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090Y1 - 분수호스 연결구 - Google Patents

분수호스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090Y1
KR200261090Y1 KR2020010031120U KR20010031120U KR200261090Y1 KR 200261090 Y1 KR200261090 Y1 KR 200261090Y1 KR 2020010031120 U KR2020010031120 U KR 2020010031120U KR 20010031120 U KR20010031120 U KR 20010031120U KR 200261090 Y1 KR200261090 Y1 KR 200261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binding
fountain
connecto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일
Original Assignee
김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일 filed Critical 김춘일
Priority to KR2020010031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090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등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 물을 분사 공급해주는 분수 호스를 주급수관이나 분기관에 연결하여 주는 분수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분수호스의 연결에 따른 결합의 견고성이 제공되어 사용 중에 급수압에 의해 분리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극대화한 분수호스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연결구 본체(21)의 호스연결부(22)와 클램핑너트(23)의 조립공(25) 사이에 분수호스(100)를 결속하도록 한 분수호스 연결구(20)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너트(23)의 조립공(25) 내주면에 각형의 결속돌기환(30)을 상기 조립공(25)의 선단면(25a) 대향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하거나,
상기 결속돌기환(30)의 결속 위치에 탄성재 결속링(40)을 상기 호스연결부(22)의 경사면(22a)에 조립 구성한 분수호스 연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호스연결부(22)의 경사면(22a) 외주면과 클램핑너트(23)의 조립공(25) 내주면에 테이퍼형 결속돌기환(31,41)과 결속돌기홈(32,42)을 각각 대향으로 형성하여 상호간이 치차결합식의 맞물림으로 분수호스(100)의 결속을 제공하는 분수호스 연결구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분수호스 연결구{A CONNECTOR FOR A SPOUTING HO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등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 물을 분사 공급해주는 분수 호스를 주급수관이나 분기관에 연결하여 주는 분수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수호스의 연결에 따른 결합의 견고성이 제공되어 사용 중에 급수압에 의해 분리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극대화한 분수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최근에 와서 설치비가 적게 들고 농작물의 재배효과가 높은 분수호스에 의한 급수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분수호스(100)는 얇은 PE재로 제조되되, 복수의 PE재 시트지(110,120)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단을 열 접착하여 도 1과 같은 호스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분수호스(100)는 상기 시트지(110,120)의 길이방향으로 미세한 분사구멍(130)이 관통되어서 주급수관의 분기관(미도시함)에 조립하여 사용되는 도 2와 같은 분수호스 연결구(200)에 연결 고정되어 사용된다.
상기 종래의 분수호스 연결구(20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연결관 본체(210)의 일 측에 호스삽입돌부(220)가 형성되고, 이 호스삽입돌부에 클램핑너트(230)가 조립되며, 상기 연결관 본체(210)의 타측에 커플링 연결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호스삽입돌부(220)는 분수호스(100)를 용이하게 끼우기 위하여 전협후광의 테이퍼면(221)이 형성되고, 연이어서 외경의 폭이 전광후협으로 점점 축소되는 경사면(222)이 형성되었다.
이때, 상기 테이퍼면(221)과 경사면(222)이 서로 만나는 부분의 외경(D1)과 상기 클램핑너트(230)의 조립공(250)의 내경(D2)은 동일크기나 상기 조립공(250)의내경(D2)이 작은 치수로 되어서 상기 커플링 연결부(240) 측에서 끼움 되어 조립되되, 도 4와 같이 상기 커플링 연결부(240)측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삽입돌부(220)의 테이퍼면(221)측으로 상기 분수호스(100)가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너트(230)가 다시 전진하여 상기 경사면(222)과 상기 조립공(250)의 사이에 끼움된 상기 분수호스(100)의 외면을 상기 조립공(250)의 선단면(250a)이 가압하여 상기 분수호스(100)를 결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수호스 연결구(200)는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분수호스(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지(110,120)의 열 접착 부분이 접혀지면서 복수의 시트지(110,120) 각각이 갖는 두께의 3배 두께를 형성하여 이 부분이 상기 경사면(222)과 조립공(250)의 선단면으로 결속됨으로서 최초 급수에 따른 분수호스(100)의 급격한 내부 팽창과 동시에 발생되는 고압의 급수압이 형성될 경우에는 분수호스(100)가 쉽게 이탈되어 견고한 결속이 제공되지 못하여 사용상의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수호스의 결속력이 견고하여 고압의 급수압에도 분수호스의 이탈이 방지되어 사용자에게 제품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분수호스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연결관 본체의 호스삽입돌부와 클램핑너트의 조립공사이에 분수호스를 결속하도록 한 분수호스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너트의 조립공 내주면에 각형의 결속돌기환을 상기 조립공의 선단면 대향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하거나,
상기 결속돌기환의 결속 위치에 탄성재의 결속링을 상기 호스삽입돌부의 경사면에 형성한 분수호스 연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호스삽입돌부의 경사면 외주면과 클램핑너트의 조립공 내주면에 결속돌기환과 결속돌기홈을 형성하여 상호간이 맞물림 되는 분수호스 연결구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분수호스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분수호스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 2의 분수호스를 조립한 상태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X-X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수호스 조립상태의 횡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분수호스 연결구 21 : 연결구 본체
22 : 호스연결부 23 : 클램핑너트
30 : 각형의 결속돌기환 40 : 탄성재 결속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분수호스(100)를 끼우기 위한 전협후광의 테이퍼면(21a)과 이 테이퍼면에 연이어서 외경의 폭이 전광후협으로 축소되는 경사면(22a)을 갖는 호스삽입돌부(22)가 형성되고 타측에 커플링 연결부(24)가 형성된 연결관 본체(21)와, 상기 경사면(22a)의 외주면을 결속하는 조립공(25)을 관통한 클램핑너트(23)로 구성되는 분수호스 연결구(20)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너트(23)는 조립공(25)의 선단면(25a) 대향 측의 내주면으로 각형의 결속돌기환(30)을 돌출 형성하여 조립된다.
이때, 상기 각형의 결속돌기환(30)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조립공(25)의 선단면(25a)과 대향 측인 후단에 형성할 수도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조립공(25)의 중앙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형의 결속돌기환(30)은 라운형으로의 형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분수호스(100)의 결속 시에 상기 클램핑너트(23)의 선단면(25a)과 상기 각형의 결속돌기환(30)이 적어도 두 개소에서 결속이 제공되어 급수압이 고압으로 작용해도 분수호스(100)의 이탈을 방지하게된다.
즉. 급수압이 고압으로 작용할 경우에 상기 분수호스(100)는 상기 호스삽입돌부(22)의 테이퍼면(21a) 측으로 빠지려는 힘이 발생되고 이를 결속한 상기 클램핑너트(23)가 동일방향으로 끌려가게 되면서 일차적으로 상기 클램핑너트(23)의 선단면(25a)에 의해 상기 호스삽입돌부(22)의 경사면(22a)에 압착되고 동시에 이차적으로 상기 각형의 결속돌기환(30)이 상기 분수호스(100)의 타측 외면을 압착하여 결속하게 되어 상기 분수호스(100)의 이탈방향에 대응하여 이중의 압착결속으로 이탈이 배제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들로서, 도 7은 상기 각형의 결속돌기환(30)을 복수개로 형성하여 삼중의 압착결속을 제공한 것이고,
도 8은 상기 각형의 결속돌기환(30)의 결속 위치에 연결구 본체(20)보다 비교적 연질의 탄성재 결속링(40)을 상기 호스삽입돌부(22)의 경사면(22a)에 조립 구성하여 상기 결속돌기환(30)이 상기 탄성재 결속링(40)에 파고드는 효과로 상기 분수호스(100)효과적인 압착결속으로 시트지(110,120)의 열접착부분 이외에도 전체 외주면을 압착하여 결속하도록 한 것이며,
도 9는 상기 호스삽입돌부(22)의 경사면(22a) 외주면과 클램핑너트(23)의 조립공(25) 내주면에 테이퍼형 결속돌기환(31,41)과 결속돌기홈(32,42)을 각각 대향으로 형성하여 상호간이 치차결합식의 맞물림으로 분수호스(100)의 결속을 제공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분수호스를 사용목적에 의하여 연결 고정하여 사용하는 연결구의 미약한 결속구조를 간소한 구조로서 견고한 결속력이 제공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Claims (3)

  1. 일 측에 분수호스(100)를 끼우기 위한 전협후광의 테이퍼면(21a)과 이 테이퍼면에 연이어서 외경의 폭이 전광후협으로 축소되는 경사면(22a)을 갖는 호스삽입돌부(22)이 형성되고 타측에 커플링 연결부(24)가 형성된 연결관 본체(21)와, 상기 경사면(22a)의 외주면을 결속하는 조립공(25)을 관통한 클램핑너트(23)로 구성되는 분수호스 연결구(20)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너트(23)는 조립공(25)의 선단면(25a) 대향측의 내주면으로 각형의 결속돌기환(30)을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호스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의 결속돌기환(30)의 결속 위치에 연결구 본체(20)보다 연질의 탄성재 결속링(40)을 상기 호스삽입돌부(22)의 경사면(22a)에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호스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삽입돌부(22)의 경사면(22a) 외주면과 클램핑너트(23)의 조립공(25) 내주면에는 테이퍼형 결속돌기환(31,41)과 결속돌기홈(32,42)을 각각 대향으로 형성하여 상호간이 치차결합식의 맞물림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호스 연결구.
KR2020010031120U 2001-10-11 2001-10-11 분수호스 연결구 KR200261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120U KR200261090Y1 (ko) 2001-10-11 2001-10-11 분수호스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120U KR200261090Y1 (ko) 2001-10-11 2001-10-11 분수호스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090Y1 true KR200261090Y1 (ko) 2002-01-19

Family

ID=7311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120U KR200261090Y1 (ko) 2001-10-11 2001-10-11 분수호스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0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961Y1 (ko) * 2008-01-03 2008-07-11 오태돈 비닐하우스용 급수기
CN110215396A (zh) * 2019-07-09 2019-09-10 河北晟泰生物科技有限公司 血液或氧气进出管与血液容器膜体的垂直连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961Y1 (ko) * 2008-01-03 2008-07-11 오태돈 비닐하우스용 급수기
CN110215396A (zh) * 2019-07-09 2019-09-10 河北晟泰生物科技有限公司 血液或氧气进出管与血液容器膜体的垂直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0146B1 (en) A hose coupling device
US5149108A (en) Multi-piece gasket joint
CA1285586C (en) Joint for a hose or tube
AU9259098A (en) Coupler for a pipe or hose section
ATE282171T1 (de) Schraubverbindung
JP2005140230A5 (ko)
WO2001035010A3 (en) Control line coupling and tubular string-control line assembly employing same
KR200261090Y1 (ko) 분수호스 연결구
US20030173777A1 (en) Clamp used in branching a soft hose
US7261325B2 (en) Structures of hoses
KR200269764Y1 (ko) 호스연결구
WO2006112604A1 (en) Rubber packing for pipe connection
KR200175033Y1 (ko) 호스 연결장치
EP1178252A3 (de) Anschlussverbindung für gewellte Rohrleitungen aus Metall
KR200448884Y1 (ko) 합성수지관용 패킹
KR200302818Y1 (ko) 이중벽관용 패킹
JP5514502B2 (ja) 屈曲防止リング及びリブ付き管の接続構造
JPH0126955Y2 (ko)
CN2314210Y (zh) 快速接头
KR200241508Y1 (ko) 파이프연결구의조임넛트
KR200294937Y1 (ko) 호스연결구
JP2544628Y2 (ja) プラスチック管の継手装置
KR200227393Y1 (ko) 수액 셋트
KR100297115B1 (ko) 배관이음용커플링
KR200289144Y1 (ko) 물뿌리개 손잡이에 호스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