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419B1 -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419B1
KR102044419B1 KR1020190100369A KR20190100369A KR102044419B1 KR 102044419 B1 KR102044419 B1 KR 102044419B1 KR 1020190100369 A KR1020190100369 A KR 1020190100369A KR 20190100369 A KR20190100369 A KR 20190100369A KR 102044419 B1 KR102044419 B1 KR 10204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rink
customized
genetic
recomm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박종화
조윤성
조수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Priority to KR102019010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419B1/ko
Priority to EP19941912.8A priority patent/EP4016433A4/en
Priority to PCT/KR2019/010836 priority patent/WO2021033817A1/ko
Priority to US17/621,537 priority patent/US2022035856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로부터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유전자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유전자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유전자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주는 음료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자형을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음료를 추천해줄 수 있는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ystem for Recommending individual beverage using gene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음료 선호도를 더 반영한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 검사란 염색체에 들어있는 유전자에 대한 검사로써 유전질환이나 일부 종양의 진단 및 돌연변이, 염색체 이상 등을 진단할 수 있다. 검사 방법으로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혹은 DNA 순차배열분석(DNA sequencing),염색체 미세배열(chromosomal microarray, CMA) 혹은 염색체 검사(karyotyping), 형광동소보합법(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등이 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개인 건강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의약적 처치 및 치료를 할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1-0081861호에는 핵심 물질대사 유전자의 피험체 물질대사 유전자형을 기초로 피험체를 위한 개인별 체중감량 프로그램을 확립할 수 있는 방법 및 검사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이는 피험체에 적절한 치료/식이 요법 또는 생활방식 권고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IL-1B, IL-1A, IL-1RN, ADRB2, ADRB3 및 MCR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유전자좌에서 피험체를 유전자형 검사하고, 이때 상기 유전자좌 내 1 이상의 대립유전자의 존재는 저칼로리 식이, 또는 액체 식이, 또는 둘 모두에 반응하는체중 감량에 대한 상기 피험체의 소인을 예측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즉, 일정 식이 및 활동 수준에 대한 피험체의 반응 가능성을 기초로 적절한 치료/식이 요법 또는 생활방식 권고를 선택하는데 사용함으로써, 피험체의 물질대사 유전자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개인별 체중 감량 프로그램은 유전자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전통적인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비해 체중 감량 및 체중 유지 관점에서 보다 양호한 효과를 내기 위한 것이다.
한편, 최근 커피 소비량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다양한 맛과 재료들로 인해서 커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자신의 선호도에 맞는 음료를 선택하는 데에 다소 어려움을 겪게 된다.
KR 1020110081861 A KR 1020180020691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자형을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음료를 추천해줄 수 있는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료 종류뿐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맛 선호도를 더 반영하여 동일한 음료라 하더라도 사용자마다 상이하게 음료의 제조 스펙을 조절하여 주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로부터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유전자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유전자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유전자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주는 음료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유전자 정보 획득부가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로부터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음료 추천부가 상기 획득되는 유전자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자형을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음료를 추천해줄 수 있는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음료 종류 뿐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맛 선호도를 더 반영하여 동일한 음료라 하더라도 사용자마다 상이하게 음료의 제조 스펙을 조절하여 주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천 과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은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유전자 검사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유전자 검사 서비스와 음료를 판매하는 카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게놈 카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수의 게놈 카페에 구비되는 카페 단말을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구축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은 게놈 카페를 이용하는 회원 가입한 회원들에 한해서 유전자 검사 결과, 커피 섭취량, 섭취빈도, 섭취 종류 등에 대한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게놈 카페는 단순한 음료 판매 뿐 아니라 DTC(direct-to-consumer) 방식의 유전자 검사가 허용된 항목에 대한 오프라인 유전자 검사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카페인 유전자형(검형)과 카페인양에 따른 커피들과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고, 사용자 개인에게 가장 잘 맞는 음료 종류, 커피 종류, 섭취빈도, 섭취량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도 1 에서 알 수 있듯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은 통신부(100), 유전자 정보 획득부(110), 건강 상태 파악부(120), 선호도 입력부(130), 음료 추천부(140), 음료 제조 요청부(150), 추천 음료 알림부(16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00)는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카페 내에 주문 접수를 위해 구비되는 카페 단말 및 체성분 측정기 또는 혈압 측정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100)는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 즉,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RFID, WiFi,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유전자 정보 획득부(110)는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로부터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 획득부(110)는 게놈 카페 내부에 구비되는 유전자 검사 키트로부터 유전자 검사 결과를 획득한다. 일예로 유전자 검사 키트는 사용자의 타액 또는 구강상피를 이용하여 유전자 검사를 수행한다.
유전자 정보 획득부(110)에서 획득할 수 있는 유전자 정보는 카페인 분해 능력, 단맛 선호도, 단맛 민감성, 신맛 선호도, 쓴맛 민감성, 유당 분해 능력, 체질량 지수, 모발 굵기, 탈모 여부, 혈압, 피부 노화상태, 피부 탄력상태, 비타민 C 농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전자 검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 획득부(110)는 통신부(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획득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유전자 정보 획득부(1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화면 표시해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즉각적으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건강 상태 파악부(120)는 체성분 측정기 또는 혈압 측정기로부터 사용자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건강 상태를 파악한다.
본 양상에 따라 게놈 카페에는 사용자가 병원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신체적 상태 즉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의료 장비가 구비된다. 건강 상태 파악부(120)는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와 더불어 의료 장비로부터 측정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상태 파악부(120)는 체성분 측정기로부터 체성분 측정 결과를 획득하여 그로부터 사용자의 체질량지수, 내장 지방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혈압 측정기로부터 사용자의 혈압 정보를 수신하여 혈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선호도 입력부(130)는 사용자 음료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호도 입력부(130)는 통신부(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음료 선호도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음료 또는 맛 선호도를 입력받을 수 있는 질의 목록을 제공하고, 입력되는 선택 항목에 기반하여 사용자 음료 또는 맛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음료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선호도 입력부(130)는 단맛, 신맛, 짠맛, 쓴맛, 우마미맛 각각에 대한 선호도를 단계적으로 선택가능하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맛에 대한 선호도 및 취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선호도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음료 또는 맛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부 혹은 전체 항목에 대해 설문지 형식으로 제공한다.
음료 추천부(140)는 유전자 정보 획득부(110)에서 획득되는 유전자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준다.
음료 추천부(140)는 개인 유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필요 영양 성분 및 필요 섭취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음료 추천부(140)는 개인 유전자 정보로부터 유전 변이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신체적 또는 환경적 관련 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신체적인 또는 환경적인 관련 요소로부터 사용자 특유의 식습관 정보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양상에 따른 음료 추천부(140)는 건강 상태 파악부(120)에서 파악된 사용자 건강 상태 또는 선호도 입력부(130)로 입력된 사용자 음료 선호도를 더 반영하여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줄 수 있다.
음료 추천부(140)는 유전자 검사 결과에 따라 유전적 요인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체질량 지수, 모발 굵기, 혈압, 피부 상태, 콜레스테롤 정보, 중성지방 정보, 혈당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건강 상태에 좋은 권장 음료를 추천해줄 수 있다.
그리고 유전자 정보 일예로 체질량 지수, 탈모 위험도에 따라 권장 음료의 종류나 음료에 첨가물의 추가 여부 및 첨가량을 조절하여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생성한다.
유전자 검사 결과를 반영하여 권장 음료를 결정하는 것은 다음 표 1을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전자 검사 결과 (연관 표현형 묶음) 권장 음료
높은 체질량 지수 녹차, 홍차, 카모마일, 계피차, 마테차, 포도주스
얇은 모발 굵기, 탈모 위험 녹차, 검은콩/검은깨 음료, 석류차, 둥굴레차,
구기자차
높은 혈압 녹차, 계피차, 홍차, 유자차, 율무차, 뽕잎차,
매실차, 국화차
높은 피부 노화, 낮은 피부 탄력, 낮은 비타민 C 농도 녹차, 오렌지, 바나나, 토마토, 레몬 티, 쟈스민,
율무차, 자몽차, 구기자차
높은 총 콜레스테롤/높은 중성지방 딸기, 사과, 녹차, 율무차, 토마토, 키위, 당근,
저지방 요거트
높은 혈당 녹차, 홍차, 토마토, 사과, 블루베리, 자몽, 키위, 딸기, 바나나
음료 추천부(140)는 표 1 에 근거하여 일예로 체질량 지수가 높고 탈모 위험이 많은 사용자에게는 녹차를 1순위 추천음료로 추천해 준다. 그리고 그 외에 체질량 지수가 높거나 탈모 위험이 있을 경우에 권장음료인 홍차, 카모마일, 계피차, 마테차, 포도주스, 검은콩/검은깨 음료, 석류차, 둥글레차, 구기자차를 2순위 추천 음료로 추천해 준다.
또한 음료 추천부(140)는 체질량 지수와 혈압이 모두 높은 사용자에게는 녹차와 계피차를 1순위 추천음료로 추천해 준다. 즉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 1순위, 2순위, 3순위... 순으로 추천음료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료 제조 요청부(150)는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료 추천부(140)에서 추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장 음료들 중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카페 단말로 선택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전송하여 음료 제조를 요청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추천되는 자신의 유전자 정보를 반영하여 선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함과 동시에 선택한 음료를 주문 구매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맞춤형 음료를 추천받고, 추천받은 음료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주문,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료 제조 요청부(150)는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으로 커피의 원두 종류, 커피 원두의 블라인드 정도, 커피 제조방법, 시럽 첨가 여부 및 첨가량, 생크림이나 우유의 첨가 여부 및 첨가량, 과일 주스의 경우 첨가되는 과일이나 야채의 종류 및 함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일이 카운터에 방문하여 음료를 주문해야하는 데 따른 번거로움과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카페 단말에 접근시키면, 사용자 단말은 카페 단말로 선택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전송하여 음료 제조를 요청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어 RFID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카페 단말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음료 추천부(140)는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 정보와, 해당 음료에 대한 권장음료 스펙정보를 생성하여 카페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음료 추천부(140)는 카페인 분해 능력, 쓴맛에 대한 민감성, 신맛 선호도, 단맛 선호도, 유당 분해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커피 제조 방법을 추천해준다.
일 예로 커피맛과 관련된 유전자 검사 결과에 따른 유전자 표현형은 다음 표 2 와 같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현형(Phenotype) 관련 특성 RSID 유전자 위험인자
단맛 높은 선호도 rs838133 FGF21 T
높은 민감성 rs307355 TAS1R3 C
신맛 높은 선호도 rs236514 KCNJ2 A
짠맛 높은 민감성 rs3785368 SCNN1B C
쓴맛 (caffeine) 높은 민감성 rs2597979 PRH1 G
높은 민감성 rs2708377 TAS2R46 G
쓴맛
(phenylthiocarbamide)
높은 민감성 rs173598 TAS2R38 C
우마미 높은 민감성 rs307377 TAS1R3 T
유당 분해 높은 분해 능력 rs4988235 MCM6 T
대체로 커피 품종에 따라 Arabica가 Robusta보다 카페인 함유량이 평균 절반 정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여러 제조 방법 중, Brewed 방법(원두커피)에 의한 것이 Drip 및 Espresso 방식보다 카페인 함유량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카페인 분해능력이 낮을 경우에, Robusta 원두 대비 Arabica 원두의 커피를 제안을 하고, Drip 및 Espresso 대비 Brewed 방법으로 제조된 커피를 추천해줄 수 있다.
또한, 커피의 쓴맛/신맛은 로스팅, 분쇄도, 추출물량, 추출온도, 추출횟수 등에 따라 결정되고, 단맛 및 유당은 설탕/시럽 및 우유/생크림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조절할수 있으므로, 검사 결과 및 설문 선호도에 따라 커피(음료) 제조방법을 조절하여 추천해 준다.
커피의 종류나 제조법, 나아가 첨가 시럽이나 우유/생크림의 첨가량을 상이하게 추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맛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시럽의 첨가량을 3으로, 단맛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시럽의 첨가량을 1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단맛에 대한 선호도에 따른 시럽 첨가량 기준은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천 음료 알림부(160)는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마다 통신부(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음료 추천부(140)에서 추천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 정보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설정을 하면, 매일 설정된 시간에 자신에게 가장 최적화된 커피, 음료 등을 추천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추천받은 커피, 음료 등을 예약 주문 할 수 있고, 예약된 시간에 까페에 방문하여 음료, 커피 등을 수령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을 카페 단말에 접근 시키면 카페 단말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 정보를 출력해줄 수 있다. 나아가 카페 단말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파악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유전자 검사에 기반하여 맞춤형 다이어트 방법, 건강기능식품, 맞춤형 도시락 메뉴나 화장품을 더 추천해줄 수도 있다.
이때 건강기능식품 또는 맞춤형 도시락을 추천해 주는 것은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나, 건강 상태 파악 결과에 따라 필요한 영양소나 섭취할 경우에 건강 기능 향상 효과를 볼 수 있는 영양소가 포함된 건강 기능 식품을 추천해 준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은 특정 도시락 업체에서 판매하는 도시락 메뉴를 파악하고, 도시락 메뉴들 중 유전적으로 사용자가 섭취하면 효과적인 영양소가 대량 포함된 메뉴를 선택하여 제공해주는 메뉴 추천부(170)를 더 포함한다.
메뉴 추천부(170)는 사용자가 섭취하면 효과적인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는 메뉴를 추천해주거나 해당 메뉴의 레시피를 제공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레시피는 웹페이지에 업로드된 레시피 정보들 중에서 웹크롤링 기능에 의해 추출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상에 업로드된 레시피들 중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나트륨 함량, 선호하는 식재료, 선호하는 조리법으로 조리된 레시피를 추출하여 제공해준다.
이때 선호하는 식재료 및 선호하는 조리법은 선호도 입력부(130)에서 설문을 통해 파악한 정보일 수 있다.
메뉴 추천부(17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신호에 기반한 사용자의 현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현 위치에서 반경 수키로 이내에 존재하는 도시락 판매 업체 또는 식당의 메뉴를 추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은 유사한 성격, 성향, 애정성향을 가지는 타인을 매칭 시켜주는 친구추천기능을 더 제공한다. 유전자 정보가 유사하거나, 동일한 음료나 맛을 선호하는 사용자들끼리 레시피나 메뉴를 공유하면서 온라인, 오프라인 상에서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유사한 사용자들 끼리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자신과 음식 선호도가 유사한 타인의 후기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추천된 음료 이외에 다른 음료나 음식에 대해 공감대 높은 리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저장부(180)는 회원 가입한 (멤버쉽)회원들의 유전자 정보, 커피 섭취량, 섭취 빈도, 섭취 종류에 대한 정보를 빅데이터화 하여 저장한다. 즉 유전자 정보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 건강 상태 파악부(120)에서 파악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선호도 입력부(130)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료/음식의 맛 선호도 정보를 빅데이터화 하여 저장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유전자 정보 획득부가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로 부터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획득한다(S200).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를 획득 하는 것은 게놈 카페 내부에 구비되는 유전자 검사 키트로 부터 유전자 검사 결과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유전자 검사 키트는 사용자의 타액 또는 구강상피를 이용하여 유전자 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획득할 수 있는 유전자 정보는 카페인 분해 능력, 단맛 선호도, 단맛 민감성, 신맛 선호도, 쓴맛 민감성, 유당 분해 능력, 체질량 지수, 모발 굵기, 탈모 여부, 혈압, 피부 노화상태, 피부 탄력상태, 비타민 C 농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전자 검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유전자 정보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S210), 유전자 정보 획득부 사용자 단말로 획득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전송한다(S215).
그러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화면 표시해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즉각적으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후에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건강 상태 파악부가 체성분 측정기 또는 혈압 측정기로부터 사용자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건강 상태를 파악한다(S220).
예를 들어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체성분 측정기로부터 체성분 측정 결과를 획득하여 그로부터 사용자의 체질량지수, 내장 지방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혈압 측정기로부터 사용자의 혈압 정보를 수신하여 혈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선호도 입력부가 사용자 음료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230).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호도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음료 선호도 정보를 수신한다.
선호도 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단맛, 신맛, 짠맛, 쓴맛, 우마미맛 각각에 대한 선호도를 단계적으로 선택가능하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맛에 대한 선호도 및 취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맛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부 혹은 전체 항목에 대해 설문지 형식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음료 추천부가 획득되는 유전자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준다(S240).
일 양상에 따른 음료 추천부는 파악된 사용자 건강 상태 또는 선호도 입력부로 입력된 사용자 음료/맛 선호도를 더 반영하여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준다.
이때 음료 추천부는 유전자 검사 결과에 따라 유전적 요인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체질량 지수, 모발 굵기, 혈압, 피부 상태, 콜레스테롤 정보, 중성지방 정보, 혈당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건강 상태에 좋은 권장 음료를 추천해줄 수 있다.
그리고 유전자 정보 일예로 체질량 지수, 탈모 위험도에 따라 권장 음료의 종류나 음료에 첨가물의 추가 여부 및 첨가량을 조절하여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생성한다.
이 후에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추천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S250), 음료제조 요청부가 카페 단말로 선택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전송하여 음료 제조를 요청한다(S255).
이때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으로 커피의 원두 종류, 커피 원두의 블라인드 정도, 커피 제조방법, 시럽 첨가 여부 및 첨가량, 생크림이나 우유의 첨가 여부 및 첨가량, 과일 주스의 경우 첨가되는 과일이나 야채의 종류 및 함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일이 카운터에 방문하여 음료를 주문해야하는 데 따른 번거로움과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카페 단말에 접근시키면, 사용자 단말은 카페 단말로 선택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전송하여 음료 제조를 요청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예를들어 RFID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카페 단말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가 알림 설정을 한 경우에는(S260) 추천 음료 알림부가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마다(S270)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추천하는 단계에서 추천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 정보를 제공한다(S275).
즉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설정을 하면, 매일 설정된 시간에 자신에게 가장 최적화된 커피, 음료 등을 추천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추천받은 커피, 음료 등을 예약 주문 할 수 있고, 예약된 시간에 까페에 방문하여 음료, 커피 등을 수령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천 과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맞춤형 음료를 추천해주는 과정은 먼저, 음료 추천부는 사용자의 카페인 분해 능력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파악한다(S2410). 이때 카페인 분해 능력의 기준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카페인 분해 능력은 수치 자체로 표현되거나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중 상대적인 비율에 의해 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Arabica와 Robusta 품종 중 Arabica가 Robusta보다 카페인 함유량이 평균 절반 정도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여러 제조 방법 중, Brewed 방법(원두커피)에 의한 것이 Drip 및 Espresso 방식보다 카페인 함유량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카페인 분해 능력이 상대적으로 좋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Robusta원두 계열의 원두를 추천해준다. 그리고 Drip 및 Espresso 방식으로 커피 추출하는 제조방식을 추천해준다(S2420).
반면에, 카페인 분해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람에게는 Arabica 원두 계열의 커피 원두를 추천해주고, Brewed 방식의 커피 제조법을 추천해준다(S2425).
그리고 사용자의 쓴맛 민감도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파악한다(S2430). 쓴맛 민감도는 사용자 선호도에 대한 정보에서 파악할 수 있다. 쓴맛에 대한 민감도가 기준이상인 경우 또는 커피의 쓴맛을 선호하지 않는 경우에는 약한 로스팅, 굵은 커피 분쇄도, 적은 추출물량, 낮은 추출온도, 적은 추출횟수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생성한다(S2440).
반면, 쓴맛에 대해 민감도가 떨어지거나 커피의 쓴맛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중간/강한 로스팅, 많은 추출물량, 높은 추출온도, 많은 추출횟수로 사용자 맞춤 권장음료의 스펙 정보를 생성한다(S2445).
이때 로스팅의 강함 정도, 추출물량의 많고 적음 정도, 추출 온도의 높고 낮음 정도, 추출횟수의 많고 적음은 상대적인 물리량을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로스팅 정도, 추출물량, 추출온도, 추출 횟수등의 많고 적음 또는 높고 낮음에 대해 절대적인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로스팅 정도, 추출물량, 추출온도, 추출 횟수등의 많고 적음 또는 높고 낮음은 서비스 제공자 또는 음료를 시음하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거나 변경 가능한 값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후에 사용자의 단맛 선호도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파악한다(S2450). 단맛 선호도는 사용자 선호도에 대한 정보에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맛 선호도가 기준치 이상인 사용자의 경우에는 설탕/시럽을 첨가하고(S2460), 단맛 선호도가 낮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설탕이나 시럽을 첨가하지 않도록 사용자 맞춤 권장음료의 스펙 정보를 생성한다(S2465).
그러나 설탕이나 시럽의 첨가/무첨가만 설정 가능한 것은 아니고 단맛 선호도를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별로 구분하여 설탕이나 시럽의 첨가량을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탕이나 시럽의 첨가량을 사용자의 단맛 선호도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단맛 선호도가 매우 높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시럽 첨가량을 3회 펌핑, 단맛 선호도가 다소 높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시럽 첨가량을 2회 펌핑과 같인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보다 세밀하게 사용자의 입맞에 맞는 맞춤형 음료를 추천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유당 분해 능력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파악한다(S2470). 이때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 연령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유당 분해 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유당 분해 능력이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커피나 음료에 우유,생크림을 첨가하고(S2480),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우유 생크림을 첨가하지 않도록 사용자 맞춤 권장음료의 스펙 정보를 생성한다(S2485).
이때 우유, 생크림의 첨가/무첨가의 선택 여부 뿐 아니라 사용자의 유당 분해 능력을 단계화하여 파악하고 우유, 생크림의 종류를 바꾸거나, 첨가량을 단계적으로 조절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통신부 110 : 유전자 정보 획득부
120 : 건강 상태 파악부 130 : 선호도 입력부
140 : 음료 추천부 150 : 음료 제조 요청부
160 : 추천 음료 알림부 180 : 저장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로부터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유전자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유전자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유전자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주는 음료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전자 정보 획득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상기 획득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유전자 정보 획득부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화면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체성분 측정기 또는 혈압 측정기로부터 사용자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건강 상태 파악부및
    사용자 음료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선호도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료 추천부는 상기 파악된 사용자 건강 상태 또는 상기 사용자 음료 선호도를 더 반영하여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료 추천부에서 추천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카페 단말로 상기 선택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전송하여 음료 제조를 요청하는 음료제조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마다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음료 추천부에서 추천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 음료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6.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 획득부가 사용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로부터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음료 추천부가 상기 획득되는 유전자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통신부가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상기 획득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유전자 정보 획득부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동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건강 상태 파악부가 체성분 측정기 또는 혈압 측정기로부터 사용자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선호도 입력부가 사용자 음료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주는 단계는 상기 파악된 사용자 건강 상태 또는 상기 사용자 음료 선호도를 더 반영하여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를 추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동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음료제조 요청부가 카페 단말로 상기 선택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의 스펙 정보를 전송하여 음료 제조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동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추천 음료 알림부가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맞춤형 음료 추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추천하는 단계에서 추천된 사용자 맞춤 권장 음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90100369A 2019-08-16 2019-08-16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04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369A KR102044419B1 (ko) 2019-08-16 2019-08-16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EP19941912.8A EP4016433A4 (en) 2019-08-16 2019-08-26 SYSTEM FOR RECOMMENDATION OF CUSTOMIZED BEVERAGE BY USER BY GENETIC TESTING AND METHODS FOR CONTROL THEREOF
PCT/KR2019/010836 WO2021033817A1 (ko) 2019-08-16 2019-08-26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17/621,537 US20220358561A1 (en) 2019-08-16 2019-08-26 System for recommending user-customized beverage through genetic test, and method for dri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369A KR102044419B1 (ko) 2019-08-16 2019-08-16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419B1 true KR102044419B1 (ko) 2019-11-14

Family

ID=6857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369A KR102044419B1 (ko) 2019-08-16 2019-08-16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58561A1 (ko)
EP (1) EP4016433A4 (ko)
KR (1) KR102044419B1 (ko)
WO (1) WO202103381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479B1 (ko) * 2020-01-07 2020-08-06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자 검사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주류 및 안주 추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2316A1 (ko) * 2019-12-06 2021-06-10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질환 및 비질환 균 유전자 검사를 수행하는 미생물용 게놈 자판기 및 이를 활용한 o2o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WO2021125756A1 (ko) * 2019-12-16 2021-06-24 김병양 개인의 유전체 정보를 관리하는 유전체 데이터 활용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2030705A1 (ko) * 2020-08-06 2022-02-10 주식회사 로그싱크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61703B1 (ko) * 2021-07-23 2022-02-14 주식회사 샐러딧 샐러드 메뉴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17792A (ko) 2020-08-05 2022-02-14 조현욱 운동 보조제 맞춤형 추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3852A1 (en) * 2019-10-30 2021-05-06 Deal.Com Inc. Adviso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KR102535336B1 (ko) * 2022-03-29 2023-05-26 휴젠 지에프씨 아이엔씨 사용자 맞춤형 커피 레시피 및 그에 대응하는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676A (ko) * 2009-06-23 2010-12-31 (주)아이러브 캠퍼스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커피 제공 시스템 및 사용자 맞춤형 커피 제공 방법
KR20110081861A (ko) 2008-10-22 2011-07-14 인터레우킨 제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체중 관리를 위한 유전자 마커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170054628A (ko) * 2015-11-09 2017-05-18 한국식품연구원 개인 유전형 및 표현형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식품정보 추천 시스템
KR20180020691A (ko) 2016-08-19 2018-02-28 광주과학기술원 유전자 및 화학성분을 이용하여 질병치료용 허브를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14612A (ko) * 2017-04-11 2018-10-19 (주)디자인엑스투 개인 맞춤형 추천 음료 제공 시스템 및 개인 맞춤형 추천 음료 제공방법
KR101915747B1 (ko) * 2017-06-30 2018-11-06 이상훈 생두에서 커피까지 자동생산하는 개인 주문 맞춤형 커피 메이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32906A (en) * 2004-05-13 2006-10-27 Fonterra Co Operative Group Customised nutritional food and beverage dispensing system for dispensing a customised nutritional serving
US7762181B2 (en) * 2004-10-01 2010-07-27 Fonterra Co-Operative Group Limited Customised nutritional food and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20100312668A1 (en) * 2009-06-04 2010-12-09 Nadav Yehuda Notsani Methods and systems producing reliable personalized adaptive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KR20100084611A (ko) * 2010-07-07 2010-07-27 변규석 개인 맞춤형 음료의 제공시스템
US10861594B2 (en) * 2015-10-01 2020-12-08 Dnanudge Limited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EP3529379B1 (en) * 2016-10-24 2022-05-18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eal selection based on vitals, genotype, and phenotype
TWI676462B (zh) * 2017-11-07 2019-11-1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穿戴式血壓測量裝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861A (ko) 2008-10-22 2011-07-14 인터레우킨 제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체중 관리를 위한 유전자 마커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100137676A (ko) * 2009-06-23 2010-12-31 (주)아이러브 캠퍼스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커피 제공 시스템 및 사용자 맞춤형 커피 제공 방법
KR20170054628A (ko) * 2015-11-09 2017-05-18 한국식품연구원 개인 유전형 및 표현형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식품정보 추천 시스템
KR20180020691A (ko) 2016-08-19 2018-02-28 광주과학기술원 유전자 및 화학성분을 이용하여 질병치료용 허브를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14612A (ko) * 2017-04-11 2018-10-19 (주)디자인엑스투 개인 맞춤형 추천 음료 제공 시스템 및 개인 맞춤형 추천 음료 제공방법
KR101915747B1 (ko) * 2017-06-30 2018-11-06 이상훈 생두에서 커피까지 자동생산하는 개인 주문 맞춤형 커피 메이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316A1 (ko) * 2019-12-06 2021-06-10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질환 및 비질환 균 유전자 검사를 수행하는 미생물용 게놈 자판기 및 이를 활용한 o2o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WO2021125756A1 (ko) * 2019-12-16 2021-06-24 김병양 개인의 유전체 정보를 관리하는 유전체 데이터 활용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41479B1 (ko) * 2020-01-07 2020-08-06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자 검사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주류 및 안주 추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7792A (ko) 2020-08-05 2022-02-14 조현욱 운동 보조제 맞춤형 추천 시스템 및 방법
WO2022030705A1 (ko) * 2020-08-06 2022-02-10 주식회사 로그싱크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61703B1 (ko) * 2021-07-23 2022-02-14 주식회사 샐러딧 샐러드 메뉴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56532A (ko) * 2021-07-23 2023-04-27 주식회사 샐러딧 칼로리를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샐러드 메뉴 추천 방법
KR102583636B1 (ko) * 2021-07-23 2023-10-27 주식회사 샐러딧 칼로리를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샐러드 메뉴 추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58561A1 (en) 2022-11-10
EP4016433A1 (en) 2022-06-22
WO2021033817A1 (ko) 2021-02-25
EP4016433A4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419B1 (ko)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음료추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200320819A1 (en) System and method to obtain and optimize mixtures for preparing beverages
US202003110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bstituting a food or drink or one or more ingredients thereof
US201902862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food or drink recipe
Hersleth et al. Consumer acceptance of cheese, influence of different testing conditions
JP6411639B2 (ja) 食材提案装置、食材提案方法及び食材提案プログラム
KR101761741B1 (ko) Bomp 기반 음식 메뉴 분석 추천 시스템 및 방법
EP25516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food or beverage products to consumer requirements
CN104994747A (zh) 用于提供风味建议和增强的系统和方法
KR101552339B1 (ko) 피드백이 가능한 맞춤형 식단 및 식재료 구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7018279B2 (ja) 代替レシピ提示装置、代替レシピ提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WO2017200613A2 (en) Customizing beverage profiles for a user
US20200344086A1 (en) Method for Food Management, Kitchen Appliance and Food Preparation System
CN110867239A (zh) 一种饮食建议生成方法及装置、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JP2019175193A (ja) オーダー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096056B2 (ja) 買い物支援システム、買い物支援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端末。
KR20090124704A (ko) 음식물 레시피를 이용한 음식물의 칼로리와 영양소 데이터표준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CN108805653A (zh) 一种点菜系统
JP2003532942A (ja) コーヒーの選択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7130142A (ja) コーヒーと食品の相性分析診断方法および相性分析診断装置
KR20160046628A (ko) 청소년 식생활 평가 도구와 이를 이용한 식사종류별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 조사방법
US201300309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food or beverage products to consumer requirements
KR20160109406A (ko) 청소년 식생활 평가 도구와 이를 이용한 식사종류별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 조사방법
JP2018200728A (ja) 食材提案装置、食材提案方法及び食材提案プログラム。
JP2019175192A (ja) オーダー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