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566B1 - 포장용기 제대기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제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566B1
KR102041566B1 KR1020190084499A KR20190084499A KR102041566B1 KR 102041566 B1 KR102041566 B1 KR 102041566B1 KR 1020190084499 A KR1020190084499 A KR 1020190084499A KR 20190084499 A KR20190084499 A KR 20190084499A KR 102041566 B1 KR102041566 B1 KR 102041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and
packaging container
film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진혁
Original Assignee
차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진혁 filed Critical 차진혁
Priority to KR102019008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087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 B01J19/08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giving rise to electric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7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26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involving longitudinally folding, i.e. along a lin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1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을 포장용기로 가공하는 포장용기 제대기는, 필름을 모터와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이송 경로를 통해 공급하는 공급부와, 2중으로 공급되는 필름의 소정위치를 열압착시키는 실링부와, 실링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되는 필름을 일정한 양만큼 적층시키는 적층부로 구성된 제1 가공부 및 상기 제1 가공부의 적층부에 적층되는 포장용기를 픽업하여 다음 가공 장치로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ㅁ송되는 포장용기의 일측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 가공하는 펀칭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펀칭 가공된 포장용기를 정렬하여 회수 가능하도록 간헐 이송하는 회수부로 구성된 제2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가공부는, 상기 필름 상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용기 제대기 {A processing machine of a packing container}
아래의 실시예들은 포장용기 제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 제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중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열 압착 및 절단하여 포장용기로 가공 후, 포장용기의 일측 부분에 손잡이를 가공하여 자동 회수토록 하는 과정이 하나의 장비에서 일련의 작업으로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일련의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포장용기 가공 작업 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용이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포장용기 제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의 제조 과정은 권취된 필름 원단을 2겹이 되도록 접어서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 공급하고, 공급되는 필름 원단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를 열 압착시킨 후, 열 압착된 부분의 중간부분을 절단하는 포장용기 1차 가공과, 1차 가공에서 일정한 양으로 적층 정렬된 포장용기를 별도의 펀칭기로 이동시켜 포장용기의 일측단을 손잡이 모양을 펀칭 가공하는 포장용기 2차 가공으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 과정으로 진행되는 종래의 포장용기 제대기는 필름을 모터와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이송 경로를 통해 공급하는 공급부와, 2중으로 공급되는 필름의 소정위치를 열압착시키는 실링부와, 실링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되는 필름을 일정한 양만큼 적층시키는 적층부로 구성된 1차 가공부인 제대기와, 이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1차 가공된 필름의 일측 단부에 손잡이를 형성하는 2차 가공부인 펀칭기로 나뉘어져 있다.
이와 같이 1차 가공부와 2차 가공부의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가공중인 필름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이송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필요한 작업 공정에 따른 작업시간의 증가 등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펀칭기의 사용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부주의에 의한 사고 발생이 잦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국내 공개 특허 공보 제1995-0011853호는 "제대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제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포장용기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제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을 포장용기로 가공하는 포장용기 제대기는, 필름을 모터와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이송 경로를 통해 공급하는 공급부와, 2중으로 공급되는 필름의 소정위치를 열압착시키는 실링부와, 실링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되는 필름을 일정한 양만큼 적층시키는 적층부로 구성된 제1 가공부 및 상기 제1 가공부의 적층부에 적층되는 포장용기를 픽업하여 다음 가공 장치로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용기의 일측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 가공하는 펀칭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펀칭 가공된 포장용기를 정렬하여 회수 가능하도록 간헐 이송하는 회수부로 구성된 제2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가공부는, 상기 필름 상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제거부는 복수 개의 정전기 제거요소로 구성되고, 제1 정전기 제거요소는 상기 실링부와 상기 절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정전기 제거요소는 이오나이저(ionizer)로 형성되어 전압을 방전시켜 얻어지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상기 필름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필름 상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며, 제2 정전기 제거요소는 상기 절단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정전기 제거요소는 일단이 상기 절단부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필름의 일 부분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포장용기 제대기가 배치된 지면상에 접지되어 상기 필름 상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공부는, 상기 회수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회수부 상에 정렬된 가공된 포장용기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광센서요소, 상기 광센서요소에 의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가공된 포장용기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포장용기 위을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롤러요소 및 상기 흡착롤러요소가 상기 포장용기 위를 이동할 때, 상기 포장용기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포장용기를 상기 회수부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장용기 제대기는, 상기 제1 가공부 및 상기 제2 가공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용기 제대기 상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탄성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포장용기 제대기는, 상기 제1 가공부 및 상기 제2 가공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용기 제대기 상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탄성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물체를 지지하는 제1 스탠드; 및 다른 제2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탠드는, 상기 상부 설치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아;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측에 안착되는 물체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물체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는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는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포장용기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는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제대기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제대기의 탄성 지지대를 나타낸다.
도4 내지 도8은 도3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제대기의 탄성 지지대를 나타낸다.
도10 및 도11은 도9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14는 도9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제대기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제대기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제대기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 및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제대기를 나타내며,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제대기의 탄성 지지대를 나타낸다. 도4 내지 도8은 도3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며,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제대기의 탄성 지지대를 나타낸다. 도10 및 도11은 도9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12 내지 도14는 도9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을 포장용기로 가공하는 포장용기 제대기(10)는, 필름을 모터와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이송 경로를 통해 공급하는 공급부(110)와, 2중으로 공급되는 필름의 소정위치를 열압착시키는 실링부(120)와, 실링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130)와, 절단되는 필름을 일정한 양만큼 적층시키는 적층부(140)로 구성된 제1 가공부(100) 및 상기 제1 가공부의 적층부에 적층되는 포장용기를 픽업하여 다음 가공 장치로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부(210)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용기의 일측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 가공하는 펀칭부(220)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펀칭 가공된 포장용기를 정렬하여 회수 가능하도록 간헐 이송하는 회수부(230)로 구성된 제2 가공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가공부(100)는, 상기 필름 상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제거부는 복수 개의 정전기 제거요소로 구성되고, 제1 정전기 제거요소(151)는 상기 실링부(120)와 상기 절단부(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정전기 제거요소(151)는 이오나이저(ionizer)로 형성되어 전압을 방전시켜 얻어지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상기 필름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필름 상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며, 제2 정전기 제거요소(152)는 상기 절단부(130)와 상기 적층부(1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정전기 제거요소(152)는 일단이 상기 절단부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필름의 일 부분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포장용기 제대기가 배치된 지면상에 접지되어 상기 필름 상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공부(200)는, 상기 회수부(23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이물질 제거부(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240)는, 상기 회수부 상에 정렬된 가공된 포장용기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광센서요소, 상기 광센서요소에 의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가공된 포장용기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포장용기 위를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롤러요소 및 상기 흡착롤러요소가 상기 포장용기 위를 이동할 때, 상기 포장용기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포장용기를 상기 회수부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2를 참조하면, 포장용기 제대기는, 제1 가공부(100) 및 제2 가공부(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포장용기 제대기 상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탄성 지지대(400, 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상판(410)은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420)는,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도4 내지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3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4를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6을 참조하면,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4325)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4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4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4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4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4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500)는, 몸체부(510),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포함한다. 몸체부(5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스탠드(520a, 520b, 520c, 530a, 530b, 530c)가 연결 설치된다.
제1 스탠드(520)는,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물체를 지지한다.
제2 스탠드(530)는,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몸체부(510)를 지지한다.
도9의 제2 스탠드(5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0을 참조하면, 몸체부(510)는, 바디(511), 상부 설치홈(512), 하부 설치홈(513), 탄성 지지체(514) 및 충격흡수 패드(515)를 포함한다.
바디(511)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512) 및 하부 설치홈(513)에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설치홈(512)은, 제1 스탠드(5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스탠드(5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설치홈(513)은,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스탠드(5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러 하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지지체(514)는, 상부 설치홈(512)에 설치된 제1 스탠드(520) 또는 하부 설치홈(513)에 설치된 제2 스탠드(53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제1 스탠드(520)의 일측면과 상부 설치홈(512)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제2 스탠드(530)의 일측면과 하부 설치홈(513)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지지한다.
충격흡수 패드(515)는, 제1 스탠드(520) 또는 제2 스탠드(53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설치홈(512)의 입구 및 하부 설치홈(5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 설치홈(513)의 내부 형성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설치홈(512)의 형성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12을 참조하면, 제1 스탠드(520)는, 지지바아(521), 받침대(522) 및 슬라이딩 패드(523)를 포함한다. 지지바아(521)는, 상부 설치홈(5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탄성 지지체(5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받침대(52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홈(5211)을 형성한다.
받침대(522)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지바아(5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5211)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패드(523)는,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14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142)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받침대(522)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522)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5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패드(523)는, 슬라이딩홈(522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5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토류벽이 하강함에 따라 결속홈(142)을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패드(523)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받침대(522)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바아(521)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는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포장용기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는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포장용기 제대기
100 : 제1 가공부
200 : 제2 가공부
400 : 탄성 지지대
500 : 탄성 지지대

Claims (5)

  1. 필름을 포장용기로 가공하는 포장용기 제대기에 있어서,
    필름을 모터와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이송 경로를 통해 공급하는 공급부와, 2중으로 공급되는 필름의 소정위치를 열압착시키는 실링부와, 실링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되는 필름을 일정한 양만큼 적층시키는 적층부로 구성된 제1 가공부; 및
    상기 제1 가공부의 적층부에 적층되는 포장용기를 픽업하여 다음 가공 장치로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용기의 일측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 가공하는 펀칭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펀칭 가공된 포장용기를 정렬하여 회수 가능하도록 간헐 이송하는 회수부로 구성된 제2 가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공부는,
    상기 필름 상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전기 제거부는 복수 개의 정전기 제거요소로 구성되고,
    제1 정전기 제거요소는 상기 실링부와 상기 절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정전기 제거요소는 이오나이저(ionizer)로 형성되어 전압을 방전시켜 얻어지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상기 필름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필름 상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며,
    제2 정전기 제거요소는 상기 절단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정전기 제거요소는 일단이 상기 절단부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필름의 일 부분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포장용기 제대기가 배치된 지면상에 접지되어 상기 필름 상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며,
    상기 제2 가공부는,
    상기 회수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이물질 제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회수부 상에 정렬된 가공된 포장용기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광센서요소;
    상기 광센서요소에 의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가공된 포장용기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포장용기 위을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롤러요소; 및
    상기 흡착롤러요소가 상기 포장용기 위를 이동할 때, 상기 포장용기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포장용기를 상기 회수부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요소;
    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제대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부 및 상기 제2 가공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용기 제대기 상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탄성 지지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포장용기 제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부 및 상기 제2 가공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용기 제대기 상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탄성 지지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물체를 지지하는 제1 스탠드; 및 다른 제2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탠드는, 상기 상부 설치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아;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측에 안착되는 물체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물체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제대기.

KR1020190084499A 2019-07-12 2019-07-12 포장용기 제대기 KR102041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99A KR102041566B1 (ko) 2019-07-12 2019-07-12 포장용기 제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99A KR102041566B1 (ko) 2019-07-12 2019-07-12 포장용기 제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566B1 true KR102041566B1 (ko) 2019-11-07

Family

ID=6857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499A KR102041566B1 (ko) 2019-07-12 2019-07-12 포장용기 제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116A (ko) * 2021-02-08 2022-08-17 이성규 거셋 백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571B1 (ko) * 2002-07-04 2004-12-08 이광천 비닐백 제대기
KR101517061B1 (ko) * 2014-10-31 2015-05-04 (주)바이텍테크놀로지 종이박스용 다이커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571B1 (ko) * 2002-07-04 2004-12-08 이광천 비닐백 제대기
KR101517061B1 (ko) * 2014-10-31 2015-05-04 (주)바이텍테크놀로지 종이박스용 다이커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116A (ko) * 2021-02-08 2022-08-17 이성규 거셋 백 제조 방법
KR102511972B1 (ko) * 2021-02-08 2023-03-23 이성규 거셋 백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566B1 (ko) 포장용기 제대기
CN107487498A (zh) 真空包装的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02056807B (zh) 用于填充容器的设备
CN103224063B (zh) 开袋装置
CN210025409U (zh) 一种自动化切片真空组合机
KR20140124970A (ko) 리튬이차전지 극판 이송 장치
CN106945882B (zh) 一种棒状食品自动装袋生产线
CN108974931A (zh) 一种平推下料隔板转移设备
CN103112611B (zh) 托盘码垛包装装置及包装方法
JP2019099330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搬送装置
KR101724317B1 (ko) 수액팩 정열 및 낱장 연속공급 장치
CN213263079U (zh) 一种电容自动包装装置
CN105109759A (zh) 包装纸板定位输送的进料装置
CN217417446U (zh) 一种隔离纸传输与分离装置
CN111688994A (zh) 一种自动折纸箱装置
CN216829304U (zh) 一种太阳能电池片自动串焊机的平面负压出料装置
KR101487002B1 (ko) 전동기 고정자 철심 자동 적층 장치
CN107065249B (zh) 一种贴合系统及其贴合方法
CN110641764A (zh) 一种转子的制造方法
CN116969197B (zh) 一种物料搬运用全自动码垛机
CN217805538U (zh) 一种杯状产品包装生产线
CN217807416U (zh) 下层接驳台及拆板系统
CN106185288B (zh) 一种坡度多通道极板出料装置
KR102385782B1 (ko) 자동 포장기
CN211056195U (zh) 四头叠片机械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