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072Y1 - 조립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조립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072Y1
KR200483072Y1 KR2020150002775U KR20150002775U KR200483072Y1 KR 200483072 Y1 KR200483072 Y1 KR 200483072Y1 KR 2020150002775 U KR2020150002775 U KR 2020150002775U KR 20150002775 U KR20150002775 U KR 20150002775U KR 200483072 Y1 KR200483072 Y1 KR 200483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unit
unit
flat plate
units
engag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853U (ko
Inventor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일
Priority to KR2020150002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7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8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17Nodal leg assembly for tabl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타입의 구성 유닛들을 다수 결합하여 조립되는 조립식 테이블 및, 그 조립식 테이블용 구성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 유닛들을 한 가지 타입, 즉 모두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고, 이와 같이 동일한 유닛들을 필요에 따라 테이블 판 또는 테이블 다리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에게도 조립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유닛의 수만 확보된다면 다양한 크기의 테이블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을 위한 별도의 연결 부품이 필요하지 않고, 각 유닛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재들을 서로 간단한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안정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테이블{modular table}
본 고안은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타입의 구성 유닛들을 다수 결합하여 조립되는 조립식 테이블 및, 그 조립식 테이블용 구성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립식 테이블은 여러 가지 타입의 구성 유닛들을 결합시켜 조립되는 형태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립시 각 조립되는 부위별로 결합시키는 방법을 다 숙지하고 있어야 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하기는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립을 위한 각 유닛 및 그 결합시키는 부품들을 관리하는 것도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KR 10-2015-0005023 A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 유닛들을 한 가지 타입, 즉 모두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고, 이와 같이 동일한 유닛들을 필요에 따라 테이블 판 또는 테이블 다리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에게도 조립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유닛의 수만 확보된다면 다양한 크기의 테이블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을 위한 별도의 연결 부품이 필요하지 않고, 각 유닛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재들을 서로 간단한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안정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하는 평판형 단위 부재(이하 '테이블 유닛'이라 한다)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판 부재; 상기 평판 부재의 제1 세로 모서리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제1 결합부재; 상기 평판 부재의 제2 세로 모서리를 따라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평판 부재의 2개의 가로 모서리를 따라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결합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제3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평판 부재와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 테이블 유닛과의 수평 연결시 타 테이블 유닛의 제2 결합부재가 상기 평판부재 면 안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외측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타 테이블 유닛의 제2 결합부재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한다.
삭제
상기 제2 결합부재는, 타 테이블 유닛 제1 결합부재의 체결부와 결합되는 체결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부재는, 수직으로 연결된 테이블 유닛의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 및 수직으로 연결된 테이블 유닛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유닛은, 중앙 부분에 세로 모서리와 나란하고 상기 평판부재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테이블 유닛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유닛은, 로 모서리와 나란하고 상기 평판부재 상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테이블 유닛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판 부재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 유닛으로 구성된 조립식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 유닛이 1개, 또는 2개 이상이 수평 연결되어 구성된 테이블 상판; 및 상기 테이블 상판을 이루는 테이블 유닛(이하 '상판 유닛'이라 한다) 전부 또는 일부와 연결되되, 상기 상판 유닛의 가로 모서리에서 상기 상판 유닛 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된, 테이블 유닛으로 구성된 테이블 다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 유닛들을 한 가지 타입, 즉 모두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고, 이와 같이 동일한 유닛들을 필요에 따라 테이블 판 또는 테이블 다리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에게도 조립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유닛의 수만 확보된다면 다양한 크기의 테이블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을 위한 별도의 연결 부품이 필요하지 않고, 각 유닛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재들을 서로 간단한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안정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하는 평판형 단위 부재인 테이블 유닛을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유닛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본 조립식 테이블 유닛이 수평 연결 및 수직 연결된 경우, 그 연결 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유닛이 다수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테이블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테이블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유닛이 다수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테이블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유닛이 다수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테이블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유닛이 다수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테이블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유닛에서 평판 부재에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가로 모서리와 평행한 리브를 다수 구비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하는 평판형 단위 부재(이하 '테이블 유닛'이라 한다)(100)을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동일한 테이블 유닛(100)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테이블 유닛(100) 한 개 또는 다수 개를 서로 수평 연결하여 테이블 상판을 만들고, 또한 동일한 테이블 유닛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테이블 다리를 만드는 방식으로 테이블을 조립하도록 한다. 즉, 도 1, 도 2의 테이블 유닛(100)들의 세로 모서리(1,2)들을 서로 겹쳐서 수평 연결함으로써 테이블 상판을 만들고, 테이블 유닛의 가로 모서리(3)와 다른 테이블 유닛의 세로 모서리(2)를 서로 겹쳐서 수직 면을 이루도록 연결함으로써 다른 테이블 유닛을 테이블 다리로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테이블 유닛(100)은, 직사각형 형태의 평판 부재(150), 평판 부재(150)의 제1 세로 모서리(1)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제1 결합부재(110), 평판 부재(110)의 제2 세로 모서리(2)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제2 결합부재(120), 그리고 평판 부재(110)의 2개의 가로 모서리(3)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제3 결합부재(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테이블 유닛들을 수직, 수평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본 조립식 테이블 유닛이 수평 결합 및 수직 결합된 경우, 그 결합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는 수평으로 연결하는 2개의 테이블 유닛(100,200) 및, 수직으로 연결하는 1개의 테이블 유닛(300)이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이들을 제1 테이블 유닛(100), 제2 테이블 유닛(200) 및 제3 테이블 유닛(300)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제1 테이블 유닛(100), 제2 테이블 유닛(200) 및 제3 테이블 유닛(300)은 모두 동일한 형태의 테이블 유닛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테이블 유닛(100)과 제2 테이블 유닛(200)이 서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연결(이하 '수평 연결'이라 한다)되는 경우, 각 유닛의 세로 모서리가 서로 나란히 만나면서 각각의 결합부재가 서로 체결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테이블 유닛(100) 제2 결합부재(120)의 체결홈(121)에, 제2 테이블 유닛(200) 제1 결합부재의 체결부(212)가 결합됨으로써 체결되게 된다.
제1 결합부재(110)는 지지부(111)와 체결부(112)를 구비하는데, 지지부(111)는 평판부재(150)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부(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1)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제1 테이블 유닛(100), 제2 테이블 유닛(200) 및 제3 테이블 유닛(300)은 동일한 형태의 유닛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결합부재(110)의 구조는 각 테이블 유닛들에서 동일한 구조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테이블 유닛(100)의 좌측에 다른 테이블 유닛을 수평으로 더 연결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체결부(112)에 다른 테이블 유닛의 제2 결합부재가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테이블 유닛(200) 제1 결합부재의 지지부(211)는, 결합된 제1 테이블 유닛(100) 제2 결합부재(120)가 제2 테이블 유닛(200)의 평판부재(250) 쪽으로 밀려 들어오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제1 테이블 유닛(100) 제2 결합부재(120) 역시 제2 테이블 유닛(200) 제1 결합부재(210)의 지지부(211)가 제1 테이블 유닛(100)의 평판부재(150)으로 밀려 들어오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각 테이블 유닛의 제1 결합부재의 지지부는 또한 테이블 유닛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재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수평으로 연결된 제1 테이블 유닛(100)과 제2 테이블 유닛(200)에, 제3 테이블 유닛(30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면을 이루도록 연결(이하 '수직 연결'이라 한다)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으로 연결된 제1 테이블 유닛(100)과 제2 테이블 유닛(200)은 테이블의 상판, 제3 테이블 유닛(300)은 테이블의 다리를 구성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조립된 전체 형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수평으로 연결된 제1 테이블 유닛(100)과 제2 테이블 유닛(200)의 가로 모서리에, 제3 테이블 유닛(300)의 제2 세로 모서리(2)가 나란히 만나면서 제3 테이블 유닛(300)이 제1 테이블 유닛(100)과 제2 테이블 유닛(200)에 수직한 면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테이블 유닛(100) 및 제2 테이블 유닛(200)의 가로 모서리에 구비된 제3 결합부재에 제3 테이블 유닛(300)의 결합부재들이 결합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 테이블 유닛(300)의 제3 결합부재 중 좌측 결합부재, 즉 제3 테이블 유닛(300)의 제2 세로 모서리(2) 측 제3 결합부재(331)가 제1 테이블 유닛(100)의 제3 결합부재(130) 중, 지지부(111) 단부 측의 제3 결합부재(131) 체결홈(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진다. 마찬가지로 제1 테이블 유닛(100) 제2 결합부재(120) 단부 측의 제3 결합부재(133) 및, 이와 나란하게 포개져 있는 제2 테이블 유닛(200) 제1 결합부재 단부 측의 제3 결합부재(231) 체결홈에, 제3 테이블 유닛(300) 제2 결합부재(3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지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모서리 중앙에 제3 결합부재(132,232)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여기에도 각각 제3 테이블 유닛(300) 제2 결합부재(3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에 끼워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이와 같이 제1 테이블 유닛(100)의 중앙 제3 결합부재(132), 우측 제3 결합부재(133) 및, 제2 테이블 유닛(200)의 좌측 제3 결합부재(231), 중앙 제3 결합부재(232)의 수직지지부(32)가 제3 테이블 유닛(300) 뒷편에 가리워진 형태가 되어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도 5에는 이와 같이 제1 테이블 유닛(100)의 제3 결합부재(130) 및 제2 테이블 유닛(200)의 제3 결합부재(230)의 제3 테이블 유닛(300) 수직지지부(32) 형태가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즉, 수직지지부(32)는 수직으로 연결된 테이블 유닛을 지지하면서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감당한다.
여기에, 각 테이블 유닛은 중앙 부분에 테이블 유닛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140,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유닛이 다수 결합되어 형성된 조립식 테이블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테이블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립된 테이블 상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테이블 유닛 3개가 수평 연결되어 구성되고, 수평 연결된 테이블 유닛 3개의 양측 가로 모서리에 각각 1개의 테이블 유닛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테이블 다리를 구성하고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유닛이 다수 결합되어 형성된 조립식 테이블의 제2, 제3, 제4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각각 테이블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4개의 테이블 유닛의 수평 연결에 의해 테이블 상판을 구성하고, 테이블 상판을 구성하는 테이블 유닛의 양측 가로 모서리에 각각 1개의 테이블 유닛이 상판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테이블 다리를 구성하고 있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7은 5개의 테이블 유닛의 수평 연결에 의해 테이블 상판을 구성하는 경우이다.
또한 도 8은 6개의 테이블 유닛의 수평 연결에 의해 테이블 상판을 구성하는 경우로서, 테이블 상판을 구성하는 테이블 유닛의 양측 가로 모서리에 각각 2개씩의 테이블 유닛이 상판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테이블 다리를 구성하고 있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유닛(100)에서 평판 부재에 다수의 구멍(151)을 구비하고, 가로 모서리와 평행한 리브(160)를 다수 구비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평판 부재에 구비된 다수의 구멍(151)은, 조립식 테이블 유닛(100)을 더욱 가볍게 경량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로 모서리와 평행한 리브(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부재 상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세로 모서리와 평행한 방향인 보강재(140)와 마찬가지로, 테이블 유닛(100)의 휘어짐 등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1: 테이블 유닛의 제1 세로 모서리
2: 테이블 유닛의 제2 세로 모서리
3: 테이블 유닛의 가로 모서리
100: 제1 테이블 유닛
110: 제1 테이블 유닛 제1 결합부재
111: 제1 테이블 유닛 제1 결합부재의 지지부
112: 제1 테이블 유닛 제1 결합부재의 체결부
120: 제1 테이블 유닛 제2 결합부재
121: 제1 테이블 유닛 제2 결합부재의 체결홈
130: 제1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
31: 제1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의 체결홈
32: 제1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의 수직지지부
131: 제1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좌측)
132: 제1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가운데)
133: 제1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우측)
140: 제1 테이블 유닛 보강재
150: 제1 테이블 유닛 평판부재
151: 제1 테이블 유닛 평판부재의 구멍
160: 제1 테이블 유닛 리브
200: 제2 테이블 유닛
211: 제2 테이블 유닛 제1 결합부재의 지지부
212: 제2 테이블 유닛 제1 결합부재의 체결부
230: 제2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
231: 제2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좌측)
232: 제2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가운데)
240: 제2 테이블 유닛 보강재
300: 제3 테이블 유닛
320: 제3 테이블 유닛 제2 결합부재
331: 제3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좌측)
332: 제3 테이블 유닛 제3 결합부재(가운데)

Claims (8)

  1.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하는 평판형 단위 부재(이하 '테이블 유닛'이라 한다)로서,
    직사각형 형태의 평판 부재;
    상기 평판 부재의 제1 세로 모서리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제1 결합부재;
    상기 평판 부재의 제2 세로 모서리를 따라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평판 부재의 2개의 가로 모서리를 따라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결합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제3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평판 부재와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 테이블 유닛과의 수평 연결시 타 테이블 유닛의 제2 결합부재가 상기 평판부재 면 안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외측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타 테이블 유닛의 제2 결합부재와 체결되는 체결부
    를 구비하는, 테이블 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재는,
    타 테이블 유닛 제1 결합부재의 체결부와 결합되는 체결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부재는,
    수직으로 연결된 테이블 유닛의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 및
    수직으로 연결된 테이블 유닛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앙 부분에 세로 모서리와 나란하고 상기 평판부재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테이블 유닛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로 모서리와 나란하고 상기 평판부재 상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테이블 유닛의 변형을 방지하는 리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판 부재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유닛.
  8. 청구항 1의 테이블 유닛으로 구성된 조립식 테이블로서,
    상기 테이블 유닛이 1개, 또는 2개 이상이 수평 연결되어 구성된 테이블 상판; 및
    상기 테이블 상판을 이루는 테이블 유닛(이하 '상판 유닛'이라 한다) 전부 또는 일부와 연결되되, 상기 상판 유닛의 가로 모서리에서 상기 상판 유닛 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된, 테이블 유닛으로 구성된 테이블 다리
    를 포함하는 조립식 테이블.

KR2020150002775U 2015-04-29 2015-04-29 조립식 테이블 KR200483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775U KR200483072Y1 (ko) 2015-04-29 2015-04-29 조립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775U KR200483072Y1 (ko) 2015-04-29 2015-04-29 조립식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53U KR20160003853U (ko) 2016-11-08
KR200483072Y1 true KR200483072Y1 (ko) 2017-03-31

Family

ID=5748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775U KR200483072Y1 (ko) 2015-04-29 2015-04-29 조립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7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0443B2 (ja) * 2011-04-01 2016-11-02 味の素株式会社 L−システイン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20443Y1 (ko) * 1969-03-27 1971-07-15
KR101487184B1 (ko) 2013-07-04 2015-01-28 이상규 휴대용 조립식 멀티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0443B2 (ja) * 2011-04-01 2016-11-02 味の素株式会社 L−システイン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53U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906B1 (en) Shelving structure
US10159338B2 (en) Universal piece of furniture consisting of panels
US10094407B2 (en) Modular frame for making seats and furnishing elements in general provided with a supporting surface
JP5419552B2 (ja) ユニット本棚
KR200483072Y1 (ko) 조립식 테이블
US10433640B2 (en) Modular furniture
KR20130058456A (ko) 테이블 조립체
KR101758110B1 (ko) 조립식 수납장
JP2009125095A (ja) 家具用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自由構成型家具
KR102043940B1 (ko) 조립식 서랍장
JP2018153219A (ja) 組立家具
KR100789193B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JP3156536U (ja) 組み立てラック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KR200473130Y1 (ko) 조립식 수납장
JP6124554B2 (ja) テーブルシステム
KR200450696Y1 (ko) 조립식 선반
JP2017038675A (ja) 組み立て家具
KR20150136803A (ko) 조립식 가구
JP3212288U (ja) ラックの連結構造
JP2016202518A (ja) システムデスク
JP6597998B2 (ja) 収納棚
JP2016202517A (ja)
JP3197157U (ja) 拡張可能な収納ラック構造
KR20150001352U (ko) 결합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