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940B1 - 조립식 서랍장 - Google Patents

조립식 서랍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940B1
KR102043940B1 KR1020170182224A KR20170182224A KR102043940B1 KR 102043940 B1 KR102043940 B1 KR 102043940B1 KR 1020170182224 A KR1020170182224 A KR 1020170182224A KR 20170182224 A KR20170182224 A KR 20170182224A KR 102043940 B1 KR102043940 B1 KR 10204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detachably connected
diaphragm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048A (ko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filed Critical 이진희
Priority to KR102017018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9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cardboard, textile, paper, or the like, e.g. with separate frame of othe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조립식 서랍장은 지지대 구조물, 하판, 상판, 적어도 하나의 격판, 하부 측판들 및 상부 측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구조물은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판은 상기 지지대 구조물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상기 지지대 구조물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격판은 상기 지지대 구조물의 중간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측판들은 상기 격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대 구조물이 형성하는 4개의 하부 측면들 중 3개의 하부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측판들은 상기 지지대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판들은 상기 격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대 구조물이 형성하는 4개의 상부 측면들 중 3개의 상부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판들은 상기 지지대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측판들은 골판지를 포함하므로, 조립식 서랍장의 교체 비용은 매우 저렴한 골판지 단가만을 포함할 수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서랍장{ASSEMBLY TYPE DRAWER}
본 발명은 조립식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조립식 서랍장.
일반적으로, 환자의 각종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서랍장이 병실에 배치될 수 있다. 서랍장은 서랍장 본체, 미닫이 도어 및 서랍을 포함할 수 있다.
관련 기술들에 따르면, 병실에 배치된 서랍장은 환자 교체 여부에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서랍장에 묻은 각종 병균들로 인해서 후속 환자가 감염될 소지가 높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자 교체시마다 기존 서랍장을 새로운 서랍장으로 교체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서랍장의 교체는 상당한 비용 부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서랍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은 지지대 구조물, 하판, 상판, 적어도 하나의 격판, 하부 측판들 및 상부 측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구조물은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판은 상기 지지대 구조물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상기 지지대 구조물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격판은 상기 지지대 구조물의 중간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측판들은 상기 격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대 구조물이 형성하는 4개의 하부 측면들 중 3개의 하부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측판들은 상기 지지대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판들은 상기 격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대 구조물이 형성하는 4개의 상부 측면들 중 3개의 상부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판들은 상기 지지대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구조물은 상기 하부 측판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4개의 하부 지지대들, 상기 하부 지지대들의 하단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판을 지지하는 하부 브래킷들, 상기 하부 지지대들의 상단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격판을 지지하는 중간 브래킷들, 상기 중간 브래킷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하단을 갖고 상기 상부 측판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4개의 상부 지지대들, 및 상기 상부 지지대들의 상단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부 브래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들과 상기 상부 지지대들은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 각각은 상기 상하부 측판들의 측면들이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되는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 각각은 상기 상부, 중간 및 하부 브래킷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 각각은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래킷들, 상기 중간 브래킷들 및 상기 상부 브래킷들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및 중간 브래킷들 각각은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90ㅀ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져서 상기 외측부와의 사이에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와 상기 외측부의 구부러진 부위들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의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중간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상판, 상기 하판 및 상기 격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져서 상기 상판, 상기 하판 및 상기 격판의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내측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측판들은 골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서랍장은 상기 하부 측판들이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상기 하부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미닫이 도어를 갖는 도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은 골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서랍장은 상기 상부 측판들이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상기 상부 측면을 통해 삽입된 서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골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서랍장은 상기 하판과 상기 격판의 상부면들에 배치된 골판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들과 상하판 및 격판을 브래킷들에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지지대 구조물이 완성될 수 있다. 특히, 측판들은 골판지를 포함하므로, 조립식 서랍장의 교체 비용은 매우 저렴한 골판지 단가만을 포함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의 브래킷을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의 지지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의 하판의 저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브래킷과 도 5에 도시된 하판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브래킷과 도 4에 도시된 지지대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지지대와 도 1에 도시된 측판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을 조립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랍장은 지지대 구조물, 하판(110), 격판(120), 상판(130), 하부 측판(190)들, 상부 측판(200)들, 도어판(210) 및 서랍(2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 구조물은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조립식 서랍장의 수직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 구조물은 하부 지지대(170)들, 상부 지지대(180)들, 하부 브래킷(140)들, 중간 브래킷(150)들 및 상부 브래킷(16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지지대(170)들은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80)은 하부 지지대(170)의 상부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80)들은 중간 브래킷(150)들을 매개로 하부 지지대(170)들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대(170)와 상부 지지대(18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하부 지지대(17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대(170)들 각각은 2개의 지지대들이 브래킷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 지지대(170)들 각각은 하나의 지지대의 길이, 또는 3개 이상의 지지대들이 브래킷들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부 지지대(180)들 각각은 하나의 지지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 지지대(180)들 각각은 2개 이상의 지지대들이 브래킷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하부 지지대(170)들의 하단들이 하부 브래킷(140)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지지대(170)의 상단들이 중간 브래킷(150)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80)들의 하단들이 중간 브래킷(150)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80)들의 상단들이 상부 브래킷(160)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브래킷(140), 중간 브래킷(150) 및 상부 브래킷(16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하부 브래킷(14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하판(110)은 하부 지지대(170)들의 하단들이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하부면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판(110)은 하부 지지대(170)들의 하단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브래킷(140)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판(110)은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판(110)은 개구부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판(130)은 상부 지지대(180)들의 상단들이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판(130)은 상부 지지대(180)들의 상단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브래킷(160)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판(130)과 하판(110) 사이에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격판(120)은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 중간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격판(120)은 하부 지지대(170)들의 상단들과 상부 지지대(180)들의 하단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 브래킷(150)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격판(120)은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격판(120)은 개구부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판(110), 격판(120) 및 상판(13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판(110), 격판(120) 및 상판(130)은 걸림홈(112)들을 가질 수 있다. 걸림홈(112)들은 하판(110), 격판(120) 및 상판(130)의 하부면 모서리들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12)들 각각은 대략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하판(110)에 대한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판(130)은 하판(110)과 격판(120)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하부 측판(190)들은 하판(110)과 격판(120) 사이의 하부 공간이 갖는 4개의 측면들 중 3개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측판(190)들은 하부 지지대(170)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측판(190)들이 배치되지 않은 하부 공간의 측면은 조립식 서랍장의 정면에 해당될 수 있다.
상부 측판(200)들은 격판(120)과 상판(130) 사이의 상부 공간이 갖는 4개의 측면들 중 3개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측판(200)들은 상부 지지대(180)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측판(190)들이 배치되지 않은 상부 공간의 측면은 조립식 서랍장의 정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측판(190)들과 상부 측판(200)들은 골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립식 서랍장이 병실에서 사용될 경우, 지지대 구조물은 그대로 사용하고 골판지 재질의 하부 측판(190)들과 상부 측판(200)들만을 새로운 골판지들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던 하부 측판(190)들과 상부 측판(200)에 묻은 병균이 다른 환자들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골판지의 단가는 매우 저렴하므로, 조립식 서랍장의 교체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어판(210)은 하부 측판(190)들이 배치되지 않은 하부 공간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판(210)은 미닫이 도어(212)를 가질 수 있다. 도어판(210)은 하부 지지대(170)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판(210)은 골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판(210)을 통한 환자의 감염을 방지하면서 조립식 서랍장의 교체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서랍(220)은 상부 측판(200)들이 배치되지 않은 상부 공간의 측면을 통해서 상부 공간 내로 진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랍(220)은 골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랍(220)을 통한 환자의 감염을 방지하면서 조립식 서랍장의 교체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의 브래킷을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래킷(140)은 외측부(142), 중간부(144), 연결부(143), 지지부(146) 및 한 쌍의 내측부(14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142)는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외측부(142)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판들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판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직교하는 2개의 판들은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가질 수도 있다.
중간부(144)는 외측부(142)의 안쪽에 배치되어, 외측부(14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중간부(144)는 외측부(142)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중간부(144)는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중간부(144)는 외측부(142)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중간부(144)는 외측부(142)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외측부(142)와 중간부(144) 사이에 대략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삽입홈(147)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지지대(170)의 상단 또는 하단이 외측부(142)와 중간부(144)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147)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143)는 외측부(142)와 중간부(144)를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연결부(143)는 외측부(142)와 중간부(144)의 구부러진 부위들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부(143)는 하부 지지대(170)에 형성된 고정홈(174)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146)는 중간부(144)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146)는 중간부(144)의 내측면 중간 부위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46)는 하판(110), 격판(120) 및 상판(13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하판(110), 격판(120) 및 상판(130)이 지지부(146)의 상부면에 안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내측부(148)들은 지지부(146)의 상부면과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측부(148)들은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측부(148)들은 중간부(14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부(148)들과 중간부(144) 사이에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부(148)들은 하판(110), 격판(120) 및 상판(130)의 하부면 모서리들에 형성된 걸림홈(112)들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146)가 중간부(144)의 중간 부위로부터 연장되므로, 지지부(146)를 중심으로 브래킷(140)의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는 지지부(146)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하판(110)과 지지대(170)를 브래킷(140)에 조립할 땔, 작업자는 브래킷(140)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조립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의 지지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170)는 수평 방향을 따라 대략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홈(174)이 지지대(170)의 상단과 하단에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홈(174)은 지지대(170)의 구부러진 부위에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70)를 브래킷(140)과 결합시킬 때, 연결부(143)가 고정홈(174)에 삽입되면서 연결부(143) 양측의 지지대(170) 부분들이 브래킷(140)의 삽입홈(147)들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홈(172)이 지지대(170)의 양측 단부들에 수직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측판(190)과 상부 측판(200)의 측면이 지지홈(172)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홈(172)은 하부 측판(190)과 상부 측판(200)의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176)가 지지대(170)의 내측면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176)는 지지대(17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176)는 수직 방향을 따라 배열된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3개의 보강부(176)들 중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보강부(176)들은 하판(110), 격판(120) 및 상판(130)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하부 지지대(170)의 상부 보강부(176)는 격판(12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지지대(180)의 하부 보강부(176)는 격판(120)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의 하판의 저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림홈(112)들이 하판(110)의 하부면 모서리들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112)들은 대략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래킷(140)의 내측부(148)들이 걸림홈(112)들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브래킷과 도 5에 도시된 하판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래킷(140)의 내측부(148)가 하판(110)의 걸림홈(112)에 삽입될 수 있다. 하판(110)의 모서리는 내측부(148)와 중간부(144)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판(110)의 하부면은 지지부(146)의 상부면에 안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브래킷과 도 4에 도시된 지지대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브래킷(140)의 연결부(143)가 지지대(170)의 고정홈(174)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홈(174) 양측의 지지대(170) 부분들은 외측부(142)와 중간부(144) 사이의 삽입홈(147)들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지지대와 도 1에 도시된 측판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측판(190)의 측면이 지지대(170)의 지지홈(172)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측판(190)의 측면은 지지대(170)의 지지홈(172)에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삽입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을 조립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하판(110)을 하부 브래킷(140)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 브래킷(140)의 내측부(148)는 하판(110)의 걸림홈(112)에 삽입될 수 있다. 하판(110)의 모서리는 내측부(148)와 중간부(144)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판(110)의 하부면은 지지부(146)의 상부면에 안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지지대(170)를 하부 브래킷(140)들 각각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 지지대(170)의 하단을 하부 브래킷(140)에 결합시키면, 브래킷(140)의 연결부(143)가 하부 지지대(170)의 고정홈(174)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홈(174) 양측의 하부 지지대(170) 부분들은 외측부(142)와 중간부(144) 사이의 삽입홈(147)들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골판지(114)를 하판(110)의 상부면에 배치할 수 있다. 골판지(114)는 하판(110)이 병균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판(110) 교체없이 골판지(114)만을 새로운 골판지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 측판(190)들을 조립식 서랍장의 정면을 제외한 3개의 하부 측면들에 배치할 수 있다. 하부 측판(190)의 측면을 하부 지지대(170)의 고정홈(172)에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판(210)을 하부 지지대(170)의 고정홈(172)에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삽입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중간 브래킷(150)을 하부 지지대(170)의 상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중간 브래킷(150)과 하부 지지대(170)의 상단 간의 결합은 하부 브래킷(140)과 하부 지지대(170)의 하단 간의 결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간 브래킷(150)과 하부 지지대(170)의 상단 간의 결합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격판(120)을 중간 브래킷(1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격판(120)을 중간 브래킷(150)에 결합시키는 동작은 하판(110)을 하부 브래킷(140)에 결합시키는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격판(120)을 중간 브래킷(150)에 결합시키는 동작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80)의 하단을 중간 브래킷(1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중간 브래킷(150)과 상부 지지대(180)의 하단 간의 결합은 하부 브래킷(140)과 하부 지지대(170)의 하단 간의 결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간 브래킷(150)과 상부 지지대(180)의 하단 간의 결합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골판지(124)를 격판(120)의 상부면에 배치할 수 있다. 골판지(124)는 격판(120)이 병균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격판(120) 교체없이 골판지(124)만을 새로운 골판지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브래킷(160)을 상부 지지대(180)의 상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부 브래킷(160)과 상부 지지대(180)의 상단 간의 결합은 하부 브래킷(140)과 하부 지지대(170)의 하단 간의 결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부 브래킷(160)과 상부 지지대(180)의 상단 간의 결합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부 측판(200)들을 조립식 서랍장의 정면을 제외한 3개의 상부 측면들에 배치할 수 있다. 상부 측판(200)의 측면을 상부 지지대(180)의 고정홈에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삽입시킬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판(130)을 상부 브래킷(16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판(130)을 상부 브래킷(160)에 결합시키는 동작은 하판(110)을 하부 브래킷(140)에 결합시키는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판(130)을 상부 브래킷(160)에 결합시키는 동작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서랍(220)을 조립식 서랍장의 개구된 상부 정면을 통해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서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서랍장이 완성될 수 있다.
상기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대들과 상하판 및 격판을 브래킷들에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지지대 구조물이 완성될 수 있다. 특히, 측판들은 골판지를 포함하므로, 조립식 서랍장의 교체 비용은 매우 저렴한 골판지 단가만을 포함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하판 112 ; 걸림홈
114 ; 골판지 120 ; 격판
130 ; 상판 140 ; 하부 브래킷
142 ; 외측부 143 ; 연결부
144 ; 중간부 146 ; 지지부
148 ; 내측부 150 ; 중간 브래킷
160 ; 상부 브래킷 170 ; 하부 지지대
172 ; 지지홈 174 ; 고정홈
176 ; 보강부 180 ; 상부 지지대
190 ; 하부 측판 200 ; 상부 측판
210 ; 도어판 212 ; 미닫이 도어
220 ; 서랍

Claims (14)

  1.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지지대 구조물;
    상기 지지대 구조물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하판;
    상기 지지대 구조물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상판;
    상기 지지대 구조물의 중간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격판;
    상기 격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대 구조물이 형성하는 4개의 하부 측면들 중 3개의 하부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측판들; 및
    상기 격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대 구조물이 형성하는 4개의 상부 측면들 중 3개의 상부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측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구조물은
    상기 하부 측판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4개의 하부 지지대들;
    상기 하부 지지대들의 하단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판을 지지하는 하부 브래킷들;
    상기 하부 지지대들의 상단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격판을 지지하는 중간 브래킷들;
    상기 중간 브래킷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하단을 갖고, 상기 상부 측판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4개의 상부 지지대들; 및
    상기 상부 지지대들의 상단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부 브래킷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브래킷들, 상기 중간 브래킷들 및 상기 상부 브래킷들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상하부 및 중간 브래킷들 각각은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져서 상기 외측부와의 사이에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와 상기 외측부의 구부러진 부위들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의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중간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상판, 하판 및 격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져서 상기 상판, 상기 하판 및 상기 격판의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내측부들을 포함하는 조립식 서랍장.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들과 상기 상부 지지대들은 수평 방향을 따라 90˚로 구부러진 동일한 형상을 갖는 조립식 서랍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 각각은 상기 상하부 측판들의 측면들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조립식 서랍장.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 각각은 상기 상부, 중간 및 하부 브래킷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조립식 서랍장.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 각각은 상기 상하부 지지대들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서랍장.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측판들은 골판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서랍장.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측판들이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상기 하부 측면들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미닫이 도어를 갖는 도어판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서랍장.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은 골판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서랍장.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판들이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상기 상부 측면을 통해 삽입된 서랍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서랍장.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골판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서랍장.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과 상기 격판의 상부면들에 배치된 골판지들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서랍장.


KR1020170182224A 2017-12-28 2017-12-28 조립식 서랍장 KR10204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224A KR102043940B1 (ko) 2017-12-28 2017-12-28 조립식 서랍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224A KR102043940B1 (ko) 2017-12-28 2017-12-28 조립식 서랍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048A KR20190080048A (ko) 2019-07-08
KR102043940B1 true KR102043940B1 (ko) 2019-11-12

Family

ID=6725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224A KR102043940B1 (ko) 2017-12-28 2017-12-28 조립식 서랍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581B1 (ko) * 2023-10-18 2024-02-08 (주)소호모형 모형 건축물 전시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8844A1 (en) * 2010-11-12 2012-05-17 Batavia Container, Inc. Corner Connector for Shelving Display
KR101377357B1 (ko) * 2012-11-05 2014-03-25 박주영 사물함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510U (ko) * 1987-09-17 1989-03-22
KR100987604B1 (ko) * 2008-10-14 2010-10-18 박수성 조립식 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8844A1 (en) * 2010-11-12 2012-05-17 Batavia Container, Inc. Corner Connector for Shelving Display
KR101377357B1 (ko) * 2012-11-05 2014-03-25 박주영 사물함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048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3318B2 (en) Connector for modular rack assembly
US10299594B2 (en) Shelving unit with capacity increasing tie members
US9282820B2 (en) Modular rack assembly
US20090144896A1 (en) Playpen and fabric fixture device used therefor
JPS6028713B2 (ja) 平鍋、棚板および類似物用、改良されたラツクを設けた移動式台車
WO2005018388A3 (en) Portable bar
US20140270932A1 (en) Modular Furniture Part
KR102043940B1 (ko) 조립식 서랍장
JP2014135487A (ja) 調節可能4ポストラック
KR101380674B1 (ko) 테이블다리
JP2023024239A (ja) 横枠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組み立て式棚
KR102168248B1 (ko) 프레임 구조 선반
KR101899715B1 (ko) 나사못 없는 조립선반
EP1254619A1 (en) Combination rack
KR20090010773A (ko) 조립식 다용도 랙
KR101976667B1 (ko) 조립식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KR20140016745A (ko) 테이블다리
KR200483072Y1 (ko) 조립식 테이블
US20110291457A1 (en) Furniture frame
KR200473130Y1 (ko) 조립식 수납장
KR101385118B1 (ko) 책꽂이의 지지대 조립구조
JP2008295853A (ja) デスクシステム
GB2450135A (en) A cabinet system
JP5133800B2 (ja) 棚用支柱
BRMU8903064U2 (pt) disposiÇço construtiva introduzida em dispositivos de montagem e fixaÇço de partes componentes de armÁrio metÁl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