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221B1 -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 - Google Patents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221B1
KR102041221B1 KR1020180155712A KR20180155712A KR102041221B1 KR 102041221 B1 KR102041221 B1 KR 102041221B1 KR 1020180155712 A KR1020180155712 A KR 1020180155712A KR 20180155712 A KR20180155712 A KR 20180155712A KR 102041221 B1 KR102041221 B1 KR 10204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ube
branch pipe
pipe
intub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복
Original Assignee
백승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복 filed Critical 백승복
Priority to KR1020180155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5/00Making tubes or pipes without using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95Making drinking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빨대에 관한 것으로, 종이 재질의 원단면 관체(管體)인 지관(紙管)(10)과, 지관(10) 상단에 결합되는 생분해성 관체인 경질관(2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입이 직접 접촉되는 빨대 상단부를 보강함과 동시에 윤택한 촉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종래 종이 빨대의 고질적 문제점이었던 상단부 강도 부족 및 불쾌한 촉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종이 빨대의 기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용자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UPPER PART REINFORCED PAPER STRAW}
본 발명은 종이 빨대에 관한 것으로, 종이 재질의 원단면 관체(管體)인 지관(紙管)(10)과, 지관(10) 상단에 결합되는 생분해성 관체인 경질관(2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입이 직접 접촉되는 빨대 상단부를 보강함과 동시에 윤택한 촉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용후 폐기되는 플라스틱 빨대로 인한 환경 오염을 해결할 수 있는 대체재로서 종이 빨대가 각광받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515685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515685호를 비롯한 전통적인 종이 빨대는 방수 처리된 종이가 관상(管狀)으로 굴곡 가공된 후 접합되어 완성되는 것으로, 제조 공정 및 소재의 특성상 관체(管體)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충분한 강도를 발현할 수 없는 바, 플라스틱 빨대와 혼용되어 다단의 연결관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주로 활용되었다.
즉, 종이 빨대 단독으로 빨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플라스틱 빨대를 부분 연장하거나 피복하는 용도의 보조재로서 그 역할이 제한되었던 것이다.
이에, 접착제가 도포된 다열(多列)의 대상체(帶狀體)를 나선형으로 다층 권취함으로써 연속 관체를 형성하고 이를 소기의 길이로 절단하여 빨대를 완성하는 제작 방식이 개발되어, 건조 상태에서 플라스틱 빨대에 필적하는 강도를 발현함은 물론 단일 관체의 길이 역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써 종이 빨대가 플라스틱 빨대를 대체할 수 있는 음료용 빨대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이 빨대에 충분한 길이 및 건조 강도가 부여됨에 따라 음료용 빨대로서 플라스틱 빨대를 대체할 수 있게 되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습윤 강도 및 사용감(使用感) 등에 있어서 미비점이 상존하는 실정이다.
우선, 습윤 강도에 있어서, 대상체 나선 다층 권취 방식의 제조를 통하여 건조 상태의 강도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초기 습윤 상태의 강도 역시 상당 수준 발현할 수 있으나, 습윤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수분을 흡수한 종이 빨대 조직이 이완되면서 강도가 현격하게 저하된다.
즉, 종래의 종이 빨대는 음료에 투입되기 이전의 건조 상태에서는 통상의 플라스틱 빨대에 필적하는 강도를 발현하고, 음료에 투입된 직후에도 이러한 강도가 일시적으로 유지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강도가 저하되어 빨대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이다.
또한, 표면 촉감에 있어서도, 건조 상태에서는 윤택한 표면 촉감을 발현하지만, 음료에 투입된 후 또는 사용자의 타액이 빨대 상단부에 흡수된 후에는 촉감이 급격하게 악화되어, 빨대의 사용감이 저하되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강도 및 촉감 악화 현상은 사용자의 입에 직접 접촉되는 빨대의 상단부에서 급격하게 진행되며, 이는 종이 빨대를 기피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종이 재질의 원단면 관체로서 전체 연장에 대하여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는 지관(10)과, 생분해성 경질 관체로서 상기 지관(10) 상단에 결합되는 경질관(20)으로 구성되되, 경질관(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관(10)의 외경과 내경이 일치하는 삽관부(21)가 형성되고, 경질관(20)의 상부에는 삽관부(21)에 비하여 관벽이 확대된 후벽부(22)가 형성되되, 후벽부(22)와 삽관부(21)의 경계부에 지관(10)의 상단이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이다.
또한, 종이 재질의 원단면 관체로서 전체 연장에 대하여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는 지관(10)과, 생분해성 경질 관체로서 상기 지관(10) 상단에 결합되는 경질관(20)으로 구성되되, 경질관(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관(10)의 내경과 외경이 일치하는 삽관부(21)가 형성되고, 경질관(20)의 상부에는 삽관부(21)에 비하여 관벽이 확대된 후벽부(22)가 형성되되, 후벽부(22)와 삽관부(21)의 경계부에 지관(10)의 상단이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이다.
또한, 상기 삽관부(21)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외경이 점차 확대되는 원뿔대형의 점확부(40)가 형성되어, 점확부(40)에 결합된 지관(10) 상단부의 직경이 점차 확대되면서 지관(10) 내주면과 점확부(40) 외주면이 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이며, 상기 점확부(40)의 상부에는 점확부(40) 상단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측으로 외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직관부(45)가 형성되어, 직관부(45)에 결합된 지관(10) 상단부의 직경이 일정하게 확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관(10) 내주면과 직관부(45) 외주면이 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종래 종이 빨대의 고질적 문제점이었던 상단부 강도 부족 및 불쾌한 촉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종이 빨대의 기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용자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듯, 종이 빨대의 성능 및 사용감을 개선함으로써 종이 빨대의 보급을 확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플라스틱 빨대의 사용을 저감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굴곡형 실시예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삽형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도 4 실시예의 대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치합형 실시예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경사 돌출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치합형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8은 점확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 실시예의 대표 단면도
도 10은 직관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 실시예의 대표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이로 제작된 지관(紙管)(10)과 목재 또는 전분수지 등의 생분해성 소재로 제작된 경질관(2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인 도 2에서와 같이, 종이 재질의 원단면 관체(管體)로서 전체 연장에 대하여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는 지관(10)과, 생분해성 경질 관체로서 상기 지관(10) 상단에 결합되는 경질관(2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듯, 종이 빨대의 상단부에 경질관(20)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입이 직접 접촉되는 부위의 강도 및 촉감이 견고하고 윤택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종이 빨대의 성능 및 사용감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지관(10) 상단에 결합되는 경질관(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관(10)의 외경과 내경이 일치하는 삽관부(21)가 형성되는데, 삽관부(21)는 경질관(20)의 여타 부위에 비하여 내경이 확경(擴徑)된 부분으로서, 경질관(20)과 지관(10)의 결합시 지관(10) 상단부의 외주면이 삽관부(21) 내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경질관(20)의 상부에는 삽관부(21)에 비하여 관벽이 확대된 후벽부(22)가 형성되되, 후벽부(22)와 삽관부(21)의 경계부에 지관(10)의 상단이 밀착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이 확경된 부위인 삽관부(21)와 내경이 축소된 부위인 후벽부(22)간 경계부에는 계단형 턱이 형성되며, 이 계단형 턱 부위에 지관(10)의 상단이 밀착되면서, 지관(10)의 경질관(20)내 삽입이 억지된다.
즉, 본 발명의 경질관(20)에 있어서 하부의 삽관부(21)와 상부의 후벽부(22)는 외경은 동일하나 내경이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외관상 삽관부(21)와 후벽부(22)가 구분되지는 않으나, 단면상 이들 삽관부(21)와 후벽부(22)간 경계에 턱이 형성되며, 삽관부(21)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관(10) 외주면과 삽관부(21) 내주면간 마찰력에 의하여 경질관(20)과 지관(1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삽관부(21)와 후벽부(22)간 경계부에 지관(10)의 상단이 밀착됨에 따라 지관(10)의 추가 압입이 억지되어, 본 발명의 사용 과정에서 과도하게 압입된 지관(10)의 상단이 경질관(20) 상측으로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후벽부(22)에 굴곡을 형성함으로써, 음료용 빨대로서의 기능을 극대화하고 사용자 편의를 도모한 것으로, 삽관부(21)를 비롯한 경질관(20)과 지관(10)간 결합 구조는 전술한 도 1 및 도 2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질관(20)의 외삽형 즉, 지관(10)의 외부에 경질관(20)이 결합되는 구조는 지관(10)의 외주면과 경질관(20)의 내주면간 마찰력으로 인하여 지관(10)과 경질관(20)간 결합이 유지되는 방식으로서, 경질관(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연질체인 지관(10)이 횡단면상 중심측으로 수축 변형되어 삽관부(21) 내주면과 지관(10) 외주면간 접촉 면적이 감소되면 결합력이 소실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경질관(20)이 지관(10) 내부로 삽입되는 내삽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지관(10)의 수축 변형으로 인한 결합력 상실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종이 재질의 원단면 관체로서 전체 연장에 대하여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는 지관(10)과, 생분해성 경질 관체로서 상기 지관(10) 상단에 결합되는 경질관(20)으로 종이 빨대가 구성되되, 경질관(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관(10)의 내경과 외경이 일치하는 삽관부(21)가 형성되고, 경질관(20)의 상부에는 삽관부(21)에 비하여 관벽이 확대된 후벽부(22)가 형성되되, 후벽부(22)와 삽관부(21)의 경계부에 지관(10)의 상단이 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내삽형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경질관(20)은 하부의 삽관부(21)와 상부의 후벽부(22)는 내경은 동일하나 외경이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도 4에서와 같이, 외관상 삽관부(21)와 후벽부(22)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삽관부(21)와 후벽부(22)간 경계에 형성된 계단형 턱에 지관(10) 상단이 밀착되면서 지관(10)의 과도한 압입이 억지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삽관부(21) 외측으로 삽입되는 지관(10) 내주면과 삽관부(21) 외주면간 마찰력에 의하여 경질관(20)과 지관(1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삽관부(21)와 후벽부(22)간 경계부에 지관(10)의 상단이 밀착됨에 따라 지관(10)의 추가 압입이 억지되어, 본 발명의 사용 과정에서 경질관(20)이 지관(10) 내부로 과도하게 압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듯, 경질관(20)의 삽관부(21) 외주면과 지관(10) 상단부 내주면간 마찰로 경질관(20)과 지관(10)간 결합력이 유지됨에 따라, 설령 지관(10)에 수축 변형이 유발되어도 결합력이 일층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질관(20) 결합부 지관(10)의 수축 변형 자체가 강력하게 억제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지관(10) 상단부에 억지공(13)을 천공하고, 경질관(20)의 삽관부(21)에는 돌출부(30)를 형성하여, 경질관(20)과 지관(10)의 결합시 이들 돌출부(30) 및 억지공(13)이 상호 치합되면서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치합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치합형 실시예에 있어서 삽관부(21)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0)와 지관(10)의 상단부에 천공 형성되는 억지공(13)은 그 형상이 상호 일치하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경질관(20)과 지관(10)의 결합시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즉, 경질관(20)과 지관(10)의 결합시 지관(10) 상단이 밀착되는 경질관(20)의 후벽부(22) 및 삽관부(21)간 경계부로부터 돌출부(30)에 이르는 거리와, 지관(10) 상단에서 억지공(13)에 이르는 거리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경질관(20)과 지관(10)의 결합시 돌출부(30)가 억지공(13)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돌출부(30) 및 억지공(13)은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로써 억지공(13) 주변에 형성되는 응력의 편중을 억제할 수 있어, 천공 작업시와, 경질관(20)과 지관(10)의 결합 작업시는 물론 사용 과정에서 억지공(13) 주변의 추가 균열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원형 돌출부(30)의 하측 반원부에 경사면(31)을 형성함으로써, 경질관(20)의 삽관부(21)에 지관(10)을 결합함에 있어서 돌출부(30)로 인한 지관(10)의 급격한 변형 및 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질관(20)과 지관(10)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이렇듯, 경질관(20)의 삽관부(21)와 지관(10) 상단부에 돌출부(30) 및 억지공(13)을 형성함으로써, 경질관(20)과 지관(10)간 결합력을 확보하고, 사용중 경질관(20)과 지관(10)이 분리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나, 돌출부(30) 및 억지공(13)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잡한 공정의 추가 가공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치합 구조를 구축하지 않고 경질관(20)에 점확부(漸擴部)(40)를 구성함으로써, 경질관(20)과 지관(10)간 결착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점확부(40) 적용 실시예는 삽관부(21)의 상부에 상측으로 외경이 점차 확대되는 원뿔대형의 점확부(40)가 형성되어, 점확부(40)에 결합된 지관(10) 상단부의 직경이 점차 확대되면서 지관(10) 내주면과 점확부(40) 외주면이 압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점확부(40) 적용 실시예에 있어서 경질관(20)과 지관(10)간 결착력은 주로 점확부(40)와 지관(10) 상단부간 마찰력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경질관(20) 하부의 점확부(40)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관부(21)는 경질관(20)을 지관(10)에 결합함에 있어서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게 되는 바, 전술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삽관부(21)에 비하여 그 연장이 대폭 축소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지관(10) 내경과 외경이 일치하는 삽관부(21)와 후벽부(22) 사이에 외경이 점차 확대되는 점확부(4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 9에서와 같이, 점확부(40)와 후벽부(22)간 경계부에는 계단형 턱이 형성되며, 도 9에서와 같이, 경질관(20)과 결합되는 지관(10) 상단부는 삽관부(21)를 지나 점확부(40)로 진입하면서 직경이 점차 확대, 변형되고 점확부(40)의 종착점이자 후벽부(22)의 시발점인 경계부의 턱에 지관(10)의 상단이 밀착되면서 정지 및 고정된다.
따라서, 도 9의 좌측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점확부(40)가 강제 압입되면서 확경(擴徑) 변형된 지관(10) 상단부의 내주면이 경질관(20)의 점확부(40) 외주면에 강력하게 밀착되면서 고도의 마찰력이 형성되어 경질관(20)과 지관(10)이 강력하게 결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의 우측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본 발명 종이 빨대의 사용과정에서 지관(10)이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상측으로 이동하면 원뿔대 형상의 점확부(40) 및 지관(10) 상단부의 구조로 인하여 점확부(40) 외주면에서 지관(10) 상단부 내주면이 이격되면서 마찰력이 급격하게 소실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경질관(20)과 지관(10)간 결착력은 지관(10) 상단부와 점확부(40)간 밀착이 전제되는 마찰력에서 기인하는 것인 바, 지관(10) 상단 내주면과 점확부(40) 외주면간의 미미한 이격으로도 결착력이 소실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점확부(40)와 후벽부(22) 사이에 직관부(45)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지관(10)과 경질관(20)간 축방향 분리시 야기되는 마찰력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점확부(40)의 상부에는 점확부(40) 상단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측으로 외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직관부(45)가 형성되어, 도 11에서와 같이, 직관부(45)에 결합된 지관(10) 상단부의 직경이 일정하게 확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관(10) 내주면과 직관부(45) 외주면이 압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1의 우측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설령 지관(10)이 하측으로 소폭 이탈되거나, 경질관(20)이 상측으로 소폭 인발되어도, 직관부(45) 외주면과 지관(10) 상단부 내주면간 접촉 면적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으며, 이로써 직관부(45)와 지관(10)간 마찰력이 보존될 수 있다.
10 : 지관
13 : 억지공
20 : 경질관
21 : 삽관부
22 : 후벽부
30 : 돌출부
31 : 경사면
40 : 점확부
45 : 직관부

Claims (4)

  1. 종이 재질의 원단면 관체로서 전체 연장에 대하여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는 지관(10)과, 생분해성 경질 관체로서 상기 지관(10) 상단에 결합되는 경질관(20)으로 구성되되, 그 외경이 상기 지관(10)의 내경과 일치하는 삽관부(21)가 경질관(2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경질관(20)의 상부에는 삽관부(21)에 비하여 관벽이 확대된 후벽부(22)가 형성되되, 후벽부(22)와 삽관부(21)의 경계부에 지관(10)의 상단이 밀착되며, 삽관부(21)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외경이 점차 확대되는 원뿔대형의 점확부(40)가 형성되어, 점확부(40)에 결합된 지관(10) 상단부의 직경이 점차 확대되면서 지관(10) 내주면과 점확부(40) 외주면이 압착되는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에 있어서,
    상기 점확부(40)의 상부에는 점확부(40) 상단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측으로 외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직관부(45)가 형성되어, 직관부(45)에 결합된 지관(10) 상단부의 직경이 일정하게 확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관(10) 내주면과 직관부(45) 외주면이 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55712A 2018-12-06 2018-12-06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 KR10204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712A KR102041221B1 (ko) 2018-12-06 2018-12-06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712A KR102041221B1 (ko) 2018-12-06 2018-12-06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034A Division KR102102310B1 (ko) 2019-08-20 2019-08-20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221B1 true KR102041221B1 (ko) 2019-11-07

Family

ID=6857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712A KR102041221B1 (ko) 2018-12-06 2018-12-06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7983A1 (en) * 2020-10-20 2022-04-27 Capri Sun AG Paper drinking straw for a beverage container and beverage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06A (ko) * 2002-08-30 2004-03-09 에버영 주식회사 음료용 종이빨대
JP3155055U (ja) * 2009-08-24 2009-11-05 株式会社ジー・キリング ストローキャップ
KR101050886B1 (ko) * 2008-10-01 2011-07-20 양희정 식용 코팅제를 도포한 일회용 용기
US10123641B1 (en) * 2017-10-30 2018-11-13 Miles Pepper Reusable foldable drinking straw in storage c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06A (ko) * 2002-08-30 2004-03-09 에버영 주식회사 음료용 종이빨대
KR101050886B1 (ko) * 2008-10-01 2011-07-20 양희정 식용 코팅제를 도포한 일회용 용기
JP3155055U (ja) * 2009-08-24 2009-11-05 株式会社ジー・キリング ストローキャップ
US10123641B1 (en) * 2017-10-30 2018-11-13 Miles Pepper Reusable foldable drinking straw in storage c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7983A1 (en) * 2020-10-20 2022-04-27 Capri Sun AG Paper drinking straw for a beverage container and beverage container
WO2022083995A1 (en) * 2020-10-20 2022-04-28 Capri Sun Ag Paper drinking straw for a beverage container and beve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443B2 (en) Ergonomic tampon applicator
JP4308757B2 (ja) 指把持部を備えたアプリケータを形成する方法
US6478764B1 (en) Applicator for sanitary tampon
KR102041221B1 (ko)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
US8372027B2 (en) Tampon applicator assembly
TWM314627U (en) Grip cover
US20190343312A1 (en) Plastic tipped biodegradable straw
KR102102310B1 (ko) 상단부 보강형 종이 빨대
US2531855A (en) Sipping straw
US6453503B1 (en) Cleaning brush
JPH0149513B2 (ko)
JPH1034247A (ja) パイプ曲げ装置用ボールマンドレル
JP2003137261A (ja) 断熱紙製容器
US9877541B2 (en) Method to prevent irritation of deformed toes of a patient using an adjustable toe protector
JPH0246301Y2 (ko)
JP4678872B2 (ja) 釣り用品
WO2017049684A1 (zh) 一种新型宠物颈圈
KR200261090Y1 (ko) 분수호스 연결구
KR200493310Y1 (ko) 콘돔의 구조
JPH0355286Y2 (ko)
JP5653589B2 (ja)
TWM290195U (en) Structure of fastening connector for telescopic pipe
JPH0175694U (ko)
JPS6138392U (ja) 継手
JP2004305073A (ja) 穂先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