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819B1 -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819B1
KR102040819B1 KR1020160130071A KR20160130071A KR102040819B1 KR 102040819 B1 KR102040819 B1 KR 102040819B1 KR 1020160130071 A KR1020160130071 A KR 1020160130071A KR 20160130071 A KR20160130071 A KR 20160130071A KR 102040819 B1 KR102040819 B1 KR 10204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electrode current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electr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881A (ko
Inventor
표정관
김성종
구자훈
김태규
김원년
강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3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81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S17858595T priority patent/ES2944599T3/es
Priority to PCT/KR2017/008575 priority patent/WO2018066800A1/ko
Priority to JP2018546491A priority patent/JP6708337B2/ja
Priority to EP17858595.6A priority patent/EP3382775B1/en
Priority to US16/066,538 priority patent/US10971716B2/en
Priority to HUE17858595A priority patent/HUE061661T2/hu
Priority to PL17858595.6T priority patent/PL3382775T3/pl
Priority to CN201780006373.1A priority patent/CN108475766B/zh
Publication of KR2018003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을 이용하여 전극 유닛을 제조한 후, 전극 유닛이 냉각됨으로써 발생하는 전극 유닛의 휨 현상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은,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을 계산한 후 그 계산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electrode unit an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전극 조립체는 전극 유닛(electrode unit)을 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 유닛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유닛은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유닛은 이러한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형성되며, 이러한 전극 유닛이 모여 전극 조립체가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전극 유닛은 다양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전극 유닛을 제조하는 과정은 양극, 분리막 및 음극에 열을 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양극은 집전체의 양면 또는 일면에 양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음극 역시 집전체의 양면 또는 일면에 음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 유닛 제조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은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으로서, 라미네이션 공정이란, 분리막과 전극을 서로 맞닿도록 하거나 근접하도록 배치한 후 롤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가열 및/또는 가압하여 분리막과 전극을 부착하는 공정이다.
한편, 라미네이션 공정 등과 같이 가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전극 유닛을 제조하는 경우, 완성된 전극 유닛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냉각된다. 따라서, 가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전극 유닛을 제조하는 경우, 전극 유닛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축하게 된다. 그런데, 전극 유닛은 서로 다른 복수의 물질을 포함하고, 이러한 복수의 물질들은 각기 다른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expansion)를 가지므로 전극 유닛의 구성들이 각기 다른 수축률을 가지며 수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극 유닛이 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전극 유닛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하는 공정을 제거하거나 열을 가하는 정도를 낮추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으나, 이 경우, 분리막과 전극 간의 접착력 및 전극 유닛의 강도(stiffness)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열을 가하여 전극 유닛을 제조하는 공정 이후에 전극 유닛이 냉각되더라도 전극 유닛이 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거나 전극 유닛이 휘는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에 포함된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에 포함된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선정 단계; 상기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각각 활물질을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열을 가하여 상기 양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음극을 접착하는 접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전극 유닛이 제조된 후 냉각됨으로 인해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stress)을 계산한 후, 그 계산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양극 집전체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에 따라 상기 양극 집전체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을 계산한 후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의 비는 1.8 내지 3.1이 되도록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알루미늄이고, 상기 음극 집전체는 구리일 수 있다.
상기 접착 단계는,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에 의해 상기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접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에 포함된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에 포함된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선정 단계; 상기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각각 활물질을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열을 가하여 상기 양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음극을 접착하는 접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전극 유닛이 제조된 후 냉각됨으로 인해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가 수축됨으로써 상기 전극 유닛이 휘는 정도를,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의 변화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의 변화에 따라 계산한 후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의 비는 1.8 내지 3.1이 되도록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알루미늄이고, 상기 음극 집전체는 구리일 수 있다.
상기 접착 단계는,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에 의해 상기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접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유닛에 있어서, 상기 양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음극은 서로 접착되고,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은 각각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의 비는 1.8 내지 3.1인 전극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알루미늄이고, 상기 음극 집전체는 구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을 가하여 전극 유닛을 제조하는 공정 이후에 전극 유닛이 냉각되더라도 전극 유닛이 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거나 전극 유닛이 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 유닛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 유닛 제조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전극 유닛의 제조가 완료된 후 전극 유닛이 냉각됨으로 인해 전극 유닛이 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리의 두께에 대한 알루미늄의 두께의 비(Al/Cu thickness ratio)의 변화에 따른 전극 유닛이 휘는 정도를 실험한 후 이를 정리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열을 가하여 전극 유닛을 제조하는 경우 전극 유닛이 제조된 후 냉각되는 과정에서 전극 유닛이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 전극 유닛이 휘는 현상은 특히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것에 큰 영향을 받는다.
도 3은 전극 유닛의 제조가 완료된 후 전극 유닛이 냉각됨으로 인해 전극 유닛이 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극 유닛(1)의 전극(10, 20)은 각각 전극 활물질(미도시), 및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는 전극 집전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을 구성하는 양극(10) 및 음극(20)은 분리막(30)을 사이에 둔 채로 마주보고 있을 수 있으며, 전극 유닛(1)의 제조 과정에서 양극(10) 및 음극(20)에는 열이 가해짐으로써 분리막(30)에 접착될 수 있다. 전극 유닛(1)은 예를 들어,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는 서로 다른 재료일 수 있다. 따라서,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는데, 특히,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는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expansion)를 가짐으로 인해 냉각 과정에서 수축률이 상이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전극 유닛의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10)의 양극 집전체는 알루미늄일 수 있고, 음극(20)의 음극 집전체는 구리일 수 있는데, 선팽창계수를 기준으로 알루미늄의 열팽창계수는 23.1μm*m-1*K-1(섭씨 25도 기준)이고, 구리의 열팽창계수는 16.5μm*m-1*K-1(섭씨 25도 기준)이다. 하기에서는 양극 집전체가 알루미늄이고, 음극 집전체가 구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양극 집전체 또는 음극 집전체가 다른 재료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열을 가하여 전극 유닛(1)을 제조한 후 냉각되는 과정에서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은 음극 집전체인 구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수축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유닛(1)의 양끝부가 알루미늄(즉, 양극 집전체)을 향해 휘어지게 된다.
이때, 알루미늄 및 구리가 수축된 정도는 전극 유닛이 전체적으로 수축된 정도와 다르기 때문에 알루미늄 및 구리에는 인장력 또는 수축력에 의한 응력(stress)이 발생하게 된다. 즉, 알루미늄(즉, 양극 집전체)가 수축된 정도는 전극 유닛이 전체적으로 수축된 정도보다 크므로, 알루미늄의 내부에는 알루미늄의 중심으로부터 양끝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으로 인한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구리(즉, 음극 집전체)가 수축된 정도는 전극 유닛이 전체적으로 수축된 정도보다 작으므로 구리의 내부에는 구리의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축력으로 인한 수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이 작용하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 설명을 붙이자면, 알루미늄과 구리는 선팽창계수가 다르며 그에 따라 온도 변화에 따른 열 변형량이 구리보다 알루미늄이 더 크다. 따라서 구리는 알루미늄에 인장 응력을 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알루미늄은 구리에 수축 응력을 가하는 것으로 개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응력(stress, 이하, 본 명세서에서 문자로는'σ'로 표기하기로 한다.)은 재료의 단위 면적(A) 당 작용하는 재료 내의 저항력(P)으로 정의된다. 즉, 응력은,
Figure 112016097470749-pat00001
(이하, '[식 1]')
로 정의된다.
또한, 응력은 다른 식으로도 표현될 수 있는데, 재료가 탄성 한계(elastic limit) 내에서 변형되는 경우 응력은, 탄성 계수(modulus of elasticity) 또는 영률(Young's modulus, 이하, 본 명세서에서 문자로는'E'로 표기하기로 한다.)과 변형률(strain, 단위 길이당 재료의 변형량, 이하, 본 명세서에서 문자로는 'ε'으로 표기하기로 한다.)의 곱으로 표현된다. 즉, 응력은,
Figure 112016097470749-pat00002
(이하, '[식 2]')
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때, [식 2]를 ε에 대해 정리한 후, [식 1]을 대입하면,
Figure 112016097470749-pat00003
(이하, '[식 3]')
이 도출된다.
한편, 재료의 길이 변형량(displacement, 이하, 본 명세서에서 문자로는 'λ'로 표기하기로 한다.)은 그 정의상 변형률과 재료의 길이(length, 이하, 본 명세서에서 문자로는 'L'로 표기하기로 한다.)의 곱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Figure 112016097470749-pat00004
(이하, '[식 4]')
가 도출된다.
한편, 전극 유닛(1)을 구성하는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냉각에 의한 수축 길이는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의 영향 뿐만 아니라 재료에 작용하는 응력에 의한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즉,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알루미늄(즉, 양극 집전체)의 수축된 길이의 양은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된 길이의 양에서 인장 응력에 의해 늘어난 길이의 양을 뺀 값이 되고, 구리(즉, 음극 집전체)의 수축된 길이의 양은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된 길이의 양에서 수축 응력에 의해 수축된 길이의 양을 더한 값이 된다. 그런데, 양극과 음극은 동일한 분리막에 대해 접착되어 있으므로 알루미늄의 수축된 길이의 양과 구리의 수축된 길이의 양을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선팽창계수를 기준으로 한 재료의 열팽창계수를 α라 하고, 재료의 온도 변화를 ΔT라 하면,
Figure 112016097470749-pat00005
(이하, '[식 5]')
가 도출된다.
이때, 양극 집전체의 길이와 음극 집전체의 길이가 동일(Lal = Lcu)하다고 가정하고, [식 5]를 P에 대해 정리하면,
Figure 112016097470749-pat00006
(이하, '[식 6]')
이 도출된다.
즉, [식 6]을 이용하여 전극 유닛의 내부에 인가되는 저항력 P를 구할 수 있으며, 저항력 P를 [식 1]에 대입하여 αal 및 αcu를 구할 수 있다.
한편, 양극 집전체가 알루미늄이고 음극 집전체가 구리인 경우 전극 유닛(1)의 양끝부는 알루미늄을 향해 휘게 되므로 전극 유닛(1)이 휘는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의 변형량 λal이 감소하거나, 구리의 변형량 λcu가 증가할 필요가 있다. 이때, [식 2] 및 [식 4]에 의하면 알루미늄의 변형량 λal이 감소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의 응력 σal이 감소해야 하고, 구리의 변형량 λcu가 증가하기 위해서는 구리의 응력 σcu가 증가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을 가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은, 양극과 음극이 냉각됨으로 인해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stress)을 계산한 후, 그 계산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단계가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냉각에 의해 전극 유닛이 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중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양극 집전체 또는 음극 집전체의 두께가 양극 집전체 또는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하기의 표 1은 양극 집전체가 알루미늄이고 음극 집전체가 구리인 경우 알루미늄 또는 구리의 두께의 변화에 따른 알루미늄의 응력 또는 구리의 응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알루미늄 또는 구리의 두께 변화에 따른 알루미늄의 응력 및 구리의 응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
알루미늄의 두께(μm) 구리의 두께(μm) 전극 유닛의 내부에 인가되는 저항력(kgf) 알루미늄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kgf/mm2) 구리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kgf/mm2)
기준값 (Reference) 12 10 1.5 1.4 1.6
구리의 두께가 5 μm 감소한 경우 12 5 1.1 1.0 2.3
구리의 두께가 5 μm 증가한 경우 12 15 1.8 1.6 1.3
알루미늄의 두께가 5 μm 감소한 경우 7 10 1.1 1.7 1.2
알루미늄의 두께가 5 μm 증가한 경우 17 10 1.8 1.2 2.0
상기 표를 살펴보면, 구리의 두께가 5μm 감소한 경우 알루미늄의 응력이 감소하고 구리의 응력이 증가함으로써 전극 유닛의 휨 현상이 완화되었고, 알루미늄의 두께가 5μm 증가한 경우 알루미늄의 응력이 감소하고 구리의 응력이 증가함으로써 전극 유닛의 휨 현상이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양극 집전체가 알루미늄이고 음극 집전체가 구리인 경우, 구리의 두께가 5μm 감소한 경우 알루미늄의 응력은 1.4kgf/mm2에서 1.0kgf/mm2로 약 28% 감소하고 구리의 응력은 1.6kgf/mm2에서 2.3kgf/mm2로 약 44% 증가한 반면, 알루미늄의 두께가 5μm 증가한 경우 알루미늄의 응력은 1.4kgf/mm2에서 1.2kgf/mm2로 약 14% 감소하고 구리의 응력은 1.6kgf/mm2에서 2.0kgf/mm2로 약 25%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의 실험을 통해, 전극 유닛의 휨 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의 응력을 감소시키고 구리의 응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보다는 구리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리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알루미늄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보다 전극 유닛의 휨 현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 이유는 구리의 영률(Young's modulus)가 알루미늄의 영률보다 약 1.6배 크고(구리의 영률은 110Gpa, 알루미늄의 영률은 69Gpa), 판(plate) 형 재료에 걸리는 휨 모멘트(bending moment)는 두께의 3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극 유닛의 휨 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구리의 두께를 무한정 줄이거나 알루미늄의 두께를 무한정 늘릴 수는 없다. 왜냐하면 구리의 두께가 지나치게 줄어들거나 알루미늄의 두께가 지나치게 늘어나게 되면 오히려 전극 유닛의 양끝부가 오히려 구리(즉, 음극 집전체)를 향해 휘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유닛의 휨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의 두께와 구리의 두께의 비율 역시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리의 두께에 대한 알루미늄의 두께의 비(Al/Cu thickness ratio)의 변화에 따른 전극 유닛이 휘는 정도를 실험한 후 이를 정리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의 두께에 대한 알루미늄의 두께의 비가 일정 영역 이내에 있을 때 전극 유닛이 휘는 것이 현저히 방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실험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의 두께에 대한 알루미늄의 두께의 비가 1.8 내지 3.1인 경우 전극 유닛이 휘는 정도가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상기의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은, 양극에 포함된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에 포함된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선정 단계,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각각 활물질을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열을 가하여 상기 양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음극을 접착하는 접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접착 단계 이후 상기 양극과 음극이 냉각됨으로 인해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stress)을 계산한 후, 그 계산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를 조절할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전극 유닛
10 : 양극
20 : 음극
30 : 분리막

Claims (11)

  1.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에 포함된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에 포함된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선정 단계;
    상기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각각 활물질을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열을 가하여 상기 양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음극을 접착하는 접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전극 유닛이 제조된 후 냉각됨으로 인해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stress)을 계산한 후, 그 계산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양극 집전체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에 따라 상기 양극 집전체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의 내부에 인가되는 응력을 계산한 후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의 비는 1.8 내지 3.1이 되도록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 집전체는 알루미늄이고, 상기 음극 집전체는 구리인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 단계는,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에 의해 상기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접착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6.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에 포함된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에 포함된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선정 단계;
    상기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각각 활물질을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열을 가하여 상기 양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음극을 접착하는 접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정 단계는,
    상기 전극 유닛이 제조된 후 냉각됨으로 인해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가 수축됨으로써 상기 전극 유닛이 휘는 정도를,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의 변화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의 변화에 따라 계산한 후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음극 집전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의 비는 1.8 내지 3.1이 되도록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를 선정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양극 집전체는 알루미늄이고, 상기 음극 집전체는 구리인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착 단계는,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에 의해 상기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접착하는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30071A 2016-10-07 2016-10-07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KR10204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71A KR102040819B1 (ko) 2016-10-07 2016-10-07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PCT/KR2017/008575 WO2018066800A1 (ko) 2016-10-07 2017-08-08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JP2018546491A JP6708337B2 (ja) 2016-10-07 2017-08-08 電極ユニットの製造方法
EP17858595.6A EP3382775B1 (en) 2016-10-07 2017-08-08 Electrod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S17858595T ES2944599T3 (es) 2016-10-07 2017-08-08 Unidad de electrodos y método para fabricar la misma
US16/066,538 US10971716B2 (en) 2016-10-07 2017-08-08 Electrod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HUE17858595A HUE061661T2 (hu) 2016-10-07 2017-08-08 Elektródaegység és eljárás annak elõállítására
PL17858595.6T PL3382775T3 (pl) 2016-10-07 2017-08-08 Jednostka elektrodowa i sposób jej wytwarzania
CN201780006373.1A CN108475766B (zh) 2016-10-07 2017-08-08 电极单元及用于制造该电极单元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71A KR102040819B1 (ko) 2016-10-07 2016-10-07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881A KR20180038881A (ko) 2018-04-17
KR102040819B1 true KR102040819B1 (ko) 2019-11-06

Family

ID=6183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071A KR102040819B1 (ko) 2016-10-07 2016-10-07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971716B2 (ko)
EP (1) EP3382775B1 (ko)
JP (1) JP6708337B2 (ko)
KR (1) KR102040819B1 (ko)
CN (1) CN108475766B (ko)
ES (1) ES2944599T3 (ko)
HU (1) HUE061661T2 (ko)
PL (1) PL3382775T3 (ko)
WO (1) WO2018066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9221B (zh) * 2021-02-06 2022-08-16 湖南华兴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圆柱型锂离子电池负极辊压后二次烘烤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1192A1 (en) 2002-08-24 2005-10-06 Creavis Gesellschaft Fuer Tech.Und Innovation Separator-electrode unit for lithium-ion batteries,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in lithium batteries
JP2007087814A (ja) * 2005-09-22 2007-04-05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7596B2 (ja) 2007-05-24 2013-06-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水溶媒二次電池用集電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極および電池
JP4941245B2 (ja) * 2007-11-19 2012-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貯蔵デバイスセルおよび電力貯蔵デバイスモジュール
KR20110022735A (ko) 2008-09-09 2011-03-07 파나소닉 주식회사 비수성 전해질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66256B1 (ko) * 2009-02-05 2011-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JP5372881B2 (ja) * 2010-09-28 2013-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応力緩和層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JP5850611B2 (ja) * 2010-11-17 2016-02-0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集電体用の銅箔、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材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集電体選定方法。
US9583757B2 (en) 2010-12-22 2017-02-28 Enevate Corporation Electrodes,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electrodes and electrochemical cells
PT2735047T (pt) * 2011-09-15 2018-06-14 Siemens Ag Processo para a produção a seco de uma unidade de elétrodos de membrana, elétrodos de membrana assim como disposição de laminação
US20150044535A1 (en) 2011-09-27 2015-02-12 Sanyo Electric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EP2772964B1 (en) * 2012-02-07 2019-01-09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having novel structure
JP2013191388A (ja) * 2012-03-13 2013-09-26 Nissan Motor Co Ltd 積層構造電池
JP2015225847A (ja) * 2014-05-30 2015-12-14 株式会社Neomaxマテリアル 電池集電体用クラッド材および電極
US20170222280A1 (en) 2014-09-29 2017-08-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aminated battery
KR101751442B1 (ko) * 2014-12-24 2017-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네일 안전성이 확보된 리튬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1192A1 (en) 2002-08-24 2005-10-06 Creavis Gesellschaft Fuer Tech.Und Innovation Separator-electrode unit for lithium-ion batteries,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in lithium batteries
JP2007087814A (ja) * 2005-09-22 2007-04-05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08337B2 (ja) 2020-06-10
ES2944599T3 (es) 2023-06-22
KR20180038881A (ko) 2018-04-17
CN108475766B (zh) 2021-04-27
US20190386289A1 (en) 2019-12-19
CN108475766A (zh) 2018-08-31
PL3382775T3 (pl) 2023-07-10
HUE061661T2 (hu) 2023-08-28
EP3382775A4 (en) 2019-03-20
JP2019507485A (ja) 2019-03-14
WO2018066800A1 (ko) 2018-04-12
US10971716B2 (en) 2021-04-06
EP3382775B1 (en) 2023-04-19
EP3382775A1 (en) 201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808B1 (ko) 전기작동 재료층과 섬유복합 재료층으로 구성된 곡면형 작동기
US3969754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upporting electrode composite structure of metal containing fibers
US584912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extensional transducer using pre-curved piezoelectric ceramic layer
US10490824B2 (en) Cladding material for battery collector and electrode
KR102040819B1 (ko) 전극 유닛 및 그러한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US20110049130A1 (en) Self-regulating heater
KR101085885B1 (ko) 전기이중층축전지
CN109417057B (zh) 陶瓷电路基板及半导体模块
KR20190061843A (ko) 플렉서블 열전 모듈
JP6565964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
US10049958B2 (en) Semiconductor device
JP6047358B2 (ja) 多連化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46420A1 (en) PTC element
CN111683416A (zh) 材料去除加热器装置
US20100047540A1 (en) Actuator using a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JP5656352B2 (ja) 積層圧電アクチュエータ
KR101734292B1 (ko) 압전재료 적용 유니모프 작동기
JPH0533509B2 (ko)
JPS60233833A (ja) 半導体装置
JPS604279A (ja) 積層型圧電体
JP2019091821A (ja) 半導体装置
JPS6158285A (ja) 積層型圧電体
JPH04361575A (ja) 積層型圧電体
JPH051256U (ja) 圧電積層体
JP2016134405A (ja) 両面冷却型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