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465B1 -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다층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다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465B1
KR102040465B1 KR1020160001429A KR20160001429A KR102040465B1 KR 102040465 B1 KR102040465 B1 KR 102040465B1 KR 1020160001429 A KR1020160001429 A KR 1020160001429A KR 20160001429 A KR20160001429 A KR 20160001429A KR 102040465 B1 KR102040465 B1 KR 102040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group
compositio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251A (ko
Inventor
최정민
김현철
한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0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4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금속층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굴곡성이 개선되어 크랙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은 적정의 표면 경도 및 내굴곡성을 가지고 있고, 컬 발생이 적은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다층 필름{compositions forming hard-coating layer and multi-layered film}
본 출원은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널은 CRT, LCD, PDP, EL(electroluminescence)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면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로 이를 터치하면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만든 장치이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최근 들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컴퓨터, OA 기기, 의료기기 또는 자동차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에는 위치 검출의 방법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 저항막 방식은 투명 전극층이 코팅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을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를 사이에 두고 투명 전극층이 서로 마주보게 합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부 기판을 접촉하였을 때 위치 검출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며, 더 가압하여 하부 기판의 투명 전극층과 접촉되었을 때 전기적 신호가 검출되어 접촉 위치가 결정된다. 이 방식은 응답속도와 경제성이 높은 반면에 내구성이 크지 않아 파손의 위험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은 터치 화면 센서를 구성하는 기재 필름의 일면에 전도성 금속 물질을 코팅 또는 증착 처리하여 투명 전극을 형성하고 일정량의 전류를 유리표면에 흐르게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때 인체 내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전류의 양이 변경된 부분을 인식하고 크기를 계산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이 때 기재층과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 또는 증착층과의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하드 코팅층이라 일컫는 경화층을 형성하는 방식이 일본 특허공보 2014-199571 등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하드 코팅층은 표면 경도가 높아 내굴곡성이 약하고, 크랙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는 등 기재층과 금속 증착층과의 접착력을 확보 하기 위해 적정한 표면 경도 및 내굴곡성을 가지는 하드 코팅층의 제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99571호
본 출원은 금속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굴곡성이 뛰어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터치 패널 등에 이용되는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적정한 표면 경도를 가지면서, 내굴곡성이 뛰어나 크랙 등에 대한 내성이 강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되는 다층 필름 및 터치 패널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의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5 내지 40 중량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20 내지 8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하드 코팅층」은 터치 패널 등에 이용되는 다층 필름의 일 구성으로써, 기재와 금속층의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채택되는 경화층을 의미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2개 이상의 관능기, 예를 들면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고, 후술하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제외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관능기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 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3 관능성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써, 3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3 관능성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화합물은 전술한 3관능성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중에서 표면 경도 특성 및 내 굴곡성을 확보하는 관점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5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중량부」는 달리 표현하지 않는 한 각 성분간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본 출원의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5 내지 35 중량부, 10 내지 35 중량부, 또는 10 내지 30 중량부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에폭 시드(Epoxide)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상기 에폭시드(Epoxide)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에폭시 변성(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폭시드(Epoxide)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페놀 노볼락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비스페놀 A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페놀 노볼락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20 내지 8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30 내지 80 중량부 또는 40 내지 80 중량부의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전술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제외한 (메타)아크릴산 및 그 유도체로써, 분자량이 50,000 이하인 소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출원은,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 전술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에폭시 (메타)아크레이트 화합물과 함께,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소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내굴곡성이 낮고, 상온에서 컬 발생이 적으며, 상부에 증착될 수 있는 금속 물질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한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분자 내 우레탄 결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써, 예를 들면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인 2관능성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다른 예시에서, 5 내지 35 중량부, 10 내지 35 중량부 또는 10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 내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범위 내에서 목적하는 하드 코팅층의 내굴곡성을 개선하여, 다층 필름의 크랙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금속층, 구체적으로 금속 증착층과 기재의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또한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실록산 레벨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실록산 레벨링제를 0.01 내지 0.5 중량부의 비율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실록산 레벨링제는 후술하는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 형성 시에 낮은 표면 에너지로 인하여, 금속층에 근접하게 되고, 실록산 레벨링제에 포함되어 있는 히드록시기가 금속층과 화학적 결합 등의 반응을 함으로써, 기재와 금속층 간에 보다 우수한 접착력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실록산 레벨링제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2의 유기 실록산 단위를 가지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01174509-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6001174509-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히드록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이며, R1 내지 R4 중 적어도 하나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고, l 및 m은 1이상의 정수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내지 R7은 히드록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이며, R5 내지 R7 중 적어도 하나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고, n은 1이상의 정수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 「알킬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n- 헵틸기 또는 n-옥틸기 등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이거나,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또는 시클로헵틸기 등의 시클로 알킬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알케닐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6, 탄소수 2 내지 12, 탄소수 2 내지 8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케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케닐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알케닐기는 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또는 3-부테닐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알케닐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알콕시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콕시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아릴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벤젠 고리 또는 2개 이상의 벤젠 고리가 축합 또는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하는 1가 잔기를 의미할 수 있다. 아릴기의 범위에는 통상적으로 아릴기로 호칭되는 관능기는 물론 소위 아르알킬기(aralkyl group) 또는 아릴알킬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아릴기는, 예를 들면, 탄소수 6 내지 25, 탄소수 6 내지 21, 탄소수 6 내지 18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일 수 있다. 아릴기로는, 페닐기, 페녹시기, 페녹시페닐기, 페녹시벤질기, 디클로로페닐, 클로로페닐,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벤질기, 톨릴기, 크실릴기(xylyl group) 또는 나프틸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릴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및 아릴기에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치환기로는 에폭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티올기, 카복실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실록산 레벨링제는, 0.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0.02 중량부 내지 0.3 중량부 또는 0.02 중량부 내지 0.3 중량부의 비율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또한, 무기 산화물 입자 또는 유기 입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산화물 입자 또는 유기 입자는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의 블로킹 저항성(anti-blocking)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용어, 「블로킹 저항성」이란, 라미네이팅 공정 또는 권취 공정시에 상기 하드 코팅층이 서로 달라붙으려는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한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무기 산화물 입자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무기 산화물 입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 산화물 입자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산화 티타늄 입자 및 산화 지르코늄 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유기 입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입자 또는 폴리스티렌 입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유기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산화물 입자 또는 유기 입자는 예를 들어, 상기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또한,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가교제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 사이에 가교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교 구조의 형성을 통하여 승온시 하드 코팅층의 응집력을 유지시켜 부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단관능성 가교제 또는 다관능성 가교제 등 공지된 다양한 가교제를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성 관능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가교제는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다른 예시에서, 가교제는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또는 2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에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인 하드코팅층의 응집력 및 내구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또한, 경화 반응을 개시 하기 위한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개시제는 광, 예를 들면 자외선 등의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생성하고, 경화 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광개시제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이 예시 될 수 있으며, 상기 광 개시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절히 선택되어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광개시제는 상기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0.2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또는 0.2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본 출원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실란계 커플링제, 대전 방지제, 근적외선 흡수제,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다층 필름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5 내지 40 중량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20 내지 8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인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하드 코팅층 상에 형성되는 금속층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다층 필름에 대한 일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다층 필름은 기재층(100); 상기 기재층(100)상에 형성된 하드 코팅층(200); 및 상기 하드 코팅층(200)상에 형성된 금속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기재층은,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소재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필름 또는 고분자 필름,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아크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트탈레이트(PEN) 필름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목적하는 다층 필름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두께 범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0 내지 150 ㎛ 또는 20 내지 125 ㎛의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기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은 광 경화형 하드 코팅층으로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전술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일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경화물」은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한 뒤, 적절한 경화 조건에서 경화시켜 경화된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5 내지 40 중량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20 내지 8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적절한 기재에 공지의 코팅 수단을 이용하여 코팅하고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지의 코팅 수단은, 예를 들면 바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롤 코팅,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 슬롯다이 코팅, 콤마코팅, 스프레이 코팅, 나이프 코팅, 다이코팅, 딥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와이어 바코팅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코팅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면,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합을 유도하며, 또한 추가적으로 가교제에 의한 가교반응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광, 구체적으로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의 조사 조건은, 예를 들면, 고압수은 램프, 무전극 램프 또는 크세논 램프(xenon lamp) 등의 수단을 사용하며, 조도를 50 mW/cm2 내지 2,000 mW/cm2로 제어하고, 광량을 10 mJ/cm2 내지 1,000 mJ/cm2로 제어하여, 적절한 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의 두께는 목적하는 다층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5 ㎛ 내지 3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드 코팅층은 내굴곡도가 5Φ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 굴곡도의 범위 내에서, 금속층과 우수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고, 크랙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하드 코팅층은 내굴곡도가 4Φ이하 또는 3Φ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층 필름은, 상기 하드 코팅층 위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구리, 은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상기 하드 코팅층 상에 증착시켜 형성된 증착층 일 수 있다.
싱기 금속층이 증착층 일 경우, 하드 코팅층 상에 상기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스퍼터링(sputtering), PLD(Pulsed Laser Deposition), 전자빔 증착(Electron beam evaporation), 열증착(thermal evaporation) 또는 L-MBE(Laser Molecular Beam Epitaxy) 등과 같은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방식;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HVPE(Hydride Vapor Phase Epitaxy), ALD(Atomic Layer Decomposition),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iCVD(initiat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의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의 방식;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층의 두께는 목적하는 다층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내지 1 ㎛ 또는 0.1 내지 1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다층 필름은 전술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하드 코팅층은 내굴곡성이 개선되고, 기재와 금속층간의 우수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컬(Curl)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다층 필름은 ASTM D3002/D3359의 규격에 준거하여, 1 기압, 85% 상대 습도의 조건에서 500 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크로스 컷 테스트에 따라 측정한 하드 코팅층과 금속층 사이의 접착력이 4B 이상, 예를 들어, 5B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다층 필름은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컬(Curl) 발생 정도가 3mm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상온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23 ℃ 내지 27℃, 24℃ 내지 26℃ 또는 약 25℃ 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컬(Curl) 발생 정도는, 예를 들면 소정의 조건이 지난 후 다층 필름 시편의 양 모서리에서 안쪽 방향으로 변형되어 들어간 부분을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하여 계산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다층 필름의 용도, 예를 들면 전술한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터치 패널은, 전술한 다층 필름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터치 패널에 포함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구성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은 기재와 금속층과의 접착력의 우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내굴곡성 등이 우수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적절한 표면 경도를 가지고, 크랙 등에 대한 내성이 강하며, 컬(Curl) 발생이 적은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다층 필름에 대한 일 모식도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다층 필름의 제조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출원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측정 방법 -
1.컬(Curl) 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다층 필름 시편을 제작된 시편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다층 필름 시편의 양 모서리에서 안쪽 방향으로 변형되어 들어간 부분을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하여 하기 기준으로 컬(Curl) 특성을 평가하였다.
<휨 특성 평가 기준>
: 기준면으로부터 휨 발생 높이가 3mm 미만
: 기준면으로부터 휨 발생 높이가 4mm 미만
X: 기준면으로부터 휨 발생 높이가 6mm 미만
2.크로스 컷 테스트
크로스 컷 시험 기준인 ASTM D3002/D3359의 규격에 준거하여, 크로스 컷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편을 1기압, 85 및 85% 상대 습도의 조건에서 500 시간 방치한 후에 1 mm의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11줄씩 칼로 그어서 가로와 세로가 각각 1 mm인 100개의 정사각형 격자를 형성하였다. 그 후, Nichiban사의 CT-24 접착 테이프를 상기 재단 면에 부착한 후 떼어낼 때에, 함께 떨어지는 면의 상태를 측정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크로스-해치 접착력 평가 기준>
5B: 떨어진 면이 없는 경우
4B: 떨어진 면이 총 면적 대비 5% 미만인 경우
3B: 떨어진 면이 총 면적 대비 5% 내지 15%인 경우
2B: 떨어진 면이 총 면적 대비 15% 초과 35% 이하인 경우
1B: 떨어진 면이 총 면적 대비 35% 초과 65% 이하인 경우
0B: 떨어진 면이 총 면적 대비 65% 초과인 경우
3. 내굴곡성 테스트
2mm 에서 10mm의 직경을 가지는 서스바(sus-bar)에 제조된 다층 필름의 하드 코팅층이 바깥쪽에서 위치하며, 45도 각도가 되도록 배치한 후, 필름의 하단부에서 500g의 하중으로 10초간 방치하고, 서스바(sus-bar)에 위치한 필름 부분의 크랙 형성여부를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측정하였다.
4. 연필 경도 테스트
연필 경도는 45도 각도에서 하중 750g을 가하여 연필 경도에 따라 5회 반복 한 후, 4회 이상의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코팅츠으이 경도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1)의 제조
질소가스가 환류 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000cc의 반응기에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 A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테르계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를 10:80:10의 비율로 투입하고, 광중합 개시제(Iragacure® 184:Darocur® 1173=3:2) 5 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에 10 중량%로 희석하여 투입한 후, 코팅성을 고려하여 적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1)을 제조하였다.
다층 필름의 제조
상기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1)을 2축 레인보우 방지 처리된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두께 : 50㎛)의 일면에 코팅 및 건조하여, 두께가 3㎛인 코팅층을 형성하고, 자외선을 800mJ/cm2의 조사량으로 30초 동안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시킴으로써, PET 기재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하드 코팅층 상에 알루미늄을 스퍼터링에 의하여 증착시켜 두께가 0.1㎛인 알루미늄 층을 형성하여, 기재, 하드 코팅층 및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의 물성 및 하드 코팅층과 알루미늄 금속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2.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2)의 제조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 A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테르계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을 15:70:1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2)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A2)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 따른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의 물성 및 하드 코팅층과 알루미늄 금속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3.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3)의 제조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 A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테르계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을 10:60:3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3)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A3)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에 따른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의 물성 및 하드 코팅층과 알루미늄 금속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4.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4)의 제조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 A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테르계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을 20:60:2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4)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A4)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에 따른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의 물성 및 하드 코팅층과 알루미늄 금속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5.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 A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테르계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을 20:50:3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5)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A5)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에 따른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의 물성 및 하드 코팅층과 알루미늄 금속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6.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 A 에폭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테르계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을 30:40:3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A6)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A6)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에 따른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의 물성 및 하드 코팅층과 알루미늄 금속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1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100 중량부를 사용하여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B1)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에 따른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의 물성 및 하드 코팅층과 알루미늄 금속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2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 100 중량부를 사용하여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B2)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에 따른 다층 필름에 포함되는 하드 코팅층의 물성 및 하드 코팅층과 알루미늄 금속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조성물 (A:B:C, 중량부) (10:80:10) (15:70:15) (10:60:30) (20:60:20) (20:50:30) (30:40:30) PETA (100)
하드 코팅층 물성 연필경도(1H,500g) 1H 1H 1H 1H 1H HB~1H 1H
내굴곡성 4 Φ 2 Φ 2 Φ 2 Φ 2 Φ 8 Φ
컬 특성(mm)
크로스컷 테스트 상온 5B 5B 5B 5B 5B 5B 0B
고온 고습 후(85%,85℃ 500hr) 5B 5B 5B 5B 5B 5B 0B
A :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B :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C : 아크릴계 올리고머
PETA :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DPHA :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
100 : 기재
200 : 하드 코팅층
300 : 금속층

Claims (16)

  1.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5 내지 40 중량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40 내지 8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팅층의 내굴곡도는 5Φ 이하인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는 3관능성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3관능성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는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비스페놀 A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페놀 노볼락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우레탄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실록산 레벨링제를 0.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의 비율로 추가로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실록산 레벨링제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유기 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01174509-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16001174509-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이며, R1 내지 R4 중 적어도 하나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고, l 및 m은 1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이며, R5 내지 R7 중 적어도 하나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고, n은 1이상의 정수이다.
  9. 제 1항에 있어서, 무기 산화물 입자 또는 유기 입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10.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제 1항의 조성물의 경화물인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하드 코팅층 상에 형성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11. 제 10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아크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 우레탄 필름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다층 필름.
  12. 제 10항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의 두께는 0.5㎛ 내지 3㎛인 다층 필름.
  13. 삭제
  14. 삭제
  15. 제 10항에 있어서, 금속층은 알루미늄, 구리, 은 및 이들의 합금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증착층인 다층 필름.
  16. 제 10항의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0160001429A 2016-01-06 2016-01-06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다층 필름 KR102040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429A KR102040465B1 (ko) 2016-01-06 2016-01-06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다층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429A KR102040465B1 (ko) 2016-01-06 2016-01-06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다층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251A KR20170082251A (ko) 2017-07-14
KR102040465B1 true KR102040465B1 (ko) 2019-11-05

Family

ID=5935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429A KR102040465B1 (ko) 2016-01-06 2016-01-06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다층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4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0109A1 (en) 2012-05-31 2015-02-25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754B1 (ko) * 2003-03-25 2006-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경화형 하드 코팅제 조성물
KR101330851B1 (ko) * 2011-08-17 2013-11-18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소자용 시일제 및 액정 표시 소자
JP2014199571A (ja) 2013-03-29 2014-10-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部材の製造方法
KR20150082125A (ko) * 2014-01-06 2015-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0109A1 (en) 2012-05-31 2015-02-25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251A (ko)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669B1 (ko) 하드코트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JP6227321B2 (ja)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6133426B2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KR101470466B1 (ko) 적층 하드코팅 필름
EP3315569B1 (en) Coating composition for flexible plastic film
CN107206759B (zh) 硬涂膜
KR102008525B1 (ko) 하드 코트 필름
KR102066759B1 (ko) 하드 코팅 조성물 및 고굴절률 안티블로킹층 형성 조성물
JP2019034422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047636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EP3730292B1 (en)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EP2940088A1 (en) Coating composition, and plastic film prepared therefrom
EP3541881A1 (en) Flexible hardcoat comprising urethane oligomer hydrogen bonded to an acrylic polymer
KR20150082125A (ko) 다층 필름
JP4503216B2 (ja) 光学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6194361B2 (ja) 耐熱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5029666A6 (ja) 耐熱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40465B1 (ko)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다층 필름
JP3471217B2 (ja) 透明導電性フイルム
KR102040464B1 (ko)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다층 필름
JP2010176357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JP2003251751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200038141A (ko) 플렉서블 윈도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1322206A (ja) ガスバリア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004973A1 (ko)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