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036B1 - 크로세틴 제조방법 및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 Google Patents

크로세틴 제조방법 및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036B1
KR102041036B1 KR1020180014844A KR20180014844A KR102041036B1 KR 102041036 B1 KR102041036 B1 KR 102041036B1 KR 1020180014844 A KR1020180014844 A KR 1020180014844A KR 20180014844 A KR20180014844 A KR 20180014844A KR 102041036 B1 KR102041036 B1 KR 10204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cetin
extract
aqueous solution
weight
appetite sup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050A (ko
Inventor
이석렬
Original Assignee
이석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렬 filed Critical 이석렬
Priority to KR102018001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0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44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65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acting on alpha-galactose-glycoside bonds, e.g. alpha-galactosidase (3.2.1.2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22Alpha-galactosidase (3.2.1.2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7Locust bean, carob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86Xanth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크로세틴 제조방법으로서, (a)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 의한 수용액에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투여한 후 교반가열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원심분리하거나 여과하여 침전물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 의한 추출물을 알카리성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넣고 교반가열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여과하고 남은 여액에 산을 첨가하여 산성으로 만든 후 교반가열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i) 상기 (h)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원심분리하거나 여과하여 침전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j) 상기 (i) 단계에 의한 추출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다량의 크로세틴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크로세틴 제조방법 및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Production Method of Crocetin and Health Supplement for Appetite Suppression Comprising Croceti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크로세틴 제조방법 및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다량의 크로세틴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크로세틴 제조방법과, 크로세틴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내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로 정의되는 질병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세계의 비만 발병률은 1980년부터 2008년 사이에 2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실제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1% [전체: 약 5억명(남 2억명, 여 3억명)]가 비만(BMI 30 kg/m2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추세는 매우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는 비만질환 관리 및 치료 비용으로 전체 의료비의 약 20.6%인 1920억불(약 219조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파른 의료비 상승으로 인하여 앞으로 20년간 약 630조원(5550억불)의 추가적인 의료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전인구의 3.5%인 150 ~ 200만명이 비만 인구이며, 식생활의 서구화, 다원화 등의 이유로 비만 인구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심각한 문제로 인하여 세계 각국에서 획기적인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제 개발이 향후 급속하게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비만 및 비만으로 유발되는 다양한 합병증 (예. 암, 심근경색, 뇌졸중, 고혈압) 들에 관한 위험성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비만치료제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의약적 수요가 매우 큰 새로운 기전의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신규 비만치료약물의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이 기대되는 바이다.
비만치료제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하나는 이미 섭취된 음식에 대하여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거나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는 약물이고 다른 하나는 중추신경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하는 `식욕억제제`이다. 전자의 경우 섭취하는 식품의 소화를 저해하거나 생성된 지방을 분해한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인 음식섭취에 의하여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체내에 공급된다면 소화저해나 지방분해는 비만 치료에 있어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식욕억제제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펜티메트라진` 성분의 푸링이 있는데 식욕억제 효과가 빠르고 강하게 나타나며 약값이 싸다는 것이 장점이나, 식약청에서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한 달 이상 연속 복용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며, 다른 제제와 섞어 처방하지 못한다. 또한, `시부트라민` 성분의 리덕틸,리노반, 슬리머 등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크다는 이유로, 미국, 유럽에 이어 국내에서도 2010년 자발적 회수권고조치가 내려졌다.
최근 비만에 관한 비약적인 약물개발연구로 인하여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식욕억제제들이 새로운 비만치료 약물 제제들로 개발되고 있다(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13) 37, 107117; Neuropharmacology (2012) 63, 132146). 대표적인 예로 미국 FDA는 2012년 벨빅 (Belviq;locarserin)과 큐시미아 (Qsymia; Phentermine + Toiramide) 라는 2개의 새로운 식욕 억제제를 허가하였다. 또한 GLP-1(Glucagon-Like peptide) 펩타이드인 Exernatide (Byetta) 와 Liraglutide (Victoza)는 현재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허가, 판매되고 있으며 포만감을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국내 의료진의 평가에 따르면 벨빅의 전반적인 평가는 부작용 없이 편안하게 쓸 수 있는 약물이지만 현저한 체중감량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약값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큐시미아는 벨빅에 비하여 체중감량 효과는 뛰어나지만 아직 국내 진입 전이고, 유럽에서는 심혈관뇌질환을 이유로 사용허가가 나지 않아 심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권고되지 않고 있다.
사프란(Saffron)은 붓꽃과의 다년생 초목인 사프란(Crocus sativus L.)의 암술머리 및 암술대를 건조하여 향신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사프란은 카로티노이드 색소 약 2%를 함유하며 그 주성분은 크로신(crocin)이다. 또한, 고미(苦味) 배당체 피크로크로신(picrocrocin) 약 2%와 정유 0.4 ~ 1.3%를 함유한다. 정유의 주성분은 사프라날(생약 특유의 방향 성분)이다.
사프란의 약효 중에서 가장 확실한 것은 우울증의 치료효과이다. 5개의 예비 이중맹검 연구에 의하면, 매일 30mg의 사프란을 사용하는 것이 플라시보 효과보다 더 효과적(유의미한 효과를 가짐)이며 주요 우울증에 대한 표준 치료법과 동등하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 Akhondzadeh S, Tahmacebi-Pour N, Noorbala AA, et al. Crocus sativus L. in the treatment of mild to moderate depression: a double-blind, randomized and placebo-controlled trial. Phytother Res. 2005;19:148-51. 2. Noorbala AA, Akhondzadeh S, Tahmacebi-Pour N, et al. Hydro-alcoholic extract of Crocus sativus L. versus fluoxetine in the treatment of mild to moderate depression: a double-blind, randomized pilot trial. J Ethnopharmacol. 2005;97:281-4. 3. Akhondzadeh S, Fallah-Pour H, Afkham K, et al. Comparison of Crocus sativus L. and imipramine in the treatment of mild to moderate depression: a pilot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ISRCTN45683816]. BMCComplement Altern Med. 2004;4:12. 4. Moshiri E, Basti AA, Noorbala AA et al. Crocus sativus L. (petal) in the treatment of mild-to-moderate depression: A double-blind, randomized and placebo-controlled trial. Phytomedicine. 2006 Sep 14 [Epub ahead of print] 5. Akhondzadeh Basti A, Moshiri E, Noorbala AA, et al. Comparison of petal of Crocus sativus L and fluoxetine in the treatment of depressed outpatients: a pilot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6 Dec 14 [Epub ahead of print].).
그리고, 사프란 내의 크로신은 신경계 및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치고(학습, 기억, 알츠하이머, 뇌허혈, 불안, 우울, 죽상경화증, 고지혈증, 고혈압 등), 성기능 활성, 항암, 신기능 활성, 간 보호, 항산화 및 항염증 등의 작용을 하며(특허문헌 1, 3 및 4 참조), 특이적으로 과 항진된 식욕(공복감을 느끼지 못하고 다량의 음식을 섭취하려는 욕망 또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여성이 생리 시에 느끼는 식욕항진 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사프란의 항우울 활성을 이용한 식욕억제제가 미국과 유럽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크로신은 노란색의 수용성 색소로서,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J.Ellis)의 열매인 치자(Gardeniae Fructus)의 색소물질과 동일한 성분이고, 유기용매에는 녹지 않으며, 크로세틴(crocetin)의 배당체인바 가수분해되면 크로세틴이 얻어지게 된다. 크로세틴은 물에 난용이나 알카리성 물이나 에탄올 및 유지에는 녹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크로신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13279072-pat00001
수용성이고 유기용매에 녹지 않는 크로신은 그 상태로는 장 점막에서의 흡수율이 낮고 세포조직 내로 잘 이행되지 않으며, 장 내의 효소나 세균에 의해 지용성인 크로세틴으로 가수분해되어 흡수되게 된다.
크로세틴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R1 = R2 = H).
[화학식 2]
Figure 112018013279072-pat00002
크로세틴의 의학적 효능과 관련하여, 14명의 개인을 대상으로 한 2009년의 연구에 따르면 크로세틴의 경구 투여가 건강한 남성의 신체적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고(Mizuma H, Tanaka M, Nozaki S, Mizuno K, Tahara T, Ataka S, Sugino T, Shirai T, Kajimoto Y, Kuratsune H, Kajimoto O, Watanabe Y (March 2009). "Daily oral administration of crocetin attenuates physical fatigue in human subjects". Nutrition Research. 29 (3): 145-50. doi:10.1016/j.nutres.2009.02.003. PMID 19358927.), Kuratsune et al.이 치자에 함유된 크로세틴 성분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21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크로세틴 처치 후 수면 중 각성이 감소 되었으며(p=0.025), 수면의 질 역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한다(Kuratsune H, Umigai N, Takeno R, Kajimoto Y, Nakano T (September 2010). "Effect of crocetin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on sleep: a pilot study". Phytomedicine. 17 (11): 840-3. doi:10.1016/j.phymed.2010.03.025. PMID 20537515.).
한편, 치자는 수면, 항우울, 뇌신경손상 등에 약리작용을 가지며, 우울증에 빈번히 사용되는 월국환의 주요성분이다(Wang QS et al. Genipin is active via modulating monoaminergic transmission and levels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in rat model of depression. Neuro science. 2014 Sep 5;275:365-73. doi: 10.1016/j.neuroscience.2014.06.032. Epub 2014 Jun 24.).
크로신을 주성분으로 하는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을 다양한 의학적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는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파아제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 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3에서는 '치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4에서는 '효소 처리에 의하여 항염증 활성이 증가된 치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2402호(공고일자 2007년 03월 0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7003호(공고일자 2007년 12월 2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1435호(공고일자 2011년 09월 0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637호(공고일자 2011년 12월 06일)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 중 특허문헌 2 및 3에는 크로신과 크로세틴에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2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지방의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비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크로신과 크로세틴에 식욕억제 효과가 있고, 이를 이용하여 비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크로신보다는 그 가수분해된 형태인 크로세틴의 투여시에 식욕억제 효과가 훨씬 뛰어남은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규명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크로세틴을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찾던 중 크로신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가수분해하면 많은 양의 크로세틴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다량의 크로세틴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크로세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로세틴 제조방법으로서, (a)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 의한 수용액에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투여한 후 교반가열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원심분리하거나 여과하여 침전물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 의한 추출물을 알카리성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넣고 교반가열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여과하고 남은 여액에 산을 첨가하여 산성으로 만든 후 교반가열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i) 상기 (h)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원심분리하거나 여과하여 침전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j) 상기 (i) 단계에 의한 추출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크로신 함유량이 76 중량%인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 10 중량부에 정제수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이고, 상기 (b) 단계는, 알파-갈락토시다아제 0.2 ~ 0.5중량부를 투여한 후 50 ~ 60℃에서 교반가열하는 단계이며, 상기 (f) 단계는, 상기 (e) 단계에 의한 추출물을 pH 8.8 ~ 9.0인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넣고 40℃에서 교반가열하는 단계이고, 상기 (g) 단계는, 상기 (f)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여과하고 남은 여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pH 5.0 이하로 만들어서 80℃에서 교반가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로서,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크로세틴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로세틴은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총 중량 대비 0.01 ~ 10 중량% 포함되고, 카테킨류가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총 중량 대비 1 ~ 25 중량% 포함되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증점제, 분산제 또는 감미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로세틴은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총 중량 대비 0.01 ~ 10 중량% 포함되고, 카테킨류가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총 중량 대비 1 ~ 25 중량% 포함되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감미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세틴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다량의 크로세틴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에 의하면, 인체에 경구투여시 우수한 식욕억제효에 의해 식사량을 줄일 수 있어 빠른 체중 감량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에 지방 분해 효과가 확인된 녹차 추출물을 배합하여 인체에 투여할 경우, 식욕억제 효과와 지방분해 효과의 상승작용에 의해 감량된 체중을 요요현상 없이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세틴 제조방법의 흐름도.
상기한 바와 같이, 사프란의 항우울 활성을 이용한 식욕억제제가 미국과 유럽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데,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의 주성분인 크로신은 수용성이고 유기용매에 녹지 않는 것인바 그 상태로는 장 점막에서의 흡수율이 낮고 세포조직 내로 잘 이행되지 않으므로, 이를 가수분해하여 지용성인 크로세틴의 형태로 투여하면 식욕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해질 것으로 예상하여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다.
먼저, 다량의 크로세틴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연구한바, 크로신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가수분해하여 다량의 크로세틴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크로세틴 제조방법을 완성하게 되었다.
우선,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pH 5.6 정도인 수용액을 만든 다음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첨가하여 pH를 5.2 정도로 만들면, 알파-갈락토시다아제의 최적 반응조건이 pH 4.5 ~ 5.5, 온도 55 ~ 60℃인바 추가적인 산도 조절 없이 최상의 반응조건을 갖추게 된다.
알파-갈락토시다아제는 전분이 다량 함유된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전분의 분해 작용을 하게 되는바 크로신을 가수분해시키지 못하게 되나, 사프란 또는 치자 열매에는 전분이 거의 없어 크로신의 가수분해 반응이 잘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수용액을 온도를 맞추어 교반가열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침전물이 생성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48 ~ 96시간 내에 반응이 끝나며, 반응 완료 후의 pH는 약 4.6이 된다.
반응이 완료된 후 침전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한 다음 정제수로 씻은 후 건조하여 분리하면 여과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여과 추출물에는 크로세틴 외의 불용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바, 물에 난용이나 알카리성 물이나 에탄올 및 유지에는 녹는 크로세틴의 성질을 이용하여 크로세틴을 분리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얻어진 불용성 추출물을 알카리성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넣고 교반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여지로 여과하여 알카리성 수용액에 녹지 않는 물질을 분리하고 남은 여액을 얻은 다음, 구연산 등을 넣어 수용액을 산성으로 만들어 교반가열한 다음 상온으로 냉각시키면, 침전되는 크로세틴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냉각된 수용액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침전된 크로세틴을 분리 수득한 후 이를 건조하여 크로세틴의 생산을 완료하게 된다.
이후, 약효의 확인을 위하여, 생산된 크로세틴을 분말화하여 캡슐에 충진한 것과 크로신을 분말화하여 캡슐에 충진한 것 및 동일한 캡슐에 충진된 덱스트린 위약을 18 ~ 60세 사이의 식욕을 억제하기 힘들어하는 비만환자 90명에게 8주간 이중맹검으로 제공한 결과, 크로신보다는 크로세틴의 투여시에 식욕억제 효과가 훨씬 뛰어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를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로세틴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세틴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크로신이 함유된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수용액을 만든다(S10).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의 크로신 함량이나 정제수와의 중량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대략적으로 크로신 함유랑이 76 중량%인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 10 중량부에 정제수 9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로신 함유랑이 76 중량%인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10g에 정제수 90g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서, "중량부"라는 용어는 최종 생성물의 총 질량 대비 대상물의 질량의 백분율(중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물의 질량을 임의의 기준 질량에 대한 배율로 표현하기 위한 용어이다. 즉, 임의의 기준 질량과 같은 질량을 갖는 대상물은 '대상물 1중량부'로 표현되게 되고, 기준 질량의 n배의 질량을 갖는 대상물은 '대상물 n중량부'로 표현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예 내에서 "중량부"라는 용어는 일종의 질량 단위와 같은 의미를 갖게 되며, 대상물의 양이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값을 가질 수도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질량이 1g이었는바,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10중량부로서 10g의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에 정제수 90중량부로서 90g의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시킨 것이다. 만약 기준질량이 10g이라면,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10중량부는 100g의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이 될 것이고, 정제수 90중량부는 900g의 정제수가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크로신은 식물로부터 추출한 것, 화학적으로 합성한 것 등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치자 추출물은 치자 열매로부터 열수나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한 것을 말할 뿐만 아니라, 때때로 치자 열매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균주를 통하여 발효시키거나 컬럼(column)을 통하여 걸러내는 등의 가공처리를 거친 치자 추출 가공물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치자 추출물은 치자 열매에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으며, 추출 과정에서 마이크로파를 가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 용매일 수 있고,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면서 90W의 마이크로파로 약 5분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과정(S10)에 의한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이 용해된 수용액은 pH가 5.5 ~ 5.7인 산성 수용액이 된다.
그 다음에,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투여한 후 교반가열한다(S20). 알파-갈락토시다아제의 투여량은 효소의 활성역가(activity)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대략적으로 알파-갈락토시다아제 0.2 ~ 0.5중량부를 가하여 용해시킨 후 50 ~ 60℃에서 48 ~ 96시간 동안 교반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파-갈락토시다아제 0.4g을 가하여 용해시킨 수용액을 57℃에서 72시간 동안 교반가열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촉진시켰다.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추가 용해시킨 수용액은 pH 5.2 ~ 5.3인 수용액이 되며, 이 과정은 상온(25℃)에 비하여 30℃ 정도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는바 가수분해의 반응속도가 상온에 비하여 대략 8배 향상되게 된다.
이러한 교반가열과정이 완료된 후, 다시 상온(25℃)으로 냉각시킨다(S30). 냉각 과정에서 다량의 침전물이 생성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온으로 냉각된 수용액은 pH 4.6의 산성 수용액 상태였다.
그 다음에, 냉각된 수용액을 여지로 여과하여 침전물을 분리한다(S40).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된 수용액을 미국 와트만사의 여지로 감압여과하여 여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여과 추출물을 건조시킨다(S50). 본 실시예에서는 얻어진 여과 추출물을 70℃의 온풍으로 약 48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여과 추출물의 질량은 3.55g이었는바,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 10중량부당 3.55중량부의 여과 추출물이 얻어지는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된 크로신 함유랑이 76%인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 10g에는 크로신이 7.6g 포함되어 있고, 크로신(분자량 976.97)이 모두 크로세틴(분자량 328.41)으로 가수분해된다고 가정하면, 얻어지는 크로세틴의 질량은 2.555g이 된다(7.6 × 328.41 / 976.97 = 2.555).
따라서, 얻어진 여과 추출물 3.55g에는 크로세틴 외의 다른 불용성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얻어진 여과 추출물 내에 있는 크로세틴을 분리해내기 위한 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시, 얻어진 불용성 추출물을 알카리성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넣고 교반가열하여 용해시킨다(S60). 보다 상세하게는, pH 8.8 ~ 9.0인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얻어진 불용성 추출물 3.55중량부를 넣고 약 40℃에서 교반가열하여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pH 8.9인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얻어진 불용성 추출물 3.55g을 넣고 40℃에서 30분간 교반가열하여 용해시켰다.
그리고, 수용액을 여지로 여과하여 알카리성 수용액에 녹지 않는 물질을 분리하고 남은 여액을 얻은 다음, 여액에 산을 첨가하여 수용액을 산성으로 만든 후 교반가열한다(S70). 보다 상세하게는, 불용성 추출물이 용해된 수용액을 여지로 여과하여 알카리성 수용액에 녹지 않는 물질을 분리하고 남은 여액을 얻은 다음, 여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pH 5.0 이하로 만들어서 약 80℃에서 교반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용성 추출물이 용해된 수용액을 미국 와트만사의 여지로 여과하여 알카리성 수용액에 녹지 않는 물질을 분리하고 남은 여액을 얻은 다음, 여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pH를 5.0으로 만들어서 약 80℃에서 30분간 교반가열하였다.
이러한 교반가열과정이 완료된 후, 다시 상온(25℃)으로 냉각시킨다(S80). 냉각 과정에서 다량의 침전물(크로세틴)이 생성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교반가열과정이 완료된 수용액을 상온에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둠으로써 크로세틴이 침전되도록 하였다.
그 후, 수용액을 여지로 여과하여 침전물을 분리한다(S90). 본 실시예에서는 산성 수용액을 미국 와트만사의 여지로 감압여과하여 여과 추출물(크로세틴)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여과 추출물을 건조시킨다(S100). 본 실시예에서는 얻어진 여과 추출물을 70℃의 온풍으로 약 16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여과 추출물의 질량은 2.01g이었는바,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 10중량부당 2.01중량부의 크로세틴이 얻어지는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크로신 함유랑이 76%인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 10g에 포함된 크로신 7.6g이 모두 크로세틴으로 가수분해될 경우 얻어지는 크로세틴의 질량은 2.555g인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세틴 제조방법의 전체적인 크로세틴 수율은 78.7%로 계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로세틴 제조방법에 의하면 크로신으로부터 크로세틴을 75%가 넘는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는바,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다량의 크로세틴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는, 고순도의 크로세틴 분말 또는 과립을 그대로 섭취하거나 캡슐에 봉입하여 섭취할 수도 있고, 의학적 조성물이나 건강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증점제와 안정화제 등을 첨가하여 액상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즈, 수크로스(sucrose),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그리고,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도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필수 성분으로서 크로세틴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성분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크로세틴의 식욕억제효과와 함께 지방분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지방분해작용이 인정된 충분한 양(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일일 권장 섭취량은 300 ~ 1000mg)의 카테킨이 함유된 녹차 추출물을 함께 포함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가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충분한 양의 카테킨이 함유된 녹차 추출물을 함께 포함 시켜 비만 환자에게 투여하게 되면, 초기에는 크로세틴에 의한 식욕억제효과 및 과 항진된 식욕 억제 효과에 의해 식사량을 줄일 수 있어 빠른 체중감량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카테킨의 지방분해효과에 의해 감량된 체중이 다시 늘어나는 요요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와,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와, 말토스, 슈크로스 등과,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의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는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는 1일당 크로세틴 10mg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특정 환자에 대한 특이 용량 수준은 사용될 특정 화합물, 체중, 연령, 성,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권리범위범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의 식욕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18 ~ 60세 사이의 식욕을 억제하기 힘들어하는 비만환자 30명이었으며, 아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경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4주간 이중맹검으로 제공하였다.
[실시예 1]
크로세틴 10mg, 카테킨류 함유량이 25 중량%인 녹차 추출물 1360mg, 정제수 8462mg, 증점 및 분산제로서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22.5mg 및 잔탄검(Xanthan Gum) 22.5mg, 산도조절제로서 탄산수소나트륨 136mg, 감미제로서 아가베 시럽(Agave syrup) 4500mg, 호박산 나트륨 363mg, 호박산 91mg, 아스파탐(aspartame) 1.5mg, 사카린나트륨 1.5mg 및 기타 당류 30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실시예 1의 겔형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15g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기타 당류는 본 발명의 크로세틴 제조방법에 따라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내의 크로신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가수분해하여 크로세틴을 생산하고 남은 당류이다. 즉,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로부터 크로세틴을 생산하고 남은 당류 및 정제수를 그대로 실시예 1의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의 성분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1의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의 성분별 중량비를 살펴보면, 크로세틴은 건강보조제의 총 중량 대비 0.06667 중량%이고, 정제수는 56.41333 중량%이며, 녹차 추출물 9.06667 중량%(카테킨류는 2.26667 중량%), 로커스트콩검 0.15 중량%, 잔탄검 0.15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0.90667 중량%, 감미제 33.24667 중량%가 된다.
본 실시예 1과 유사한 겔형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총 중량 대비 크로세틴이 0.01 ~ 10 중량% 포함되고, 카테킨류는 1 ~ 25 중량% 포함되며, 로커스트콩검이 0.1 ~ 3 중량% 포함되고, 잔탄검이 0.1 ~ 3 중량% 포함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 1의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다수 개를 피험자에게 제공하고 1일 1회 식사(가급적 저녁식사) 1시간 전에 4주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유효성분인 크로세틴의 1일 투여량은 10mg이 된다.
[비교예 1]
크로신 함유랑이 76 중량%인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40mg, 카테킨류 함유량이 25 중량%인 녹차 추출물 1360mg, 정제수 8462mg, 증점 및 분산제로서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22.5mg 및 잔탄검(Xanthan Gum) 22.5mg, 산도조절제로서 탄산수소나트륨 136mg, 감미제로서 아가베 시럽(Agave syrup) 4500mg, 호박산 나트륨 363mg, 호박산 91mg, 아스파탐(aspartame) 1.5mg 및 사카린나트륨 1.5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비교예 1의 겔형 제제 15g을 제조한다.
이러한 비교예 1의 겔형 제제 다수 개를 피험자에게 제공하고 1일 1회 식사(가급적 저녁식사) 1시간 전에 4주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크로신의 1일 투여량은 30.4mg이 된다.
[비교예 2]
덱스트린 40mg, 카테킨류 함유량이 25 중량%인 녹차 추출물 1360mg, 정제수 8462mg, 증점 및 분산제로서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22.5mg 및 잔탄검(Xanthan Gum) 22.5mg, 산도조절제로서 탄산수소나트륨 136mg, 감미제로서 아가베 시럽(Agave syrup) 4500mg, 호박산 나트륨 363mg, 호박산 91mg, 아스파탐(aspartame) 1.5mg 및 사카린나트륨 1.5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비교예 2의 겔형 제제 15g을 제조한다.
이러한 비교예 2의 겔형 제제 다수 개를 피험자에게 제공하고 1일 1회 식사(가급적 저녁식사) 1시간 전에 4주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겔형 제제를 다수 제조하여 18 ~ 60세 사이의 식욕을 억제하기 힘들어하는 비만환자 각각 10명에게 4주간 이중맹검으로 제공하였다.
<평가기준>
5. 매우 우수: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30% 이상이 감소된 경우.
4. 우수: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20% 이상이 감소된 경우.
3. 보통: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10% 이상이 감소된 경우.
2. 효과 미미: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5% 이내로 감소된 경우.
1. 효과 없음: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거의 감소되지 않거나 더 늘어난 경우.
매우 우수(5) 우수(4) 보통(3) 효과 미미 (2) 효과 없음(1)
실시예 1 4명 5명 1명 0명 0명
비교예 1 1명 0명 1명 4명 5명
비교예 2 0명 1명 1명 5명 4명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함유된 크로신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가수분해하지 않은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겔형 제제의 경우, 덱스트린을 사용한 비교예 2의 겔형 제제와 같이 플라시보 효과 이상의 유의미한 식욕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함유된 크로신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가수분해한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을 사용한 실시예 1의 겔형 제제의 경우, 거의 모든 피험자가 우수한 식욕 억제 효과를 경험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의 식욕억제효과를 확인하여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18 ~ 60세 사이의 식욕을 억제하기 힘들어하는 비만환자 90명이었으며, 아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경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8주간 이중맹검으로 제공하였다.
[실시예 2]
크로세틴 2.5mg, 카테킨류 함유량이 85 중량%인 녹차 추출물 110mg, 홍삼 추출물 5mg, 부형제로서 덱스트린 85mg, 감미제로서 자일로올리고당 253.8mg, 활택제로서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1.2mg 및 기타 당류 7.5mg을 혼합하고 캡슐에 충진하여 실시예 2의 캡슐형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465mg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기타 당류는 본 발명의 크로세틴 제조방법에 따라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내의 크로신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가수분해하여 크로세틴을 생산하고 남은 당류이다. 즉,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10mg으로부터 크로세틴을 생산한 상태의 수용액을 증발시켜서 얻은 크로세틴 2.5mg과 기타 당류 7.5mg을 분쇄하여 실시예 2의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의 성분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2의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의 성분별 중량비를 살펴보면, 크로세틴은 건강보조제의 총 중량 대비 0.53763 중량%이고, 녹차 추출물은 23.65591 중량%(카테킨류는 20.10753 중량%)이며, 홍삼 추출물 1.07527 중량%, 덱스트린 18.27957 중량%, 자일로올리고당 54.58065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5806 중량%, 기타 당류 1.6129 중량%가 된다.
본 실시예 2와 유사한 캡슐형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총 중량 대비 크로세틴이 0.01 ~ 10 중량% 포함되고, 카테킨류는 1 ~ 25 중량% 포함되며, 덱스트린이 10 ~ 30 중량% 포함되고,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이 0.1 ~ 0.5 중량% 포함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 2의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다수 개를 피험자에게 제공하고 1일 2회 식사(점심 및 저녁식사) 1시간 전에 회당 캡슐 2개를 8주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유효성분인 크로세틴의 1일 투여량은 10mg이 된다.
[비교예 3]
크로신 함유랑이 76 중량%인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10mg, 카테킨류 함유량이 85 중량%인 녹차 추출물 110mg, 홍삼 추출물 5mg, 부형제로서 덱스트린 85mg, 감미제로서 자일로올리고당 253.8mg, 활택제로서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1.2mg을 혼합하고 캡슐에 충진하여 비교예 3의 캡슐형 제제 465mg을 제조한다.
이러한 비교예 3의 캡슐형 제제 다수 개를 피험자에게 제공하고 1일 2회 식사(점심 및 저녁식사) 1시간 전에 회당 캡슐 2개를 8주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크로신의 1일 투여량은 30.4mg이 된다.
[비교예 4]
덱스트린 95mg, 카테킨류 함유량이 85 중량%인 녹차 추출물 110mg, 홍삼 추출물 5mg, 감미제로서 자일로올리고당 253.8mg, 활택제로서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1.2mg을 혼합하고 캡슐에 충진하여 비교예 3의 캡슐형 제제 465mg을 제조한다.
이러한 비교예 4의 캡슐형 제제 다수 개를 피험자에게 제공하고 1일 2회 식사(점심 및 저녁식사) 1시간 전에 회당 캡슐 2개를 8주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캡슐형 제제를 다수 제조하여 18 ~ 60세 사이의 식욕을 억제하기 힘들어하는 비만환자 각각 30명에게 8주간 이중맹검으로 제공하였다.
<평가기준>
5. 매우 우수: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30% 이상이 감소된 경우.
4. 우수: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20% 이상이 감소된 경우.
3. 보통: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10% 이상이 감소된 경우.
2. 효과 미미: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5% 이내로 감소된 경우.
1. 효과 없음: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거의 감소되지 않거나 더 늘어난 경우.
매우 우수(5) 우수(4) 보통(3) 효과 미미 (2) 효과 없음(1)
실시예 2 22명 6명 1명 1명 0명
비교예 3 1명 1명 3명 8명 17명
비교예 4 0명 1명 1명 9명 19명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함유된 크로신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가수분해하지 않은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을 사용한 비교예 3의 캡슐형 제제의 경우, 덱스트린을 사용한 비교예 4의 캡슐형 제제와 같이 플라시보 효과 이상의 유의미한 식욕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함유된 크로신을 알파-갈락토시다아제로 가수분해한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을 사용한 실시예 2의 캡슐형 제제의 경우, 거의 모든 피험자가 우수한 식욕 억제 효과를 경험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2의 캡슐형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를 복용한 피험자들로부터, 과 항진된 식욕이 억제되었다는 반응을 받았고 얼굴이 작아졌다고 인사를 받았으며 뱃살이 빠졌다는 등의 말을 들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의 캡슐형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를 복용한 피험자들 중의 다수로부터, 복용을 중단한 다음 약 2일 후부터 다시 식욕이 강해졌다는 반응을 받았다.
한편, 실시예 2의 캡슐형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를 8주간 복용하였음에도 요요현상을 경험한 피험자가 없었다. 그 이유를 분석하여 보자면, 실시예 2의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일일 권장 섭취량에 해당하는 포함된 녹차 추출물(카테킨)이 포함되어 있는바, 초기에는 크로세틴에 의한 식욕억제효과 및 과 항진된 식욕 억제 효과에 의해 식사량을 줄일 수 있어 빠른 체중감량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카테킨의 지방분해효과에 의해 감량된 체중이 다시 늘어나는 요요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에 의하면, 인체에 경구투여시 우수한 식욕억제효에 의해 식사량을 줄일 수 있어 빠른 체중 감량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에 지방 분해 효과가 확인된 녹차 추출물을 배합하여 인체에 투여할 경우, 식욕억제 효과와 지방분해 효과의 상승작용에 의해 감량된 체중을 요요현상 없이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a)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 10 중량부에 정제수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 의한 수용액에 알파-갈락토시다아제 0.2 ~ 0.5 중량부를 투여한 후 교반가열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원심분리하거나 여과하여 침전물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 의한 추출물을 pH 8.8 ~ 9.0인 알카리성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넣고 교반가열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여과하고 남은 여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pH 5.0 이하로 만든 후 교반가열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i) 상기 (h) 단계에 의한 수용액을 원심분리하거나 여과하여 침전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j) 상기 (i) 단계에 의한 추출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세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크로신 함유량이 76 중량%인 사프란 또는 치자 추출물 분말 또는 농축액 10 중량부에 정제수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산성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이고,
    상기 (b) 단계는, 50 ~ 60℃에서 교반가열하는 단계이며,
    상기 (f) 단계는, 40℃에서 교반가열하는 단계이고,
    상기 (g) 단계는, 80℃에서 교반가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세틴 제조방법.
  3.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로서,
    크로세틴 10mg, 카테킨류 함유량이 25 중량%인 녹차 추출물 1360mg, 정제수 8462mg,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22.5mg, 잔탄검(Xanthan Gum) 22.5mg, 탄산수소나트륨 136mg, 아가베 시럽(Agave syrup) 4500mg, 호박산 나트륨 363mg, 호박산 91mg, 아스파탐(aspartame) 1.5mg 및 사카린나트륨 1.5mg 및 당류 30mg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4.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로서,
    크로세틴 2.5mg, 카테킨류 함유량이 85 중량%인 녹차 추출물 110mg, 홍삼 추출물 5mg, 덱스트린 85mg, 자일로올리고당 253.8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1.2mg 및 당류 7.5mg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세틴은 제1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는 1일당 상기 크로세틴 10mg이 투여되도록 환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KR1020180014844A 2018-02-06 2018-02-06 크로세틴 제조방법 및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KR10204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844A KR102041036B1 (ko) 2018-02-06 2018-02-06 크로세틴 제조방법 및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844A KR102041036B1 (ko) 2018-02-06 2018-02-06 크로세틴 제조방법 및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050A KR20190095050A (ko) 2019-08-14
KR102041036B1 true KR102041036B1 (ko) 2019-11-05

Family

ID=6762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844A KR102041036B1 (ko) 2018-02-06 2018-02-06 크로세틴 제조방법 및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86095B2 (es) * 2019-10-08 2021-10-04 Safrante Global Company Slu Procedimiento de obtencion de colorante natural derivado del azafran y producto asi obtenid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8695A1 (en) * 2003-03-07 2004-09-16 Riken Vitamin Co., Ltd.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crocetin
US20140141082A1 (en) * 2012-11-16 2014-05-22 Song Gao Compositions Containing Enriched Natural Crocin and/or Crocetin, and Their Therapeutic or Nutraceutical Us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402B1 (ko) 2005-07-26 2007-03-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KR100787003B1 (ko) 2005-07-26 2007-12-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파아제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기능성 식품 및 의약 조성물
KR101061435B1 (ko) 2008-10-21 2011-09-01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치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89637B1 (ko) 2009-04-02 2011-12-06 한국식품연구원 효소 처리에 의하여 항염증 활성이 증가된 치자추출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8695A1 (en) * 2003-03-07 2004-09-16 Riken Vitamin Co., Ltd.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crocetin
US20140141082A1 (en) * 2012-11-16 2014-05-22 Song Gao Compositions Containing Enriched Natural Crocin and/or Crocetin, and Their Therapeutic or Nutraceutical Us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Cardiovasc. Thorac. Res., Vol. 9, pp. 200-208 (2017.12.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050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2342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сниж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жира в организме
CN103103099B (zh) 一种复方霍斛蓉芝保健酒及生产工艺
WO2007037438A1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改善・予防組成物
CN105942498A (zh) 具有治疗糖尿病作用的功能性营养食品组合及其制备方法
EP2070545A1 (en) Oral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of the colon
KR101396458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KR20110124442A (ko) 양성 체질의 생리 활성 증진용 조성물
KR20090025638A (ko)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060001877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2041036B1 (ko) 크로세틴 제조방법 및 크로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건강보조제
KR100720695B1 (ko) 변비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4516958B2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101045025B1 (ko)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EP1889638A1 (en) Medicaments and food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and/or diabetes containing cicer arietinum extract
CN111135235A (zh) 一种预防和缓解急性酒精中毒或醉酒的组合物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040052930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JP2007070263A (ja) 糖尿病予防用組成物
CN113796537A (zh) 一种降糖组合物及其制作工艺
KR102014922B1 (ko)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14051436A (ja) α−アミラーゼ阻害剤
KR20180033781A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의 제조방법
KR101026523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조절 및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첨가물
KR102561297B1 (ko) 새싹보리 및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