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199B1 -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 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199B1
KR102042199B1 KR1020177011292A KR20177011292A KR102042199B1 KR 102042199 B1 KR102042199 B1 KR 102042199B1 KR 1020177011292 A KR1020177011292 A KR 1020177011292A KR 20177011292 A KR20177011292 A KR 20177011292A KR 102042199 B1 KR102042199 B1 KR 102042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awing
food
delete delete
temperature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225A (ko
Inventor
샹웨이 탕
위저 지아
얀 리
춘 루안
다원 쑨
종 한
시난 쩡
Original Assignee
광동 메이디 키친 어플리언시스 매뉴팩쳐링 코.,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499395.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235901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499543.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235903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499499.5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23590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510143.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266236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508374.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235904A/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메이디 키친 어플리언시스 매뉴팩쳐링 코.,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광동 메이디 키친 어플리언시스 매뉴팩쳐링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07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tha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05B6/645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the sensors being infrar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64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weight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2Radiators or antennas
    • H05B6/725Rotatable antenn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해동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과 관련하여,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해 하기 사실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해동 후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더욱 위생적이며, 절단이 더욱 용이하고, 온도차가 비교적 낮으며,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및 전자 레인지를 더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 레인지{MICROWAVE OVEN THAWING CONTROL METHOD, DEVIEC AND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생활 가전용품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중국 광동성 Midea 주방 전기용품 제조 유한회사, Midea 그룹 주식회사가 2014년 9월 28일자로 제출한 선출원으로서, 발명 명칭이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 레인지”이고 중국 특허 출원번호는 “201410508374.4”, “201410510143.7”인 선출원; 및 2014년 9월 25일자로 제출한 선출원으로서, 발명 명칭이 “전자 레인지의 음식물 해동 제어 방법 및 전자 레인지”이고 중국 특허 출원번호는 “201410499543.2”, “201410499499.5”, “201410499395.4”인 선출원의 우선권을 향유할 것을 주장한다.
가정용 전자 레인지(micro wave oven)의 보급 및 발전에 따라, 마이크로파 해동(언프리즈; unfreeze)의 속도가 빠르고 효율이 높은 등 우점으로 인해 새롭게 전자 레인지를 사용하여 냉동 음식물을 해동시키는 사람들이 날따라 증가되고 있다.
현재, 생활 중 사람들이 구매해온 음식물(예를 들면 육류, 어류 등)은 통상적으로 1 차적으로 한꺼번에 먹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은 냉동시켜 다음 번의 식용의 편리를 도모한다. 따라서, 음식물의 마이크로파 해동에 대해 연구를 기울일 필요성이 있다.
현재 전자 레인지 해동의 현상태를 연구하기 위하여, 시장에서 6 가지의 브랜드가 상이하고 모델도 서로 다른 전자 레인지를 선별 채택하였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각각 500g 의 잘게 다진 쇠고기를 해동시켜 하기와 같은 결과를 획득하였다.
Figure 112017040621847-pct00001
상기 표로부터 알다시피, 대다수 브랜드의 전자 레인지는 모두 하기 문제들이 존재한다. 해동 시간이 긴 바, 가장 긴 경우 27'17″에 도달한다. 숙성 변색된다. 온도차가 지나치게 큰 바, 최대 온도차는 69.2 에 도달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나타나는 원인은 최적의 해동 종점 온도에 대한 정의가 결여되며, 나아가 해동 절차(예컨대 화력 및 시간)에 대한 연구가 결여되기 때문인데, 해동 효과가 이상적이지 못한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서, 해동 최적 종점 온도 및 전자 레인지의 음식물 해동 제어 방법은 연구 및 개선이 절실하게 기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발명자의 하기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발명자가 현재 시장 중의 상이한 브랜드, 상이한 모델의 전자 레인지 해동의 현상태를 연구하여 발견한 것에 의하면, 상술한 배경 기술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크기가 동일하고 유형이 동일한 음식물의 경우, 해동 후의 효과는 어느것이든 막론하고 이상적이지 못한 바, 통상적으로 해동 시간이 길고, 숙성 변색되며,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 사이의 온도차가 너무 큰 등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가 초래되는 원인은 현재까지 아직 최적의 해동 종점 문제에 대해 정의를 내리지 않았으며, 나아가 해동 절차(예컨대 화력 및 시간)에 대한 연구가 결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단계에 있어서, 해동 최적 종점 온도의 정의 및 전자 레인지의 음식물 해동 제어 방법 개선 방안을 제출하는 것은 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소정 정도 상 상술한 기술적 과제 중의 한가지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출하는 것이다. 당해 방법과 관련하여, 발명자는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해 혁신적으로 하기 사실을 발견하였다. -3~0℃ 범위 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더욱 위생적이며, 절단하기 더욱 용이하고, 온도차가 비교적 낮으며,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0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1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2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3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4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5 목적은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6 목적은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7 목적은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8 목적은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9 목적은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0 목적은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S1: 해동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S2: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는 단계; 및 S3: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먼저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그다음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는,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레인지는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포함하되, 구체적으로 상기 S2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해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S4: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3단계는 상세하게는, S31A: 상기 음식물의 무게(x)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은, “T=K(x/100)초”이되, “20초/그램≤K≤120초/그램”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마련되는 단계; 및 S32A: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으로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S32A단계는, 순차적으로 연속된 복수의 시간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화력; thermal power)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구체적으로 상기 S32A단계는, S321: 제 1 시간 구간(t1) 내에서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풀(full) 화력의 30%~60% 인 단계; S322: 제 2 시간 구간(t2) 내에서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20%~40% 인 단계; S323: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30%~60% 인 단계; 및 S324: 제 4 시간 구간(t4) 내에서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0%~30% 인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시간 구간(t1),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상기 제 3 시간 구간(t3) 및 상기 제 4 시간 구간(t4)은 각각 하기 조건을 만족하되, t1=K(n+1+a)/4; t2=K(n-1-a)/4; t3=K(n+1-a)/4; t4=K(n-1+a)/4, 그 중, “n=x/100그램”이고, “a=[1+(-1)n]/2”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S322 단계와 S323 단계 사이에는, S3221A: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turn-over)도록 힌트 제시하며, 음식물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단계; 및 S3222A: 음식물이 뒤집힌 것을 검출한 후, 해동 과정이 상기 S323 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S322 단계와 S323 단계 사이에는, S3221B: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단계; 및 S3222B: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것을 검출한 후, 해동 과정이 상기 S323 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전자 레인지는 해동 키(key)를 구비하되, 상기 해동 키의 터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상기 해동 키는 1개이되, 상기 해동 키는, 한 번 가압될 때마다 상기 전자 레인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를 순차적으로 50그램~100그램씩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해동 키는 복수의 무게 그램수(gram number)와 대응되는 복수의 해동 키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무게 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S5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3 단계는 상세하게는, S31B: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M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는 N 개의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에 의해 검출 획득되되, N 및 M 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N 은 M 보다 작거나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S31B 단계는,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의 온도 검출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S31B 단계는 상세하게는,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S311 단계;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인 S312 단계;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6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S313 단계;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인 S314 단계; 및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8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동을 정지(stop)시키는 S315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전자 레인지 중에는 회전 가능한 가열 안테나가 구비되되, 상기 S3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의 가열 각도를 결정하는 S31C 단계; 및 상기 가열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를 제어하되 상기 가열 안테나가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게 하는 S32C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31C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최저 온도 포인트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S32C 단계에서, 상기 가열 안테나가 상기 최저 온도 포인트에까지 회전되어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S5 단계와 상기 S31C 단계 사이에는, 상기 가열 안테나를 등속 회전하게 제어하는 S6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30% 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해동 과정이 상기 S31C 단계에 진입되게 제어하는 S7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에 더해, 구체적으로 상기 S32C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80% 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이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S1: 해동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S2: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는 단계; 및 S3: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먼저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그다음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구체적으로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는,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레인지는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포함하되, 구체적으로 상기 S2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해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S4: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상기 S3단계는, S31A: 상기 음식물의 무게(x)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은, “T=K(x/100)초”이되, “20초/그램≤K≤120초/그램”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마련되는 단계; 및 S32A: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으로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S32A 단계는, 순차적으로 연속된 복수의 시간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구체적으로 상기 S32A 단계는, S321: 제 1 시간 구간(t1) 내에서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단계; S322: 제 2 시간 구간(t2) 내에서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20%~40% 인 단계; S323: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30%~60% 인 단계; 및 S324: 제 4 시간 구간(t4) 내에서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0%~30% 인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시간 구간(t1),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상기 제 3 시간 구간(t3) 및 상기 제 4 시간 구간(t4)은 각각 하기 조건을 만족하되, t1=K(n+1+a)/4; t2=K(n-1-a)/4; t3=K(n+1-a)/4; t4=K(n-1+a)/4, 그 중, “n=x/100그램”이고, “a=[1+(-1)n]/2”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S322 단계와 S323 단계 사이에는, S3221A: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음식물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단계; 및 S3222A: 음식물이 뒤집힌 것을 검출한 후, 해동 과정이 상기 S323 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단계가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S322 단계와 S323 단계 사이에는, S3221B: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단계; 및 S3222B: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것을 검출한 후, 해동 과정이 상기 S323 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전자 레인지는 해동 키를 구비하되, 상기 해동 키의 터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상기 해동 키는 1 개이되, 상기 해동 키는, 한 번 가압될 때마다 상기 전자 레인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를 순차적으로 50그램~100그램씩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해동 키는 복수의 무게 그램수와 대응되는 복수의 해동 키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무게 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S5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3 단계는 상세하게는,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S31B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M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는 N 개의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에 의해 검출 획득되되, N 및 M 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N 은 M 보다 작거나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S31B단계는,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의 온도 검출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S31B 단계는 상세하게는,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S311 단계;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인 S312 단계;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6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S313 단계;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인 S314단계; 및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8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 S315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전자 레인지 중에는 회전 가능한 가열 안테나가 구비되되, 구체적으로 상기 S3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의 가열 각도를 결정하는 S31C 단계; 및 상기 가열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를 제어하되 상기 가열 안테나가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게 하는 S32C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31C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최저 온도 포인트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S32C 단계에서, 상기 가열 안테나가 상기 최저 온도 포인트에까지 회전되어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S5 단계와 상기 S31C 단계 사이에는,상기 가열 안테나를 등속 회전하게 제어하는 S6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30% 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해동 과정이 상기 S31C 단계에 진입되게 제어하는 S7 단계를 더 포함된다.
이에 더해, 구체적으로 상기 S32C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80% 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이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해동 과정 중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되, 해동 과정 중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 상기 음식물의 온도는 -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실시간적으로 검출하되, 해동 과정 중 음식물의 온도가 -3~0℃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해동 과정 중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는 -1℃ 보다 낮고, 해동이 이루어진 후 상기 음식물의 온도는 -1℃를 유지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4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해동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먼저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그다음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아울러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는,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5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해동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먼저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그다음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아울러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는,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6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해동 과정 중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는 -1℃ 보다 낮고, 해동이 이루어진 후, 상기 음식물의 온도는 -1℃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 보다 낮고, 해동이 이루어진 후 음식물의 온도는 -1℃를 유지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7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에는 회전 가능한 가열 안테나가 구비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S1단계;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의 가열 각도를 결정하는 S2 단계; 및 상기 가열 안테나가 회전하도록 상기 가열 각도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S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예컨대 육류와 같은 해동 대기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해동 대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함으로써 이상적인 해동 효과를 구현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최저 온도 포인트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가열 안테나가 상기 최저 온도 포인트에까지 회전되어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단계(S1)와 상기 S2 단계 사이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S11: 상기 가열 안테나를 등속 회전하게 제어하는 단계; 및 S12: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30% 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해동 과정이 상기 S2단계에 진입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S3 단계 이후, 상기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S4: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80% 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계(S1) 중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한다.
나아가,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M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는 N 개의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에 의해 검출 획득되되, N 및 M 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N 은 M 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음식물은 육류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8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레인지는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S1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S2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해동 대기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해동 대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함으로써 이상적인 해동 효과를 구현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계(S1) 중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한다.
나아가,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M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는 N 개의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에 의해 검출 획득되되, N 및 M 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N 은 M 보다 작거나 같다.
더 나아가, 상기 S2단계는,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의 온도 검출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2단계는, S21: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후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단계; S22: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인 단계; S23: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6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단계; S24: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3~0℃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인 단계; 및 S25: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8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음식물은 육류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9 측면의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레인지는 해동 키 및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방법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무게(x)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은, "T=K(x/100)초"이되, "20초/그램≤K≤120초/그램"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마련되는 S1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으로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S2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해동 대기 음식물의 무게(x)에 근거하여 해동 대기 음식물을 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함으로써 이상적인 해동 효과를 구현한다.
나아가, 상기 S2단계는, 순차적으로 연속된 복수의 시간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2단계는 상세하게는, S21: 제 1 시간 구간(t1) 내에서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단계; S22: 제 2 시간 구간(t2) 내에서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20%~40% 인 단계; S23: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30%~60% 인 단계; 및 S24: 제 4 시간 구간(t4) 내에서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0%~30% 인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시간 구간(t1),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상기 제 3 시간 구간(t3) 및 상기 제 4 시간 구간(t4)은 각각 하기 조건을 만족하되, t1=K(n+1+a)/4; t2=K(n-1-a)/4; t3=K(n+1-a)/4; t4=K(n-1+a)/4, 그 중, "n=x/100그램"이고, "a=[1+(-1)n]/2"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계(S22)와 단계(S23) 사이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S221A: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음식물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단계; 및 S222A: 음식물이 뒤집힌 것을 검출한 후, 해동 과정이 상기 단계(S23)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는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계(S22)와 단계(S23) 사이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S221B: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단계; 및 S222B: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것을 검출한 후, 해동 과정이 상기 단계(S23)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동 키의 터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해동 키는 1 개이되, 상기 해동 키는, 한 번 가압될 때마다 상기 전자 레인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를 순차적으로 50그램~100그램씩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는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해동 키는 복수의 무게 그램수와 대응되는 복수의 해동 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무게 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전체 해동 시간(T) 경과 후, 음식물의 온도는 -3~0℃ 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음식물은 육류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0 측면의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해동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기 위한 해동 모듈; 및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수신 모듈을 통하여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해동 모듈이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하기 위해 더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세하게는, 상기 음식물의 무게(x)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은, "T=K(x/100)초"이되, "20초/그램≤K≤120초/그램"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마련하는 역할; 및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으로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마련하는 역할을 일으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순차적으로 연속된 복수의 시간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세하게는, 제 1 시간 구간(t1) 내에서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제 2 시간 구간(t2) 내에서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20%~4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30%~6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및 제 4 시간 구간(t4) 내에서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0%~3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을 일으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시간 구간(t1),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상기 제 3 시간 구간(t3) 및 상기 제 4 시간 구간(t4)은 각각 하기 조건을 만족하되, t1=K(n+1+a)/4; t2=K(n-1-a)/4; t3=K(n+1-a)/4; t4=K(n-1+a)/4, 그 중, "n=x/100그램"이고, "a=[1+(-1)n]/2"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음식물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역할; 및 음식물이 뒤집힌 것을 검출한 후,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더 일으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역할; 및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것을 검출한 후,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더 일으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더 이용된다.
나아가,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M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는 N 개의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에 의해 검출 획득되되, N 및 M 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N 은 M 보다 작거나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의 온도 검출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이 최대 화력의 30%~6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이 최대 화력의 20%~4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6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이 최대 화력의 30%~6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이 최대 화력의 0%~3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및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8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일으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전자 레인지 중에는 회전 가능한 가열 안테나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의 가열 각도를 결정하는 역할; 및 상기 가열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를 제어하되 상기 가열 안테나가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일으킨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1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해동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기 위한 해동 모듈; 및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수신 모듈을 통하여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해동 모듈이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하기 위해 더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세하게는, 상기 음식물의 무게(x)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은, “T=K(x/100)초”이되, “20초/그램≤K≤120초/그램”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마련하는 역할; 및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으로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마련하는 역할을 일으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순차적으로 연속된 복수의 시간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제 1 시간 구간(t1) 내에서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제 2 시간 구간(t2) 내에서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20%~4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30%~6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및 제 4 시간 구간(t4) 내에서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0%~3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을 일으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시간 구간(t1),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상기 제 3 시간 구간(t3) 및 상기 제 4 시간 구간(t4)은 각각 하기 조건을 만족하되, t1=K(n+1+a)/4; t2=K(n-1-a)/4; t3=K(n+1-a)/4; t4=K(n-1+a)/4, 그 중, “n=x/100그램”이고, “a=[1+(-1)n]/2”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음식물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역할; 및 음식물이 뒤집힌 것을 검출한 후,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더 일으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역할; 및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것을 검출한 후,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더 일으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더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의 온도 검출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이 최대 화력의 30%~6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이 최대 화력의 20%~4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6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이 최대 화력의 30%~6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이 최대 화력의 0%~3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및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8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일으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전자 레인지 중에는 회전 가능한 가열 안테나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의 가열 각도를 결정하는 역할; 및 상기 가열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를 제어하되 상기 가열 안테나가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일으킨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2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해동 과정 중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되, 해동 과정 중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 상기 음식물의 온도는 -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해동 과정 중,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를 실시간적으로 검출하고, 해동 과정 중 음식물의 온도가 -3~0℃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 음식물의 온도는 -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해동 과정 중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 보다 낮고; 해동이 이루어진 후, 상기 음식물의 온도는 -1℃를 유지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3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해동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모듈; 및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검출 모듈을 통하여 수신 모듈이 해동 명령을 수신한 후,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해동 조건의 제어는 구체적으로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4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해동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모듈; 및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검출 모듈을 통하여 수신 모듈이 해동 명령을 수신한 후,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해동 조건의 제어는 구체적으로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5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해동 과정 중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는 -1℃ 보다 낮고, 해동이 이루어진 후, 상기 음식물의 온도는 -1℃를 유지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는 -1℃ 보다 낮고, 해동이 이루어진 후, 음식물의 온도는 -1℃를 유지하게 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6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는, 본 발명의 제 10 측면 실시예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는, 제어 장치 중의 수신 모듈을 통하여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해동 모듈이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7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는, 본 발명의 제 11 측면 실시예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는, 제어 장치 중의 수신 모듈을 통하여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해동 모듈이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8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는, 본 발명의 제 12 측면 실시예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는, 해동 과정 중,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를 실시간적으로 검출하고, 해동 과정 중 음식물의 온도가 -3~0℃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 음식물의 온도는 -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9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는, 오븐 바디(oven body), 제어 패널,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오븐 바디 내에는 오븐 챔버가 정의되고, 상기 음식물은 상기 오븐 챔버 내에 거치하기 적합하며; 상기 제어 패널은 상기 오븐 바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패널은 해동 키 및 작동 키를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상기 오븐 바디 내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상기 음식물이 해동되도록 상기 오븐 챔버 내부를 향해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제 9 측면 실시예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오븐 바디에는 상기 음식물 무게를 검출하기 적합한 무게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븐 바디의 바닥부에는 오븐 다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무게 센서는 상기 오븐 다리부 상에 설치된다.
또는 선택 가능하게, 상기 오븐 바디에는 상기 음식물 무게를 검출하기 적합한 무게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븐 챔버는 격판을 통해 조리 챔버 및 상기 조리 챔버의 하방에 위치하는 가열 챔버로 분리 이격되며, 상기 무게 센서는 상기 격판의 바닥부에 설치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0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는, 오븐 바디, 온도 측정 장치,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오븐 바디 내에는 오븐 챔버가 정의되고, 상기 음식물은 상기 오븐 챔버 내에 거치하기 적합하며; 상기 온도 측정 장치는 상기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상기 오븐 바디 내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상기 오븐 바디 내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상기 음식물이 해동되도록 상기 오븐 챔버 내부를 향해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제 7 측면 실시예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온도 측정 장치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이며,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상기 오븐 바디 내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 21 측면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는, 오븐 바디, 온도 측정 장치,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오븐 바디 내에는 오븐 챔버가 정의되고, 상기 음식물은 상기 오븐 챔버 내에 거치하기 적합하며; 상기 온도 측정 장치는 상기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상기 오븐 바디 내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상기 오븐 바디 내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상기 음식물이 해동되도록 상기 오븐 챔버 내부를 향해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제 8 측면 실시예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온도 측정 장치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이며,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상기 오븐 바디 내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부가 측면 및 우점은 후술될 기재에서 부분적으로 개시될 것이고, 일부분은 후술될 기재에 의해 분명해지거나 본 발명에 기반한 실천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기본측면 및/또는 부가측면의 우점은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후술될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고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중, 각각의 도면은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온도 측정 시 선택된 12 개의 점(포인트)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에 의한 육류 해동 시 육류의 온도 곡선의 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온도차의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온도차의 예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온도차의 예시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온도차의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고기즙 삼출율의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고기즙 삼출율의 예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고기즙 삼출율의 예시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고기즙 삼출율의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단백질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단백질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단백질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단백질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수분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수분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수분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수분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전단력의 예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전단력의 예시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전단력의 예시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전단력의 예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황색도의 예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황색도의 예시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황색도의 예시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황색도의 예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균락수의 예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균락수의 예시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균락수의 예시도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균락수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해동 속도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온도차의 예시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온도차의 예시도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온도차의 예시도이다.
도 1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온도차의 예시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고기즙 삼출율의 예시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고기즙 삼출율의 예시도이다.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고기즙 삼출율의 예시도이다.
도 1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고기즙 삼출율의 예시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단백질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단백질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1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단백질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1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단백질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수분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수분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1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수분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1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수분 함량의 예시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전단력의 예시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전단력의 예시도이다.
도 2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전단력의 예시도이다.
도 2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전단력의 예시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황색도의 예시도이다.
도 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황색도의 예시도이다.
도 2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황색도의 예시도이다.
도 2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황색도의 예시도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돼지 등심살이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균락수의 예시도이다.
도 2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물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균락수의 예시도이다.
도 2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닭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균락수의 예시도이다.
도 2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무게의 쇠고기가 상이한 해동 온도 종점으로 해동된 후의 균락수의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체 해동 시간(T) 내에서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해동 대기 음식물을 해동하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모식도이다.
도 29a는 도 28에 도시된 해동 키가 1 차 가압된 후의 제어 패널의 모식도이다.
도 29b는 도 28에 도시된 해동 키가 제 2 차 가압된 후의 제어 패널의 모식도이다.
도 29c는 도 28에 도시된 해동 키가 제 3 차 가압된 후의 제어 패널의 모식도이다.
도 29d는 도 28에 도시된 해동 키가 제 4 차 가압된 후의 제어 패널의 모식도이다.
도 29e는 도 28에 도시된 해동 키가 제 5 차 가압된 후의 제어 패널의 모식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도시된 전자 레인지 해동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모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모식도이다.
도 33은 도 31 및 도 32 중에 도시된 전자 레인지의 제어 패널의 모식도이다.
도 34는 도 31 및 도 32 중에 도시된 전자 레인지 해동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모식도이다.
도 37은 도 36 중에 도시된 전자 레인지의 제어 패널의 모식도이다.
도 38은 도 36 중에 도시된 전자 레인지 해동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를 적용하여 해동 대기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모식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를 적용하여 해동 대기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다른 일 모식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었는데, 그 중 시종일관하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소자를 표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지,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 레인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01: 해동 명령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령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이 전자 레인지 중에 적용 가능하고, 전자 레인지는 사용자를 위해 해동 기능이 구비된 버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동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전자 레인지 중에 장입하여 해동을 진행할 경우, 버튼을 통하여 해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고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일 수 있다.
S102: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한다.
예컨대, 전자 레인지는 해동 명령을 수신한 후, 해동 기능을 작동시켜 해동을 수행할 수 있다.
S103: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동 조건에 대한 제어는 구체적으로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등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동 조건(예를 들면, 해동 시간 및/또는 해동 가열 전력 및/또는 가열 방향 등)을 제어하여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20℃ 보다 낮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예를 들어 음식물이 방금 전자 레인지 중에 장입된 경우), 해동 가열 전력을 증가하는 것을 통해 해동 과정이 가속화되게 할 수 있다.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현재 온도가 -5℃ 인 것이 검출된 경우, 해동 가열 전력을 감소하되 상응한 해동 가열 전력에 도달하도록 제어하여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게 하며, 동시에 음식물이 균일하게 해동되도록 가열 방향을 더 제어할 수도 있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에서 12 개의 포인트(점)를 선택하며, 당해 12 개의 포인트에 대해 각각 온도 측정을 수행(예컨대, 모든 각각의 포인트의 1/2 높이 위치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데, 측정된 12 개 포인트 중에 80% 이상(즉, 10 개 포인트 이상)이 -3~0℃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당해 음식물을 -3~0℃ 해동 음식물로 호칭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1”이 위치한 열(Column)이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대략 장변 길이의 1/5 을 점유하고, 포인트 “4”가 위치한 열이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대략 장변 길이의 1/5 을 점유하며, 포인트 “1”이 위치한 행(Row)이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대략 단변 길이의 1/4 을 점유하고, 포인트 “9”가 위치한 행이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대략 단변 길이의 1/4 을 점유하며, 가장자리부의 4 개의 포인트(즉, 포인트 “1”, 포인트 “4”, 포인트 “9”, 포인트 “12”)는 모서리로부터 대략 1/5 대각선 길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추가로 부연하자면, 발명자는 대량의 실험 데이터를 통하여 하기 결론을 도출하였다. 해동하고자 하는 음식물로 하여금 전자 레인지 해동을 거치게 하여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하면, 음식물의 영양 보유율이 향상되고, 미생물 오염이 적은 동시에, 해동 음식물 절단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
그 원인은 하기와 같다. 전자 레인지 해동 시 주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해동을 수행한다. 즉, 마이크로파는 해동하고자 하는 음식물 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내외 동시 가열이 진행되며, 방사 전달이 불필요하고, 간극의 존재 여부와는 무관하게 모두 해동이 가능하다. 마이크로파 해동은 매질의 손실성 소모를 통하여 발열이 진행되므로, 손실성 소모가 상대적으로 큰 것일수록 가열이 상대적으로 빠르다. 물은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는 가장 강력한 매질이기에, 물 함유량이 큰 물질에 대한 가열이 매우 효과적이다. 해동하고자 하는 음식물 중의 물분자는 오직 해동 후에 비로소 대량의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는 바, 결정체 내에 속박된 물분자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없기때문에, 음식물에 결정체 얼음이 아직 존재할 경우 음식물의 온도 변화는 크지 않은 반면, 음식물의 결정체 얼음이 융해된 후 음식물의 온도는 신속히 변화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쳤으며, 선택된 다섯(5)차의 실험 데이터에 따라 도형 그래프 분석을 진행하여 하기 사실을 장악하였다. 해동 구간에서 음식물의 온도 변화는 비교적 평온하며, 음식물에 아직 결정체 얼음이 존재하기에 음식물의 온도 변화가 크지 않고; 0℃ 이상의 경우, 결정체 얼음이 점차적으로 융해되기에,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는 물 매질이 점차적으로 많아져 음식물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신속히 증가되는데, 이에 의해 음식물이 익는(숙성) 등 문제가 초래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해동 구간으로서, -3~0℃를 선택한다. 이하, 해당 분야의 당업자가 -3~0℃ 해동 음식물이 구비하는 이점을 더욱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실험 데이터를 결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3~0℃ 해동 음식물의 온도차 분석
1. 음식물은 각각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선택하고, 종류별로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 고깃덩이의 최고 온도를 각각 측정하고, 아울러 그 최저 온도를 각각 측정함으로써,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온도차(temperature difference)를 획득한다. 하기 표 1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2.7 39.2 37.2 44.4 41.1 40.9
0℃ 해동 26.3 14.6 27.7 16.2 7.1 18.4
-1.5℃ 해동 13.0 24.7 11.0 17.7 21.7 17.6
-3℃ 해동 21.7 14.7 20.1 26.0 22.2 20.9
-4℃ 해동 21.5 13.8 12.0 9.5 27.8 16.9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2.7 35.4 40.4 41.6 37.3 39.5
0℃ 해동 24.5 12.1 3.8 15.7 26.7 16.6
-1.5℃ 해동 4.0 26.4 20.8 10.9 4.0 13.2
-3℃ 해동 8.8 26.8 19.9 13.2 27.8 19.3
-4℃ 해동 4.3 17.3 18.5 27.7 20.9 17.7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6.1 37.8 36.0 42.5 37.8 38.0
0℃ 해동 17.8 3.2 8.6 19.6 4.2 10.7
-1.5℃ 해동 16.7 25.4 3.4 25.6 15.1 17.2
-3℃ 해동 25.3 16.7 24.3 15.4 19.4 20.2
-4℃ 해동 15.7 21.9 18.9 6.2 18.9 16.3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5.4 36.2 41.8 36.2 41.2 38.2
0℃ 해동 19.5 25.0 14.0 18.2 12.5 17.8
-1.5℃ 해동 10.3 7.2 7.4 4.9 6.1 7.2
-3℃ 해동 18.5 11.9 26.9 16.2 6.9 16.1
-4℃ 해동 23.8 11.0 9.1 12.6 4.5 12.2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0.5 41.7 43.6 36.2 40.8 40.6
0℃ 해동 11.3 20.1 17.0 6.4 15.8 14.1
-1.5℃ 해동 25.8 13.7 11.4 16.8 6.3 14.8
-3℃ 해동 27.1 5.8 23.6 12.1 10.1 15.7
-4℃ 해동 13.5 8.5 9.9 17.1 25.7 14.9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2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2.5 43.3 35.4 38.6 44.7 40.9
0℃ 해동 10.6 12.0 26.3 5.8 6.0 12.1
-1.5℃ 해동 26.8 25.2 20.5 16.9 23.7 22.6
-3℃ 해동 21.7 22.3 9.0 15.1 17.8 17.2
-4℃ 해동 3.0 16.8 6.1 25.7 4.7 11.3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2.4 42.5 36.4 42.4 36.7 40.1
0℃ 해동 13.3 22.4 16.9 9.6 18.6 16.2
-1.5℃ 해동 4.1 27.0 25.8 5.1 19.7 16.3
-3℃ 해동 13.3 5.4 17.7 23.0 18.5 15.6
-4℃ 해동 7.1 27.9 11.5 12.8 3.3 12.5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7.7 39.4 39.8 36.0 36.6 37.9
0℃ 해동 14.9 21.0 24.1 24.4 4.3 17.7
-1.5℃ 해동 18.8 4.7 21.0 16.1 11.8 14.5
-3℃ 해동 15.9 26.5 11.7 22.7 15.5 18.5
-4℃ 해동 22.0 27.7 12.1 11.8 27.1 20.1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8.3 37.9 36.1 40.8 38.0 38.2
0℃ 해동 9.5 7.9 27.2 17.4 16.6 15.7
-1.5℃ 해동 18.4 11.2 14.9 9.1 8.1 12.3
-3℃ 해동 24.8 8.5 16.8 9.7 18.9 15.7
-4℃ 해동 9.1 6.2 12.3 22.2 17.3 13.4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6.1 38.8 38.3 38.3 38.3 38.0
0℃ 해동 8.5 25.7 26.1 18.1 18.1 19.3
-1.5℃ 해동 22.9 18.1 4.6 18.4 5.6 13.9
-3℃ 해동 18.9 10.3 19.8 12.5 16.6 15.6
-4℃ 해동 3.2 23.5 23.2 26.4 3.5 16.0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3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9.6 44.2 35.7 35.0 36.3 38.2
0℃ 해동 4.9 22.9 20.6 25.9 19.3 18.7
-1.5℃ 해동 22.2 14.3 7.5 10.7 22.7 15.5
-3℃ 해동 18.3 16.9 8.3 18.5 26.2 17.6
-4℃ 해동 18.5 17.7 13.9 16.3 3.4 14.0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5.9 35.1 42.2 42.2 41.5 39.4
0℃ 해동 4.2 8.6 26.2 24.3 25.9 17.8
-1.5℃ 해동 27.2 3.8 18.2 26.3 10.1 17.1
-3℃ 해동 5.4 5.9 10.8 25.2 10.2 11.5
-4℃ 해동 21.0 15.8 3.3 6.0 8.5 10.9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2.1 37.6 42.7 41.2 44.4 41.6
0℃ 해동 19.1 26.0 17.1 9.5 24.5 19.2
-1.5℃ 해동 20.5 25.9 11.9 23.1 20.6 20.4
-3℃ 해동 27.7 3.6 12.0 26.2 6.6 15.2
-4℃ 해동 3.6 27.9 11.3 7.6 7.1 11.5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9.4 39.6 35.7 41.5 43.2 39.9
0℃ 해동 10.7 14.0 16.5 7.8 17.9 13.4
-1.5℃ 해동 10.1 17.7 7.2 21.9 24.9 16.4
-3℃ 해동 22.3 17.9 17.4 23.1 13.7 18.9
-4℃ 해동 24.3 17.9 26.7 3.3 8.1 16.1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5.7 37.7 39.8 37.6 35.6 37.3
0℃ 해동 22.5 21.4 26.6 20.0 18.5 21.8
-1.5℃ 해동 25.5 13.7 6.6 23.5 4.8 14.8
-3℃ 해동 6.5 19.5 3.7 10.8 9.6 10.0
-4℃ 해동 22.3 21.8 12.6 17.6 11.4 17.1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4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7.0 43.5 36.9 35.1 43.4 39.2
0℃ 해동 5.0 12.4 22.9 9.0 17.2 13.3
-1.5℃ 해동 11.1 21.7 13.1 5.6 23.5 15.0
-3℃ 해동 22.0 25.4 20.0 13.7 24.9 21.2
-4℃ 해동 9.7 22.1 22.5 22.8 17.0 18.8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9.3 42.2 40.0 36.3 36.4 38.8
0℃ 해동 8.1 17.0 13.4 16.4 16.2 14.2
-1.5℃ 해동 16.1 23.0 18.0 19.6 7.7 16.9
-3℃ 해동 6.5 5.1 21.9 21.1 5.0 11.9
-4℃ 해동 25.0 26.3 10.3 20.7 6.9 17.8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8.7 35.1 41.2 39.7 35.6 38.1
0℃ 해동 5.1 21.5 13.9 8.8 15.8 13.0
-1.5℃ 해동 21.2 21.2 18.7 9.8 9.7 16.1
-3℃ 해동 8.2 7.3 25.2 26.8 27.4 19.0
-4℃ 해동 7.6 26.9 16.3 21.3 27.7 20.0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0.5 35.6 43.8 39.7 43.6 40.6
0℃ 해동 16.3 18.8 26.1 26.5 15.7 20.7
-1.5℃ 해동 19.5 4.4 25.1 6.4 23.0 15.7
-3℃ 해동 19.4 24.9 6.8 17.3 12.9 16.3
-4℃ 해동 21.6 18.1 23.0 17.8 13.6 18.8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1.9 42.4 42.8 37.1 38.3 40.5
0℃ 해동 19.3 11.7 26.6 7.6 17.6 16.6
-1.5℃ 해동 9.7 23.2 16.4 9.0 16.7 15.0
-3℃ 해동 13.9 8.1 23.5 6.3 18.0 14.0
-4℃ 해동 17.0 21.3 26.5 25.3 8.6 19.7
2. 테스트 결과, 도 4(a) 는 표 1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4(b) 는 표 2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4(c) 는 표 3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4(d) 는 표 4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온도차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3~0℃ 범위를 유지할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음식물 온도차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해동이 비교적 균일하다.
실시예2: -3~0℃ 해동 음식물의 고기즙 삼출율(exudation)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수식 “고기즙량/고깃덩이 전체 무게×100%”에 근거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고기즙 삼출(exudation)율을 각각 산출한다. 하기 표 5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05% 1.49% 2.19% 1.20% 1.70% 1.53%
0℃ 해동 0.25% 0.21% 0.27% 0.11% 0.26% 0.22%
-1.5℃ 해동 0.15% 0.24% 0.29% 0.18% 0.18% 0.21%
-3℃ 해동 0.25% 0.28% 0.14% 0.24% 0.22% 0.23%
-4℃ 해동 0.16% 0.28% 0.26% 0.27% 0.15% 0.22%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29% 2.62% 1.03% 2.67% 1.75% 1.87%
0℃ 해동 0.11% 0.24% 0.25% 0.15% 0.14% 0.18%
-1.5℃ 해동 0.13% 0.28% 0.15% 0.27% 0.26% 0.22%
-3℃ 해동 0.23% 0.11% 0.20% 0.27% 0.11% 0.18%
-4℃ 해동 0.12% 0.26% 0.16% 0.22% 0.20% 0.19%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32% 2.33% 2.36% 1.21% 1.01% 1.85%
0℃ 해동 0.16% 0.10% 0.17% 0.18% 0.23% 0.17%
-1.5℃ 해동 0.16% 0.27% 0.21% 0.22% 0.25% 0.22%
-3℃ 해동 0.11% 0.16% 0.21% 0.20% 0.20% 0.18%
-4℃ 해동 0.30% 0.25% 0.25% 0.11% 0.22% 0.22%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6% 1.74% 2.14% 2.60% 2.48% 2.12%
0℃ 해동 0.20% 0.12% 0.23% 0.26% 0.29% 0.22%
-1.5℃ 해동 0.12% 0.11% 0.11% 0.10% 0.22% 0.13%
-3℃ 해동 0.26% 0.14% 0.11% 0.16% 0.26% 0.19%
-4℃ 해동 0.11% 0.19% 0.15% 0.20% 0.13% 0.16%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48% 2.09% 1.36% 2.54% 2.76% 2.25%
0℃ 해동 0.24% 0.29% 0.17% 0.25% 0.10% 0.21%
-1.5℃ 해동 0.13% 0.13% 0.16% 0.14% 0.29% 0.17%
-3℃ 해동 0.22% 0.29% 0.30% 0.18% 0.24% 0.24%
-4℃ 해동 0.28% 0.18% 0.27% 0.21% 0.23% 0.23%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6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69% 1.47% 1.83% 2.35% 1.17% 1.90%
0℃ 해동 0.12% 0.24% 0.19% 0.22% 0.19% 0.19%
-1.5℃ 해동 0.21% 0.16% 0.14% 0.10% 0.16% 0.15%
-3℃ 해동 0.23% 0.11% 0.17% 0.11% 0.25% 0.17%
-4℃ 해동 0.20% 0.19% 0.16% 0.21% 0.23% 0.20%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25% 1.86% 2.61% 1.06% 1.66% 1.69%
0℃ 해동 0.26% 0.20% 0.12% 0.27% 0.22% 0.22%
-1.5℃ 해동 0.11% 0.27% 0.16% 0.29% 0.14% 0.19%
-3℃ 해동 0.28% 0.18% 0.11% 0.11% 0.13% 0.16%
-4℃ 해동 0.28% 0.24% 0.10% 0.19% 0.14% 0.19%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02% 2.75% 1.19% 1.44% 2.90% 1.86%
0℃ 해동 0.12% 0.14% 0.17% 0.21% 0.29% 0.18%
-1.5℃ 해동 0.14% 0.18% 0.24% 0.13% 0.21% 0.18%
-3℃ 해동 0.16% 0.22% 0.15% 0.19% 0.11% 0.17%
-4℃ 해동 0.13% 0.24% 0.27% 0.17% 0.21% 0.20%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78% 2.73% 1.29% 1.63% 2.20% 1.92%
0℃ 해동 0.16% 0.18% 0.23% 0.25% 0.17% 0.20%
-1.5℃ 해동 0.23% 0.29% 0.21% 0.15% 0.17% 0.21%
-3℃ 해동 0.11% 0.22% 0.24% 0.29% 0.27% 0.23%
-4℃ 해동 0.20% 0.21% 0.21% 0.26% 0.21% 0.22%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11% 1.39% 2.32% 2.04% 2.49% 2.07%
0℃ 해동 0.25% 0.21% 0.28% 0.22% 0.11% 0.21%
-1.5℃ 해동 0.30% 0.20% 0.22% 0.20% 0.23% 0.23%
-3℃ 해동 0.18% 0.12% 0.12% 0.12% 0.13% 0.13%
-4℃ 해동 0.17% 0.25% 0.24% 0.22% 0.11% 0.20%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7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37% 1.50% 1.64% 1.08% 2.19% 1.56%
0℃ 해동 0.12% 0.20% 0.26% 0.23% 0.10% 0.18%
-1.5℃ 해동 0.19% 0.16% 0.14% 0.17% 0.12% 0.15%
-3℃ 해동 0.20% 0.14% 0.14% 0.14% 0.12% 0.15%
-4℃ 해동 0.19% 0.21% 0.11% 0.10% 0.18% 0.16%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02% 2.68% 1.84% 1.74% 1.97% 1.85%
0℃ 해동 0.25% 0.25% 0.28% 0.26% 0.11% 0.23%
-1.5℃ 해동 0.14% 0.30% 0.25% 0.23% 0.21% 0.23%
-3℃ 해동 0.16% 0.14% 0.23% 0.27% 0.22% 0.20%
-4℃ 해동 0.25% 0.19% 0.17% 0.23% 0.28% 0.22%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4% 2.07% 2.61% 2.86% 1.46% 2.11%
0℃ 해동 0.18% 0.17% 0.13% 0.11% 0.30% 0.18%
-1.5℃ 해동 0.27% 0.17% 0.29% 0.29% 0.21% 0.25%
-3℃ 해동 0.19% 0.12% 0.18% 0.19% 0.10% 0.16%
-4℃ 해동 0.24% 0.23% 0.20% 0.23% 0.11% 0.20%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45% 1.66% 1.73% 1.29% 1.77% 1.78%
0℃ 해동 0.19% 0.29% 0.25% 0.20% 0.25% 0.23%
-1.5℃ 해동 0.11% 0.29% 0.16% 0.11% 0.21% 0.17%
-3℃ 해동 0.25% 0.23% 0.20% 0.25% 0.14% 0.21%
-4℃ 해동 0.26% 0.21% 0.29% 0.18% 0.25% 0.24%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4% 2.48% 2.92% 1.34% 2.67% 2.19%
0℃ 해동 0.29% 0.24% 0.15% 0.19% 0.12% 0.20%
-1.5℃ 해동 0.24% 0.11% 0.15% 0.13% 0.27% 0.18%
-3℃ 해동 0.23% 0.16% 0.12% 0.17% 0.19% 0.17%
-4℃ 해동 0.10% 0.18% 0.19% 0.10% 0.25% 0.17%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8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30% 2.44% 1.26% 2.79% 1.49% 1.86%
0℃ 해동 0.19% 0.20% 0.22% 0.15% 0.19% 0.19%
-1.5℃ 해동 0.26% 0.18% 0.21% 0.20% 0.28% 0.22%
-3℃ 해동 0.29% 0.16% 0.13% 0.24% 0.18% 0.20%
-4℃ 해동 0.28% 0.26% 0.22% 0.12% 0.15% 0.21%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4% 1.38% 1.25% 2.52% 1.08% 1.47%
0℃ 해동 0.19% 0.16% 0.10% 0.10% 0.24% 0.16%
-1.5℃ 해동 0.30% 0.21% 0.11% 0.18% 0.23% 0.20%
-3℃ 해동 0.20% 0.21% 0.14% 0.25% 0.21% 0.20%
-4℃ 해동 0.23% 0.27% 0.16% 0.15% 0.18% 0.20%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73% 1.91% 2.31% 1.71% 2.43% 2.02%
0℃ 해동 0.16% 0.15% 0.17% 0.22% 0.23% 0.19%
-1.5℃ 해동 0.29% 0.30% 0.17% 0.23% 0.23% 0.24%
-3℃ 해동 0.26% 0.30% 0.16% 0.19% 0.13% 0.21%
-4℃ 해동 0.23% 0.12% 0.28% 0.16% 0.13% 0.18%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09% 1.13% 1.76% 2.00% 2.65% 1.93%
0℃ 해동 0.12% 0.15% 0.20% 0.11% 0.12% 0.14%
-1.5℃ 해동 0.12% 0.22% 0.12% 0.15% 0.11% 0.14%
-3℃ 해동 0.29% 0.13% 0.21% 0.20% 0.20% 0.21%
-4℃ 해동 0.20% 0.11% 0.27% 0.17% 0.15% 0.18%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20% 2.29% 1.96% 1.47% 2.78% 2.14%
0℃ 해동 0.25% 0.15% 0.24% 0.23% 0.12% 0.20%
-1.5℃ 해동 0.29% 0.26% 0.14% 0.11% 0.26% 0.21%
-3℃ 해동 0.13% 0.26% 0.19% 0.21% 0.25% 0.21%
-4℃ 해동 0.27% 0.18% 0.23% 0.23% 0.23% 0.23%
2. 테스트 결과, 도 5(a) 는 표 5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5(b) 는 표 6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5(c) 는 표 7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5(d) 는 표 8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 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고기즙 삼출율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3~0℃ 범위를 유지할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음식물 고기즙 삼출율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고기즙 손실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실시예3: -3~0℃ 해동 음식물의 단백질 함량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켈달장치(kjeldahl apparatus)를 이용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하기 표 9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3.67% 23.55% 23.65% 23.60% 23.69% 23.63%
0℃ 해동 24.07% 23.97% 23.92% 23.92% 23.96% 23.97%
-1.5℃ 해동 24.00% 24.05% 23.95% 23.93% 23.91% 23.97%
-3℃ 해동 24.00% 23.96% 23.92% 23.98% 23.96% 23.96%
-4℃ 해동 24.07% 24.08% 24.09% 24.09% 24.01% 24.07%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3.53% 23.66% 23.69% 23.66% 23.68% 23.64%
0℃ 해동 24.10% 23.94% 24.00% 24.08% 23.93% 24.01%
-1.5℃ 해동 24.05% 24.10% 24.04% 23.99% 24.09% 24.06%
-3℃ 해동 24.00% 23.91% 24.04% 24.00% 24.03% 23.99%
-4℃ 해동 24.02% 23.90% 24.01% 24.00% 23.91% 23.97%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3.63% 23.68% 23.68% 23.66% 23.54% 23.64%
0℃ 해동 23.96% 24.01% 23.93% 23.90% 23.91% 23.94%
-1.5℃ 해동 24.07% 23.91% 24.03% 23.98% 24.01% 24.00%
-3℃ 해동 23.99% 24.00% 24.00% 24.03% 24.02% 24.01%
-4℃ 해동 24.08% 23.99% 23.99% 24.00% 24.08% 24.03%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3.51% 23.56% 23.59% 23.61% 23.56% 23.57%
0℃ 해동 24.05% 24.01% 24.06% 23.92% 24.00% 24.01%
-1.5℃ 해동 23.96% 24.01% 24.06% 24.09% 24.03% 24.03%
-3℃ 해동 24.00% 23.93% 24.03% 24.02% 23.91% 23.98%
-4℃ 해동 24.07% 24.09% 24.05% 23.94% 24.09% 24.05%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3.63% 23.68% 23.57% 23.53% 23.65% 23.61%
0℃ 해동 23.96% 23.93% 24.02% 24.06% 24.09% 24.01%
-1.5℃ 해동 23.90% 24.07% 24.00% 23.96% 24.06% 24.00%
-3℃ 해동 23.91% 24.02% 24.08% 24.04% 24.09% 24.03%
-4℃ 해동 23.99% 24.07% 24.01% 24.03% 23.93% 24.00%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10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18% 16.10% 16.12% 16.24% 16.18% 16.16%
0℃ 해동 17.68% 17.69% 17.66% 17.60% 17.61% 17.65%
-1.5℃ 해동 17.52% 17.58% 17.59% 17.61% 17.51% 17.56%
-3℃ 해동 17.68% 17.62% 17.60% 17.59% 17.65% 17.63%
-4℃ 해동 17.68% 17.50% 17.67% 17.52% 17.61% 17.60%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12% 16.21% 16.16% 16.15% 16.21% 16.17%
0℃ 해동 17.59% 17.69% 17.55% 17.62% 17.57% 17.60%
-1.5℃ 해동 17.59% 17.68% 17.50% 17.67% 17.68% 17.62%
-3℃ 해동 17.57% 17.69% 17.50% 17.62% 17.58% 17.59%
-4℃ 해동 17.66% 17.65% 17.56% 17.58% 17.67% 17.62%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26% 16.20% 16.26% 16.28% 16.12% 16.23%
0℃ 해동 17.58% 17.58% 17.53% 17.52% 17.69% 17.58%
-1.5℃ 해동 17.70% 17.67% 17.62% 17.61% 17.63% 17.64%
-3℃ 해동 17.70% 17.59% 17.55% 17.70% 17.54% 17.62%
-4℃ 해동 17.55% 17.67% 17.62% 17.51% 17.54% 17.58%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29% 16.23% 16.15% 16.13% 16.17% 16.19%
0℃ 해동 17.69% 17.66% 17.56% 17.58% 17.56% 17.61%
-1.5℃ 해동 17.53% 17.60% 17.60% 17.56% 17.66% 17.59%
-3℃ 해동 17.59% 17.67% 17.68% 17.63% 17.54% 17.62%
-4℃ 해동 17.54% 17.57% 17.68% 17.67% 17.51% 17.59%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25% 16.25% 16.27% 16.20% 16.24% 16.24%
0℃ 해동 17.61% 17.58% 17.53% 17.51% 17.63% 17.57%
-1.5℃ 해동 17.51% 17.56% 17.50% 17.56% 17.67% 17.56%
-3℃ 해동 17.69% 17.64% 17.58% 17.50% 17.54% 17.59%
-4℃ 해동 17.60% 17.62% 17.59% 17.64% 17.56% 17.60%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11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9.44% 19.39% 19.30% 19.42% 19.38% 19.39%
0℃ 해동 20.57% 20.53% 20.64% 20.51% 20.65% 20.58%
-1.5℃ 해동 20.53% 20.57% 20.52% 20.67% 20.56% 20.57%
-3℃ 해동 20.52% 20.69% 20.64% 20.65% 20.53% 20.61%
-4℃ 해동 20.52% 20.62% 20.56% 20.62% 20.58% 20.58%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9.33% 19.48% 19.38% 19.30% 19.32% 19.36%
0℃ 해동 20.62% 20.68% 20.60% 20.52% 20.58% 20.60%
-1.5℃ 해동 20.60% 20.50% 20.52% 20.62% 20.65% 20.58%
-3℃ 해동 20.50% 20.56% 20.58% 20.60% 20.63% 20.57%
-4℃ 해동 20.68% 20.66% 20.55% 20.53% 20.51% 20.59%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9.50% 19.31% 19.35% 19.34% 19.38% 19.37%
0℃ 해동 20.69% 20.60% 20.51% 20.65% 20.58% 20.61%
-1.5℃ 해동 20.54% 20.59% 20.51% 20.51% 20.63% 20.56%
-3℃ 해동 20.67% 20.61% 20.60% 20.63% 20.69% 20.64%
-4℃ 해동 20.56% 20.61% 20.58% 20.54% 20.58% 20.57%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9.33% 19.34% 19.31% 19.46% 19.49% 19.39%
0℃ 해동 20.70% 20.54% 20.55% 20.57% 20.60% 20.59%
-1.5℃ 해동 20.58% 20.70% 20.65% 20.51% 20.52% 20.59%
-3℃ 해동 20.58% 20.66% 20.56% 20.57% 20.51% 20.58%
-4℃ 해동 20.54% 20.52% 20.54% 20.65% 20.67% 20.58%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9.34% 19.34% 19.38% 19.42% 19.36% 19.37%
0℃ 해동 20.53% 20.51% 20.67% 20.51% 20.54% 20.55%
-1.5℃ 해동 20.64% 20.51% 20.70% 20.63% 20.68% 20.63%
-3℃ 해동 20.70% 20.69% 20.52% 20.67% 20.58% 20.63%
-4℃ 해동 20.58% 20.69% 20.65% 20.56% 20.70% 20.63%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12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0.18% 20.08% 20.16% 20.07% 20.13% 20.13%
0℃ 해동 22.88% 23.00% 22.87% 22.92% 22.97% 22.93%
-1.5℃ 해동 22.94% 22.83% 23.00% 22.92% 22.87% 22.91%
-3℃ 해동 22.95% 22.94% 22.92% 22.93% 22.95% 22.94%
-4℃ 해동 22.83% 22.95% 22.98% 22.84% 22.92% 22.90%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0.03% 20.13% 20.20% 20.06% 20.06% 20.10%
0℃ 해동 22.80% 22.99% 22.97% 22.95% 22.96% 22.93%
-1.5℃ 해동 22.99% 23.00% 22.96% 22.94% 22.85% 22.95%
-3℃ 해동 22.87% 22.90% 22.86% 22.87% 22.96% 22.89%
-4℃ 해동 22.84% 22.97% 22.87% 22.93% 22.86% 22.89%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0.12% 20.08% 20.05% 20.09% 20.02% 20.07%
0℃ 해동 22.99% 22.89% 22.96% 22.82% 23.00% 22.93%
-1.5℃ 해동 22.82% 22.80% 22.95% 22.88% 22.86% 22.86%
-3℃ 해동 22.88% 22.94% 22.88% 22.81% 22.84% 22.87%
-4℃ 해동 22.90% 22.84% 22.81% 22.81% 22.83% 22.84%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0.18% 20.09% 20.15% 20.08% 20.09% 20.12%
0℃ 해동 22.83% 22.81% 22.80% 22.87% 22.97% 22.86%
-1.5℃ 해동 22.95% 22.95% 22.90% 22.95% 22.90% 22.93%
-3℃ 해동 22.85% 22.87% 22.89% 22.87% 22.99% 22.89%
-4℃ 해동 22.94% 22.84% 22.85% 22.89% 22.93% 22.89%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0.09% 20.01% 20.08% 20.07% 20.19% 20.08%
0℃ 해동 22.91% 22.85% 22.91% 22.98% 22.97% 22.93%
-1.5℃ 해동 22.94% 22.86% 22.97% 22.89% 22.94% 22.92%
-3℃ 해동 22.90% 22.88% 22.97% 22.82% 22.93% 22.90%
-4℃ 해동 23.00% 22.94% 22.81% 22.83% 22.83% 22.88%
2. 테스트 결과, 도 6(a) 는 표 9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6(b) 는 표 10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6(c) 는 표 11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6(d) 는 표 12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단백질 함량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3~0℃ 범위를 유지할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단백질 함량이 약간 상승되어 있으며, 영양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4: -3~0℃ 해동 음식물의 수분 함량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105℃ 건조 기법을 이용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수분 함량을 각각 측정한다. 하기 표 13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72.08% 72.07% 72.15% 72.17% 72.18% 72.13%
0℃ 해동 72.66% 72.59% 72.57% 72.69% 72.70% 72.64%
-1.5℃ 해동 72.69% 72.56% 72.60% 72.51% 72.62% 72.60%
-3℃ 해동 72.61% 72.66% 72.59% 72.61% 72.69% 72.63%
-4℃ 해동 72.54% 72.64% 72.68% 72.60% 72.54% 72.60%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72.16% 72.15% 72.02% 72.11% 72.11% 72.11%
0℃ 해동 72.61% 72.65% 72.57% 72.62% 72.64% 72.62%
-1.5℃ 해동 72.69% 72.52% 72.52% 72.61% 72.69% 72.60%
-3℃ 해동 72.60% 72.57% 72.57% 72.53% 72.70% 72.59%
-4℃ 해동 72.61% 72.56% 72.65% 72.56% 72.54% 72.58%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72.11% 72.15% 72.05% 72.10% 72.06% 72.09%
0℃ 해동 72.61% 72.58% 72.69% 72.67% 72.56% 72.62%
-1.5℃ 해동 72.59% 72.59% 72.59% 72.58% 72.63% 72.59%
-3℃ 해동 72.52% 72.57% 72.54% 72.52% 72.51% 72.53%
-4℃ 해동 72.61% 72.64% 72.55% 72.63% 72.67% 72.62%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72.20% 72.13% 72.08% 72.11% 72.11% 72.13%
0℃ 해동 72.65% 72.65% 72.52% 72.57% 72.60% 72.60%
-1.5℃ 해동 72.69% 72.62% 72.60% 72.62% 72.67% 72.64%
-3℃ 해동 72.55% 72.52% 72.62% 72.53% 72.69% 72.58%
-4℃ 해동 72.68% 72.53% 72.63% 72.68% 72.55% 72.61%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72.10% 72.04% 72.00% 72.17% 72.08% 72.08%
0℃ 해동 72.70% 72.63% 72.65% 72.57% 72.60% 72.63%
-1.5℃ 해동 72.54% 72.60% 72.69% 72.63% 72.54% 72.60%
-3℃ 해동 72.68% 72.61% 72.62% 72.65% 72.52% 72.62%
-4℃ 해동 72.64% 72.64% 72.52% 72.52% 72.66% 72.60%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14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71.16% 71.06% 71.15% 71.19% 71.10% 71.13%
0℃ 해동 71.70% 71.68% 71.66% 71.54% 71.53% 71.62%
-1.5℃ 해동 71.54% 71.55% 71.57% 71.62% 71.53% 71.56%
-3℃ 해동 71.58% 71.67% 71.61% 71.57% 71.60% 71.61%
-4℃ 해동 71.61% 71.53% 71.68% 71.61% 71.66% 71.62%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71.19% 71.01% 71.11% 71.10% 71.01% 71.09%
0℃ 해동 71.57% 71.70% 71.66% 71.61% 71.64% 71.63%
-1.5℃ 해동 71.68% 71.56% 71.60% 71.56% 71.69% 71.62%
-3℃ 해동 71.55% 71.68% 71.70% 71.66% 71.53% 71.63%
-4℃ 해동 71.56% 71.55% 71.51% 71.67% 71.52% 71.56%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71.19% 71.01% 71.10% 71.02% 71.05% 71.08%
0℃ 해동 71.56% 71.55% 71.57% 71.57% 71.64% 71.58%
-1.5℃ 해동 71.64% 71.63% 71.61% 71.52% 71.70% 71.62%
-3℃ 해동 71.64% 71.52% 71.58% 71.64% 71.69% 71.61%
-4℃ 해동 71.51% 71.60% 71.67% 71.65% 71.61% 71.61%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71.12% 71.08% 71.13% 71.16% 71.09% 71.11%
0℃ 해동 71.51% 71.63% 71.55% 71.50% 71.51% 71.54%
-1.5℃ 해동 71.69% 71.63% 71.68% 71.60% 71.56% 71.63%
-3℃ 해동 71.69% 71.57% 71.66% 71.64% 71.52% 71.62%
-4℃ 해동 71.51% 71.55% 71.65% 71.56% 71.54% 71.56%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71.18% 71.17% 71.13% 71.07% 71.11% 71.13%
0℃ 해동 71.70% 71.55% 71.51% 71.52% 71.57% 71.57%
-1.5℃ 해동 71.50% 71.50% 71.56% 71.60% 71.52% 71.54%
-3℃ 해동 71.63% 71.68% 71.52% 71.51% 71.67% 71.60%
-4℃ 해동 71.51% 71.52% 71.51% 71.58% 71.60% 71.54%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15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68.02% 68.10% 68.16% 68.12% 68.06% 68.09%
0℃ 해동 69.06% 69.13% 69.08% 69.18% 69.19% 69.12%
-1.5℃ 해동 69.05% 69.02% 69.09% 69.19% 69.11% 69.09%
-3℃ 해동 69.10% 69.11% 69.08% 69.18% 69.13% 69.12%
-4℃ 해동 69.14% 69.05% 69.13% 69.00% 69.02% 69.07%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68.14% 68.11% 68.07% 68.04% 68.03% 68.08%
0℃ 해동 69.05% 69.16% 69.11% 69.07% 69.07% 69.09%
-1.5℃ 해동 69.12% 69.17% 69.08% 69.05% 69.02% 69.09%
-3℃ 해동 69.18% 69.20% 69.05% 69.14% 69.09% 69.13%
-4℃ 해동 69.01% 69.19% 69.06% 69.17% 69.05% 69.10%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68.16% 68.10% 68.15% 68.01% 68.13% 68.11%
0℃ 해동 69.20% 69.12% 69.01% 69.17% 69.19% 69.14%
-1.5℃ 해동 69.12% 69.06% 69.16% 69.00% 69.03% 69.07%
-3℃ 해동 69.07% 69.12% 69.03% 69.12% 69.16% 69.10%
-4℃ 해동 69.14% 69.03% 69.10% 69.03% 69.03% 69.06%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68.16% 68.05% 68.18% 68.12% 68.19% 68.14%
0℃ 해동 69.03% 69.11% 69.10% 69.12% 69.04% 69.08%
-1.5℃ 해동 69.00% 69.05% 69.12% 69.08% 69.16% 69.08%
-3℃ 해동 69.15% 69.03% 69.09% 69.10% 69.07% 69.09%
-4℃ 해동 69.06% 69.09% 69.03% 69.10% 69.09% 69.07%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68.08% 68.00% 68.13% 68.15% 68.19% 68.11%
0℃ 해동 69.04% 69.03% 69.12% 69.18% 69.10% 69.09%
-1.5℃ 해동 69.01% 69.03% 69.05% 69.12% 69.08% 69.06%
-3℃ 해동 69.16% 69.09% 69.03% 69.11% 69.12% 69.10%
-4℃ 해동 69.03% 69.07% 69.16% 69.01% 69.04% 69.06%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16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65.01% 65.17% 65.06% 65.08% 65.14% 65.09%
0℃ 해동 66.14% 66.11% 66.07% 66.08% 66.08% 66.10%
-1.5℃ 해동 66.15% 66.10% 66.13% 66.13% 66.09% 66.12%
-3℃ 해동 66.10% 66.20% 66.19% 66.16% 66.07% 66.14%
-4℃ 해동 66.17% 66.15% 66.14% 66.02% 66.16% 66.13%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65.06% 65.07% 65.00% 65.09% 65.15% 65.07%
0℃ 해동 66.18% 66.19% 66.07% 66.18% 66.13% 66.15%
-1.5℃ 해동 66.08% 66.17% 66.06% 66.09% 66.15% 66.11%
-3℃ 해동 66.13% 66.13% 66.17% 66.07% 66.05% 66.11%
-4℃ 해동 66.02% 66.17% 66.07% 66.02% 66.02% 66.06%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65.10% 65.13% 65.18% 65.11% 65.11% 65.13%
0℃ 해동 66.19% 66.07% 66.11% 66.02% 66.18% 66.11%
-1.5℃ 해동 66.20% 66.06% 66.09% 66.06% 66.11% 66.10%
-3℃ 해동 66.17% 66.13% 66.10% 66.14% 66.15% 66.14%
-4℃ 해동 66.06% 66.09% 66.05% 66.18% 66.06% 66.09%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65.17% 65.16% 65.00% 65.06% 65.01% 65.08%
0℃ 해동 66.19% 66.20% 66.07% 66.04% 66.03% 66.10%
-1.5℃ 해동 66.18% 66.05% 66.10% 66.14% 66.19% 66.13%
-3℃ 해동 66.12% 66.01% 66.13% 66.17% 66.12% 66.11%
-4℃ 해동 66.00% 66.14% 66.14% 66.11% 66.10% 66.10%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65.06% 65.14% 65.14% 65.17% 65.04% 65.11%
0℃ 해동 66.05% 66.00% 66.15% 66.15% 66.13% 66.10%
-1.5℃ 해동 66.03% 66.18% 66.16% 66.15% 66.12% 66.13%
-3℃ 해동 66.12% 66.01% 66.16% 66.12% 66.17% 66.12%
-4℃ 해동 66.02% 66.10% 66.18% 66.17% 66.07% 66.11%
2. 테스트 결과, 도 7(a) 는 표 13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7(b) 는 표 14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7(c) 는 표 15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7(d) 는 표 16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수분 함량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3~0℃ 범위를 유지할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수분 함량이 약간 상승되어 있으며, 입맛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5: -3~0℃ 해동 음식물의 질감 구성 분석(texture profile analysis)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질감 구성 측정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다. 하기 표 17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7.19 17.19 17.05 17.01 17.18 17.12
0℃ 해동 18.51 18.59 18.66 18.64 18.58 18.60
-1.5℃ 해동 20.51 20.62 20.62 20.54 20.50 20.56
-3℃ 해동 23.56 23.60 23.70 23.58 23.61 23.61
-4℃ 해동 50.37 50.23 50.05 48.81 49.06 49.70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7.04 17.10 17.06 17.11 17.06 17.07
0℃ 해동 18.67 18.64 18.58 18.53 18.68 18.62
-1.5℃ 해동 20.57 20.62 20.56 20.67 20.65 20.61
-3℃ 해동 23.53 23.69 23.63 23.60 23.52 23.59
-4℃ 해동 49.34 50.32 49.45 48.83 50.47 49.68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7.13 17.03 17.14 17.09 17.00 17.08
0℃ 해동 18.55 18.63 18.67 18.64 18.57 18.61
-1.5℃ 해동 20.68 20.56 20.54 20.58 20.55 20.58
-3℃ 해동 23.69 23.61 23.58 23.63 23.54 23.61
-4℃ 해동 48.62 49.23 49.98 49.01 49.59 49.28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7.17 17.12 17.08 17.17 17.12 17.13
0℃ 해동 18.60 18.52 18.58 18.54 18.59 18.57
-1.5℃ 해동 20.64 20.66 20.58 20.67 20.56 20.62
-3℃ 해동 23.53 23.60 23.66 23.59 23.68 23.61
-4℃ 해동 49.49 49.17 49.50 49.21 49.80 49.43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7.14 17.02 17.14 17.05 17.14 17.10
0℃ 해동 18.59 18.64 18.51 18.54 18.58 18.57
-1.5℃ 해동 20.50 20.53 20.56 20.70 20.56 20.57
-3℃ 해동 23.67 23.53 23.63 23.68 23.57 23.62
-4℃ 해동 48.92 48.90 49.90 48.74 49.89 49.27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18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56 15.54 15.55 15.70 15.62 15.59
0℃ 해동 17.51 17.62 17.64 17.61 17.55 17.59
-1.5℃ 해동 19.58 19.72 19.51 19.65 19.60 19.61
-3℃ 해동 24.62 24.72 24.78 24.77 24.62 24.70
-4℃ 해동 47.39 46.24 46.25 45.65 47.18 46.54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60 15.52 15.68 15.50 15.63 15.59
0℃ 해동 17.70 17.53 17.55 17.50 17.69 17.60
-1.5℃ 해동 19.74 19.57 19.62 19.53 19.68 19.63
-3℃ 해동 24.70 24.70 24.74 24.51 24.76 24.68
-4℃ 해동 47.44 47.28 46.12 46.24 46.94 46.80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59 15.55 15.66 15.55 15.51 15.57
0℃ 해동 17.52 17.67 17.64 17.51 17.62 17.59
-1.5℃ 해동 19.59 19.64 19.59 19.62 19.59 19.61
-3℃ 해동 24.50 24.79 24.55 24.51 24.70 24.61
-4℃ 해동 45.74 46.79 45.86 45.85 45.65 45.98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57 15.61 15.64 15.66 15.59 15.61
0℃ 해동 17.64 17.53 17.67 17.68 17.65 17.63
-1.5℃ 해동 19.60 19.51 19.50 19.64 19.68 19.59
-3℃ 해동 24.51 24.68 24.60 24.57 24.50 24.57
-4℃ 해동 46.81 46.00 47.08 46.93 46.03 46.57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63 15.69 15.63 15.50 15.62 15.61
0℃ 해동 17.53 17.55 17.61 17.53 17.51 17.55
-1.5℃ 해동 19.60 19.74 19.54 19.74 19.70 19.66
-3℃ 해동 24.58 24.57 24.51 24.80 24.55 24.60
-4℃ 해동 47.06 47.20 45.93 45.66 46.63 46.50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19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61 16.51 16.65 16.55 16.56 16.58
0℃ 해동 18.53 18.52 18.52 18.68 18.69 18.59
-1.5℃ 해동 20.23 20.21 20.09 20.06 20.23 20.16
-3℃ 해동 23.19 23.11 23.15 23.11 23.13 23.14
-4℃ 해동 43.48 44.74 43.25 43.53 44.89 43.98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67 16.51 16.61 16.54 16.52 16.57
0℃ 해동 18.66 18.58 18.54 18.67 18.69 18.63
-1.5℃ 해동 20.24 20.07 20.26 20.04 20.02 20.13
-3℃ 해동 23.28 23.20 23.24 23.26 23.29 23.26
-4℃ 해동 43.64 44.85 44.21 44.42 44.96 44.42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61 16.63 16.67 16.69 16.67 16.65
0℃ 해동 18.60 18.57 18.66 18.58 18.64 18.61
-1.5℃ 해동 20.29 20.25 20.04 20.20 20.02 20.16
-3℃ 해동 23.28 23.03 23.03 23.01 23.15 23.10
-4℃ 해동 44.21 44.49 44.57 43.77 44.39 44.29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56 16.61 16.63 16.57 16.68 16.61
0℃ 해동 18.62 18.67 18.62 18.70 18.51 18.62
-1.5℃ 해동 20.18 20.18 20.07 20.02 20.30 20.15
-3℃ 해동 23.19 23.08 23.04 23.21 23.23 23.15
-4℃ 해동 44.97 43.31 44.48 44.93 43.31 44.20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64 16.68 16.56 16.55 16.63 16.61
0℃ 해동 18.68 18.66 18.64 18.61 18.60 18.64
-1.5℃ 해동 20.21 20.13 20.22 20.15 20.22 20.19
-3℃ 해동 23.17 23.12 23.03 23.15 23.01 23.09
-4℃ 해동 43.55 43.79 44.47 43.25 44.26 43.86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20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13 15.18 15.01 15.08 15.12 15.10
0℃ 해동 17.61 17.55 17.53 17.53 17.60 17.56
-1.5℃ 해동 19.65 19.61 19.70 19.66 19.60 19.64
-3℃ 해동 22.52 22.65 22.71 22.71 22.52 22.62
-4℃ 해동 51.47 50.36 51.21 51.94 50.04 51.01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12 15.09 15.05 15.03 15.09 15.08
0℃ 해동 17.52 17.57 17.65 17.59 17.61 17.59
-1.5℃ 해동 19.71 19.74 19.50 19.66 19.62 19.65
-3℃ 해동 22.58 22.59 22.51 22.51 22.68 22.57
-4℃ 해동 50.25 51.79 50.25 50.25 50.64 50.64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13 15.07 15.01 15.15 15.12 15.10
0℃ 해동 17.58 17.59 17.56 17.57 17.65 17.59
-1.5℃ 해동 19.67 19.53 19.62 19.75 19.61 19.63
-3℃ 해동 22.61 22.76 22.63 22.67 22.68 22.67
-4℃ 해동 50.27 51.60 50.21 50.86 51.65 50.92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18 15.07 15.13 15.07 15.04 15.10
0℃ 해동 17.67 17.66 17.53 17.52 17.61 17.60
-1.5℃ 해동 19.62 19.56 19.72 19.80 19.60 19.66
-3℃ 해동 22.75 22.76 22.66 22.77 22.55 22.70
-4℃ 해동 50.00 51.24 51.77 50.60 50.94 50.91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5.01 15.06 15.05 15.14 15.15 15.08
0℃ 해동 17.69 17.65 17.66 17.61 17.51 17.62
-1.5℃ 해동 19.57 19.62 19.50 19.62 19.71 19.60
-3℃ 해동 22.77 22.79 22.71 22.60 22.67 22.71
-4℃ 해동 50.85 51.83 50.57 50.42 50.80 50.89
2. 테스트 결과, 도 8(a) 는 표 17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8(b) 는 표 18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8(c) 는 표 19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8(d) 는 표 20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전단력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3~0℃ 범위를 유지할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전단력이 미약한 상승을 보이기는 하지만, 해동 후 온도가 -4℃ 좌우인 음식물 소재와 비교하면 현저하게 작기때문에 절단하기 더욱 용이하다.
실시예6: -3~0℃ 해동 음식물의 황색도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색차계(color difference meter)를 이용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황색도(yellowness index)를 측정할 수 있다. 하기 표 21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52 11.60 11.62 11.59 11.68 11.60
0℃ 해동 3.82 3.88 3.91 3.90 3.91 3.88
-1.5℃ 해동 3.94 3.92 3.96 3.90 3.95 3.93
-3℃ 해동 3.82 3.92 3.88 3.96 3.88 3.89
-4℃ 해동 3.90 3.81 3.96 3.92 3.83 3.88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61 11.51 11.60 11.58 11.56 11.57
0℃ 해동 3.82 3.82 3.81 4.00 3.85 3.86
-1.5℃ 해동 3.95 3.97 3.95 3.89 3.89 3.93
-3℃ 해동 3.89 3.99 3.93 3.91 3.93 3.93
-4℃ 해동 3.93 3.92 3.89 3.86 3.90 3.90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54 11.54 11.52 11.59 11.61 11.56
0℃ 해동 3.84 3.99 3.95 3.99 3.89 3.93
-1.5℃ 해동 3.86 3.90 3.82 3.80 3.89 3.86
-3℃ 해동 3.97 3.88 3.82 3.97 3.86 3.90
-4℃ 해동 3.86 3.97 3.95 3.85 3.97 3.92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65 11.62 11.53 11.52 11.52 11.57
0℃ 해동 3.97 3.91 3.88 3.96 3.87 3.92
-1.5℃ 해동 3.92 3.80 3.86 3.89 3.98 3.89
-3℃ 해동 3.97 3.92 3.89 3.89 3.82 3.90
-4℃ 해동 3.84 3.91 3.83 3.96 3.89 3.89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51 11.59 11.68 11.65 11.65 11.62
0℃ 해동 3.82 3.97 3.96 3.82 3.88 3.89
-1.5℃ 해동 3.89 3.87 3.89 3.81 3.89 3.87
-3℃ 해동 3.92 3.97 3.83 3.93 3.96 3.92
-4℃ 해동 3.95 3.96 3.83 3.86 3.80 3.88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22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0.55 10.52 10.58 10.64 10.60 10.58
0℃ 해동 2.59 2.53 2.65 2.61 2.56 2.59
-1.5℃ 해동 2.60 2.61 2.52 2.66 2.51 2.58
-3℃ 해동 2.68 2.65 2.54 2.67 2.55 2.62
-4℃ 해동 2.65 2.50 2.66 2.58 2.53 2.58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0.69 10.56 10.69 10.55 10.56 10.61
0℃ 해동 2.58 2.58 2.54 2.66 2.62 2.59
-1.5℃ 해동 2.61 2.59 2.69 2.59 2.55 2.61
-3℃ 해동 2.60 2.68 2.63 2.52 2.53 2.59
-4℃ 해동 2.54 2.60 2.54 2.57 2.51 2.55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0.58 10.57 10.61 10.67 10.62 10.61
0℃ 해동 2.55 2.65 2.70 2.60 2.64 2.63
-1.5℃ 해동 2.51 2.64 2.64 2.55 2.65 2.60
-3℃ 해동 2.66 2.68 2.60 2.52 2.55 2.60
-4℃ 해동 2.67 2.66 2.51 2.53 2.56 2.58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0.64 10.69 10.67 10.64 10.63 10.65
0℃ 해동 2.65 2.60 2.63 2.68 2.57 2.62
-1.5℃ 해동 2.61 2.61 2.58 2.65 2.56 2.60
-3℃ 해동 2.66 2.67 2.66 2.67 2.67 2.67
-4℃ 해동 2.67 2.65 2.58 2.60 2.58 2.62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0.66 10.60 10.68 10.61 10.51 10.61
0℃ 해동 2.53 2.54 2.65 2.55 2.66 2.58
-1.5℃ 해동 2.67 2.53 2.70 2.58 2.51 2.60
-3℃ 해동 2.50 2.57 2.53 2.59 2.52 2.54
-4℃ 해동 2.52 2.68 2.53 2.67 2.66 2.61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23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3.71 13.72 13.61 13.61 13.76 13.68
0℃ 해동 4.23 4.15 4.14 4.19 4.26 4.20
-1.5℃ 해동 4.16 4.13 4.26 4.25 4.19 4.20
-3℃ 해동 4.24 4.21 4.15 4.18 4.17 4.19
-4℃ 해동 4.19 4.13 4.14 4.15 4.12 4.15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3.61 13.76 13.75 13.74 13.66 13.70
0℃ 해동 4.19 4.11 4.16 4.19 4.12 4.15
-1.5℃ 해동 4.17 4.22 4.22 4.13 4.12 4.17
-3℃ 해동 4.16 4.28 4.16 4.18 4.21 4.20
-4℃ 해동 4.13 4.20 4.29 4.23 4.26 4.22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3.68 13.62 13.74 13.68 13.73 13.69
0℃ 해동 4.26 4.14 4.19 4.21 4.25 4.21
-1.5℃ 해동 4.20 4.26 4.25 4.30 4.19 4.24
-3℃ 해동 4.10 4.29 4.19 4.13 4.16 4.17
-4℃ 해동 4.24 4.13 4.18 4.22 4.21 4.20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3.63 13.77 13.79 13.79 13.65 13.73
0℃ 해동 4.25 4.11 4.22 4.21 4.17 4.19
-1.5℃ 해동 4.26 4.25 4.22 4.15 4.27 4.23
-3℃ 해동 4.18 4.15 4.19 4.10 4.14 4.15
-4℃ 해동 4.25 4.11 4.27 4.18 4.25 4.21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3.74 13.73 13.70 13.61 13.64 13.69
0℃ 해동 4.21 4.11 4.12 4.10 4.25 4.16
-1.5℃ 해동 4.25 4.12 4.21 4.15 4.13 4.17
-3℃ 해동 4.25 4.19 4.14 4.16 4.27 4.20
-4℃ 해동 4.20 4.27 4.19 4.28 4.19 4.23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24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01 11.14 11.04 11.04 11.13 11.07
0℃ 해동 2.04 2.08 2.05 2.07 2.07 2.06
-1.5℃ 해동 2.01 2.15 2.18 2.12 2.05 2.10
-3℃ 해동 2.16 2.05 2.13 2.17 2.06 2.11
-4℃ 해동 2.09 2.14 2.10 2.15 2.11 2.12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03 11.15 11.02 11.12 11.12 11.09
0℃ 해동 2.01 2.06 2.12 2.15 2.01 2.07
-1.5℃ 해동 2.08 2.06 2.02 2.05 2.16 2.07
-3℃ 해동 2.13 2.03 2.04 2.09 2.16 2.09
-4℃ 해동 2.17 2.13 2.06 2.07 2.07 2.10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09 11.04 11.17 11.17 11.12 11.12
0℃ 해동 2.13 2.03 2.08 2.04 2.07 2.07
-1.5℃ 해동 2.15 2.18 2.04 2.10 2.05 2.10
-3℃ 해동 2.11 2.06 2.03 2.01 2.07 2.05
-4℃ 해동 2.02 2.12 2.19 2.02 2.19 2.11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14 11.16 11.18 11.07 11.02 11.12
0℃ 해동 2.19 2.14 2.15 2.18 2.03 2.14
-1.5℃ 해동 2.08 2.03 2.17 2.06 2.08 2.08
-3℃ 해동 2.07 2.07 2.05 2.11 2.00 2.06
-4℃ 해동 2.10 2.06 2.09 2.17 2.15 2.12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00 11.19 11.01 11.17 11.04 11.08
0℃ 해동 2.15 2.11 2.08 2.17 2.10 2.12
-1.5℃ 해동 2.12 2.10 2.17 2.02 2.12 2.10
-3℃ 해동 2.05 2.07 2.06 2.00 2.04 2.04
-4℃ 해동 2.15 2.04 2.15 2.02 2.13 2.10
2. 테스트 결과, 도 9(a) 는 표 21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9(b) 는 표 22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9(c) 는 표 23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9(d) 는 표 24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황색도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0℃ 이상에서의 음식물은 해동 후의 온도가 -3~0℃ 범위인 음식물과 비교하여 황색도가 현저하게 상승되어 있는 바, 부분적 음식물이 이미 변색, 숙성되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7: -3~0℃ 해동 음식물의 균락수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희석 후 배양 카운팅 기법을 이용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균락(bacterial colony) 전체 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하기 표 25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50E+05 2.60E+05 2.56E+05 2.63E+05 2.56E+05 2.57E+05
0℃ 해동 5.64E+04 5.78E+04 5.78E+04 5.67E+04 5.69E+04 5.71E+04
-1.5℃ 해동 5.62E+04 5.71E+04 5.68E+04 5.65E+04 5.64E+04 5.66E+04
-3℃ 해동 5.77E+04 5.70E+04 5.70E+04 5.79E+04 5.64E+04 5.72E+04
-4℃ 해동 5.67E+04 5.71E+04 5.66E+04 5.76E+04 5.66E+04 5.69E+04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51E+05 2.69E+05 2.63E+05 2.67E+05 2.53E+05 2.61E+05
0℃ 해동 5.77E+04 5.65E+04 5.80E+04 5.66E+04 5.75E+04 5.72E+04
-1.5℃ 해동 5.72E+04 5.72E+04 5.78E+04 5.64E+04 5.78E+04 5.73E+04
-3℃ 해동 5.72E+04 5.67E+04 5.63E+04 5.78E+04 5.65E+04 5.69E+04
-4℃ 해동 5.78E+04 5.74E+04 5.73E+04 5.80E+04 5.75E+04 5.76E+04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55E+05 2.70E+05 2.54E+05 2.56E+05 2.55E+05 2.58E+05
0℃ 해동 5.61E+04 5.60E+04 5.70E+04 5.79E+04 5.62E+04 5.66E+04
-1.5℃ 해동 5.64E+04 5.76E+04 5.72E+04 5.65E+04 5.68E+04 5.69E+04
-3℃ 해동 5.74E+04 5.61E+04 5.63E+04 5.79E+04 5.65E+04 5.69E+04
-4℃ 해동 5.62E+04 5.61E+04 5.69E+04 5.76E+04 5.79E+04 5.69E+04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54E+05 2.54E+05 2.52E+05 2.54E+05 2.54E+05 2.54E+05
0℃ 해동 5.62E+04 5.72E+04 5.75E+04 5.75E+04 5.79E+04 5.73E+04
-1.5℃ 해동 5.71E+04 5.76E+04 5.66E+04 5.66E+04 5.69E+04 5.70E+04
-3℃ 해동 5.65E+04 5.73E+04 5.80E+04 5.74E+04 5.75E+04 5.73E+04
-4℃ 해동 5.69E+04 5.68E+04 5.72E+04 5.72E+04 5.60E+04 5.68E+04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62E+05 2.52E+05 2.65E+05 2.63E+05 2.56E+05 2.60E+05
0℃ 해동 5.78E+04 5.77E+04 5.74E+04 5.63E+04 5.67E+04 5.72E+04
-1.5℃ 해동 5.64E+04 5.60E+04 5.64E+04 5.79E+04 5.62E+04 5.66E+04
-3℃ 해동 5.78E+04 5.69E+04 5.77E+04 5.61E+04 5.69E+04 5.71E+04
-4℃ 해동 5.69E+04 5.64E+04 5.77E+04 5.79E+04 5.75E+04 5.73E+04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26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75E+05 1.62E+05 1.71E+05 1.77E+05 1.74E+05 1.72E+05
0℃ 해동 6.11E+04 6.10E+04 6.17E+04 6.01E+04 6.03E+04 6.08E+04
-1.5℃ 해동 6.07E+04 6.06E+04 6.06E+04 6.00E+04 6.04E+04 6.05E+04
-3℃ 해동 6.05E+04 6.10E+04 6.08E+04 6.01E+04 6.04E+04 6.06E+04
-4℃ 해동 6.11E+04 6.10E+04 6.17E+04 6.03E+04 6.01E+04 6.08E+04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61E+05 1.66E+05 1.74E+05 1.79E+05 1.61E+05 1.68E+05
0℃ 해동 6.19E+04 6.01E+04 6.08E+04 6.12E+04 6.05E+04 6.09E+04
-1.5℃ 해동 6.09E+04 6.03E+04 6.11E+04 6.16E+04 6.08E+04 6.09E+04
-3℃ 해동 6.10E+04 6.08E+04 6.19E+04 6.07E+04 6.08E+04 6.10E+04
-4℃ 해동 6.01E+04 6.18E+04 6.01E+04 6.12E+04 6.20E+04 6.10E+04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78E+05 1.68E+05 1.61E+05 1.68E+05 1.77E+05 1.71E+05
0℃ 해동 6.16E+04 6.14E+04 6.02E+04 6.09E+04 6.12E+04 6.11E+04
-1.5℃ 해동 6.06E+04 6.09E+04 6.12E+04 6.16E+04 6.06E+04 6.10E+04
-3℃ 해동 6.03E+04 6.12E+04 6.05E+04 6.20E+04 6.14E+04 6.11E+04
-4℃ 해동 6.09E+04 6.06E+04 6.07E+04 6.18E+04 6.16E+04 6.11E+04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72E+05 1.74E+05 1.77E+05 1.79E+05 1.66E+05 1.74E+05
0℃ 해동 6.13E+04 6.00E+04 6.15E+04 6.10E+04 6.08E+04 6.09E+04
-1.5℃ 해동 6.19E+04 6.08E+04 6.07E+04 6.00E+04 6.03E+04 6.08E+04
-3℃ 해동 6.18E+04 6.11E+04 6.10E+04 6.01E+04 6.17E+04 6.11E+04
-4℃ 해동 6.10E+04 6.06E+04 6.06E+04 6.12E+04 6.12E+04 6.09E+04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80E+05 1.68E+05 1.65E+05 1.67E+05 1.62E+05 1.68E+05
0℃ 해동 6.19E+04 6.07E+04 6.17E+04 6.18E+04 6.17E+04 6.16E+04
-1.5℃ 해동 6.09E+04 6.11E+04 6.03E+04 6.13E+04 6.19E+04 6.11E+04
-3℃ 해동 6.19E+04 6.19E+04 6.08E+04 6.06E+04 6.02E+04 6.11E+04
-4℃ 해동 6.14E+04 6.06E+04 6.12E+04 6.19E+04 6.14E+04 6.13E+04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27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02E+05 3.02E+05 3.20E+05 3.13E+05 3.12E+05 3.10E+05
0℃ 해동 7.17E+04 7.00E+04 7.03E+04 7.10E+04 7.17E+04 7.10E+04
-1.5℃ 해동 7.14E+04 7.08E+04 7.18E+04 7.15E+04 7.10E+04 7.13E+04
-3℃ 해동 7.13E+04 7.03E+04 7.14E+04 7.17E+04 7.02E+04 7.10E+04
-4℃ 해동 7.06E+04 7.13E+04 7.16E+04 7.04E+04 7.06E+04 7.09E+04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04E+05 3.07E+05 3.17E+05 3.01E+05 3.16E+05 3.09E+05
0℃ 해동 7.06E+04 7.06E+04 7.05E+04 7.17E+04 7.06E+04 7.08E+04
-1.5℃ 해동 7.05E+04 7.08E+04 7.04E+04 7.15E+04 7.02E+04 7.07E+04
-3℃ 해동 7.03E+04 7.13E+04 7.18E+04 7.15E+04 7.11E+04 7.12E+04
-4℃ 해동 7.09E+04 7.19E+04 7.12E+04 7.06E+04 7.02E+04 7.10E+04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05E+05 3.11E+05 3.05E+05 3.14E+05 3.10E+05 3.09E+05
0℃ 해동 7.20E+04 7.18E+04 7.05E+04 7.06E+04 7.16E+04 7.13E+04
-1.5℃ 해동 7.20E+04 7.15E+04 7.16E+04 7.07E+04 7.03E+04 7.12E+04
-3℃ 해동 7.19E+04 7.05E+04 7.05E+04 7.05E+04 7.11E+04 7.09E+04
-4℃ 해동 7.08E+04 7.08E+04 7.06E+04 7.17E+04 7.05E+04 7.09E+04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11E+05 3.10E+05 3.18E+05 3.07E+05 3.06E+05 3.10E+05
0℃ 해동 7.03E+04 7.02E+04 7.04E+04 7.02E+04 7.07E+04 7.04E+04
-1.5℃ 해동 7.13E+04 7.17E+04 7.13E+04 7.15E+04 7.18E+04 7.15E+04
-3℃ 해동 7.05E+04 7.17E+04 7.09E+04 7.07E+04 7.18E+04 7.11E+04
-4℃ 해동 7.11E+04 7.15E+04 7.18E+04 7.16E+04 7.03E+04 7.13E+04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01E+05 3.16E+05 3.02E+05 3.06E+05 3.15E+05 3.08E+05
0℃ 해동 7.00E+04 7.10E+04 7.12E+04 7.15E+04 7.02E+04 7.08E+04
-1.5℃ 해동 7.01E+04 7.12E+04 7.00E+04 7.17E+04 7.05E+04 7.07E+04
-3℃ 해동 7.18E+04 7.01E+04 7.14E+04 7.05E+04 7.02E+04 7.08E+04
-4℃ 해동 7.03E+04 7.07E+04 7.20E+04 7.19E+04 7.12E+04 7.12E+04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28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1E+05 1.13E+05 1.09E+05 1.20E+05 1.09E+05 1.12E+05
0℃ 해동 4.18E+04 4.17E+04 4.15E+04 4.12E+04 4.11E+04 4.15E+04
-1.5℃ 해동 4.18E+04 4.16E+04 4.05E+04 4.11E+04 4.17E+04 4.13E+04
-3℃ 해동 4.09E+04 4.10E+04 4.16E+04 4.15E+04 4.17E+04 4.14E+04
-4℃ 해동 4.07E+04 4.14E+04 4.15E+04 4.00E+04 4.18E+04 4.11E+04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9E+05 1.01E+05 1.02E+05 1.12E+05 1.11E+05 1.09E+05
0℃ 해동 4.11E+04 4.05E+04 4.10E+04 4.10E+04 4.19E+04 4.11E+04
-1.5℃ 해동 4.11E+04 4.13E+04 4.03E+04 4.19E+04 4.18E+04 4.13E+04
-3℃ 해동 4.01E+04 4.09E+04 4.20E+04 4.02E+04 4.04E+04 4.07E+04
-4℃ 해동 4.00E+04 4.00E+04 4.15E+04 4.14E+04 4.04E+04 4.07E+04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9E+05 1.09E+05 1.16E+05 1.17E+05 1.06E+05 1.13E+05
0℃ 해동 4.11E+04 4.20E+04 4.05E+04 4.08E+04 4.15E+04 4.12E+04
-1.5℃ 해동 4.11E+04 4.01E+04 4.10E+04 4.09E+04 4.06E+04 4.08E+04
-3℃ 해동 4.00E+04 4.06E+04 4.01E+04 4.02E+04 4.13E+04 4.04E+04
-4℃ 해동 4.19E+04 4.12E+04 4.05E+04 4.00E+04 4.08E+04 4.09E+04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5E+05 1.09E+05 1.14E+05 1.00E+05 1.18E+05 1.11E+05
0℃ 해동 4.11E+04 4.14E+04 4.03E+04 4.10E+04 4.05E+04 4.08E+04
-1.5℃ 해동 4.03E+04 4.20E+04 4.05E+04 4.01E+04 4.11E+04 4.08E+04
-3℃ 해동 4.10E+04 4.01E+04 4.12E+04 4.02E+04 4.01E+04 4.05E+04
-4℃ 해동 4.08E+04 4.16E+04 4.12E+04 4.01E+04 4.06E+04 4.09E+04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13E+05 1.13E+05 1.13E+05 1.19E+05 1.11E+05 1.14E+05
0℃ 해동 4.10E+04 4.12E+04 4.08E+04 4.00E+04 4.06E+04 4.07E+04
-1.5℃ 해동 4.09E+04 4.02E+04 4.15E+04 4.06E+04 4.02E+04 4.07E+04
-3℃ 해동 4.02E+04 4.00E+04 4.04E+04 4.12E+04 4.08E+04 4.05E+04
-4℃ 해동 4.15E+04 4.14E+04 4.18E+04 4.14E+04 4.06E+04 4.13E+04
2. 테스트 결과, 도 10(a) 는 표 25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10(b) 는 표 26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10(c) 는 표 27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10(d) 는 표 28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균락수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3~0℃ 범위를 유지할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균락수가 선명하게 적은데, 이는 해동 후 온도가 비교적 낮고 미생물의 번식이 비교적 느리기때문이며, 이로 인해 해동 후의 음식물은 보다 더 위생적이다.
실시예8: -3~0℃ 해동 음식물의 해동 속도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해동 과정 중에서 사용한 시간을 통해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0℃ 해동, -1.5℃ 해동, -3℃ 해동 및 -4℃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해동 속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하기 표 29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96 96 96 96 96 96
0℃ 해동 60 60 60 60 60 60
-1.5℃ 해동 60 60 60 60 60 60
-3℃ 해동 60 60 60 60 60 60
-4℃ 해동 60 60 60 60 60 60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92 192 192 192 192 192
0℃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1.5℃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3℃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4℃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88 288 288 288 288 288
0℃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1.5℃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3℃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4℃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84 384 384 384 384 384
0℃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1.5℃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3℃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4℃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80 480 480 480 480 480
0℃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1.5℃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3℃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4℃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30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96 96 96 96 96 96
0℃ 해동 60 60 60 60 60 60
-1.5℃ 해동 60 60 60 60 60 60
-3℃ 해동 60 60 60 60 60 60
-4℃ 해동 60 60 60 60 60 60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92 192 192 192 192 192
0℃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1.5℃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3℃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4℃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88 288 288 288 288 288
0℃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1.5℃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3℃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4℃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84 384 384 384 384 384
0℃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1.5℃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3℃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4℃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80 480 480 480 480 480
0℃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1.5℃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3℃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4℃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31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96 96 96 96 96 96
0℃ 해동 60 60 60 60 60 60
-1.5℃ 해동 60 60 60 60 60 60
-3℃ 해동 60 60 60 60 60 60
-4℃ 해동 60 60 60 60 60 60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92 192 192 192 192 192
0℃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1.5℃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3℃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4℃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88 288 288 288 288 288
0℃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1.5℃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3℃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4℃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84 384 384 384 384 384
0℃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1.5℃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3℃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4℃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80 480 480 480 480 480
0℃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1.5℃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3℃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4℃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32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96 96 96 96 96 96
0℃ 해동 60 60 60 60 60 60
-1.5℃ 해동 60 60 60 60 60 60
-3℃ 해동 60 60 60 60 60 60
-4℃ 해동 60 60 60 60 60 60
2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192 192 192 192 192 192
0℃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1.5℃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3℃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4℃ 해동 120 120 120 120 120 120
3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288 288 288 288 288 288
0℃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1.5℃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3℃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4℃ 해동 180 180 180 180 180 180
4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384 384 384 384 384 384
0℃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1.5℃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3℃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4℃ 해동 240 240 240 240 240 240
500g 0℃ 보다 큰 온도로 해동
480 480 480 480 480 480
0℃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1.5℃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3℃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4℃ 해동 300 300 300 300 300 300
2. 테스트 결과, 발명자는 상기 표 29, 표 30, 표 31 및 표 32 중의 실험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하기 사실을 발견하였다. 서로 다른 음식물은 동일한 무게인 경우 소요되는 해동 시간이 동일하기때문에, 본 실시예는 하나의 그래프만으로도 표시할 수 있는 바, 도 11은 표 29(또는 표 30, 또는 표 31, 또는 표 32) 중 모든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근거하여 그려진 그래프로서, 도 11 로부터 알다시피,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3~0℃ 범위를 유지할 경우, 해동 후의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해동 속도가 선명하게 작은데, 이는 해동 종점 온도가 비교적 낮고 소요되는 에너지가 감소되기때문이며, 이로 인해 해동 시간이 단축된다.
이상 정리하면, 발명자는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하기 사실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음식물의 온도를 -3~0℃ 사이에 들어 있도록 제어할 경우,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더욱 위생적이며, 절단이 더욱 용이하고, 온도차가 비교적 낮으며,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먼저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그다음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과 상호 대응되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별도로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과 상호 대응되므로, 상술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에 적용되는 동작 방법의 실시 형태는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수신 모듈(110A), 해동 모듈(120A) 및 제어 모듈(130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110A)은 해동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해동 모듈(120A)은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A)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일 수 있다. 그리고, 해동 조건에 대한 제어는 구체적으로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등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수신 모듈을 통하여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해동 모듈이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한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는, 제어 장치 중의 수신 모듈을 통하여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해동 모듈이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부연하자면, 해동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게 할 수 있는데, 이때의 음식물은 -3~0℃ 해동 음식물로 호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더 제안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301: 해동 명령을 수신한다.
S1302: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한다.
S1303: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동 조건에 대한 제어는 구체적으로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등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일 수 있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이 음식물을 -3~0℃ 해동 음식물로 마련하는 것으로 인해 가져오는 이점들은 상술한 실시예 1-실시예 8의 상세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먼저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그다음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과 상호 대응되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별도로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과 상호 대응되므로, 상술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에 적용되는 동작 방법의 실시 형태는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수신 모듈(210A), 해동 모듈(220A) 및 제어 모듈(230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210A)은 해동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해동 모듈(220A)은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30A)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동 조건에 대한 제어는 구체적으로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등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수신 모듈을 통하여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해동 모듈이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한 다른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는, 제어 장치 중의 수신 모듈을 통하여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해동 모듈이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 다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는 바, 당해 방법은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되, 해동 과정 중 음식물의 온도가 -3~0℃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이 음식물을 -3~0℃ 해동 음식물로 마련하는 것으로 인해 가져오는 이점들은 상술한 실시예 1-실시예 8의 상세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실시간적으로 검출하되, 해동 과정 중 음식물의 온도가 -3~0℃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제안하였는데, 당해 장치는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되, 해동 과정 중 음식물의 온도가 -3~0℃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실시간적으로 검출하되, 해동 과정 중 음식물의 온도가 -3~0℃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한 다른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는,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실시간적으로 검출하되, 해동 과정 중 음식물의 온도가 -3~0℃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3~0℃ 범위내의 온도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501: 해동 명령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령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이 전자 레인지 중에 적용 가능하고, 전자 레인지는 사용자를 위해 해동 기능이 구비된 버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동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전자 레인지 중에 장입하여 해동을 진행할 경우, 버튼을 통하여 해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고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일 수 있다.
S1502: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전자 레인지는 해동 명령을 수신한 후, 해동 기능을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실시간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S1503: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동 조건에 대한 제어는 구체적으로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등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동 조건(예컨대, 해동 시간 및/또는 해동 가열 전력 및/또는 가열 방향 등)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가 -20℃ 보다 작다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예컨대, 음식물을 방금 전자 레인지 중에 장입한 경우), 해동 가열 전력을 증가하는 것을 통해 해동 과정이 가속화되게 할 수 있고;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현재 온도가 -5℃ 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 해동 가열 전력을 감소하되 상응한 해동 가열 전력에 도달하도록 제어하여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게 하며, 아울러 음식물이 균일하게 해동되도록 가열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에서 12 개의 포인트(점)를 선택하며, 당해 12 개의 포인트에 대해 각각 온도 측정을 수행(예컨대, 모든 각각의 포인트의 1/2 높이 위치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데, 측정된 12 개 포인트 중에 80% 이상(즉, 10 개 포인트 이상)이 -1±0.2℃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당해 음식물을 -1℃ 해동 음식물로 호칭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1”이 위치한 열(Column)이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대략 장변 길이의 1/5 을 점유하고, 포인트 “4”가 위치한 열이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대략 장변 길이의 1/5 을 점유하며, 포인트 “1”이 위치한 행(Row)이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대략 단변 길이의 1/4 을 점유하고, 포인트 “9”가 위치한 행이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대략 단변 길이의 1/4 을 점유하며, 가장자리부의 4 개의 포인트(즉, 포인트 “1”, 포인트 “4”, 포인트 “9”, 포인트 “12”)는 모서리로부터 대략 1/5 대각선 길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추가로 부연하자면, 발명자는 대량의 실험 데이터를 통하여 하기 결론을 도출하였다. 해동하고자 하는 음식물로 하여금 전자 레인지 해동을 거치게 하여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하면, 음식물의 영양 보유율이 향상되고, 더욱 위생적인 동시에, 해동 음식물 절단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
그 원인은 하기와 같다. 전자 레인지 해동 시 주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해동을 수행한다. 즉, 마이크로파는 해동하고자 하는 음식물 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내외 동시 가열이 진행되며, 방사 전달이 불필요하고, 간극의 존재 여부와는 무관하게 모두 해동이 가능하다. 마이크로파 해동은 매질의 손실성 소모를 통하여 발열이 진행되므로, 손실성 소모가 상대적으로 큰 것일수록 가열이 상대적으로 빠르다. 물은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는 가장 강력한 매질이기에, 물 함유량이 큰 물질에 대한 가열이 매우 효과적이다. 해동하고자 하는 음식물 중의 물분자는 오직 해동 후에 비로소 대량의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는 바, 결정체 내에 속박된 물분자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음식물에 결정체 얼음이 아직 존재할 경우 음식물의 온도 변화는 크지 않은 반면, 음식물의 결정체 얼음이 융해된 후 음식물의 온도는 신속히 변화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쳤으며, 선택된 다섯(5)차의 실험 데이터에 따라 도형 그래프 분석을 진행하여 하기 사실을 장악하였다. 해동 구간에서 음식물의 온도 변화는 비교적 평온하며, -1℃ 부근에 있을 때 음식물에 아직 결정체 얼음이 존재하기에 음식물의 온도 변화가 크지 않고; 0℃ 이상의 경우, 결정체 얼음이 점차적으로 융해되기에,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는 물 매질이 점차적으로 많아져 음식물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신속히 증가되는데, 이에 의해 음식물이 익는(숙성) 등 문제가 초래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해동 종점 온도로서, -1℃를 선택한다. 이하, 해당 분야의 당업자가 -1℃ 해동 음식물이 구비하는 이점을 더욱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실험 데이터를 결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9: -1℃ 해동 음식물의 온도차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 고깃덩이의 최고 온도를 각각 측정하고, 아울러 그 최저 온도를 각각 측정함으로써,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온도차(temperature difference)를 획득한다. 하기 표 33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3.7 19.9 17.7 16.6 18.2 19.2
0℃ 해동 45.0 44.1 42.7 35.1 41.1 41.6
-2℃ 해동 16.9 27.3 17.0 18.9 10.1 18.0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2 4.6 21.2 7.9 28.2 13.2
0℃ 해동 42.2 47.6 45.8 42.5 43.9 44.4
-2℃ 해동 20.1 19.6 8.7 21.6 12.1 16.4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1.0 16.6 20.9 5.8 4.8 11.8
0℃ 해동 45.8 45.3 43.4 41.9 47.7 44.8
-2℃ 해동 28.3 3.1 23.0 17.0 9.1 16.1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6 24.0 28.5 5.7 10.9 17.3
0℃ 해동 36.3 35.5 44.3 41.1 37.0 38.8
-2℃ 해동 13.6 7.1 13.9 17.8 9.8 12.4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5.2 15.5 19.6 19.8 19.9 18.0
0℃ 해동 40.7 44.0 41.7 50.6 48.5 45.1
-2℃ 해동 26.8 22.7 22.1 25.1 28.0 24.9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34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7.4 15.8 4.2 21.1 9.8 15.7
0℃ 해동 47.5 50.5 48.3 37.0 49.7 46.6
-2℃ 해동 12.2 13.2 3.6 8.0 15.8 10.6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3.3 10.0 15.1 8.8 22.3 13.9
0℃ 해동 49.6 39.6 49.7 46.7 36.4 44.4
-2℃ 해동 28.9 13.5 13.3 17.7 27.2 20.1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9.5 24.1 21.0 13.8 15.2 16.7
0℃ 해동 41.6 35.1 42.3 39.9 50.2 41.8
-2℃ 해동 12.9 17.9 23.2 11.9 11.0 15.4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5 28.0 4.8 13.9 11.6 13.0
0℃ 해동 38.2 47.9 36.8 38.2 39.7 40.2
-2℃ 해동 28.3 8.1 13.3 15.3 23.9 17.8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6.9 26.7 13.4 18.8 6.3 16.4
0℃ 해동 39.8 35.7 35.3 42.5 40.5 38.8
-2℃ 해동 3.2 10.3 17.6 9.8 25.5 13.3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35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5 18.3 21.7 23.3 18.0 17.8
0℃ 해동 49.2 46.7 36.5 37.6 49.9 44.0
-2℃ 해동 19.5 14.2 12.5 7.6 6.3 12.0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1.8 18.6 12.3 9.0 16.0 15.5
0℃ 해동 49.9 48.6 40.7 40.9 45.3 45.1
-2℃ 해동 14.6 15.6 14.5 19.5 25.8 18.0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0 6.7 3.2 28.5 4.5 12.2
0℃ 해동 39.0 37.1 49.6 42.2 47.5 43.1
-2℃ 해동 26.2 14.4 10.6 7.1 22.5 16.2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4.6 3.4 17.1 7.9 3.2 9.2
0℃ 해동 44.9 39.9 50.1 43.9 46.1 45.0
-2℃ 해동 24.6 16.3 28.0 27.8 13.0 21.9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5 24.5 5.8 4.3 5.6 11.5
0℃ 해동 41.9 50.4 46.5 39.2 47.2 45.0
-2℃ 해동 24.4 13.8 6.9 7.8 17.9 14.2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36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6.1 20.5 21.5 9.6 15.8 18.7
0℃ 해동 40.1 44.0 50.2 41.4 36.2 42.4
-2℃ 해동 18.8 6.1 3.8 16.1 26.4 14.2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4.7 14.1 21.2 14.2 5.0 15.8
0℃ 해동 43.4 45.8 37.2 47.9 50.8 45.0
-2℃ 해동 18.8 4.4 8.4 17.1 24.6 14.7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8 20.6 14.3 10.5 9.0 12.2
0℃ 해동 45.2 45.2 39.4 50.5 49.9 46.0
-2℃ 해동 18.0 9.5 9.8 22.9 6.5 13.3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2.2 4.7 19.3 13.1 25.6 17.0
0℃ 해동 36.2 41.2 35.4 38.3 37.2 37.7
-2℃ 해동 8.9 28.0 6.4 28.9 27.5 19.9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8 23.5 6.9 8.3 7.2 12.7
0℃ 해동 49.6 45.2 37.4 41.3 47.2 44.1
-2℃ 해동 14.0 17.1 17.7 18.5 23.6 18.2
2. 테스트 결과, 도 16(a) 는 표 33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16(b) 는 표 34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16(c) 는 표 35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16(d) 는 표 36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16(a), 도 16(b), 도 16(c) 및 도 16(d)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온도차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1℃ 좌우인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음식물 온도차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해동이 비교적 균일하다.
실시예10: -1℃ 해동 음식물의 고기즙 삼출율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즉, -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수식 “고기즙량/고깃덩이 전체 무게×100%”에 근거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고기즙 삼출(exudation)율을 각각 산출한다. 하기 표 37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10% 0.12% 0.25% 0.25% 0.12% 0.17%
0℃ 해동 1.23% 2.49% 2.98% 2.30% 1.65% 2.13%
-2℃ 해동 0.19% 0.11% 0.15% 0.29% 0.24% 0.20%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13% 0.29% 0.23% 0.11% 0.24% 0.20%
0℃ 해동 2.34% 1.10% 2.49% 1.52% 2.29% 1.95%
-2℃ 해동 0.27% 0.23% 0.15% 0.28% 0.29% 0.24%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7% 0.14% 0.12% 0.15% 0.13% 0.16%
0℃ 해동 2.40% 2.24% 2.94% 1.39% 2.88% 2.37%
-2℃ 해동 0.29% 0.28% 0.19% 0.14% 0.12% 0.20%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4% 0.11% 0.28% 0.16% 0.12% 0.18%
0℃ 해동 2.85% 1.56% 2.47% 2.98% 1.12% 2.19%
-2℃ 해동 0.12% 0.28% 0.28% 0.13% 0.11% 0.18%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3% 0.18% 0.28% 0.29% 0.29% 0.25%
0℃ 해동 2.85% 1.40% 2.51% 2.68% 1.99% 2.28%
-2℃ 해동 0.25% 0.12% 0.24% 0.15% 0.28% 0.21%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38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7% 0.17% 0.11% 0.20% 0.11% 0.17%
0℃ 해동 1.79% 2.08% 1.26% 2.61% 1.39% 1.83%
-2℃ 해동 0.29% 0.23% 0.23% 0.18% 0.17% 0.22%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8% 0.16% 0.21% 0.18% 0.29% 0.22%
0℃ 해동 1.17% 1.34% 2.49% 1.83% 1.50% 1.67%
-2℃ 해동 0.24% 0.20% 0.22% 0.23% 0.29% 0.24%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9% 0.11% 0.26% 0.17% 0.20% 0.21%
0℃ 해동 2.24% 2.58% 2.57% 1.11% 2.95% 2.29%
-2℃ 해동 0.22% 0.11% 0.21% 0.20% 0.19% 0.19%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1% 0.14% 0.16% 0.19% 0.27% 0.19%
0℃ 해동 1.44% 1.05% 2.89% 1.35% 2.97% 1.94%
-2℃ 해동 0.27% 0.13% 0.30% 0.30% 0.16% 0.23%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17% 0.15% 0.21% 0.21% 0.15% 0.18%
0℃ 해동 1.69% 1.82% 2.60% 1.51% 2.95% 2.11%
-2℃ 해동 0.25% 0.23% 0.24% 0.25% 0.16% 0.23%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39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6% 0.11% 0.28% 0.25% 0.22% 0.23%
0℃ 해동 1.40% 1.81% 2.07% 1.38% 1.42% 1.62%
-2℃ 해동 0.12% 0.23% 0.12% 0.17% 0.10% 0.15%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11% 0.18% 0.11% 0.21% 0.28% 0.18%
0℃ 해동 2.67% 1.87% 2.42% 2.57% 2.36% 2.38%
-2℃ 해동 0.12% 0.27% 0.18% 0.11% 0.12% 0.16%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15% 0.26% 0.11% 0.17% 0.18% 0.17%
0℃ 해동 1.22% 2.00% 2.18% 1.71% 2.87% 2.00%
-2℃ 해동 0.29% 0.18% 0.13% 0.14% 0.19% 0.19%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4% 0.10% 0.17% 0.23% 0.26% 0.20%
0℃ 해동 2.73% 2.30% 2.25% 1.21% 1.02% 1.90%
-2℃ 해동 0.19% 0.15% 0.26% 0.27% 0.23% 0.22%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15% 0.22% 0.29% 0.23% 0.22% 0.22%
0℃ 해동 2.65% 1.43% 1.28% 1.55% 1.92% 1.77%
-2℃ 해동 0.28% 0.18% 0.12% 0.16% 0.15% 0.18%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40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12% 0.17% 0.27% 0.12% 0.13% 0.16%
0℃ 해동 2.92% 2.14% 2.98% 2.97% 1.09% 2.42%
-2℃ 해동 0.28% 0.13% 0.17% 0.29% 0.23% 0.22%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10% 0.21% 0.22% 0.22% 0.20% 0.19%
0℃ 해동 1.79% 2.15% 2.26% 2.33% 2.36% 2.18%
-2℃ 해동 0.26% 0.22% 0.13% 0.25% 0.23% 0.22%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12% 0.21% 0.15% 0.23% 0.20% 0.18%
0℃ 해동 2.19% 1.18% 2.76% 1.07% 1.69% 1.78%
-2℃ 해동 0.10% 0.17% 0.23% 0.14% 0.14% 0.16%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8% 0.19% 0.10% 0.25% 0.11% 0.19%
0℃ 해동 2.86% 1.79% 1.81% 2.44% 2.73% 2.32%
-2℃ 해동 0.18% 0.15% 0.16% 0.23% 0.13% 0.17%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0.25% 0.13% 0.12% 0.10% 0.13% 0.15%
0℃ 해동 1.23% 2.87% 2.44% 1.60% 2.37% 2.10%
-2℃ 해동 0.22% 0.11% 0.18% 0.18% 0.29% 0.20%
2. 테스트 결과, 도 17(a) 는 표 37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17(b) 는 표 38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17(c) 는 표 39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17(d) 는 표 40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17(a), 도 17(b), 도 17(c) 및 도 17(d) 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고기즙 삼출율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1℃ 좌우인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음식물 고기즙 삼출율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고기즙 손실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실시예11: -1℃ 해동 음식물의 단백질 함량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켈달장치(kjeldahl apparatus)를 이용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하기 표 41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3.98% 23.96% 24.03% 24.09% 24.09% 24.03%
0℃ 해동 23.55% 23.55% 23.52% 23.68% 23.55% 23.57%
-2℃ 해동 24.07% 24.03% 23.96% 23.97% 24.08% 24.02%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3.91% 24.09% 23.95% 24.03% 23.99% 23.99%
0℃ 해동 23.53% 23.60% 23.67% 23.60% 23.58% 23.60%
-2℃ 해동 24.09% 24.02% 23.94% 23.95% 24.05% 24.01%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4.03% 23.97% 24.02% 23.93% 23.98% 23.98%
0℃ 해동 23.60% 23.61% 23.53% 23.65% 23.65% 23.61%
-2℃ 해동 24.01% 23.91% 24.00% 24.07% 23.92% 23.98%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3.99% 23.98% 23.91% 24.07% 24.06% 24.00%
0℃ 해동 23.64% 23.69% 23.61% 23.57% 23.63% 23.63%
-2℃ 해동 24.06% 24.03% 24.01% 23.95% 23.98% 24.01%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4.10% 23.99% 24.03% 23.98% 23.90% 24.00%
0℃ 해동 23.66% 23.68% 23.64% 23.56% 23.56% 23.62%
-2℃ 해동 24.02% 23.95% 23.94% 23.90% 24.08% 23.98%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42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67% 17.63% 17.61% 17.59% 17.58% 17.62%
0℃ 해동 16.16% 16.22% 16.10% 16.16% 16.23% 16.17%
-2℃ 해동 17.54% 17.60% 17.55% 17.65% 17.66% 17.60%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63% 17.63% 17.63% 17.64% 17.67% 17.64%
0℃ 해동 16.21% 16.27% 16.23% 16.10% 16.13% 16.19%
-2℃ 해동 17.57% 17.54% 17.51% 17.60% 17.50% 17.55%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56% 17.68% 17.58% 17.61% 17.51% 17.59%
0℃ 해동 16.17% 16.26% 16.29% 16.11% 16.20% 16.21%
-2℃ 해동 17.55% 17.63% 17.66% 17.61% 17.57% 17.60%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64% 17.68% 17.52% 17.61% 17.64% 17.62%
0℃ 해동 16.13% 16.18% 16.15% 16.21% 16.18% 16.17%
-2℃ 해동 17.57% 17.53% 17.67% 17.62% 17.60% 17.60%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51% 17.57% 17.58% 17.57% 17.67% 17.58%
0℃ 해동 16.21% 16.27% 16.11% 16.29% 16.20% 16.22%
-2℃ 해동 17.61% 17.61% 17.69% 17.58% 17.63% 17.63%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43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0.60% 20.60% 20.52% 20.58% 20.52% 20.56%
0℃ 해동 19.38% 19.30% 19.42% 19.32% 19.32% 19.35%
-2℃ 해동 20.57% 20.56% 20.56% 20.67% 20.67% 20.60%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0.52% 20.63% 20.64% 20.67% 20.51% 20.59%
0℃ 해동 19.42% 19.32% 19.47% 19.36% 19.46% 19.41%
-2℃ 해동 20.53% 20.58% 20.65% 20.58% 20.69% 20.61%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0.69% 20.61% 20.51% 20.63% 20.51% 20.59%
0℃ 해동 19.48% 19.44% 19.44% 19.45% 19.37% 19.44%
-2℃ 해동 20.62% 20.61% 20.65% 20.61% 20.58% 20.61%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0.52% 20.60% 20.59% 20.53% 20.59% 20.57%
0℃ 해동 19.33% 19.34% 19.41% 19.36% 19.49% 19.39%
-2℃ 해동 20.57% 20.59% 20.57% 20.51% 20.64% 20.58%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0.69% 20.57% 20.64% 20.66% 20.59% 20.63%
0℃ 해동 19.31% 19.39% 19.49% 19.33% 19.41% 19.39%
-2℃ 해동 20.67% 20.50% 20.69% 20.66% 20.54% 20.61%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44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2.91% 22.90% 22.80% 22.96% 22.97% 22.91%
0℃ 해동 20.17% 20.16% 20.10% 20.04% 20.02% 20.10%
-2℃ 해동 22.87% 22.81% 22.94% 22.84% 22.85% 22.86%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2.84% 22.91% 22.87% 22.93% 22.90% 22.89%
0℃ 해동 20.10% 20.19% 20.09% 20.18% 20.17% 20.14%
-2℃ 해동 22.81% 22.94% 22.85% 22.97% 23.00% 22.91%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2.90% 22.97% 22.94% 22.95% 22.98% 22.95%
0℃ 해동 20.20% 20.04% 20.06% 20.17% 20.17% 20.13%
-2℃ 해동 22.99% 22.81% 22.80% 22.81% 22.97% 22.88%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2.95% 22.81% 22.89% 22.93% 22.92% 22.90%
0℃ 해동 20.08% 20.13% 20.14% 20.00% 20.15% 20.10%
-2℃ 해동 22.82% 22.87% 23.00% 23.00% 22.91% 22.92%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2.90% 22.93% 22.97% 22.84% 22.91% 22.91%
0℃ 해동 20.11% 20.04% 20.02% 20.03% 20.07% 20.05%
-2℃ 해동 22.97% 22.85% 22.93% 22.95% 22.85% 22.91%
2. 테스트 결과, 도 18(a) 는 표 41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18(b) 는 표 42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18(c) 는 표 43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18(d) 는 표 44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18(a), 도 18(b), 도 18(c) 및 도 18(d)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단백질 함량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1℃ 좌우인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단백질 함량이 약간 상승되어 있으며, 영양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12: -1℃ 해동 음식물의 수분 함량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105℃ 건조 기법을 이용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수분 함량을 각각 측정한다. 하기 표 45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2.54% 72.56% 72.60% 72.59% 72.56% 72.57%
0℃ 해동 72.02% 72.11% 72.02% 72.12% 72.05% 72.06%
-2℃ 해동 72.62% 72.56% 72.57% 72.63% 72.61% 72.60%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2.54% 72.58% 72.64% 72.68% 72.66% 72.62%
0℃ 해동 72.15% 72.12% 72.01% 72.09% 72.08% 72.09%
-2℃ 해동 72.65% 72.66% 72.63% 72.57% 72.61% 72.62%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2.64% 72.66% 72.55% 72.63% 72.58% 72.61%
0℃ 해동 72.14% 72.11% 72.06% 72.02% 72.20% 72.10%
-2℃ 해동 72.56% 72.69% 72.55% 72.59% 72.63% 72.60%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2.62% 72.53% 72.60% 72.58% 72.67% 72.60%
0℃ 해동 72.05% 72.18% 72.02% 72.07% 72.05% 72.07%
-2℃ 해동 72.53% 72.52% 72.54% 72.50% 72.66% 72.55%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2.63% 72.52% 72.65% 72.66% 72.65% 72.62%
0℃ 해동 72.03% 72.18% 72.03% 72.09% 72.12% 72.09%
-2℃ 해동 72.57% 72.53% 72.63% 72.69% 72.57% 72.60%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46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1.58% 71.66% 71.51% 71.57% 71.51% 71.57%
0℃ 해동 71.20% 71.17% 71.04% 71.19% 71.01% 71.12%
-2℃ 해동 71.55% 71.64% 71.69% 71.60% 71.62% 71.62%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1.65% 71.58% 71.64% 71.64% 71.69% 71.64%
0℃ 해동 71.15% 71.17% 71.16% 71.12% 71.02% 71.13%
-2℃ 해동 71.61% 71.59% 71.70% 71.62% 71.60% 71.62%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1.53% 71.69% 71.52% 71.60% 71.69% 71.60%
0℃ 해동 71.15% 71.08% 71.18% 71.10% 71.11% 71.12%
-2℃ 해동 71.56% 71.69% 71.69% 71.62% 71.61% 71.64%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1.52% 71.53% 71.68% 71.61% 71.61% 71.59%
0℃ 해동 71.06% 71.12% 71.03% 71.11% 71.12% 71.09%
-2℃ 해동 71.63% 71.69% 71.61% 71.57% 71.58% 71.62%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1.65% 71.68% 71.66% 71.58% 71.56% 71.63%
0℃ 해동 71.03% 71.14% 71.16% 71.01% 71.04% 71.08%
-2℃ 해동 71.62% 71.61% 71.67% 71.53% 71.65% 71.62%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47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9.05% 69.09% 69.14% 69.08% 69.03% 69.08%
0℃ 해동 68.12% 68.05% 68.07% 68.13% 68.15% 68.10%
-2℃ 해동 69.03% 69.19% 69.04% 69.06% 69.04% 69.07%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9.00% 69.13% 69.06% 69.02% 69.10% 69.06%
0℃ 해동 68.14% 68.19% 68.05% 68.05% 68.04% 68.09%
-2℃ 해동 69.07% 69.12% 69.12% 69.15% 69.12% 69.11%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9.00% 69.07% 69.15% 69.06% 69.04% 69.07%
0℃ 해동 68.12% 68.02% 68.16% 68.10% 68.01% 68.08%
-2℃ 해동 69.08% 69.03% 69.15% 69.19% 69.16% 69.12%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9.11% 69.07% 69.01% 69.08% 69.15% 69.09%
0℃ 해동 68.05% 68.16% 68.19% 68.10% 68.05% 68.11%
-2℃ 해동 69.03% 69.01% 69.12% 69.00% 69.06% 69.05%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9.06% 69.11% 69.12% 69.12% 69.13% 69.10%
0℃ 해동 68.19% 68.15% 68.06% 68.18% 68.12% 68.14%
-2℃ 해동 69.16% 69.17% 69.08% 69.09% 69.06% 69.11%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48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6.01% 66.03% 66.15% 66.18% 66.01% 66.08%
0℃ 해동 65.10% 65.01% 65.05% 65.08% 65.17% 65.08%
-2℃ 해동 66.14% 66.11% 66.06% 66.12% 66.15% 66.12%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6.12% 66.14% 66.12% 66.18% 66.08% 66.13%
0℃ 해동 65.02% 65.09% 65.02% 65.12% 65.12% 65.08%
-2℃ 해동 66.11% 66.05% 66.14% 66.05% 66.09% 66.09%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6.14% 66.04% 66.08% 66.04% 66.13% 66.09%
0℃ 해동 65.09% 65.13% 65.18% 65.20% 65.15% 65.15%
-2℃ 해동 66.06% 66.01% 66.17% 66.03% 66.16% 66.09%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6.16% 66.15% 66.19% 66.10% 66.04% 66.13%
0℃ 해동 65.14% 65.11% 65.08% 65.15% 65.01% 65.10%
-2℃ 해동 66.12% 66.17% 66.03% 66.13% 66.10% 66.11%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6.09% 66.16% 66.19% 66.17% 66.18% 66.16%
0℃ 해동 65.04% 65.19% 65.17% 65.08% 65.13% 65.12%
-2℃ 해동 66.07% 66.03% 66.02% 66.01% 66.18% 66.06%
2. 테스트 결과, 도 19(a) 는 표 45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19(b) 는 표 46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19(c) 는 표 47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19(d) 는 표 48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19(a), 도 19(b), 도 19(c) 및 도 19(d)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수분 함량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1℃ 좌우인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수분 함량이 약간 상승되어 있으며, 입맛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13: -1℃ 해동 음식물의 질감 구성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질감 구성 측정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전단력을 측정할 수 있다. 하기 표 49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67 18.69 18.53 18.54 18.66 18.62
0℃ 해동 17.15 17.01 17.02 17.13 17.16 17.09
-2℃ 해동 22.05 22.12 22.19 22.17 22.13 22.13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51 18.61 18.64 18.56 18.51 18.56
0℃ 해동 17.12 17.00 17.20 17.13 17.02 17.09
-2℃ 해동 22.12 22.19 22.01 22.00 22.10 22.08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58 18.66 18.50 18.64 18.70 18.62
0℃ 해동 17.05 17.13 17.06 17.19 17.02 17.09
-2℃ 해동 22.06 22.11 22.05 22.12 22.12 22.09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61 18.70 18.56 18.51 18.63 18.60
0℃ 해동 17.17 17.01 17.19 17.17 17.13 17.14
-2℃ 해동 22.09 22.19 22.10 22.18 22.13 22.14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55 18.58 18.52 18.58 18.67 18.58
0℃ 해동 17.18 17.01 17.11 17.00 17.08 17.07
-2℃ 해동 22.08 22.20 22.03 22.16 22.16 22.12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50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67 17.69 17.52 17.55 17.56 17.60
0℃ 해동 15.69 15.56 15.56 15.68 15.53 15.61
-2℃ 해동 21.15 21.11 21.11 21.19 21.05 21.12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63 17.66 17.54 17.59 17.64 17.61
0℃ 해동 15.69 15.67 15.66 15.70 15.57 15.66
-2℃ 해동 21.08 21.08 21.12 21.19 21.01 21.10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70 17.54 17.70 17.61 17.68 17.64
0℃ 해동 15.59 15.55 15.60 15.55 15.62 15.58
-2℃ 해동 21.15 21.14 21.15 21.08 21.08 21.12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58 17.65 17.64 17.65 17.67 17.64
0℃ 해동 15.51 15.66 15.66 15.63 15.59 15.61
-2℃ 해동 21.02 21.14 21.07 21.07 21.11 21.08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61 17.51 17.65 17.57 17.66 17.60
0℃ 해동 15.60 15.67 15.56 15.52 15.55 15.58
-2℃ 해동 21.14 21.14 21.04 21.15 21.04 21.10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51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53 18.57 18.60 18.54 18.56 18.56
0℃ 해동 16.65 16.62 16.60 16.55 16.64 16.61
-2℃ 해동 22.63 22.52 22.53 22.57 22.62 22.58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64 18.63 18.50 18.62 18.69 18.61
0℃ 해동 16.69 16.67 16.68 16.54 16.70 16.66
-2℃ 해동 22.64 22.60 22.56 22.64 22.66 22.62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59 18.51 18.60 18.65 18.62 18.59
0℃ 해동 16.53 16.52 16.68 16.61 16.67 16.60
-2℃ 해동 22.56 22.66 22.59 22.66 22.68 22.63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59 18.58 18.59 18.67 18.62 18.61
0℃ 해동 16.67 16.67 16.63 16.66 16.62 16.65
-2℃ 해동 22.59 22.59 22.69 22.61 22.63 22.62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8.51 18.63 18.59 18.64 18.59 18.59
0℃ 해동 16.52 16.60 16.56 16.57 16.59 16.57
-2℃ 해동 22.51 22.69 22.63 22.61 22.64 22.61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52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55 17.63 17.65 17.66 17.51 17.60
0℃ 해동 15.17 15.05 15.05 15.20 15.04 15.10
-2℃ 해동 21.63 21.68 21.69 21.67 21.69 21.67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61 17.59 17.59 17.66 17.50 17.59
0℃ 해동 15.06 15.01 15.15 15.08 15.03 15.06
-2℃ 해동 21.55 21.68 21.67 21.53 21.52 21.59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70 17.63 17.58 17.61 17.61 17.63
0℃ 해동 15.19 15.08 15.09 15.10 15.02 15.10
-2℃ 해동 21.62 21.52 21.66 21.67 21.50 21.59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53 17.50 17.57 17.67 17.63 17.58
0℃ 해동 15.15 15.06 15.19 15.12 15.16 15.13
-2℃ 해동 21.52 21.68 21.57 21.59 21.52 21.58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17.57 17.66 17.64 17.55 17.64 17.61
0℃ 해동 15.07 15.17 15.06 15.08 15.14 15.10
-2℃ 해동 21.62 21.55 21.59 21.61 21.54 21.58
2. 테스트 결과, 도 20(a) 는 표 49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20(b) 는 표 50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20(c) 는 표 51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20(d) 는 표 52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20(a), 도 20(b), 도 20(c) 및 도 20(d) 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전단력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1℃ 좌우인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전단력이 미약한 상승을 보이기는 하지만, 해동 후 온도가 -2℃ 좌우인 음식물 소재와 비교하면 현저하게 작기때문에 절단하기 더욱 용이하다.
실시예14: -1℃ 해동 음식물의 황색도(yellowness)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색차계(color difference meter)를 이용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황색도(yellowness index)를 측정할 수 있다. 하기 표 53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3.95 3.93 3.91 3.86 3.97 3.92
0℃ 해동 11.58 11.68 11.56 11.64 11.59 11.61
-2℃ 해동 3.92 3.93 3.92 3.81 3.93 3.90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3.81 3.97 3.89 3.82 3.94 3.89
0℃ 해동 11.64 11.58 11.67 11.60 11.69 11.64
-2℃ 해동 3.89 3.92 3.93 3.91 3.86 3.90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3.83 3.98 3.94 3.89 3.88 3.91
0℃ 해동 11.64 11.56 11.70 11.51 11.53 11.59
-2℃ 해동 3.86 3.96 3.95 3.85 3.88 3.90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3.86 3.94 3.93 3.98 3.83 3.91
0℃ 해동 11.53 11.68 11.50 11.60 11.64 11.59
-2℃ 해동 3.82 3.83 3.90 3.93 3.88 3.87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3.86 3.93 3.96 3.92 3.86 3.91
0℃ 해동 11.65 11.54 11.57 11.54 11.55 11.57
-2℃ 해동 3.95 3.92 3.81 3.97 3.99 3.93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54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65 2.50 2.69 2.65 2.68 2.63
0℃ 해동 10.62 10.68 10.69 10.65 10.68 10.66
-2℃ 해동 2.61 2.51 2.60 2.63 2.53 2.57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62 2.55 2.66 2.54 2.65 2.60
0℃ 해동 10.53 10.57 10.55 10.50 10.53 10.54
-2℃ 해동 2.57 2.53 2.56 2.66 2.51 2.57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59 2.60 2.68 2.64 2.61 2.62
0℃ 해동 10.61 10.61 10.66 10.65 10.61 10.63
-2℃ 해동 2.56 2.52 2.57 2.52 2.68 2.57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58 2.50 2.65 2.54 2.60 2.57
0℃ 해동 10.69 10.63 10.70 10.57 10.68 10.65
-2℃ 해동 2.68 2.66 2.61 2.54 2.68 2.63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66 2.67 2.69 2.69 2.55 2.65
0℃ 해동 10.63 10.70 10.50 10.62 10.66 10.62
-2℃ 해동 2.52 2.54 2.52 2.55 2.64 2.55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55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30 4.19 4.20 4.19 4.20 4.22
0℃ 해동 13.65 4.28 4.28 4.14 4.20 6.11
-2℃ 해동 4.24 4.17 4.17 4.17 4.12 4.18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23 4.18 4.21 4.28 4.25 4.23
0℃ 해동 13.61 4.10 4.12 4.20 4.25 6.06
-2℃ 해동 4.21 4.21 4.13 4.29 4.12 4.19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19 4.26 4.30 4.29 4.11 4.23
0℃ 해동 13.72 4.24 4.19 4.18 4.12 6.09
-2℃ 해동 4.30 4.24 4.27 4.16 4.18 4.23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14 4.16 4.18 4.16 4.29 4.19
0℃ 해동 13.71 4.10 4.15 4.30 4.21 6.09
-2℃ 해동 4.28 4.21 4.24 4.28 4.13 4.23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25 4.17 4.19 4.26 4.15 4.20
0℃ 해동 13.61 4.29 4.19 4.29 4.21 6.12
-2℃ 해동 4.15 4.19 4.11 4.16 4.10 4.14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56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12 2.07 2.08 2.06 2.18 2.10
0℃ 해동 11.01 11.20 11.17 11.00 11.09 11.09
-2℃ 해동 2.09 2.06 2.16 2.14 2.08 2.11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20 2.10 2.02 2.09 2.13 2.11
0℃ 해동 11.09 11.11 11.14 11.04 11.01 11.08
-2℃ 해동 2.11 2.09 2.04 2.09 2.14 2.09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06 2.09 2.08 2.02 2.01 2.05
0℃ 해동 11.19 11.08 11.12 11.03 11.18 11.12
-2℃ 해동 2.13 2.02 2.06 2.02 2.05 2.06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19 2.16 2.06 2.02 2.08 2.10
0℃ 해동 11.11 11.15 11.20 11.10 11.15 11.14
-2℃ 해동 2.04 2.15 2.00 2.16 2.10 2.09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2.17 2.14 2.03 2.18 2.00 2.10
0℃ 해동 11.18 11.11 11.19 11.08 11.00 11.11
-2℃ 해동 2.07 2.13 2.03 2.13 2.02 2.08
2. 테스트 결과, 도 21(a) 는 표 53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21(b) 는 표 54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21(c) 는 표 55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21(d) 는 표 56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21(a), 도 21(b), 도 21(c) 및 도 21(d) 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황색도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0℃ 이상에서의 음식물은 해동 후의 온도가 -1℃ 좌우인 음식물과 비교하여 황색도가 현저하게 상승되어 있는 바, 부분적 음식물은 이미 변색, 숙성되었음을 반영한다.
실시예15: -1℃ 해동 음식물의 균락수(colony count) 분석
1. 음식물로서 돼지 등심살, 물고기, 닭고기 및 쇠고기를 각각 선택하고, 종류별 음식물을 각각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선택한다.
(1)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을 각각 전자 레인지에 장입하여 해동을 수행하되,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을 유지하게 한다. 그다음, 희석 후 배양 카운팅 기법을 이용하여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각각이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1℃ 해동, 0℃ 해동 및 -2℃ 해동) 하에서 해동이 진행된 후의 균락(bacterial colony) 전체 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하기 표 57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돼지 등심살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5.64E+04 5.80E+04 5.62E+04 5.78E+04 5.73E+04 5.71E+04
0℃ 해동 2.68E+05 2.64E+05 2.63E+05 2.55E+05 2.51E+05 2.60E+05
-2℃ 해동 5.61E+04 5.66E+04 5.66E+04 5.66E+04 5.74E+04 5.67E+04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5.74E+04 5.77E+04 5.61E+04 5.78E+04 5.65E+04 5.71E+04
0℃ 해동 2.54E+05 2.70E+05 2.57E+05 2.63E+05 2.69E+05 2.62E+05
-2℃ 해동 5.70E+04 5.61E+04 5.70E+04 5.77E+04 5.74E+04 5.70E+04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5.78E+04 5.80E+04 5.76E+04 5.78E+04 5.75E+04 5.77E+04
0℃ 해동 2.52E+05 2.67E+05 2.61E+05 2.64E+05 2.53E+05 2.59E+05
-2℃ 해동 5.78E+04 5.77E+04 5.77E+04 5.77E+04 5.73E+04 5.76E+04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5.73E+04 5.76E+04 5.75E+04 5.65E+04 5.77E+04 5.73E+04
0℃ 해동 2.69E+05 2.68E+05 2.65E+05 2.59E+05 2.56E+05 2.63E+05
-2℃ 해동 5.72E+04 5.62E+04 5.71E+04 5.69E+04 5.79E+04 5.71E+04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5.61E+04 5.74E+04 5.79E+04 5.70E+04 5.66E+04 5.70E+04
0℃ 해동 2.65E+05 2.51E+05 2.70E+05 2.64E+05 2.56E+05 2.61E+05
-2℃ 해동 5.76E+04 5.66E+04 5.63E+04 5.69E+04 5.79E+04 5.71E+04
(2)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물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58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물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11E+04 6.08E+04 6.01E+04 6.03E+04 6.02E+04 6.05E+04
0℃ 해동 1.77E+05 1.75E+05 1.78E+05 1.76E+05 1.77E+05 1.77E+05
-2℃ 해동 6.04E+04 6.02E+04 6.06E+04 6.14E+04 6.03E+04 6.06E+04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11E+04 6.12E+04 6.16E+04 6.16E+04 6.13E+04 6.14E+04
0℃ 해동 1.75E+05 1.80E+05 1.79E+05 1.74E+05 1.64E+05 1.74E+05
-2℃ 해동 6.05E+04 6.03E+04 6.11E+04 6.15E+04 6.02E+04 6.07E+04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08E+04 6.03E+04 6.07E+04 6.02E+04 6.02E+04 6.05E+04
0℃ 해동 1.65E+05 1.62E+05 1.67E+05 1.73E+05 1.74E+05 1.68E+05
-2℃ 해동 6.13E+04 6.02E+04 6.15E+04 6.20E+04 6.02E+04 6.10E+04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19E+04 6.10E+04 6.07E+04 6.01E+04 6.04E+04 6.08E+04
0℃ 해동 1.77E+05 1.77E+05 1.64E+05 1.71E+05 1.73E+05 1.72E+05
-2℃ 해동 6.02E+04 6.19E+04 6.06E+04 6.01E+04 6.05E+04 6.07E+04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6.02E+04 6.12E+04 6.18E+04 6.06E+04 6.13E+04 6.10E+04
0℃ 해동 1.65E+05 1.63E+05 1.79E+05 1.74E+05 1.75E+05 1.71E+05
-2℃ 해동 6.12E+04 6.16E+04 6.04E+04 6.09E+04 6.11E+04 6.11E+04
(3)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닭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59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닭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20E+04 7.17E+04 7.18E+04 7.03E+04 7.10E+04 7.13E+04
0℃ 해동 3.09E+05 3.17E+05 3.15E+05 3.08E+05 3.07E+05 3.11E+05
-2℃ 해동 7.14E+04 7.12E+04 7.18E+04 7.07E+04 7.13E+04 7.13E+04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03E+04 7.14E+04 7.01E+04 7.16E+04 7.18E+04 7.11E+04
0℃ 해동 3.06E+05 3.02E+05 3.03E+05 3.14E+05 3.11E+05 3.07E+05
-2℃ 해동 7.19E+04 7.11E+04 7.09E+04 7.05E+04 7.18E+04 7.12E+04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13E+04 7.04E+04 7.08E+04 7.05E+04 7.08E+04 7.08E+04
0℃ 해동 3.06E+05 3.13E+05 3.07E+05 3.09E+05 3.05E+05 3.08E+05
-2℃ 해동 7.01E+04 7.17E+04 7.15E+04 7.06E+04 7.05E+04 7.09E+04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13E+04 7.02E+04 7.10E+04 7.01E+04 7.16E+04 7.08E+04
0℃ 해동 3.08E+05 3.01E+05 3.08E+05 3.14E+05 3.20E+05 3.10E+05
-2℃ 해동 7.19E+04 7.07E+04 7.11E+04 7.18E+04 7.00E+04 7.11E+04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7.19E+04 7.18E+04 7.17E+04 7.14E+04 7.17E+04 7.17E+04
0℃ 해동 3.16E+05 3.17E+05 3.18E+05 3.11E+05 3.02E+05 3.13E+05
-2℃ 해동 7.15E+04 7.12E+04 7.15E+04 7.13E+04 7.06E+04 7.12E+04
(4)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쇠고기에 대해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되, 테스트의 과정 및 방법은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과 동일한 바, 상술한 100g, 200g, 300g, 400g 및 500g 의 돼지 등심살 관련 과정 및 방법에 대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하기 표 60에 반영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다중 횟수의 테스트를 거쳐 그 중에서 다섯차의 평행 실험에 의해 획득된 모든 실험 데이터를 공개한다.
쇠고기
1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04E+04 4.13E+04 4.09E+04 4.13E+04 4.02E+04 4.08E+04
0℃ 해동 1.15E+05 1.18E+05 1.15E+05 1.13E+05 1.02E+05 1.13E+05
-2℃ 해동 4.10E+04 4.00E+04 4.05E+04 4.02E+04 4.07E+04 4.05E+04
2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18E+04 4.09E+04 4.11E+04 4.06E+04 4.03E+04 4.09E+04
0℃ 해동 1.15E+05 1.04E+05 1.03E+05 1.13E+05 1.02E+05 1.08E+05
-2℃ 해동 4.14E+04 4.08E+04 4.17E+04 4.10E+04 4.15E+04 4.13E+04
3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20E+04 4.04E+04 4.15E+04 4.01E+04 4.08E+04 4.10E+04
0℃ 해동 1.07E+05 1.03E+05 1.13E+05 1.09E+05 1.14E+05 1.09E+05
-2℃ 해동 4.16E+04 4.10E+04 4.12E+04 4.19E+04 4.18E+04 4.15E+04
4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10E+04 4.13E+04 4.00E+04 4.17E+04 4.17E+04 4.12E+04
0℃ 해동 1.10E+05 1.16E+05 1.19E+05 1.18E+05 1.15E+05 1.16E+05
-2℃ 해동 4.09E+04 4.13E+04 4.11E+04 4.05E+04 4.01E+04 4.08E+04
500g   평행1 평행2 평행3 평행4 평행5 평균치
-1℃ 해동 4.06E+04 4.17E+04 4.03E+04 4.19E+04 4.07E+04 4.10E+04
0℃ 해동 1.07E+05 1.01E+05 1.17E+05 1.17E+05 1.09E+05 1.10E+05
-2℃ 해동 4.16E+04 4.14E+04 4.14E+04 4.16E+04 4.14E+04 4.15E+04
2. 테스트 결과, 도 22(a) 는 표 57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22(b) 는 표 58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22(c) 는 표 59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고, 도 22(d) 는 표 60 중 각각의 그룹의 평균치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이며, 도 22(a), 도 22(b), 도 22(c) 및 도 22(d)로부터 알다시피, 서로 다른 음식물이 서로 다른 무게로 서로 다른 해동 온도 종점하에서 해동된 후의 균락수 역시 다소 서로 다르며, 해동 후의 음식물의 온도가 -1℃ 좌우인 경우, 해동 후 온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0 이상에서의 균락수가 선명하게 적은데, 이는 해동 후 온도가 비교적 낮고 미생물의 번식이 비교적 느리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해동 후의 음식물은 보다 더 위생적이다.
이상 정리하면, 발명자는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하기 사실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음식물의 온도를 -1℃ 좌우가 되게 제어할 경우,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더욱 위생적이며, 절단이 더욱 용이하고, 온도차가 비교적 낮으며,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먼저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그다음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아울러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과 상호 대응되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별도로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과 상호 대응되므로, 상술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에 적용되는 동작 방법의 실시 형태는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수신 모듈(110B), 검출 모듈(120B) 및 제어 모듈(130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110B)은 해동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검출 모듈(120B)은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아울러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B)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일 수 있다. 그리고, 해동 조건에 대한 제어는 구체적으로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등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검출 모듈을 통하여 수신 모듈이 해동 명령을 수신한 후,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한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는, 제어 장치 중의 검출 모듈을 통하여 수신 모듈이 해동 명령을 수신한 후,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해동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게 할 수 있는데, 이때의 음식물은 -1℃ 해동 음식물로 호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더 제안하였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2401: 해동 명령을 수신한다.
S2402: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일 수 있다.
S2403: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동 조건에 대한 제어는 구체적으로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등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이 음식물을 -1℃ 해동 음식물로 마련하는 것으로 인해 가져오는 이점들은 상술한 실시예 9-실시예 15의 상세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먼저 해동 명령을 수신하고, 그다음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아울러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과 상호 대응되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별도로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과 상호 대응되므로, 상술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에 적용되는 동작 방법의 실시 형태는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수신 모듈(210B), 검출 모듈(220B) 및 제어 모듈(230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210B)은 해동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검출 모듈(220B)은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은 육류 또는 어류일 수 있다. 제어 모듈(230B)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동 조건에 대한 제어는 구체적으로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등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검출 모듈을 통하여 수신 모듈이 해동 명령을 수신한 후,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한 다른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는, 제어 장치 중의 검출 모듈을 통하여 수신 모듈이 해동 명령을 수신한 후, 작동되어 해동을 수행하며,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 모듈은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해동이 이루어진 후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 다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는 바, 당해 방법은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가 -1℃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게 한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이 음식물을 -1℃ 해동 음식물로 마련하는 것으로 인해 가져오는 이점들은 상술한 실시예 9-실시예 15의 상세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은,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가 -1℃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게 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제안하였는데, 당해 장치는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 음식물의 온도가 -1℃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는,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게 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한 다른 전자 레인지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는, 해동 과정 중에서,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 보다 낮으며, 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게 한다. 대량의 테스트 및 이론 분석을 통하여 -1℃를 음식물 해동의 최적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는 것을 혁신적으로 발견하였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일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하, 도 26 - 도 3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A) 해동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전자 레인지(100A)는 해동 키(22) 및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해동 키(22)를 누르면, 전자 레인지(100A) 내에 장입된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장입된 음식물(200)은 예컨대 육류(돼지고기, 닭고기, 물고기 등을 포함)일 수 있다. 여기서, 부연하자면,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마이크로파 소스(31), 마이크로파 소스 에너지 공급 장치(32), 웨이브 가이드(33), 가열 안테나(34) 또는 교반 시트(sheet)(35) 등을 포함]의 구조 및 동작 원리 등은 이미 해당 분야의 당업자들에 의해 공지된 내용으로서,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 1 측면의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100A) 해동의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S2601: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200)의 무게(x)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한다. 그 중, 전체 해동 시간(T)은 하기 조건을 만족시킨다. T=K(x/100)초, 여기서, 20초/그램≤K≤120초/그램(second/gram; s/g)이다.
S2602: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며, 전체 해동 시간(T)으로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여기서, 음식물(200)의 무게(x)의 단위는 그램(gram; g)이다. K의 구체적인 수치는 음식물(200)의 종류 등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전체 해동 시간(T)과 음식물(200)의 무게(x) 사이의 관계는 발명자가 서로 다른 음식물(200; 예컨대 육류)의 서로 다른 무게분에 대해 대량의 해동 테스트를 수행하여 획득한 것이다.
그러면, 육류의 무게만으로도 당해 육류를 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 획득할 수 있기때문에, 전자 레인지(100A)를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해 해동을 수행할 때, 육류를 전자 레인지(100A) 내에 장입하고, 전체 해동 시간(T) 내에 육류를 해동시키기만 하면 되는 바, 조작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상이한 무게의 음식물(200; 예컨대 육류)의 전체 해동 시간(T)을 정확히 산출함으로써 전통적인 전자 레인지(100A)의 해동 영양 유실, 부분적 숙성 현상을 해결하였다.
선택 가능하게, 전체 해동 시간(T) 경과 후, 음식물의 온도는 -3℃~0℃ 이다. 다시말하면, 해동 과정이 종료된 후,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의 온도는 -3℃~0℃ 이며, 바람직하게는 -1℃ 이다. 이에 의해, -1℃를 음식물 해동의 종점 온도로서 적용함으로써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하게 되었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A) 해동의 제어 방법은, 음식물(200)의 무게(x)에 근거하여 음식물(200)을 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 획득함으로써 이상적인 해동 효과를 구현한다.
나아가, 단계(S2602)는 순차적으로 연속된 복수의 시간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음식물(200)을 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전체 해동 시간(T)을 복수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시간 구간은 시간 순서 상 연속적인 것으로, 모든 각각의 시간 구간 내에서 대응되는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진행한다. 그 중, 복수의 시간 구간의 합의 값은 전체 해동 시간(T)이다. 다시 말하면, 모든 각각의 시간 구간은 전체 해동 시간(T) 보다 작다. 복수의 시간 구간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화력 레벨의 크기 역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체 해동 시간(T)이 4 개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되며, 서로 다른 시간 구간에서 각각 상이한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이해 가능하겠지만, 최대 화력의 구체적인 수치는 음식물(200)의 종류 등에 근거하여 적응성 변경을 가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602)는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S26021: 제 1 시간 구간(t1) 내에서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S26022: 제 2 시간 구간(t2) 내에서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이다.
S26023: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S26024: 제 4 시간 구간(t4) 내에서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이다.
여기서, 최대 화력은 100% 이다.
다시 말하면, 전체 해동 시간(T)이 순차적으로 연속된 제 1 시간 구간(t1), 제 2 시간 구간(t2), 제 3 시간 구간(t3) 및 제 4 시간 구간(t4) 등 4 개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되며, 모든 각각의 시간 구간 내에서 각각 제 1 화력 레벨, 제 2 화력 레벨, 제 3 화력 레벨 및 제 4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 1 시간 구간(t1), 제 2 시간 구간(t2), 제 3 시간 구간(t3) 및 제 4 시간 구간(t4)은 각각 하기 조건을 만족시킨다.
t1=K(n+1+a)/4
t2=K(n-1-a)/4
t3=K(n+1-a)/4
t4=K(n-1+a)/4
그 중, "n=x/100그램"이고, "a=[1+(-1)n]/2"이다.
이에 의해, 전체 해동 시간(T)을 4 개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되, 모든 각각의 시간 구간 내에서 각각 대응되는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음식물(200)을 해동함으로써 해동이 균일하고 영양 손실이 없으며 해동 속도가 빠른 것이 구현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해동 시간(T)은 2개, 3개, 5개, 6개 심지어 더욱 많은 개수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모든 각각의 시간 구간 내에서 각각 상응한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함으로써 더욱 이상적인 해동 효과를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6022)와 단계(S26023) 사이에서, 전자 레인지(100A) 해동의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S260221A: 제 2 시간 구간(t2) 이후,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음식물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한다.
S260222A: 음식물이 뒤집힌 것이 검출된 후, 해동 과정이 단계(S26023)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해동 과정이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인 동시에 제 3 시간 구간(t3) 이전인 단계에까지 진행된 경우,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는데, 이때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동작이 정지되며,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지 않고, 전자 레인지(100A)는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을 뒤집혀라는 힌트 제시를 사용자에게 송신하며, 사용자가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을 뒤집힌 다음,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에 대한 해동이 계속 진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자 레인지(100A)이 사용자에게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을 뒤집혀라는 힌트 제시를 송신한 후, 전자 레인지(100A) 내에 설치된 검출 장치에 의해 음식물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마이크로파를 상향 발사하는 경우, 검출 장치는 음식물의 하부 표면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데, 뒤집히기 전에 음식물의 하부 표면의 온도는 응당 음식물의 상부 표면의 온도보다 높아야 하고, 뒤집힌 후에 음식물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은 호환되는 바, 이때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음식물의 하부 표면(즉, 뒤집히기 전의 상부 표면)의 온도는 음식물의 상부 표면(즉, 뒤집히기 전의 하부 표면)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이에 의해, 음식물이 이미 뒤집혔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검출 장치는 온도 센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6022)와 단계(S26023) 사이에서, 전자 레인지(100A) 해동의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S260221B: 제 2 시간 구간(t2) 이후,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한다.
S260222B: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것이 검출된 후, 해동 과정이 단계(S26023)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해동 과정이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인 동시에 제 3 시간 구간(t3) 이전인 단계에까지 진행된 경우,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는데, 이때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동작이 정지되며,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지 않고, 전자 레인지(100A)는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을 뒤집혀라는 힌트 제시를 사용자에게 송신하며, 사용자가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을 뒤집힌 다음,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에 대한 해동이 계속 진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자 레인지(100A)이 사용자에게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을 뒤집혀라는 힌트 제시를 송신한 후, 사용자는 전자 레인지(100A) 상의 해동 키(22) 또는 작동 키를 눌러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자 레인지(100A) 내의 음식물을 계속 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200)의 무게(x)는 해동 키(22)의 터치 상태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레인지(100A) 상에 1 개의 해동 키(2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동 키(22)는 한번씩 눌려질 때(가압 시)마다 전자 레인지(100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가 순차적으로 50그램~100그램씩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사용자는 먼저 음식물(200)의 무게(x)를 사전 추정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무게(x)의 사전 추정 값에 근거하여 해동 키(22)를 복수차 가압하는데, 해동 키(22)가 한 번씩 가압될 때마다 전자 레인지(100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는 사용자의 사전 추정 값에 도달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증가된다. 이해 가능하겠지만, 해동 키(22)가 한 번씩 눌려질 때마다 전자 레인지(100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의 구체적인 수치는 실제 요구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8을 참조하되 도 29a - 도 29e를 결합 참조하면, 전자 레인지(100A)의 제어 패널(2) 상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이 구비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1)의 하방에는 해동 키(2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동 키(22)는 1개로서, 해동 키(22)가 한 번씩 눌려질 때마다 전자 레인지(100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는 100그램씩 증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전 추정한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무게(x)=500그램인 경우, 해동 키(22)를 5차 가압할 수 있는데, 그 중, 해동 키(22)를 1차씩 가압할 때마다 전자 레인지(100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는 순차적으로 100그램씩 증가한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해동하는 동작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무게(x)를 사전 추정하고,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A) 내에 장입하며, 그다음 무게(x)에 근거하여 해동 키(22)를 1차 또는 복수차 가압하여 적합한 해동 무게를 선택한다. 전자 레인지(100A)는 상술한 해동 무게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어서 전자 레인지(100A) 상의 작동 키를 누르면 해동이 시작되는데, 이때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작동됨으로써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이 진행되고, 해동이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인 동시에 제 3 시간 구간(t3) 이전인 단계에까지 진행된 경우, 전자 레인지(100A)는 임시 중단되며 뒤집혀라는 힌트 제시가 진행되고, 사용자가 뒤집힌 다음 전자 레인지(100A)를 재작동시켜 해동을 수행하되, 해동이 종료되기까지 수행한다.
물론, 해동 키(22)는 복수의 무게 그램수와 대응되는 복수의 해동 키(22)(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레인지(100A)의 제어 패널(2) 상에는 복수의 해동 키(22)가 설치되되, 복수의 해동 키(22)에 대응되는 무게는 각각 상이한데,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해동하는 경우, 먼저 육류의 무게를 사전 추정할 수 있으며, 그다음 복수의 해동 키(22) 중에서 육류 무게의 사전 추정 값과 가장 근접한 해동 키(22)를 검색하고 당해 해동 키(22)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레인지(100A) 내에 설치된 무게 센서(4)에 의해 냉동 음식물(200)의 무게(x)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1의 예시에 있어서, 무게 센서(4)는 전자 레인지(100A) 바닥부의 오븐 다리부(12) 상에 설치되어 있는데, 전자 레인지(100A) 내부가 빈 공간인 경우, 무게 센서(4)에 의해 검출 획득된 것은 전자 레인지(100A)에 음식물(200)이 거치되지 않은 무게이고,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A) 내에 장입한 후, 무게 센서(4)에 의해 검출된 것은 음식물(200)을 포함한 전자 레인지(100A)의 무게이며, 상술한 두 무게의 차의 값을 취하면 음식물(200)의 무게가 획득된다. 이해되겠지만, 무게 센서(4)의 수량은 실제 요구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무게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의 예시에 있어서, 전자 레인지(100A) 내에는 오븐 챔버(11)가 구비되어 있고, 오븐 챔버(11)는 격판(13)에 의해 분리 이격되어 조리 챔버(111) 및 그 조리 챔버(111) 하방에 위치하는 가열 챔버(112)로 분리 이격되며, 음식물(200)은 조리 챔버(111) 내에 거치하기 적합하고, 무게 센서(4)는 격판(13)의 바닥부에 설치되는데, 이때 무게 센서(4)는 격판(13) 상의 음식물(200)의 무게를 직접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해동하는 동작 과정은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먼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A) 내에 장입하며, 전자 레인지(100A) 내의 무게 센서(4)는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무게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전자 레인지(100A)는 상술한 검출 획득된 무게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하며, 그다음 해동 키(22)를 누르고, 이어서 작동 키를 눌러 해동을 진행하기 시작한다. 이때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되어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해동시키는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인 동시에 제 3 시간 구간(t3) 이전인 단계에 까지 해동이 진행된 경우, 전자 레인지(100A)이 임시 중단되며 뒤집혀라는 힌트 제시가 수행되고, 사용자가 뒤집힌 다음 전자 레인지(100A)를 재작동시켜 해동을 수행하되, 해동이 종료될 때까지 수행한다.
물론,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무게를 가일층 정확하게 획득하도록 무게 센서(4)는 오븐 다리부(12) 및 격판(13)의 바닥부에 동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전자 레인지(100A) 내에 무게 센서(4)를 설치함으로써 전자 레인지(100A) 자동 검출을 구현하여 전자 레인지(100A)으로 하여금 더욱 스마트화되게 한다.
도 28,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A)는 오븐 바디(1), 제어 패널(2) 및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 레인지(100A)는 본 발명의 상술한 제 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A)의 음식물 해동 제어 방법을 적용하여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오븐 바디(1) 내에는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거치하기 적합한 오븐 챔버(11)가 정의되고, 제어 패널(2)은 오븐 바디(1) 상에 설치되되, 예컨대 오븐 바디(1)의 전방 표면 상에 설치되며, 제어 패널(2)은 해동 키(22) 및 작동 키를 구비하고,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오븐 바디(1) 내에 설치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이 해동되도록 오븐 챔버(11) 내부를 향해 마이크로파를 방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A)는, 본 발명의 상술한 제 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A)의 음식물 해동 제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해동 후 음식물(예를 들면 육류)의 영양 손실이 없도록 마련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 바디(1)에는 음식물 무게를 검출하기 적합한 무게 센서(4)가 설치되어 있고, 오븐 바디(1)의 바닥부에는 오븐 다리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무게 센서(4)는 오븐 다리부(1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전자 레인지(100A) 내부가 빈 공간인 경우, 무게 센서(4)에 의해 검출 획득된 것은 전자 레인지(100A)에 음식물(200)이 거치되지 않은 무게이고,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A) 내에 장입한 후, 무게 센서(4)에 의해 검출된 것은 음식물(200)을 포함한 전자 레인지(100A)의 무게이며, 상술한 두 무게의 차의 값을 취하면 음식물(200)의 무게가 획득된다.
또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 바디(1)에는 음식물 무게를 검출하기 적합한 무게 센서(4)가 설치되어 있고, 오븐 챔버(11)는 격판(13)에 의해 조리 챔버(111) 및 그 조리 챔버(111) 하방에 위치한 가열 챔버(112)로 분리 이격되며, 무게 센서(4)는 격판(13)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무게 센서(4)는 격판(13) 상 음식물(200)의 무게를 직접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 레인지(100A) 내에 무게 센서(4)를 설치함으로써 전자 레인지(100A) 자동 검출을 구현하여 전자 레인지(100A)이 더욱 스마트화되게 한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해동하는 동작 과정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먼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A) 내에 장입하며, 전자 레인지(100A) 내의 무게 센서(4)는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무게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전자 레인지(100A)는 상술한 검출 획득된 무게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하며, 그 다음 해동 키(22)를 누르고, 이어서 작동 키를 눌러 해동을 진행하기 시작한다. 이때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되어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해동시키는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인 동시에 제 3 시간 구간(t3) 이전인 단계에 까지 해동이 진행된 경우, 전자 레인지(100A)이 임시 중단되며 뒤집혀라는 힌트 제시가 수행되고, 사용자가 뒤집힌 다음 전자 레인지(100A)를 재작동시켜 해동을 수행하되, 해동이 종료될 때까지 수행한다.
물론, 음식물(200)의 무게(x)는 해동 키(22)의 터치 상태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레인지(100A) 상에 1개의 해동 키(2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동 키(22)는 한번씩 눌려질 때(가압 시)마다 전자 레인지(100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가 순차적으로 50그램~100그램씩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사용자는 먼저 음식물(200)의 무게(x)를 사전 추정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무게(x)의 사전 추정 값에 근거하여 해동 키(22)를 복수차 가압하는데, 해동 키(22)가 한 번씩 가압될 때마다 전자 레인지(100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는 사용자의 사전 추정 값에 도달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증가된다. 이해 가능하겠지만, 해동 키(22)가 한 번씩 눌려질 때마다 전자 레인지(100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의 구체적인 수치는 실제 요구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8을 참조하되 도 29a - 도 29e를 결합 참조하면, 전자 레인지(100A)의 제어 패널(2) 상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이 구비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1)의 하방에는 해동 키(2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동 키(22)는 1 개로서, 해동 키(22)가 한 번씩 눌려질 때마다 전자 레인지(100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는 100그램씩 증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전 추정한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무게(x)=500그램인 경우, 해동 키(22)를 5차 가압할 수 있는데, 그 중, 해동 키(22)를 1차씩 가압할 때마다 전자 레인지(100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무게는 순차적으로 100그램씩 증가한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해동하는 동작 과정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무게(x)를 사전 추정하고,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A) 내에 장입하며, 그다음 무게(x)에 근거하여 해동 키(22)를 1차 또는 복수차 가압하여 적합한 해동 무게를 선택한다. 전자 레인지(100A)는 상술한 해동 무게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어서 전자 레인지(100A) 상의 작동 키를 누르면 해동이 시작되는데, 이때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작동됨으로써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이 진행되고, 해동이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인 동시에 제 3 시간 구간(t3) 이전인 단계에까지 진행된 경우, 전자 레인지(100A)는 임시 중단되며 뒤집혀라는 힌트 제시가 진행되고, 사용자가 뒤집힌 다음 전자 레인지(100A)를 재작동시켜 해동을 수행하되, 해동이 종료될 때까지 수행한다.
물론, 해동 키(22)는 복수의 무게 그램수와 대응되는 복수의 해동 키(22)(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레인지(100A)의 제어 패널(2) 상에는 복수의 해동 키(22)가 설치되되, 복수의 해동 키(22)에 대응되는 무게는 각각 상이한데,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해동하는 경우, 먼저 육류의 무게를 사전 추정할 수 있으며, 그다음 복수의 해동 키(22) 중에서 육류 무게의 사전 추정 값과 가장 근접한 해동 키(22)를 검색하고 당해 해동 키(22)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A)의 기타 구성 및 동작은 해당 분야의 당업자들이 이미 공지하고 있는 바이라,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더 제안하였다.
이하, 도 35 - 도 4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전자 레인지(100B)는 해동 키(22) 및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해동 키(22)를 누르면,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장입된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장입된 음식물(200)은 예컨대 육류(돼지고기, 닭고기, 물고기 등을 포함)일 수 있다. 여기서, 부연하자면,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마이크로파 소스(31), 마이크로파 소스 에너지 공급 장치(32), 웨이브 가이드(33), 가열 안테나(34) 또는 교반 시트(sheet)(35) 등을 포함]의 구조 및 동작 원리 등은 이미 해당 분야의 당업자들에 의해 공지된 내용으로서,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S3501: 전자 레인지(100B) 내의 음식물(200)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검출한다.
S3502: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에 근거하여 음식물(200)을 해동시킨다.
여기서, 단계(S3501) 중,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 및 음식물(200) 상에서의 분포 상황은 실제 요구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200)이 전자 레인지(100B) 내의 격판(13) 상에 거치된 경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격판(13) 상에서 매트릭스 배열 분포를 이룰 수 있는데, 이때 음식물(200)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도 다중 행(row) 다중 열(column) 분포를 이룰 수 있다. 또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격판(13) 상의 한개의 점을 원심으로 하여 다중 턴(turn)수의 링 형상 분포를 이룰 수도 있는데, 턴 각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를 포함하며, 이때 격판(13) 상의 적어도 일부분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음식물(200) 상에 중첩되어 더욱 이상적인 검출 효과를 도모한다.
단계(S3502)에 있어서, 전자 레인지(100B)이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해동시키는 과정 중, 상술한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에 근거하여 해동 화력 및/또는 해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이상적인 해동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전통적인 전자 레인지(100B)의 해동 영양 유실, 부분적 숙성 현상을 해결하였다.
선택 가능하게, 해동 과정이 종료된 후,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의 온도는 -3℃~0℃ 이며, 바람직하게는 -1℃ 이다. 따라서, 신속한 해동이 구현 가능하고, 해동이 균일하며, 영양 손실이 수반하지 않는다. 이외에, -1℃를 음식물 해동의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에 근거하여 음식물(200)을 해동시킴으로써 이상적인 해동 효과를 구현한다.
여기서, 단계(S3501) 중에서,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에 의해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초기 온도를 스캐닝하고,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을 통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9의 예시 중에서,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은 모두 각각 14 개씩이고, 도 40의 예시 중에서,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은 모두 각각 15 개씩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자 레인지(100B) 내에는 오븐 챔버(11)가 정의되며, 오븐 챔버(11)는 격판(13)에 의해 조리 챔버(111) 및 그 조리 챔버(111) 하방에 위치한 가열 챔버(112)로 분리 이격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외에 설치되되 조리 챔버(1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조리 챔버(111) 상에는 비아홀(141)이 형성되어 있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는 비아홀(141)과 대응된다.
선택 가능하게,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외의 측벽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오븐 챔버(11)의 헤드벽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전자 레인지(100B) 내에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를 장착하기 적합한 장착부(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장착부(14)는 오븐 챔버(11)의 측벽의 일부분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비아홀(141)은 장착부(14) 상에 형성된다. 물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밖의 헤드벽 상(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해 가능한 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 장착부(14)의 형상, 성형 방식 등은 실제 요구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M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39의 예시 중에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1-64 등 도합 64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고; 도 40의 예시 중에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1-8 등 도합 8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가 회전되면 격판(13)의 전체 표면 스캐닝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예컨대 스테퍼(stepper) 모터와 같은 모터(6)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는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에 의해 검출 획득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표면에는 14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가 분포되는데, 번호는 각각 20, 21, 22, 27, 28, 29, 30, 35, 36, 37, 38, 43, 44, 45 이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을 통해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표면에 분포된 15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를 획득한다.
여기서, N 및 M 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N 은 M 보다 작거나 같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이 전체 격판(13)의 상부 표면을 덮는 경우, N 과 M 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502)는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의 온도 검출값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음식물(200)을 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말하면,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값, 분포 형태에 근거하여 상이하거나 부분적으로 동일한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단계(S3502)는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S35021: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후,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S35022: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이다.
S35023: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6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S35024: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이다.
S35025: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8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최대 화력은 100% 이다. 이해 가능한 바, 최대 화력의 구체적인 수치는 음식물(200)의 종류 등에 따라 적응성 변경을 가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다시말하면,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후, 먼저 제 1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되,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6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 4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데, 이때 해동 과정은 종료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된 것으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64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격판(13) 상에는 64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가 대응되게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해동 시,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되 도 39를 결합 참조하면, 먼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장입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육류 초기 온도를 스캐닝하며, 아울러 육류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14개)을 통계한 다음, 전자 레인지(100B)의 제어 패널(2) 상의 해동 키(22)를 눌러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육류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 1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되,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6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 4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데, 이때 해동 과정은 종료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그와 상호 연결된 모터(6)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8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격판(13) 상에는 8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가 대응되게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8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격판(13) 상에서 한가닥의 직선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해동 시,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되 도 40을 결합 참조하면, 먼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즉, 해동 대기 음식물)을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장입하고, 스테퍼 모터가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를 구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전체 표면 스캐닝을 구현하며, 육류의 초기 온도를 검출하고, 아울러 스캐닝을 통하여 육류 표면에 분포된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15개)을 획득한 다음, 전자 레인지(100B)의 제어 패널(2) 상의 해동 키(22)를 눌러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육류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바, 육류 해동을 위한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 작동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 1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되,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6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 4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데, 이때 해동 과정은 종료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는 오븐 바디(1), 온도 측정 장치 및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 레인지(100B)는 본 발명의 상술한 제 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을 적용하여 음식물(200)을 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븐 바디(1) 내에는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거치하기 적합한 오븐 챔버(11)가 정의되고, 제어 패널(2)은 오븐 바디(1) 상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오븐 바디(1)의 전방 표면 상에 설치되고, 제어 패널(2)은 해동 키(22)를 구비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오븐 바디(1) 내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마이크로파를 오븐 챔버(11) 내로 방출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이 해동되도록 한다.
온도 측정 장치는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오븐 바디(1) 내에 설치된다. 선택 가능하게, 온도 측정 장치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이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바디(1) 내의 상부에 설치된다.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36을 참조하면, 오븐 챔버(11)는 격판(13)을 통해 조리 챔버(111) 및 그 조리 챔버(111) 하방에 위치하는 가열 챔버(112)로 분리 이격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밖에 설치되되 조리 챔버(1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조리 챔버(111) 상에는 비아홀(141)이 형성되어 있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와 비아홀(141)은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밖의 측벽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오븐 챔버(11)의 헤드벽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전자 레인지(100B) 내에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를 장착하기 적합한 장착부(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장착부(14)는 오븐 챔버(11)의 측벽의 일부분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비아홀(141)은 장착부(14) 상에 형성된다. 물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밖의 헤드벽(미도시)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해 가능한 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 장착부(14)의 형상, 성형 방식 등은 실제 요구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된 것으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64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격판(13) 상에는 64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가 대응되게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해동 시,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되 도 39를 결합 참조하면, 먼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장입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육류 초기 온도를 스캐닝하며, 아울러 육류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14개)을 통계한 다음, 전자 레인지(100B)의 제어 패널(2) 상의 해동 키(22)를 눌러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육류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 1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되,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6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 4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데, 이때 해동 과정은 종료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그와 상호 연결된 모터(6)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8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격판(13) 상에는 8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가 대응되게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8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격판(13) 상에서 한가닥의 직선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해동 시,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되 도 40을 결합 참조하면, 먼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장입하고, 스테퍼 모터가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를 구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전체 표면 스캐닝을 구현하며, 육류의 초기 온도를 검출하고, 아울러 스캐닝을 통하여 육류 표면에 분포된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15개)을 획득한 다음, 전자 레인지(100B)의 제어 패널(2) 상의 해동 키(22)를 눌러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육류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바, 육류 해동을 위한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 작동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 1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되,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6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 4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데,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이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데, 이때 해동 과정은 종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는, 본 발명의 상술한 제 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해동 후의 음식물(예를 들면 육류)의 영양 손실이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의 기타 구성 및 동작은 해당 분야의 당업자들이 이미 주지하고 있는 것으로,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해 가능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100B)의 구조와 동일한 바, 편폭을 줄이기 위해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의 구조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전자 레인지(100B)의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이하, 도 36 - 도 4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전자 레인지(100B)는 해동 키(22) 및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해동 키(22)를 누르면,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장입된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장입된 음식물(200)은 예컨대 육류(돼지고기, 닭고기, 물고기 등을 포함)일 수 있다. 여기서, 부연하자면,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마이크로파 소스(31), 마이크로파 소스 에너지 공급 장치(32), 웨이브 가이드(33) 등을 포함]의 구조 및 동작 원리 등은 이미 해당 분야의 당업자들에 의해 공지된 내용으로서,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 레인지(100B) 중에는 회전 가능한 가열 안테나(34)가 구비되어 있고, 당해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S4101: 전자 레인지(100B) 내의 음식물(200)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검출한다.
S4102: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안테나(34)의 가열 각도를 결정한다.
S4103: 가열 각도에 근거하여 가열 안테나(34)가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단계(S4101) 중,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 및 음식물(200) 상에서의 분포 상황은 실제 요구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200)이 전자 레인지(100B) 내의 격판(13) 상에 거치된 경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격판(13) 상에서 매트릭스 배열 분포를 이룰 수 있는데, 이때 음식물(200)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도 다중 행(row) 다중 열(column) 분포를 이룰 수 있다. 또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격판(13) 상의 한개의 점을 원심으로 하여 다중 턴(turn)수의 링 형상 분포를 이룰 수도 있는데, 턴 각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를 포함하며, 이때 격판(13) 상의 적어도 일부분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음식물(200) 상에 중첩되어 더욱 이상적인 검출 효과를 달성한다.
단계(S4102 및 S4103) 중에서, 전자 레인지(100B)이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과정 중,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여 가열 안테나(34)의 가열 각도가 결정되도록 하고, 가열 각도가 결정된 후,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이 해동되도록 가열 안테나(34)를 가열 각도에까지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단계(S4102) 중에서,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의 최저 온도 포인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단계(S4103) 중에서, 가열 안테나(34)를 제어하되 최저 온도 포인트에까지 회전되도록 제어하여 해동되는 음식물 상의 최저 온도 포인트로 하여금 보다 강력한 마이크로파 가열을 받게 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안테나(34)의 가열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비교적 이상적인 해동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전자 레인지(100B)의 해동 영양 유실, 부분적 숙성 현상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의 음식물 해동 제어 방법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에 근거하여 음식물(200)을 해동시킴으로써 이상적인 해동 효과가 구현된다.
단계(S4101)와 단계(S4102) 사이에서,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S41011: 가열 안테나(34)가 등속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S41012: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의 30% 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해동 과정은 단계(S4102)에 진입하도록 제어된다.
다시말하면, 전자 레인지(100B) 내의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제어를 받아 작동된 후, 먼저 가열 안테나(34)가 등속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균일하게 해동시키고; 해동 과정 중,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배향 가열 모드를 작동시킨다. 즉,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의 최저 온도 포인트를 판단하고, 가열 안테나(34)를 회전시켜 소정 위치에 도달시키며, 예컨대 육류와 같은 해동되는 음식물 상의 최저 온도 포인트로 하여금 더욱 강력한 마이크로파 가열을 받게 한다.
단계(S4103) 이후,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S4104: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 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이 정지된다.
다시말하면, 해동 과정 중, 예컨대 육류와 같은 해동되는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되,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에 대한 해동을 정지하는데, 이때 해동 과정은 종료된다.
여기서, 단계(S4101) 중에서,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에 의해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초기 온도를 스캐닝하고,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을 통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9의 예시 중에서,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은 모두 각각 14개씩이고, 도 40의 예시 중에서,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은 모두 각각 15개씩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자 레인지(100B) 내에는 오븐 챔버(11)가 정의되며, 오븐 챔버(11)는 격판(13)에 의해 조리 챔버(111) 및 그 조리 챔버(111) 하방에 위치한 가열 챔버(112)로 분리 이격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밖에 설치되되 조리 챔버(1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조리 챔버(111) 상에는 비아홀(141)이 형성되어 있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는 비아홀(141)과 대응된다.
선택 가능하게,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밖의 측벽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오븐 챔버(11)의 헤드벽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전자 레인지(100B) 내에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를 장착하기 적합한 장착부(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장착부(14)는 오븐 챔버(11)의 측벽의 일부분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비아홀(141)은 장착부(14) 상에 형성된다. 물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밖의 헤드벽 상(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해 가능한 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 장착부(14)의 형상, 성형 방식 등은 실제 요구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M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39의 예시 중에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1-64 등 도합 64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고; 도 40의 예시 중에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1-8 등 도합 8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가 회전되면 격판(13)의 전체 표면 스캐닝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예컨대 스테퍼(stepper) 모터와 같은 모터(6)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는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에 의해 검출 획득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의 표면에는 14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가 분포되는데, 번호는 각각 20, 21, 22, 27, 28, 29, 30, 35, 36, 37, 38, 43, 44, 45 이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을 통해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 표면에 분포된 15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를 획득한다.
여기서, N 및 M 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N 은 M 보다 작거나 같다.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이 전체 격판(13)의 상부 표면을 덮는 경우, N 과 M 는 동일하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된 것으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64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격판(13) 상에는 64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가 대응되게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해동 시,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되 도 39를 결합 참조하면, 먼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장입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육류 초기 온도를 스캐닝하며, 아울러 육류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14개)을 통계한 다음, 전자 레인지(100B)의 제어 패널(2) 상의 해동 키(22)를 눌러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육류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가열 안테나(34)가 등속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육류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며,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배향(orientation) 가열 모드를 작동시킨다.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의 최저 온도 포인트를 판단하고, 가열 안테나(34)를 회전시켜 소정 위치에 도달하게 하며, 육류 상의 최저 온도 포인트로 하여금 더욱 강력한 마이크로파 가열을 받게 한다.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고,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데, 이때 해동 과정은 종료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그와 상호 연결된 모터(6)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8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격판(13) 상에는 8 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가 대응되게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8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격판(13) 상에서 한가닥의 직선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해동 시,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되 도 40을 결합 참조하면, 먼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장입하고, 스테퍼 모터가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를 구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전체 표면 스캐닝을 구현하며, 육류의 초기 온도를 검출하고, 아울러 스캐닝을 통하여 육류 표면에 분포된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15개)을 획득한 다음, 전자 레인지(100B)의 제어 패널(2) 상의 해동 키(22)를 눌러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육류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바, 육류 해동을 위한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 작동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가열 안테나(34)가 등속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육류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며,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배향 가열 모드를 작동시킨다.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의 최저 온도 포인트를 판단하고, 가열 안테나(34)를 회전시켜 소정 위치에 도달하게 하며, 육류 상의 최저 온도 포인트로 하여금 더욱 강력한 마이크로파 가열을 받게 한다.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고,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데, 이때 해동 과정은 종료된다.
해동 과정이 종료된 후,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의 온도는 -3℃~0℃ 이며, 바람직하게는 -1℃ 이다. 따라서, 신속한 해동이 구현 가능하고, 해동이 균일하며, 영양 손실이 수반하지 않는다. 이외에, -1℃를 음식물 해동의 종점 온도로서 적용하면 적어도 하기 우점들을 구비한다. (1)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영양이 더욱 풍부하고; (2) 해동 후의 음식물은 더욱 위생적이며; (3) 해동 후의 음식물은 온도차가 더욱 낮고, 숙성 변색 현상이 존재하지 않으며; (4) 해동 후의 음식물은 전단력이 알맞춤하고, 절단 및 조작하기 더욱 용이하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는 오븐 바디(1), 온도 측정 장치 및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 레인지(100B)는 본 발명의 상술한 제 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을 적용하여 음식물(200)을 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븐 바디(1) 내에는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거치하기 적합한 오븐 챔버(11)가 정의되고, 제어 패널(2)은 오븐 바디(1) 상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오븐 바디(1)의 전방 표면 상에 설치되고, 제어 패널(2)은 해동 키(22)를 구비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오븐 바디(1) 내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마이크로파를 오븐 챔버(11) 내로 방출하여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이 해동되도록 한다.
온도 측정 장치는 음식물(200)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오븐 바디(1) 내에 설치된다. 선택 가능하게, 온도 측정 장치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이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바디(1) 내의 상부에 설치된다.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36을 참조하면, 오븐 챔버(11)는 격판(13)을 통해 조리 챔버(111) 및 그 조리 챔버(111) 하방에 위치하는 가열 챔버(112)로 분리 이격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밖에 설치되되 조리 챔버(1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조리 챔버(111) 상에는 비아홀(141)이 형성되어 있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와 비아홀(141)은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밖의 측벽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오븐 챔버(11)의 헤드벽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전자 레인지(100B) 내에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를 장착하기 적합한 장착부(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장착부(14)는 오븐 챔버(11)의 측벽의 일부분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비아홀(141)은 장착부(14) 상에 형성된다. 물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오븐 챔버(11) 밖의 헤드벽(미도시)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해 가능한 바,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 장착부(14)의 형상, 성형 방식 등은 실제 요구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한 한정을 하지 않는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된 것으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64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격판(13) 상에는 64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가 대응되게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해동 시,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되 도 39를 결합 참조하면, 먼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장입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육류 초기 온도를 스캐닝하며, 아울러 육류 상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14개)을 통계한 다음, 전자 레인지(100B)의 제어 패널(2) 상의 해동 키(22)를 눌러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육류에 대한 해동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가열 안테나(34)가 등속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육류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며,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배향 가열 모드를 작동시킨다.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의 최저 온도 포인트를 판단하고, 가열 안테나(34)를 회전시켜 소정 위치에 도달하게 하며, 육류 상의 최저 온도 포인트로 하여금 더욱 강력한 마이크로파 가열을 받게 한다.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고,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데, 이때 해동 과정은 종료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그와 상호 연결된 모터(6)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고,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는 8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며, 격판(13) 상에는 8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가 대응되게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8개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는 격판(13) 상에서 한가닥의 직선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해동 시,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되 도 40을 결합 참조하면, 먼저 예컨대 육류와 같은 음식물(200)을 전자 레인지(100B) 내에 장입하고, 스테퍼 모터가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5)를 구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전체 표면 스캐닝을 구현하며, 육류의 초기 온도를 검출하고, 아울러 스캐닝을 통하여 육류 표면에 분포된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수량(15개)을 획득한 다음, 전자 레인지(100B)의 제어 패널(2) 상의 해동 키(22)를 눌러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육류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바, 육류 해동을 위한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 작동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가열 안테나(34)가 등속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육류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며,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3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배향 가열 모드를 작동시킨다.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의 최저 온도 포인트를 판단하고, 가열 안테나(34)를 회전시켜 소정 위치에 도달하게 하며, 육류 상의 최저 온도 포인트로 하여금 더욱 강력한 마이크로파 가열을 받게 한다.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를 끊임 없이 검출하고, 육류 상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 중 80% 의 온도 측정 포인트(131)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데, 이때 해동 과정은 종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는, 본 발명의 상술한 제 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100B) 해동의 제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해동 후의 음식물(예를 들면 육류)의 영양 손실이 없도록 한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 있어서, 참고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기재는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부하여 기술된 구체적 구성요소, 구조, 재질 또는 특점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중에서, 상기 용어의 개략성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필연적인 상대로 하지 않는다. 또한, 기술된 구체적 구성요소, 구조, 재질이나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혹은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밖에, 상호 모순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분야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 그 자체, 그리고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의 구성요소를 결합 및 조합할 수 있다.
흐름도 또는 본 명세서 중에서 기타 형태로 기재된 임의의 과정이나 방법 관련 설명은 하기와 같이 이해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중 개수의 특정 로직 기능이나 과정의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 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코드 모듈, 단편 혹은 부분을 표시하되,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범위는 기타 구현방식도 포함하는 바, 도시 또는 기재된 순서와는 다르게 언급된 기능은 기본적인 차원에서 동시 진행되는 방식 또는 반대 순서에 따라 진행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 점은 응당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소속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흐름도에 도시되었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타 방식으로 개시한 로직 및/또는 단계는, 가령 로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실행 가능 명령의 고정 서열 테이블로 간주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되어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터 기반의 시스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기타의 명령어 실행 시스템이나 장치 혹은 디바이스로부터 명령을 획득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한 활용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이들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나 디바이스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추어 설명하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디바이스 혹은 이들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디바이스의 결합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포함, 저장, 송수신, 전파 또는 전송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더욱 구체적인 예시(비철저성 리스트)에는 하기 요소들이 포함된다. 즉, 하나 또는 복수의 배선을 구비한 전기적 접속부(전자 장치); 휴대형 컴퓨터 카트리지(자기 장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밍 판독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 섬유 장치; 및 휴대형 광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이다. 이밖에,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심지어 그 위에 상기 프로그램을 프린팅할 수 있는 종이 또는 기타 적절한 매체일 수 있는데, 그 이유를 예시적으로 제시하면 하기와 같다. 종이 또는 기타 매체에 대한 광학 주사를 거친 뒤, 이어서 편집, 해석 또는 필요시 기타 적절한 방식에 따른 처리를 통해 전자 방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획득하며, 연후에 그것을 컴퓨터 메모리 중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출원의 각 부분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단계 또는 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되되 적절한 명령어 실행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할 경우, 다른 일 실시 방식 중의 형태와 동일하게 해당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주지된 하기 기술들 중의 임의의 한가지 또는 그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신호에 대한 로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마련된 로직 게이트 회로가 구비된 이산 로직 회로; 적절한 조합 로직 게이트 회로를 구비한 전용 집적회로; 프로그래밍 지원형 게이트 어레이(PGA); 및 필드 프로그래밍 지원형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이다.
해당 기술분야의 일반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의 방법에 포함된 전부 또는 일부분 단계를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련 하드웨어를 명령하는 경로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중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당해 프로그램은 실행 시 방법 실시예의 단계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기능유닛 각각은 하나의 처리모듈 중에 집적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독립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만은 하나의 모듈에 집적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집적된 모듈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 가능한 것은 물론, 소프트웨어 기능모듈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모듈이 소프트웨어 기능모듈 형식으로 구현되되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기입 지원형 저장매체 중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언급된 저장매체는 판독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상기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에 대한 한정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일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한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10A, 110B: 수신 모듈 120A: 해동 모듈
120B: 검출 모듈 130A, 130B: 제어 모듈
210A, 210B: 수신 모듈 220A: 해동 모듈
220B: 검출 모듈 230A, 230B: 제어 모듈
100A, 100B: 전자 레인지 1: 오븐 바디
11: 오븐 챔버 12: 오븐 다리부
13: 격판 14: 장착부
111: 조리 챔버 112: 가열 챔버
131: 온도 측정 포인트 141: 비아홀
2: 제어 패널 21: 디스플레이 스크린
22: 해동 키 31: 마이크로파 소스
32: 마이크로파 소스 에너지 공급 장치 33: 웨이브 가이드
34: 가열 안테나 35: 교반 시트
4: 무게 센서 5: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
6: 모터 200: 음식물

Claims (107)

  1.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해동 명령을 수신하는 S1단계;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는 S2단계; 및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S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3 단계는,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하는 S4 단계;
    상기 음식물의 무게(x)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은, "T=K(x/100)초"이되, "20초/그램≤K≤120초/그램"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마련되는 S31A단계; 및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으로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S32A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32A 단계는, 순차적으로 연속된 복수의 시간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S32A 단계는,
    제 1 시간 구간(t1) 내에서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S321단계;
    제 2 시간 구간(t2) 내에서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20%~40% 인 S322 단계;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30%~60% 인 S323 단계; 및
    제 4 시간 구간(t4) 내에서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0%~30% 인 S32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는,
    해동 시간, 해동 가열 전력 또는 가열 방향 중의 1개 또는 복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레인지는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S2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해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S5 단계; 및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S31B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 레인지는 해동 키를 구비하되,
    상기 해동 키의 터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구간(t1),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상기 제 3 시간 구간(t3) 및 상기 제 4 시간 구간(t4)은 각각 하기 조건을 만족하되,
    t1=K(n+1+a)/4;
    t2=K(n-1-a)/4;
    t3=K(n+1-a)/4;
    t4=K(n-1+a)/4,
    그 중, “n=x/100그램”이고, “a=[1+(-1)n]/2”인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322 단계와 S323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음식물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S3221A 단계; 및
    음식물이 뒤집힌 것을 검출한 후, 해동 과정이 상기 S323 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S3222A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322 단계와 S323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S3221B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것을 검출한 후, 해동 과정이 상기 S323 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S3222B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무게 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S31B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M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는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에 의해 검출 획득되되, N 및 M 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N 은 M 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S31B단계는,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의 온도 검출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31B 단계는,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S311 단계;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20%~40% 인 S312 단계;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60% 의 온도 검출값이 -4℃ 보다 큰 경우,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인 S313 단계;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3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0%~30% 인 S314 단계; 및
    상기 N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 중의 80% 의 온도 검출값이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 S31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레인지에는 회전 가능한 가열 안테나가 구비되되, 상기 S3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의 가열 각도를 결정하는 S31C 단계; 및
    상기 가열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를 제어하되 상기 가열 안테나가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게 하는 S32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31C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최저 온도 포인트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S32C 단계에서, 상기 가열 안테나가 상기 최저 온도 포인트에까지 회전되어 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와 상기 S31C 단계 사이에는,
    상기 가열 안테나를 등속 회전하게 제어하는 S6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30% 의 온도가 -4℃ 보다 큰 경우, 해동 과정이 상기 S31C 단계에 진입되게 제어하는 S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3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32C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 중의 80% 의 온도가 -3~0℃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31.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해동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작동하여 해동을 수행하기 위한 해동 모듈; 및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음식물의 무게(x)에 근거하여 전체 해동 시간(T)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은, "T=K(x/100)초"이되, "20초/그램≤K≤120초/그램"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마련하는 역할; 및
    상기 해동 조건을 제어하며, 상기 전체 해동 시간(T)으로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마련하는 역할을 일으키고,
    순차적으로 연속된 복수의 시간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력 레벨을 적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해동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제 1 시간 구간(t1) 내에서 제 1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화력 레벨은 최대 화력의 30%~6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제 2 시간 구간(t2) 내에서 제 2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2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20%~4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3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30%~6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 및
    제 4 시간 구간(t4) 내에서 제 4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되, 상기 제 4 화력 레벨은 상기 최대 화력의 0%~30% 가 되게 마련하는 역할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무게(x)를 판단하기 위해 더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33. 삭제
  34. 삭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구간(t1),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상기 제 3 시간 구간(t3) 및 상기 제 4 시간 구간(t4)은 각각 하기 조건을 만족하되,
    t1=K(n+1+a)/4;
    t2=K(n-1-a)/4;
    t3=K(n+1-a)/4;
    t4=K(n-1+a)/4,
    그 중, "n=x/100그램"이고, "a=[1+(-1)n]/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36. 제31항, 제32항,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음식물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역할; 및
    음식물이 뒤집힌 것을 검출한 후,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더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37. 제31항, 제32항,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2 시간 구간(t2) 이후에 해동 과정이 임시 중단되도록 제어하되 음식물을 뒤집도록 힌트 제시하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재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역할; 및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가 작동된 것을 검출한 후, 제 3 시간 구간(t3) 내에서 제 3 화력 레벨로 해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더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 상의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며,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도록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물에 대한 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내에 설치된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며,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서는 M 개의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음식물 상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는 N 개의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 센싱 프로브에 의해 검출 획득되되,
    N 및 M 는 모두 양의 정수이며, N 은 M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레인지 중에는 회전 가능한 가열 안테나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포인트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의 가열 각도를 결정하는 역할; 및
    상기 가열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 안테나를 제어하되 상기 가열 안테나가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온도가 -3~0℃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41. 제31항, 제32항,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레인지 중의 음식물의 온도가 -1℃를 유지하도록 해동 조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
    제31항, 제32항,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
  58. 삭제
  59. 삭제
  60.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
    오븐 바디, 제어 패널,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오븐 바디 내에는 오븐 챔버가 정의되고, 상기 음식물은 상기 오븐 챔버 내에 거치하기 적합하며;
    상기 제어 패널은 상기 오븐 바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패널은 해동 키 및 작동 키를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상기 오븐 바디 내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는 상기 음식물이 해동되도록 상기 오븐 챔버 내부를 향해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KR1020177011292A 2014-09-25 2015-09-25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 레인지 KR102042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499395.4A CN104235901A (zh) 2014-09-25 2014-09-25 微波炉的食物解冻控制方法及微波炉
CN201410499543.2A CN104235903A (zh) 2014-09-25 2014-09-25 微波炉的食物解冻控制方法及微波炉
CN201410499499.5 2014-09-25
CN201410499395.4 2014-09-25
CN201410499499.5A CN104235902B (zh) 2014-09-25 2014-09-25 微波炉的食物解冻控制方法及微波炉
CN201410499543.2 2014-09-25
CN201410510143.7A CN104266236A (zh) 2014-09-28 2014-09-28 微波炉解冻的控制方法、装置及微波炉
CN201410508374.4A CN104235904A (zh) 2014-09-28 2014-09-28 微波炉解冻的控制方法、装置及微波炉
CN201410510143.7 2014-09-28
CN201410508374.4 2014-09-28
PCT/CN2015/090806 WO2016045629A1 (zh) 2014-09-25 2015-09-25 微波炉解冻的控制方法、装置及微波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225A KR20170072225A (ko) 2017-06-26
KR102042199B1 true KR102042199B1 (ko) 2019-11-07

Family

ID=5558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292A KR102042199B1 (ko) 2014-09-25 2015-09-25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 레인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20170280518A1 (ko)
EP (3) EP3199873A4 (ko)
JP (1) JP6526183B2 (ko)
KR (1) KR102042199B1 (ko)
AU (1) AU2015320087A1 (ko)
BR (1) BR112017006266A2 (ko)
CA (1) CA2962660C (ko)
RU (1) RU2671654C2 (ko)
WO (1) WO2016045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8056B1 (en) 2016-08-09 2020-06-03 John Bean Technologies Corporation Radio frequenc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DE102022204877A1 (de) 2022-05-17 2023-11-23 BSH Hausgeräte GmbH Betreiben eines Haushalts-Mikrowellengeräts mit IR-Kamera
US20240015862A1 (en) * 2022-07-07 2024-01-11 Aquachile Inc. Microwave Thawing Process for Salmo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3168A (en) * 1980-09-24 1983-11-01 Raytheon Company Heating time coupling factor for microwave oven
JPS58158430A (ja) * 1982-03-16 1983-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JPS5927133A (ja) * 1982-08-05 1984-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FR2558997B1 (fr) * 1984-01-31 1989-02-03 Thomson Csf Amplificateur correcteur du temps de propagation de groupe de signaux electriques et chaine d'amplification a frequence intermediaire de faisceaux hertziens comportant un tel amplificateur
JPS60258895A (ja) * 1984-06-04 1985-1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SU1830197A3 (ru) * 1990-11-16 1993-07-23 Удaлob Baлehtиh Hиkoлaebич c b ч-paзmopaжиbateль
JPH06101847A (ja) * 1992-09-22 1994-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CN2200770Y (zh) * 1994-08-03 1995-06-14 陈焕文 微波解冻器
SE505555C2 (sv) * 1995-12-21 1997-09-15 Whirlpool Europ Förfarande för styrning av ett uppvärmningsförlopp i en mikrovågsugn samt mikrovågsugn
KR970062531A (ko) * 1996-02-23 1997-09-12 김광호 전자렌지의 구동제어방법
SE520882C2 (sv) * 1999-01-15 2003-09-09 Whirlpool Co Förfarande för tining av frusen mat i en mikrovågsugn
JP3762580B2 (ja) * 1999-08-12 2006-04-05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KR20030056982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해동제어방법
CN1450310A (zh) * 2002-04-09 2003-10-2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的解冻控制方法
CN1704674A (zh) * 2004-05-27 2005-12-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的解冻控制方法
US8653482B2 (en) * 2006-02-21 2014-02-18 Goji Limited RF controlled freezing
JP4979280B2 (ja) * 2006-06-19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イクロ波加熱装置
US20090236334A1 (en) * 2006-07-10 2009-09-24 Rf Dynamics Ltd Food preparation
KR100991764B1 (ko) * 2008-05-29 2010-11-03 이진희 냉동식품 해동 방법
KR101931361B1 (ko) * 2012-08-29 2018-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 측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US9420641B2 (en) * 2013-01-23 2016-08-16 Whirlpool Corporation Microwave oven multiview silhouette volume calculation for mass estimation
CN104266236A (zh) * 2014-09-28 2015-01-0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解冻的控制方法、装置及微波炉
CN104235902B (zh) * 2014-09-25 2017-06-1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的食物解冻控制方法及微波炉
CN104235904A (zh) * 2014-09-28 2014-12-2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解冻的控制方法、装置及微波炉
CN104235903A (zh) * 2014-09-25 2014-12-2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的食物解冻控制方法及微波炉
CN104235901A (zh) * 2014-09-25 2014-12-2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的食物解冻控制方法及微波炉
CN104879803B (zh) * 2015-05-21 2017-10-2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及用于微波炉的解冻控制方法、装置
JP7056248B2 (ja) * 2018-03-09 2022-04-1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88181B2 (en) 2020-03-10
EP3199873A4 (en) 2018-05-16
EP3285007A3 (en) 2018-06-20
RU2017114102A3 (ko) 2018-10-29
KR20170072225A (ko) 2017-06-26
EP3285548A1 (en) 2018-02-21
RU2017114102A (ru) 2018-10-29
JP6526183B2 (ja) 2019-06-05
EP3199873A1 (en) 2017-08-02
AU2015320087A1 (en) 2017-05-11
US20170202060A1 (en) 2017-07-13
JP2017528681A (ja) 2017-09-28
WO2016045629A1 (zh) 2016-03-31
CA2962660A1 (en) 2016-03-31
US20170280518A1 (en) 2017-09-28
RU2671654C2 (ru) 2018-11-06
US20170196050A1 (en) 2017-07-06
EP3285548B1 (en) 2020-12-09
BR112017006266A2 (pt) 2017-12-12
EP3285007A2 (en) 2018-02-21
US10397990B2 (en) 2019-08-27
CA2962660C (en)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4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oking process of food
KR102042199B1 (ko) 전자 레인지의 해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 레인지
US9414442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using RF oven
US9265097B2 (en) Processing objects by radio frequency (RF) energy
US94626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ing using RF energy
US20210307368A1 (en) Temperature controlled thawing method and apparatus
Llave et al. Radio frequency processing and recent advances on thawing and tempering of frozen food products
Wählby et al. Impact of impingement on cooking time and food quality
CN111365937A (zh) 冰箱解冻控制方法、冰箱、可读取存储介质及控制器
US20080216673A1 (en) Underwater thawing and freezing device using complex wave motions
CN104266236A (zh) 微波炉解冻的控制方法、装置及微波炉
RU266476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внутри продукта питания
CN104235904A (zh) 微波炉解冻的控制方法、装置及微波炉
CN109419305A (zh) 控制方法及控制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及烹饪设备
AU2017202618B2 (en) Microwave oven and thaw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the same
CN104595943A (zh) 微波炉及其控制方法
CN104235902A (zh) 微波炉的食物解冻控制方法及微波炉
RU27964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20210030695A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감량기 제어 방법
TWM500459U (zh) 麵包的預烘焙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