치는, 여러 가지 조건, 예를 들면, 성별, 연령 등에 따라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당업자라면 피검자에 대응하는 적절한 모집단을 적절히 선택하여, 그 집단에서 얻은 데이터를 통계학적 처리를 함으로써 판정용 역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집단으로는 건강한 정상인군, DIC군, 비DIC군, 비감염증군, 감염증군, SIRS군, 패혈증군, 중증 패혈증군, 패혈증성 쇼크군, 패혈증의 각 병태 중증도군, 패혈증 각 질환의 종류군, 감염성 DIC군, 감염성 비DIC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sCD14-ST 값은 후술하는 실시예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900 ~ 1000 pg/mL의 최적 컷오프 값을 결정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 15과 같이 D-dimer값은 6.18 μg/mL 또는 10 μg/mL, FDP값은 25 μg/mL 또는 35 μg/mL, TAT 값은 10 ng/mL 또는 26 ng/mL, 혈소판 값은 12×104개/μL, 실시예 20과 같이, PC값은 45% 또는 55%의 최적 컷오프 값을 결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판정용 역치를 결정하고, 시료 중의 sCD14-ST 농도 측정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을 판정용 역치와 비교하여, 의사의 판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으로 감염성 DIC 검출할 수 있다.
감염성 DIC를 검출하기 위한 컷오프 값은, 감염성 DIC군과 감염성 비DIC군의 분포에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sCD14-ST 값으로는 150 ~ 10000 pg/mL, 바람직하게는 250 ~ 5000 pg/mL,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2300 pg/mL들 수 있다. 당업자라면이 범위에서 과도한 시행 착오없이 적절하게 1 점의 컷오프 값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검체의 채취시기는, DIC 또는 감염성 DIC 의심이 생긴 단계, 치료 한 후 등이 바람직하다. 경시적으로 채취하여 측정함으로써, 적절히 병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DIC 검출용 키트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a) sCD14-ST에 특이적인 항체,
(b) 시료 중의 sCD14-ST의 양과 DIC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 데이터,
(c) 취급 설명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염성 DIC 검출용 키트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a) sCD14-ST에 특이적인 항체,
(b) 응고 관련 마커 측정용 시약,
(c) 시료 중의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과 감염성 DIC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 데이터,
(d) 취급 설명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키트에 사용 상기 항체는, 모노클론 항체 또는 폴리클론 항체 중 어느 것도 가능하다. 또한 sCD14-ST에의 특이적 결합능을 유지하는 항체 단편, 예를 들어, Fab, Fab', F(ab') 2, 또는 Fv로서, 키트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항체는, 그대로의 상태로 키트에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는 면역학적 방법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라텍스 응집 면역 측정법을 이용하는 것이면, 라텍스 담체에 고정한 상태로, 자성 입자 등을 이용한 고감도 측정법을 이용하는 경우, 자성 입자에 고정된 상태에서, 면역 크로마트그래프법 등의 기판을 이용하는 방법이면, 기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표지 물질 (예를 들면, 효소, 형광 물질, 화학 발광 물질, 방사성 동위 원소, 비오틴, 아비딘)에 의한 표지의 필요가 있으면, 표지된 상태에서 키트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키트에 사용할 수 있는 응고 관련 마커 측정용 시약은, 당업자라면 공지 시약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DIC 검출용 키트에 포함된 상기 표준 데이터는, 시료 중의 sCD14-ST의 양과 DIC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것인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판정용 역치, 또는 판정용 역치를 산출하기 위한 원본 데이터 또는 통계 처리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염성 DIC 검출용 키트에 포함된 상기 표준 데이터는, 시료 중의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과 감염성 DIC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판정용 역치, 또는 판정용 역치를 산출하기위한 원본 데이터 또는 통계 처리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표준 데이터는 상기 취급설명서 중에 기재 되어도 좋고, 별도로 데이터 시트로 첨부하여도 좋다. 또한 첨부 문서의 형태는 종이, CD-ROM 등의 전자 매체, 홈페이지 등에서 다운로드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DIC 검출용 키트에 포함된 상기 취급 설명서는, 적어도 시료 중의 sCD14-ST의 양과 DIC와의 관계를 언급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언급 이외에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키트를 사용하는 면역학적 측정의 실시 절차에 대한 설명, 얻은 측정값에 따라 DIC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 키트 자체의 보존·취급 등에 대한 주의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염성 DIC 검출용 키트에 포함된 상기 취급 설명서는 적어도 시료 중의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과 감염성 DIC와의 관계를 언급하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언급 이외에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키트를 사용하는 면역 학적 측정의 실시 절차에 대한 설명, 얻은 측정값에 따라 감염성 DIC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 키트 자체의 보존·취급 등에 대한주의 사항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 대상 1≫
실시예 1 ~ 15 및 비교예 1, 참고예 1은, 이하를 시험 대상으로 했다.
1 시설의 임상 현장에서 일정 기간, 등록된 응급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이 시험은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얻었다. 시험에 등록된 환자는 응급실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남녀로, 다음 4 항목 중 1 항목 이상을 충족한 경우를 대상으로했다.
1) 체온 > 38 ℃ 또는 < 36 ℃
2) 심박수 > 90 회/분
3) 호흡 수 > 20 회/분 또는 PaCO2 > 32 Torr
4) 백혈구 수 > 12000, < 4000 / mm3 또는 미숙형 백혈구 > 10 %
이 시험에 등록된 증례는 총 49례이며,하기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 환자군 및 비DIC 환자군으로 분류했다.
또한 별도로 다음과 같이 기초 질환의 유무를 분류했다. 감염을 수반하지 않는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IRS) 9례, 패혈증 6례, 중증 패혈증 12례, 패혈증성 쇼크 10례, 비감염성 질환 (감염, SIRS 모두 해당하지 않는 상태) 4례, 감염성 질환 (감염이지만 SIRS는 수반하지 않은 상태) 8례였다.
각 환자의 DIC의 판정은, 3 개의 DIC 진단 기준, 즉 급성기 DIC 진단 기준, 후생 노동성 DIC 진단 기준, ISTH overt-DIC 진단 기준을 이용하여 실시했다. 다음에 각각의 진단 기준의 정의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117835239-pct00001
주의
1) 혈소판 수 감소는 스코아 산정의 전후 어느 것 하나의 24 시간 이내라도 가능.
2) 프로트롬빈 시간 (PT) 비 (검체 PT초 /정상 대조값) ISI = 1.0의 경우는 INR과 같다. 각 시설에서 PT비 1.2에 해당하는 초수(秒數)의 연장 또는 활성값의 저하를 사용해도 좋다.
3)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FDP)의 대체로서 D-dimer를 사용하여도 좋다. 각 시설의 측정 키트에 의해 별표의 환산표를 사용한다.
Figure 112014117835239-pct00002
Figure 112014117835239-pct00003
또한 기초 질환의 유무는 다음에 따라 분류했다.
「SIRS」로는, 아래 4 항목 중 2 항목 이상을 충족하는 상태의 것을 말한다 [Chest 1992; 101(6): 1644-1655].
1) 체온 > 38℃ 또는 < 36℃
2) 심박수 > 90 회/분
3) 호흡 수 > 20 회/분 또는 PaCO2 > 32 Torr
4) 백혈구 수 > 12000, < 4000/mm3 또는 미숙형 백혈구 > 10 %
「감염증」으로는, 미생물의 정상 조직으로의 침습 혹은 그 존재에 대한 염증 반응에 의해 특징이 부여되는 현상인 것을 말한다 (Chest 1992; 101(6): 1644-1655). 감염증을 일으키는 병원체로는, 세균, 진균, 기생충, 또는 바이러스를 들 수 있다. 균혈증, 패혈증, 중증 패혈증 및 패혈증성 쇼크는 「감염증」에 포함된다.
「패혈증」으로는, 감염을 수반하는 SIRS의 것을 말한다. 감염증의 진단에는 염증 소견, 장기 증상, 기염균(起炎菌)의 식별(동정;同定)이 필요하며, 진단은 의사에 의해 확정된다. 단, 기염균의 동정시에는 무균적(無菌的)으로 혈액, 수액, 가슴 복수 등으로부터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객담, 소변, 피부 등을 재료로 이용한 경우는 상주(常在) 균에 유의한다. 또한 기염균의 식별이 불가능했던 경우에는, 의사의 종합적인 판단으로부터 패혈증 진단을 할 수 있다.
「중증 패혈증」으로는, 패혈증 중에서, 장기 기능 장애·순환 부전 (젖산 산증(乳酸アシド-シス), 핍뇨(乏尿), 급성 의식 장애 등) 또는 혈압 저하 (수축기 혈압 < 90 mmHg 또는 평상시의 수축기 혈압보다 40 mmHg 이상의 혈압 저하)를 합병 한 상태이다.
「패혈증성 쇼크」는, 중증 패혈증 중에서, 적절한 수액(補液)으로도 혈압 저하 (수축기 혈압 < 90 mmHg 또는 평상시의 수축기 혈압보다 40 mmHg 이상의 혈압 저하)가 지속되는 상태이다. 혈관 작용제 사용에 의해 혈압이 유지되는 경우에도, 장기 기능 장애·순환 부전 (젖산 산증, 핍뇨, 급성 의식 장애 등)이 있다.
sCD14-ST의 측정에 사용하는 샘플로는, 정법에 따라 환자로부터 입원 후에 EDTA 전혈을 채취하여 sCD14-ST를 측정했다. 마찬가지로 프로칼시토닌(PCT), 인터루킨-6(IL-6), C 반응성 단백(CRP)은 EDTA 혈장을 채취하여, D-dimer,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 프로트롬빈 시간 (PT), 피브리노겐 (FIB),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APTT), 안티트롬빈III (ATIII), 트롬빈-안티트롬빈 복합체 (TAT), α2 플라스민 인히비터·플라스민 복합체 (PIC), 단백질C (PC), 조직 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 (tPA)·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 억제제 (PAI-1) 복합물(total PAI-1)은 구연산 혈장을 채취하여, 각각의 측정에 사용했다. 혈소판 수 (Plt)는 EDTA 첨가 혈액을 채취하고, 젖산(Lact)은 제(除) 단백질 상청을 채취하고, 트롬보모듈린(TM)은 혈청을 채취하여 각각의 측정에 사용했다. 입원 후는, 입원해서부터 3 시간 이내의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 패혈증 마커의 측정≫
sCD14-ST의 측정은, 특허 제 4040666호 명세서의 실시예 7-(1)을 수정하여 실시했다. 즉, 알칼리 포스파타제 (ALP) 표지된 폴리클론 항체 (S68 항체)와, 자성 입자 (JSR사 제품)에 고정된 모노클론 항체 (F1031-8-3 항체)를 사용하여, 자동 화학 발광 효소 면역 측정 장치인 PATHFAST (미츠비시 화학 메디엔스 사 제품)로 측정했다. 알칼리 포스파타제 (ALP) 표지된 폴리클론 항체 (S68 항체)는, 상기 폴리 클론 항체 (S68 항체)의 Fab' 화분(畵分)을 준비하고, 말레이미드법에 의해 ALP와 결합시켜 제작하였다. 발광 기질은, CDP-star (어플라이드 바이오 시스템 사 제품)를 사용했다.
측정은 다음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먼저, 검체를 자성 입자 고정화 항체와 ALP 표지 항체를 반응시켜, 검체 중의 sCD14-ST와 상기 2 개의 항체로 복합체를 형성시킨 후, 이 복합체를 자력체로 수집하고, 결합하지 않은 ALP 표지 항체를 제외했다. 발광 기질을 추가하여, 발광량을 sCD14-ST 양으로 검출하였다.
프로칼시토닌 (PCT)의 측정은, 에쿠루시스(エクル-シス) 시약 브람스 PCT (로슈·다이아그노스틱스(ロシュ·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ス)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터루킨-6 (IL-6), 이무라이즈(イムライズ)IL-6 (지멘스헬스케어·다이아 노스틱스(シ-メンスヘルスケア·ダイアグノスティクス)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 반응성 단백(CRP)은, CRP-라텍스 X 2 「생연(生硏)」(덴카세이켄(デンカ生硏)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히타치 7170S (히타치 하이테크 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기초한 각 항목의 DIC 진단능 평가≫
임상 시험에 등록된 증례 49례를 대상으로,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23례)와 비DIC군 (26 례)으로 분류하고, DIC 검출시 sCD14-ST, 프로칼시토닌 (PCT), C 반응성 단백 (CRP), 인터루킨-6 (IL-6), D-dimer 및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했다. sCD14-ST의 측정은, 실시예 1에 따라서 실시했다. PCT의 측정은, 에쿠루시스 시약 브람스 PCT (로슈·다이아그노스틱스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IL-6는, 이무라이즈IL-6 (지멘스헬스 케어·다이아노스틱스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RP는 CRP-라텍스 X2 「생연(生硏)」(덴카세이켄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히타치 7170S (히타치 하이테크 사)를 사용하였다. D-dimer는 나노피아 D 다이머 (적수메디칼(積水メディカル)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코아프레스타(コアプレスタ) 2000 (적수메디칼 사)를 사용하였다. FDP는 나노피아 P-FDP (적수메디칼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코아프레스타 2000 (적수메디컬 사)를 사용하였다. 도 1과 도 2에서 가로축은 「1 - 특이도」이며, 세로축은 「감도」이다.
AUC를 각각 구한 결과, sCD14-ST는 0.834, PCT는 0.791, IL-6는 0.734, CRP는 0.567, D-dimer는 0.824, FDP는 0.810이고, sCD14-ST의 AUC가 가장 컸다. 이 결과로부터 sCD14-ST는 기존의 지표인 D-dimer와 FDP 등에 대하여 유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후생 노동성 DIC 진단 기준에 기초한 각 항목의 DIC 진단능 평가≫
실시예 2와 동일한 증례 49례를 대상으로, 후생 노동성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13례)와 비DIC군 (36 례)으로 분류하고, DIC 검출시 sCD14-ST, 프로칼시토닌 (PCT), C 반응성 단백(CRP), 인터루킨-6 (IL-6), D-dimer 및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했다. sCD14-ST, PCT, CRP, IL-6, D-dimer와 FDP의 측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했다. 도 3과 도 4에서 가로축은 「1 - 특이도」이며, 세로축은 「감도」이다.
AUC를 각각 구한 결과, sCD14-ST는 0.842, PCT는 0.739, IL-6는 0.697, CRP는 0.634, D-dimer는 0.741, FDP는 0.731이고, sCD14-ST의 AUC가 가장 컸다. 이 결과에서 sCD14-ST는 기존의 지표인 D-dimer와 FDP 등에 대하여 유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ISTH overt-DIC 진단 기준에 기초한 각 항목의 DIC 진단능 평가≫
실시예 2와 동일한 증례 49례를 대상으로, ISTH overt-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15례)와 비DIC군 (34 례)으로 분류하고, DIC 검출시 sCD14-ST, 프로칼시토닌 (PCT), C 반응성 단백(CRP), 인터루킨-6 (IL-6), D-dimer 및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했다.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다. sCD14-ST, PCT, CRP, IL-6, D-dimer와 FDP의 측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했다. 도 5와 도 6에서 가로축은「1 - 특이도」이며, 세로축은 「감도」이다.
AUC를 각각 구한 결과, sCD14-ST는 0.853, PCT는 0.694, IL-6는 0.665, CRP는 0.605, D-dimer는 0.807, FDP는 0.805이고, sCD14-ST의 AUC가 가장 컸다. 이 결과에서 sCD14-ST는 기존의 지표인 D-dimer와 FDP 등에 대하여 유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DIC 진단의 sCD14-ST 컷오프 값 평가≫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서 실시한 ROC 분석 결과로부터, sCD14-ST의 임상 감도와 특이도를 도 7, 도 8에 나타낸다. 도 7로부터, sCD14-ST 값이 1033 pg/mL인 경우에, 임상 감도는 78.3 %, 특이도 76.9 %으로 되어, 최적의 컷오프 값으로 여겨졌다. 또한 도 8에서, sCD14-ST 값이 1170 pg/mL인 경우에, 임상 감도 76.9 %, 특이도 75.0 %이며 최적의 컷오프 값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결과에서 sCD14-ST에 의한 DIC 검출법의 컷오프 값은 1100 pg/mL가 최적이라고 생각했다.
≪실시예 6: DIC 진단에서 D-dimer 컷오프 값 평가≫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서 실시한 ROC 분석 결과로부터, D-dimer의 임상 감도와 특이도를 도 9, 도 10에 나타낸다. 도 9로부터, D-dimer 값이 10.1 μg/mL인 경우에, 임상 감도는 78.3 %, 특이도 84.6 %으로 되어, 최적의 컷오프 값으로 여겨졌다. 또한 도 10으로부터, D-dimer 값이 11.3 μg/mL인 경우에, 임상 감도는 69.2 %, 특이도 69.4 %이 되어, 최적의 컷오프 값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결과에서 D-dimer에 의한 DIC 검출법의 컷오프 값은 11 μg/mL가 최적이라고 생각했다.
≪실시예 7: DIC 진단에서 FDP 컷오프 값 평가≫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서 실시한 ROC 분석 결과로부터,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의 임상 감도와 특이도를 도 11, 도 12에 나타낸다. 도 11로부터 FDP 값이 20 μg/mL인 경우에, 임상 감도는 73.9 %, 특이도 73.1 %로 되어, 최적의 컷오프 값으로 여겨졌다. 또한 도 12로부터 FDP 값이 25 μg/mL인 경우에, 임상 감도는 69.2 %, 특이도 72.2 %로 되어 최적의 컷오프 값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FDP에 의한 DIC 검출법의 컷오프 값은 23 μg/mL가 최적이라고 생각했다.
≪실시예 8: DIC 진단에서 각 항목의 임상 감도·특이성≫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에 의해 평가된 sCD14-ST, D-dimer 및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의 컷오프 값을 사용하여, 임상 감도, 특이도, 양성 반응 적중률 및 음성 반응 적중율을 정리한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sCD14-ST는 급성기 DIC 기준, 후생 노동성 DIC 기준, ISTH overt-DIC 진단 기준 중 어느 기준을 사용하여도, 기존의 지표인 D-dimer나 FDP 대해 동등 이상이다. 특히 감도 및 음성 반응 적중률이 높아 유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4117835239-pct00004
≪실시예 9: 비감염군에서 DIC 진단에 대한 유용성≫
실시예 2의 증례 49례 중, 비감염이었던 SIRS 또는 비감염성 질환의 증례 13 례를 대상으로,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4 례)과 비DIC군 (9 례)으로 분류하여, DIC 검출시 sCD14-ST, 프로칼시토닌 (PCT), C 반응성 단백(CRP), 인터루킨-6 (IL-6), D-dimer 및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했다. 결과를 도 13, 도 14에 나타낸다. 도 13, 도 14에서 가로축은「1 - 특이도」이며, 세로축은 「감도」이다.
AUC를 각각 구한 결과, sCD14-ST는 0.806, PCT는 0.778, IL-6는 0.639, CRP는 0.583, D-dimer는 0.764, FDP는 0.792이고, sCD14-ST의 AUC가 가장 컸다. 이 결과에서 sCD14-ST는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기존의 지표인 D-dimer와 FDP 등에 대하여 유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sCD14-ST 값의 컷오프 값은 600 pg/mL의 경우에 임상 감도가 75.0 %, 특이도가 100 %로 되어, 최적으로 여겨졌다.
≪실시예 10: DIC 환자에 대한 항응고 요법 실시의 지표로서 각 마커의 유용성≫
실시예 2와 동일한 증례 49 례 중,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DIC군 (23 례)을 이용하여, 각 마커의 컷오프 값 미만 또는 컷오프 값 이상의 증례에서 항응고 요법 실시율 비교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이 결과에서 sCD14-ST는 컷오프 값 미만의 증례군에 대해 컷오프 값 이상의 증례군 쪽이 항응고 요법의 실시 비율이 컸다. 한편, D-dimer나 FDP는, 컷오프 값 미만의 증례군보다도 컷오프 값 이상의 증례군 쪽이 항응고 요법의 실시 비율이 작았다. 따라서, sCD14-ST는 기존의 DIC의 지표인 D-dimer나 FDP보다도 항응고 요법을 실시하는지 아닌지의 지표로서 유용한 마커임을 시사되었다.
Figure 112014117835239-pct00005
≪실시예 11: 감염군의 각 DIC 스코아에 대한 패혈증 마커의 측정값 분포≫
시험에 등록된 증례 49례 중, 감염을 수반하는 패혈증, 중증 패혈증, 패혈증성 쇼크 또는 감염성 질환의 증례 33례를 대상으로,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 스코아(점)을 구하고, 각 DIC 스코아별의 sCD14-ST, 프로칼시토닌(PCT), C 반응성 단백(CRP) 및 인터루킨-6 (IL-6)의 측정치 분포를 비교했다. sCD14-ST의 측정은 실시예 1에 따라서 실시했다.
Kruskal-Wallis 검정(檢定)에 의한 다군(多群)간 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sCD14-ST는 p값 = 0.0214, PCT는 p값 = 0.0436, IL-6는 p값 = 0. 0729, CRP는 p값 = 0.3994이며, sCD14-ST는 PCT, IL-6, CRP에 대해 유의차를 인정했다. sCD14-ST는, 감염성 DIC 스코아를 가장 반영하는 마커로 간주되었다. 도 15 ~ 18에, 각 DIC 스코아에 각 마커의 중앙값과 증례수를 보여 주었다.
Figure 112014117835239-pct00006
또한, 다군 간 통계 분석에 의해 유의차를 인정한 sCD14-ST 및 PCT에 대해서는, 동일 환자군을 감염성 비DIC (DIC 스코아 4 점 미만) (n= 15)와 감염성 DIC (DIC 스코아 4 점 이상) (n = 18)로 분류하고, 각각의 sCD14-ST 또는 PCT의 측정값에서 Mann-Whitney U 검정에 의한 2군 간 통계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sCD14-ST는 p = 0.0075, PCT는 p = 0.0329로 되어, sCD14-ST가 감염성 DIC 검출에 가장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sCD14-ST 값은, DIC 스코아가 높아지는 것에 따라서 상승하기 때문에 sCD14-ST 값에서 DIC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12: sCD14-ST의 감염증 검출능 및 컷오프 값 평가≫
시험에 등록된 증례 49 례를 대상으로, 비감염군 (SIRS 및 비감염성 질환) 13 례와 감염군 (패혈증, 중증 패혈증, 패혈증성 쇼크 및 감염성 질환) 36 례로 분류하고, 감염증 검출시 sCD14-ST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평가를 실시했다. 도 19에서 가로축은 「1 - 특이도」이며, 세로축은 「감도」이다.
sCD14-ST의 AUC는 0.833이어서, 유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임상 감도/특이도가 최대가 되는 sCD14-ST 값은 647 pg/mL이며, 그 임상 감도는 83.3 %, 특이도 76.9 %였다. 이 결과에서 감염증 검출시 sCD14-ST 컷오프 값은 600 ~ 700 pg/mL가 최적이라고 생각됐다.
≪실시예 13: 감염군에서 sCD14-ST의 DIC 검출능 및 컷오프 값 평가≫
시험에 등록된 증례 49예 중 감염을 동반한 패혈증, 중증 패혈증, 패혈증성 쇼크 또는 감염성 질환의 증례 36례를 대상으로,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19 례)와 비DIC군 (17 례)으로 분류하고, 감염성 DIC 검출시 sCD14-ST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평가를 실시했다. 도 20에서 가로축은 「1 - 특이도」이며, 세로축은 「감도」이다.
sCD14-ST의 AUC는 0.811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임상 감도/특이도가 최대가 되는 sCD14-ST 값은 929 pg/mL이며, 그 임상 감도는 94.7 %, 특이도 64.7 %였다. 이 결과에서 감염성 DIC 검출시 sCD14-ST 컷오프 값은 900 ~ 1000 pg/mL가 최적이라고 생각됐다.
≪실시예 14: 감염군의 각 DIC 스코아에 대한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 분포≫
시험에 등록된 증례 49예 중 감염을 동반한 패혈증, 중증 패혈증, 패혈증성 쇼크 또는 감염성 질환의 증례 26례를 대상으로, 각 DIC 스코아 별로 D-dimer,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 혈소판 (Plt), 프로트롬빈 시간 (PT) INR 값,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APTT), 피브리노겐 (FIB), 안티트롬빈III (ATIII), 젖산 (Lact), 트롬빈-안티트롬빈 복합체 (TAT), α2 플라스민 인히비터· 플라스민 복합체 (PIC), 단백질 C (PC), 토롬보노듈린 (TM) 및 조직 플라스미노 겐 액티베타 (tPA)· 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 억제제 (PAI-1) 복합체 (Total PAI- 1) 측정 값 분포를 비교했다. D-dimer는 나노피아 D 다이머 (적수메디칼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DP는 나노피아 P-FDP (적수메디칼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소판은 셀 팩 II (시스멕스(シスメックス)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T는 코아그피아(コアグピア) PT-S (적수메디칼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PTT는, 코아그피아 APTT-S (적수메디칼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브리노겐은 코아그피아 Fbg (적수메디칼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안티트롬빈III는, 스테이시아 CLEIA TAT (미츠비시 화학 메디칼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젖산은 데타미나(デタミナ-)-LA (협화메딕스(協和メディックス)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AT는 스테이시아 CLEIA TAT (미츠비시 화학 메디칼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IC는 에루피아에스(エルピアエ-ス) PPIII (미츠비시 화학 메디엔스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질 C는 에루피아에스 PCII (미츠비시 화학 메디엔스 사)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토론보모쥬린는 스테이시아 CLEIA TM (미츠비시 화학 메디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otal PAI-1은 LPIA tPAI 테스트 (미츠비시 화학 메디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Kruskal-Wallis 검정에 의한 다군 간 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D-dimer, FDP, 혈소판 및 TAT는 감염성 DIC 스코아를 반영하는 마커로 간주되었다. 도 21 ~ 도 35는 각 DIC 스코아에 각 마커의 중앙값과 증례 수를 보여 주었다.
Figure 112014117835239-pct00007
다음, 다군 간의 통계 분석에 의해 유의차를 확인한 D-dimer, FDP, 혈소판 및 TAT에 있어서, 동일 환자군을 감염성 비DIC (DIC 스코아 4점 미만) (n = 14)와 감염성 DIC (DIC 스코아 4점 이상) (n = 12)로 분류하고, 각각의 D-dimer, FDP, 혈소판 또는 TAT 측정값으로부터 Mann-Whitney U 검정에 의한 2군 간 통계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D-dimer는 p= 0.0017, FDP는 p= 0.0037, 혈소판은 p= 0.0464, TAT는 p= 0.0002가 되고, D-dimer, FDP, 혈소판 및 TAT가 감염성 DIC 검출에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실시예 15: sCD14-ST와 응고 관련 마커를 조합시킨 감염성 DIC 검출능의 평가≫
시험에 등록된 증례 49례 중, 패혈증 마커 (sCD14-ST, 프로칼시토닌 (PCT), 인터루킨-6 (IL-6)와 C 반응성 단백(CRP)) 및 응고 관련 마커 (D-dimer, 피브린· 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 혈소판 (Plt), 프로트롬빈 시간 (PT), INR 값, 활성화 부분 토롬보플라스틴 시간 (APTT), 피브리노겐 (FIB), 안티트롬빈III (ATIII), 젖산 (Lact), 트롬빈-안티트롬빈 복합체 (TAT), α2 플라스민 인히비터·플라스민민 복합체 (PIC), 단백질 C (PC), 토롬보모듈린 (TM) 및 조직 플라스미노겐 액티 베타 (tPA)· 플라스미노겐 액티베타 억제제 (PAI-1 ) 복합체 (Total PAI-1)의 측정 값이 모두 확인된 44례를 대상으로, sCD14-ST와 D-dimer (표 8 내지 표 10), sCD14-ST와 FDP (표 11 ~ 표 13), sCD14-ST와 혈소판 (표 14 ~ 표 15), sCD14-ST와 TAT (표 16 ~ 표 18)의 조합으로 감염성 DIC 검출능의 평가를 실시했다. sCD14-ST 컷오프 값은 실시예 12 또는 13에서 얻은 값에서 설정했다. D-dimer의 컷오프 값은 종래 많이 사용되고 있는 6.18 μg/mL 또는 실시예 13과 같은 순서에 의해 구해서 설정한 10 μg/mL를 사용하였다. FDP의 컷오프 값은, 종래 많이 사용되고 있는 25μg/mL 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 구해서 설정한 35 μg/mL를 사용하였다. 혈소판의 컷오프 값은 종래 많이 사용되고 있는 12 × 104 개/μL을 사용하였다. TAT의 컷오프 값은 종래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 ng/mL 또는 실시예 13과 같은 순서에 의해 구해져 설정한 26 ng/mL를 사용하였다. 평가에 있어서는 각 조건의 임상 감도, 특이도, 음성 반응 적중률, 양성 반응 적중률을 산출했다.
(A) D-dimer
Figure 112014117835239-pct00008
Figure 112014117835239-pct00009
Figure 112014117835239-pct00010
(B)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산물(FDP)
Figure 112014117835239-pct00011
Figure 112014117835239-pct00012
Figure 112014117835239-pct00013
(C) 혈소판 (Plt)
Figure 112014117835239-pct00014
Figure 112014117835239-pct00015
(D) 트롬빈 - 안티트롬빈 복합체 (TAT)
Figure 112014117835239-pct00016
Figure 112014117835239-pct00017
Figure 112014117835239-pct00018
결과로부터,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 (D-dimer, FDP, 혈소판 및 TAT) 단독에 의한 검출법은, 모두 임상 감도가 높지만 특이도는 낮았다. 한편, sCD14-ST와 응고 관련 마커를 결합함에 의해, 임상 감도는 변함없고 특이도가 상승했다. 이상에서 감염성 DIC 검출에 대해 sCD14-ST와 D-dimer, sCD14-ST와 FDP 및 sCD14-ST와 TAT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임상 감도와 특이도가 80 % 이상으로 되어, 종래의 지표에서는 없었던 임상 감도와 특이도를 겸비한 지표이어서,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비교예 1: PCT와 TAT 결합된 감염성 DIC 검출능의 평가≫
실시예 15와 동일한 증례 44례를 대상으로, 프로칼시토닌 (PCT)과 트롬빈-안티트롬빈 복합체 (TAT)의 조합 (표 19 ~ 표 20)에 의한 감염성 DIC 검출능의 평가를 실시했다. PCT의 컷오프 값은 종래 많이 사용되고 있는 0.5 ng/mL 및 2.0 ng/mL를 사용하였다. TAT의 컷오프 값은 종래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 ng/mL를 사용하였다. 평가에 있어서는 각 조건의 임상 감도, 특이도, 음성 반응 적중률, 양성 적중률을 산출했다.
Figure 112014117835239-pct00019
Figure 112014117835239-pct00020
결과로부터, PCT와 TAT의 조합에 의한 감염성 DIC 검출법은 임상 감도와 특이도 모두 80 % 이상을 충족시키는 조건은 아니며, 실시예 15의 sCD14-ST와 TAT의 조합과 비교해도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sCD14-ST는, 기존 패혈증 마커로 알려진 PCT에 비해, 감염성 DIC 검출에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시험 대상 2≫
실시예 16 ~ 20은 다음을 시험 대상으로 했다.
1개 시설의 임상 현장에서, 시험 대상 1과 동일한 기준에 따라 등록된 증례 총 87례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그 중, 질환 이름이 결정된 증례는 84례이고, 상세하게는 감염증을 수반하지 않는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 (SIRS) 19례, 패혈증 8례, 중증 패혈증 14례, 패혈증성 쇼크 21례, 비감염성 질환 (감염, SIRS 모두 해당하지 않는 상태) 12례, 감염성 질환 (감염이지만 SIRS는 수반하지 않은 상태) 10례였다.
≪실시예 16: 패혈증 마커 DIC에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질병명이 결정된 증례 84례를 대상으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스텝와이즈법)을 실시했다. 분석에 있어서 목적 변수를 급성기 DIC 진단 기준 (비DIC군 또는 DIC군), 설명 변수를 sCD14-ST, 프로칼시토닌 (PCT), 인터루킨-6 (IL-6), C 반응성 단백 (CRP)으로 하고, 단위 오즈비(オッズ比)를 연속 변수가 1 단위만 변경한 경우에서 실시했다. 효과에 대한 우도비(尤度比) 검정 결과, sCD14-ST가 오즈비 1.001572, 95 % CI가 1.000865-1.002446, p < 0.0001로 되어 가장 유용하였다.
≪실시예 17: 응고 관련 마커의 DIC의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질병명이 결정된 증례 84례를 대상으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스텝와이즈법)을 실시했다. 분석에 있어서 목적 변수를 급성기 DIC 진단 기준 (비DIC군 또는 DIC군), 설명 변수를 안티트롬빈III (ATIII), 단백질C (PC), 토롬보모듈린 (TM)으로 하여, 단위 오즈비를 연속 변수가 1 단위만 변화한 경우에서 실시했다. 효과에 대한 우도비 검정 결과, 단백질C가 교차비 0.944377, 95% CI가 0.918842-0.965239, p < 0.0001로 되어 가장 유용하였다.
≪실시예 18: sCD14-ST와 PC의 패혈증 유무에 관한 ROC 분석 및 컷오프 값 평가≫
질병명이 결정된 증례 84례 중, sCD14-ST 및 단백질C (PC)의 측정값이 모두 확인된 80례 (패혈증군: 40례, 비패혈증군: 40례)을 대상으로 ROC 분석을 실시한 결과, AUC는 sCD14-ST가 0. 925 (p < 0.0001), PC가 0.833 (p < 0.0001)였다. 또한, 컷오프 값은 sCD14-ST가 647 pg/mL (감도 = 93.0 %, 특이도 = 75.6 %), PC가 47% (감도 = 77.5 %, 특이도 = 80.0 %)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컷오프 값은 sCD14-ST가 650 pg/mL, PC가 45%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시예 19: sCD14-ST와 PC의 DIC 유무에 관한 ROC 분석 및 컷오프 값 평가≫
질병명이 결정된 증례 84례 중, sCD14-ST 및 단백질C (PC)의 측정값이 모두 확인된 81례 (DIC군: 36례, 비DIC군: 45례)을 대상으로 ROC 분석을 실시한 결과, AUC는 sCD14-ST가 0.836 (p < 0.0001), PC가 0.891 (p < 0.0001)이였다. 또한, 컷오프 값은 sCD14-ST가 899 pg/mL (감도 = 81.6 %, 특이도 = 80.9 %), PC가 55 % (감도 = 89.2 %, 특이도 = 75.6 %)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컷오프 값은 sCD14-ST가 900 pg/mL, PC가 55 %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시예 20: sCD14-ST와 PC를 결합한 감염성 DIC 검출능의 평가≫
질병명이 결정된 증례 84례 중, sCD14-ST 및 단백질C (PC)의 측정값이 모두 확인된 81례를 대상으로,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sCD14-ST와 PC(표 21 ~ 표 22)의 조합으로 감염성 DIC 검출능의 평가를 실시했다. 컷오프 값은 실시예 18 또는 19에서 얻은 값에서 설정했다. 평가에 있어서는 각 조건의 임상 감도, 특이도, 음성 반응 적중률, 양성 반응 적중률을 산출했다.
Figure 112014117835239-pct00021
Figure 112014117835239-pct00022
결과로부터,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sCD14-ST와 PC 단독에 의한 검출법은, 모두 임상 감도가 높지만 특이도는 낮았다. 한편, sCD14-ST와 PC를 조합시킨 것에 의해 특이도가 상승했다. 감염성 DIC 검출에 대해서 sCD14-ST와 PC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임상 감도와 특이도가 80 % 이상이 되고, 종래의 지표에서는 없었던 임상 감도와 특이도를 겸비하는 지표이어서,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참고예 1: 비감염군에서 DIC 진단에 대한 유용성≫
실시예 12의 비감염군, 즉 비감염이었던 SIRS 또는 비감염성 질환의 증례 13례를 대상으로, 급성기 DIC 진단 기준에 따라 DIC군 (4례)과 비DIC군 (9례)으로 분류하고, DIC 검출시 sCD14-ST, 프로칼시토닌 (PCT), C반응성 단백 (CRP), 인터루킨-6 (IL-6), D-dimer 및 피브린·피브리노겐 분해 산물 (FDP)의 유용성을 ROC 분석을 통해 비교했다.
PCT의 측정은, 에쿠루시스 시약 브람스 PCT (로슈·다이아그노스틱스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IL-6는 이무라이즈 IL-6 (지멘스헬스케어·다이아노스틱스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RP는 CRP- 라텍스 X2 「생연」(덴카세이켄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히타치 7170S (히타치하이테크 사)를 사용하였다. D-dimer는 나노피아 D 다이머 (적수메디칼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코아프레스타 2000 (적수메디컬 사)를 사용하였다. FDP는 나노피아 P-FDP (적수 메디칼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코아프레스타 2000 (적수메디컬 사)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도 36, 도 37에 나타낸다. 도 36, 도 37에서 가로축은 「1 - 특이도」이며, 세로축은「감도」이다.
AUC를 각각 구한 결과, sCD14-ST는 0.806, PCT는 0.778, IL-6는 0.639, CRP는 0.583, D-dimer는 0.764, FDP는 0.792이고 , sCD14-ST의 AUC가 가장 컸다. 이 결과에서 sCD14-ST는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기존의 지표인 D-dimer나 FDP 등에 대하여 유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sCD14-ST 값의 컷오프 값은 600 pg/mL의 경우 임상 감도가 75.0 %, 특이도가 100 %로 되어, 최적으로 여겨졌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DIC)의 검출 및 그 병태의 파악에 이용할 수 있다. DIC가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DIC 환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DIC 환자에 대해 경시적으로 측정함에 의해,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서, 적절한 치료 방침의 책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감염성 DIC)의 검출 및 그 병태의 파악에 이용할 수 있다. 감염성 DIC가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감염성 DIC 환자를 특정할 수 있으며, 감염성 DIC 환자에 대해 경시적으로 측정하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어서, 적절한 치료 방침의 책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따라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이나 개량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LSI Medience Corporation Fukuoka University <120> Method for detecting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or infectious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130> PI10550JP <150> JP 2012-106216 <151> 2012-05-07 <150> JP 2012-106217 <151> 2012-05-07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Thr Thr Pro Glu Pro Cys Glu Leu Asp Asp Glu 1 5 10 <210> 2 <211> 1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Arg Val Asp Ala Asp Ala Asp Pro Arg Gln Tyr Ala Asp Thr Val Lys 1 5 10 15

Claims (12)

  1. 시료 중의 sCD14-ST를 측정하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환자에서 채취한 시료 중의 sCD14-ST를 측정하는 공정, 및
    sCD14-ST 값이 감염성 비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환자에 비해 고가인 경우에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라고 판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공정에서 sCD14-ST 값과 미리 결정된 역치를 비교하는 것인,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CD14-ST를 면역학적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인,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며, sCD14-ST에 추가하여, 시료 중의 응고 관련 마커를 더욱 측정하는 것인,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환자에서 채취한 시료 중의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를 측정하는 공정, 및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이 감염성 비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환자와 비교하여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이라고 판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인,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공정에서, 측정된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값과 각각의 미리 결정된 역치를 비교하는 것인,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응고 관련 마커가 D-dimer, FDP, 트롬빈·안티트롬빈III 복합체, 혈소판 수, 단백질C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것인,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청구항 5 내지 8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CD14-ST를 면역학적 측정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인,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의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을 검출하는 키트이며,
    (a) sCD14-ST에 특이적인 항체,
    (b) 시료 중의 sCD14-ST의 양과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 데이터,
    (c) 취급 설명서를 포함하는, 상기 키트.
  11.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을 검출하는 키트이며,
    (a) sCD14-ST에 특이적인 항체,
    (b) 응고 관련 마커 측정용 시약,
    (c) 시료 중의 sCD14-ST 및 응고 관련 마커의 측정 값과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 데이터, 및
    (d) 취급 설명서를 포함하는, 상기 키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응고 관련 마커가 D-dimer, FDP, 트롬빈·안티트롬빈III 복합체, 혈소판 수, 단백질 C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것인, 키트.
KR1020147034082A 2012-05-07 2013-04-26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을 검출하는 방법 KR102044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6216 2012-05-07
JP2012106216 2012-05-07
JP2012106217 2012-05-07
JPJP-P-2012-106217 2012-05-07
PCT/JP2013/062352 WO2013168602A1 (ja) 2012-05-07 2013-04-26 播種性血管内凝固症候群または感染性播種性血管内凝固症候群を検出す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804A KR20150022804A (ko) 2015-03-04
KR102044940B1 true KR102044940B1 (ko) 2019-11-14

Family

ID=4955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082A KR102044940B1 (ko) 2012-05-07 2013-04-26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을 검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10052B2 (ko)
EP (1) EP2848936B1 (ko)
JP (1) JP6108409B2 (ko)
KR (1) KR102044940B1 (ko)
CN (1) CN104285148B (ko)
ES (1) ES2755623T3 (ko)
WO (1) WO2013168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0494B2 (ja) * 2015-08-28 2020-02-05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血液検体分析方法、血液検体分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6822875A (zh) * 2017-03-01 2017-06-13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微生物流行病研究所 一种弥漫性血管内凝血的预防方法
US20200118687A1 (en) * 2017-06-12 2020-04-16 Koninklijke Philips N.V. Risk assessment of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ES2909399T3 (es) * 2017-09-13 2022-05-06 Brahms Gmbh Proadrenomedulina como marcador de niveles anormales de plaquetas
CA3116686A1 (en) * 2018-10-22 2020-04-30 Asahi Kasei Pharma Corporation Medicament for therapeutic treatment and/or improvement of sepsis accompanied by coagulopathy
CN110596398A (zh) * 2019-08-14 2019-12-20 南京浦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凝血标志物检测的蛋白芯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4060338A4 (en) * 2019-11-19 2023-03-08 Shenzhen Mindray Bio-Medical Electronics Co., Ltd KIT AND METHOD FOR MIXED PCT AND PRESEPSIN DETECTION AND USE
JPWO2021172493A1 (ko) * 2020-02-28 2021-09-02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6260B2 (ja) 1999-02-04 2010-06-23 バイオメリュ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患者サンプルにおける止血機能不全の存在を予測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681175B2 (ja) 2001-09-28 2011-05-11 三菱化学メディエンス株式会社 播種性血管内凝固症候群及びその発症前段階を検出する方法
JP2005106694A (ja) 2003-09-30 2005-04-21 Mochida Pharmaceut Co Ltd 敗血症早期検出及び重篤度評価
WO2005108429A1 (ja) 2004-05-11 2005-11-17 Mochida Pharmaceutical Co., Ltd. 新規可溶性cd14抗原
JP4875495B2 (ja) 2004-11-08 2012-02-15 三菱化学メディエンス株式会社 血小板血栓症又は臓器障害の検出方法
US20090004673A1 (en) 2006-01-31 2009-01-01 Mitsubishi Kagaku Iatron, Inc. Method for Determining Condition of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US11041864B2 (en) 2011-01-11 2021-06-22 Lsi Medience Corporation Method for prediction of prognosis of sepsis
EP2743701B1 (en) 2011-08-12 2016-04-27 LSI Medience Corporation Method of diagnosing surgical site infect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cola Semeraro et al., 'Sepsis-Associate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and Thromboembolic Disease', Mediterr J Hematol Infect Dis., 2010, Vol. 2, pp 1-18. 1부.*
T. Shozushima et al., 'Usefulness of presepsin (sCD14-ST) measurements as a marker for the diagnosis and severity of sepsis that satisfied diagnostic criteria of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8602A1 (ja) 2013-11-14
EP2848936A1 (en) 2015-03-18
CN104285148A (zh) 2015-01-14
US20150118699A1 (en) 2015-04-30
EP2848936A4 (en) 2015-10-14
EP2848936B1 (en) 2019-10-02
US9910052B2 (en) 2018-03-06
KR20150022804A (ko) 2015-03-04
JPWO2013168602A1 (ja) 2016-01-07
CN104285148B (zh) 2016-10-12
ES2755623T3 (es) 2020-04-23
JP6108409B2 (ja)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940B1 (ko)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 또는 감염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을 검출하는 방법
Lagadinou et al. Prognosis of COVID-19: Changes in laboratory parameters
Varikasuvu et al. D-dimer, disease severity, and deaths (3D-study) in patients with COVID-19: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100 studies
Favaloro Laboratory testing i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JP6018923B2 (ja) 敗血症の予後の予測方法
Gámez‐Díaz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HMGB‐1, sTREM‐1, and CD64 as markers of sepsis in patients recently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Meshaal et al.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NLR) and platelet-to-lymphocyte ratio (PLR)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outcome in infective endocarditis (IE)
Ge et al.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of Asian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results from a single center in China
EP4113524A1 (en) Method for measuring platelet activation based on soluble clec-2 and platelet count
Guo et al. The leukocyte VCS parameters compared with procalcitonin, interleukin-6, and soluble hemoglobin scavenger receptor sCD163 for prediction of sepsis in patients with cirrhosis
US9506923B2 (en) Method of diagnosing surgical site infections
CN114636826B (zh) Cd177+中性粒细胞在制备新生儿坏死性小肠结肠炎检测产品中的应用
Barton et al. Are pulmonary hemostasis and fibrinolysis out of balance in equine chronic pneumopathies?
KR20140023260A (ko) Cartilage Acidic Protein 1 단백질에 의한 뇌경색의 검사 방법
Smadja et al. Fibrin monomers evaluation during hospitalization for COVID-19 is a predictive marker of in-hospital mortality
Kara et al. Procalcitonin levels among patients with fever secondary to intracerebral hemorrhage and severe infection. A cross-sectional study
Er et al. Can immature platelet fraction be an early predictor for congenital pneumonia?
Susilo et al. Admission C-reactive protein, D-dimer, IL-6 and XCL1/lymphotactin levels as predictors of 28-day mortality in COVID-19 patien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Imabayashi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Delayed Inflammatory Recovery after Spinal Surgery without Surgical Site Infection: A Retrospective Study
Maher et al. Significance of von Willebrand factor in compensated and decompensated cirrhosis
Schrick et al. Plasma Fibrinogen Independently Predicts Hypofibrinolysis in Severe COVID-19. Metabolites 2021, 11, 826
Lippi et al. Laboratory diagnostics in septic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Arini et al. Relationship between neutrophil-lymphocyte ratio and platelet-lymphocyte ratio with the severity of COVID-19
Antović 'Point-of-care'D-dimer testing
JP2024027767A (ja) 可溶型clec2を用いた血小板減少性疾患の診断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