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557B1 -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557B1
KR102043557B1 KR1020180054809A KR20180054809A KR102043557B1 KR 102043557 B1 KR102043557 B1 KR 102043557B1 KR 1020180054809 A KR1020180054809 A KR 1020180054809A KR 20180054809 A KR20180054809 A KR 20180054809A KR 102043557 B1 KR102043557 B1 KR 10204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procket
rotating
restraint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는: 트리퍼카의 벨트부재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물에 밀려서 회전되는 회전부와, 트리퍼카의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회전부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회전부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회전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부의 회전을 구속하여 이송물의 낙광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ALLEN ORE OF TRIPPER CAR}
본 발명은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진 벨트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의 하측 이동으로 낙광이 발생됨을 방지하는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은 대부분 선박으로 이송되며, 선박에서 하역된 연료와 원료 등의 이송물은 지상의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트리퍼카로 이송된 후, 트리퍼카에 경사지게 설치된 벨트부재를 따라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13396호(1999.04.15 공개, 발명의 명칭: 트리퍼카의 댐퍼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경사진 벨트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의 하측 이동으로 낙광이 발생됨을 방지하는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는: 트리퍼카의 벨트부재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물에 밀려서 회전되는 회전부와, 트리퍼카의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회전부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회전부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회전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부의 회전을 구속하여 이송물의 낙광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부는, 벨트부재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부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재 및 회전축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이송물에 밀려서 회전되는 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력전달부는, 회전축부재에 연결되어 회전축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제1스프라켓과, 제1스프라켓에 걸쳐져서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부재와, 제1스프라켓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체인부재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2스프라켓 및 제2스프라켓과 구속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역방향 회전의 동력만 구속부로 전달하는 정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회전방지부는, 제2스프라켓의 회전축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코어디스크와, 코어디스크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역회전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증가되는 복수의 톱니부가 내측에 구비되며 구속부와 연결되는 가압링부 및 톱니부 사이의 홈부인 그루브에 배치되고 코어디스크의 역회전시 톱니부와 코어디스크의 외측면 사이에 구속되어 가압링부가 코어디스크와 함께 역회전되게 하는 가압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속부는, 벨트부재의 양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구속프레임과, 벨트부재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속프레임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압링부에 연결되는 구속회전축 및 구속회전축에서 연장되어 구속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날개부재의 이동경로로 이동되어 날개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는, 이송물이 벨트부재의 하측으로 흘러내릴 때 구속부가 회전부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이송물이 벨트부재의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낙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의 동작으로 회전부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회전방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프라켓과 정회전방지부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디스크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디스크와 가압링브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의 동작으로 회전부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회전방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프라켓과 정회전방지부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디스크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디스크와 가압링브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1)는, 트리퍼카(10)의 벨트부재(11)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11)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물(20)에 밀려서 회전되는 회전부(30)와, 트리퍼카(10)의 프레임부(12)에 고정되며 회전부(3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0)와, 회전부(30)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 및 회전부(3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동력전달부(5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부(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부(30)의 회전을 구속하여 이송물(20)의 낙광을 방지하는 구속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리퍼카(10)는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연원료와 같은 이송물(20)을 운반하기 위한 벨트부재(11)가 경사지게 설치된다.
트리퍼카(10)의 상측에는 슈트가 구비되며, 경사지게 설치된 벨트부재(11)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 이송물(20)은 슈트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된다. 경사지게 설치된 벨트부재(11)의 하측에는 프레임부(12)가 위치하며, 프레임부(12)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 지지롤러부(13)는 벨트부재(11)의 하측을 지지한다. 트리퍼카(10)의 상세 구성과 동작상태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는 트리퍼카(10)의 벨트부재(11)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11)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물(20)에 밀려서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0)는 회전축부재(32)와 날개부재(34)를 포함한다.
회전축부재(32)는 벨트부재(1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부(40)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벨트부재(11)의 상측에 위치하는 봉 형상의 회전축부재(32)는 날개부재(34)와 함께 회전된다.
날개부재(34)는 회전축부재(3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이송물(20)에 밀려서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재(34)는 회전축부재(32)를 중심으로 십자형이나 방사형으로 설치된 판이며, 벨트부재(11)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20)에 밀려서 회전된다.
지지부(40)는 트리퍼카(10)의 프레임부(12)에 고정되며, 회전축부재(32)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는 벨트부재(11)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다. 지지부(40)의 하측은 프레임부(12)에 고정되며 상측은 벨트부재(11)의 상부로 돌출된다.
도 1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50)는 회전부(30)의 동력을 구속부(70)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50)는 제1스프라켓(52)과 체인부재(54)와 제2스프라켓(56)과 정회전방지부(60)를 포함한다.
제1스프라켓(52)은 회전축부재(32)에 연결되어 회전축부재(32)와 함께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톱니가 구비된다. 폐곡선을 형성하는 체인부재(54)는 제1스프라켓(52)에 걸쳐져서 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제2스프라켓(56)은 제1스프라켓(52)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체인부재(54)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제2스프라켓(56)의 후면으로 돌출된 회전축(57)은 정회전방지부(60)의 코어디스크(62)에 연결된다.
정회전방지부(60)는 제2스프라켓(56)과 구속부(70)의 사이에 설치되며, 역방향 회전의 동력만 구속부(70)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동력전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회전방지부(60)는 코어디스크(62)와 가압링부(64)와 가압볼부(67)를 포함한다.
코어디스크(62)는 제2스프라켓(56)의 회전축(57)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코어디스크(62)는 제2스프라켓(56)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2스프라켓(56)과 별도로 제작된 후 체결부재에 의해 제2스프라켓(56)에 고정될 수 있다. 코어디스크(62)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제2스프라켓(56)의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57)은 코어디스크(62)의 회전중심에 구비된 중공에 삽입된 후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코어디스크(62)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한다.
가압링부(64)는 코어디스크(62)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역회전 방향(도 7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증가되는 복수의 톱니부(65)가 코어디스크(62)와 마주하는 내측에 구비되며, 구속부(70)의 구속회전축(72)과 연결된다. 또한 이웃한 톱니부(65)의 사이에는 정회전 방향(도 7기준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그루브(66)가 형성된다.
가압볼부(67)는 톱니부(65) 사이의 홈부인 그루브(66)에 배치되고, 코어디스크(62)의 역회전시 톱니부(65)와 코어디스크(62)의 외측면 사이에 구속되어 가압링부(64)가 코어디스크(62)와 함께 역회전되게 하는 가압볼부(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어디스크(62)는 제2스프라켓(56)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코어디스크(62)가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압볼부(67)가 그루브(66)의 깊은 쪽으로 이동되어 코어디스크(62)와 가압링부(64) 사이에 동력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코어디스크(62)와 제2스프라켓(56)만 회전되고 가압링부(64)와 구속회전축(72)은 회전되지 않는다.
반면, 제2스프라켓(56)과 코어디스크(62)가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압볼부(67)가 그루브(66)의 깊이가 얕은 쪽으로 이동되므로, 가압볼부(67)가 코어디스크(62)의 외측면과 가압링부(64)의 톱니부(65) 사이에 끼워져서 구속됨에 따라 가압링부(64)가 코어디스크(62)와 함께 역회전된다. 가압링부(64)가 역회전됨에 따라 구속부(70)의 구속회전축(72)도 가압링부(64)와 함께 역회전되면서 잠금연장부(73)를 회전부(30)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70)는 회전부(3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동력전달부(5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부(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부(30)의 회전을 구속하여 이송물(20)의 낙광을 방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70)는 구속프레임(71)과 구속회전축(72)과 잠금연장부(73)와 복귀부(74)를 포함한다.
구속프레임(71)은 벨트부재(11)의 양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프레임부(12)에 고정된다. 벨트부재(11)의 양측에 설치된 구속프레임(7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은 프레임부(12)에 고정된다.
구속회전축(72)은 벨트부재(11)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속프레임(71)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구속회전축(72)은 가압링부(64)에 연결되어 가압링부(64)와 함께 회전된다.
잠금연장부(73)는 구속회전축(72)에서 연장되어 구속회전축(72)과 함께 회전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날개부재(34)의 이동경로로 이동되어 날개부재(34)의 회전을 구속한다. 잠금연장부(73)는 구속회전축(72)과 함께 회전되어 날개부재(34)의 이동경로로 이동되어 날개부재(34)에 걸리므로 날개부재(34)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돌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복귀부(74)는 구속회전축(72)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에 도달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귀부(74)는, 구속프레임(71)에 고정되어 회전이 구속되며 잠금연장부(73)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프레임(75)과, 고정프레임(75)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부재(76)와, 구속회전축(72)에서 고정프레임(75)을 향하여 연장되며 고정돌기부재(76)가 관통되는 홀을 구비하는 연장부재(78) 및 고정돌기부재(76)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연장부재(78)를 고정프레임(75)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77)을 포함한다.
연장부재(78)는 구속회전축(72)과 함께 회전되므로 구속회전축(72)을 통해 외력이 전달되기 전에는 가압스프링(77)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부재(78)가 가압되므로, 잠금연장부(73)는 날개부재(34)와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20)이 벨트부재(11)를 따라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날개부재(34)가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날개부재(34)에 연결된 회전축부재(32)도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스프라켓(52)과 제2스프라켓(56)도 연이어 정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코어디스크(62)도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디스크(62)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압볼부(67)가 그루브(66)의 깊은 쪽으로 이동되므로, 가압볼부(67)가 그루브(66)의 깊은 부분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압볼부(67)가 그루브(66) 사이에서 회전됨에 따라 코어디스크(62)가 가압링부(64)에 구속되지 않으므로, 가압링부(64)가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20)이 벨트부재(11)를 따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흘러내려 낙광이 발생하려 할 경우, 이송물(20)의 흘러내림으로 날개부재(34)가 반시계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날개부재(34)에 연결된 회전축부재(32)도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스프라켓(52)과 제2스프라켓(56)도 연이어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코어디스크(62)도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디스크(62)가 반시계 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압볼부(67)가 그루브(66)의 깊이가 얕은 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가압볼부(67)가 코어디스크(62)의 외측면과 가압링부(64)의 톱니부(65) 사이에 구속되므로 가압링부(64)가 코어디스크(62)와 함께 역회전된다. 가압링부(64)가 역회전되면 구속회전축(72)이 역회전되며, 구속회전축(72)에 연결된 잠금연장부(73)도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날개부재(34)의 회전을 구속한다.
날개부재(34)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벨트부재(11)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송물(20)은 날개부재(34)에 막혀서 이동이 구속되므로 이송물(20)이 벨트부재(11)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낙광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물(20)이 벨트부재(11)의 하측으로 흘러내릴 때 구속부(70)가 회전부(30)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이송물(20)이 벨트부재(11)의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낙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10: 트리퍼카 11: 벨트부재
12: 프레임부 13: 지지롤러부
20: 이송물 30: 회전부
32: 회전축부재 34: 날개부재
40: 지지부 50: 동력전달부
52: 제1스프라켓 54: 체인부재
56: 제2스프라켓 57: 회전축
60: 정회전방지부 62: 코어디스크
64: 가압링부 65: 톱니부
66: 그루브 67: 가압볼부
70: 구속부 71: 구속프레임
72: 구속회전축 73: 잠금연장부
74: 복귀부 75: 고정프레임
76: 고정돌기부재 77: 가압스프링
78: 연장부재

Claims (5)

  1. 트리퍼카의 벨트부재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물에 밀려서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트리퍼카의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회전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회전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구속하여 상기 이송물의 낙광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상기 이송물에 밀려서 회전되는 날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제1스프라켓;
    상기 제1스프라켓에 걸쳐져서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부재;
    상기 제1스프라켓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체인부재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2스프라켓; 및
    상기 제2스프라켓과 상기 구속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역방향 회전의 동력만 상기 구속부로 전달하는 정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회전방지부는,
    상기 제2스프라켓의 회전축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코어디스크;
    상기 코어디스크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역회전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증가되는 복수의 톱니부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속부와 연결되는 가압링부; 및
    상기 톱니부 사이의 홈부인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디스크의 역회전시 상기 톱니부와 상기 코어디스크의 외측면 사이에 구속되어 상기 가압링부가 상기 코어디스크와 함께 역회전되게 하는 가압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양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구속프레임;
    상기 벨트부재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속프레임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압링부에 연결되는 구속회전축; 및
    상기 구속회전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속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날개부재의 이동경로로 이동되어 상기 날개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1020180054809A 2018-05-14 2018-05-14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102043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09A KR102043557B1 (ko) 2018-05-14 2018-05-14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09A KR102043557B1 (ko) 2018-05-14 2018-05-14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557B1 true KR102043557B1 (ko) 2019-11-11

Family

ID=6853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09A KR102043557B1 (ko) 2018-05-14 2018-05-14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881A (ko) * 2019-11-22 2021-06-01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20210119186A (ko) * 2020-03-24 2021-10-05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700Y1 (ko) * 1999-11-19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경사부 광석 흘림방지장치
KR20040021121A (ko)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경사부 광석누적 및 낙광 방지장치
KR20130002412A (ko) * 2011-06-29 2013-01-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908226B1 (ko) * 2017-04-21 2018-10-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낙광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700Y1 (ko) * 1999-11-19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경사부 광석 흘림방지장치
KR20040021121A (ko)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경사부 광석누적 및 낙광 방지장치
KR20130002412A (ko) * 2011-06-29 2013-01-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908226B1 (ko) * 2017-04-21 2018-10-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낙광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881A (ko) * 2019-11-22 2021-06-01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102275915B1 (ko) * 2019-11-22 2021-07-12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20210119186A (ko) * 2020-03-24 2021-10-05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 장치
KR102372476B1 (ko) * 2020-03-24 2022-03-08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557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US9908713B2 (en) Vertical circulating conveyor
EP1075443B1 (en) Transverse conveyance apparatus for roller conveyors and a lift device
CN103717373B (zh) 将物体传输至作业台的方法及装置
KR101950590B1 (ko) 연속 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방지장치
KR10196882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175786B1 (ko) 연속식언로더
KR20150101272A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101957578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735411B1 (ko) 착즙제조라인용 무소음 및 무충격 컨베이어
KR10213311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JP2018144931A (ja) ホイール式方向変換装置
KR10216661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200221979Y1 (ko) 원료 불출설비의 가이드 벨트컨베이어
KR102077925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KR102166611B1 (ko) 슈트 마모 방지 장치
US2846052A (en) Letter-sorting machine
CN109153507B (zh) 解除对在具有滑轨的输送器中的中空主体的行进的阻挡的方法
KR102021194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JP3455883B2 (ja) パレット式アキュームレートストックコンベヤ
KR102033912B1 (ko) 진동피더
KR20160001528A (ko) 스태커 리크레이머
KR101908227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US1041756A (en) Conveyer.
KR102133098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