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274B1 -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274B1
KR102040274B1 KR1020190091178A KR20190091178A KR102040274B1 KR 102040274 B1 KR102040274 B1 KR 102040274B1 KR 1020190091178 A KR1020190091178 A KR 1020190091178A KR 20190091178 A KR20190091178 A KR 20190091178A KR 102040274 B1 KR102040274 B1 KR 102040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piece
main body
scrap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수
Original Assignee
서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수 filed Critical 서용수
Priority to KR102019009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03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싱부, 상기 본체와 마주하도록 프레싱부에 매립되며, 피가공물을 가압 및 절단하는 다수개의 가공수단이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가공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가공부의 가공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피가공물의 배열위치를 가이드 하면서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홀딩시키는 가이드수단이 형성된 위치설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레스 장치{PRESS APPARATUS}
본 발명은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다수개의 조각으로 절단할 수 있는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는 상온에서 탄성을 나타내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 물질 또는 그 원료가 되는 고분자 물질로서, 고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동차나 일반 기계 장치에 각종 완충 수단으로 사용되며, 또한 각종 밸브에 대한 패킹수단 등으로 사용되는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무 재질의 피가공물은 일정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재단되어 작업자에게 제공되며, 작업자는 프레스 장치로 피가공물을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종래의 프레스 장치는 상면에 다수개의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지그, 지그에 힌지 결합되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는 다수개의 가공홈을 갖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피가공물과 가공홈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지그에 배열해야만, 피가공물이 가공홈에 의해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스 장치는 지그에 피가공물과 가공홈의 위치를 일치시켜주는 가이드수단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감으로 피가공물을 배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불량이 많이 발생되었다.
나아가, 숙달되지 않은 작업자가 가공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불량품이 더욱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8498호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피가공물을 프레싱하여 여러 조각으로 절단함에 있어, 피가공물의 배열위치를 가이드해주어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제품에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프레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가공물을 가공한 이후에 처리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싱부, 상기 본체와 마주하도록 프레싱부에 매립되며, 피가공물을 가압 및 절단하는 다수개의 가공수단이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가공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가공부의 가공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피가공물의 배열위치를 가이드 하면서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홀딩시키는 가이드수단이 형성된 위치설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설정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위치설정부에서 피가공물을 분리시키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를 틸팅시켜 피가공물의 저항력을 분산시키는 분산부,
상기 분리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위치설정부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에 구비되는 피스톤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위치설정부를 픽킹하는 픽킹부, 상기 제1 실린더를 상기 본체의 영역 밖으로 이송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본체와 이격되고, 상면에 상기 제2 실린더에 의해 이송된 위치설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주행구동부, 상기 주행구동부에 의해 위치설정부를 따라 주행하며, 하측에 가이드수단에 홀딩 된 피가공물을 스크래핑 하는 역삼각형 형상의 분리부재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스크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부는 실린더로 형성되어 상기 주행구동부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교번되게 작동되면서 상기 주행구동부 및 스크래퍼를 롤링시키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보강심이 일정간격으로 매립된 역삼각형 형상의 보강부재, 상기 스크래퍼의 내부 일측벽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지탱부재, 상기 스크래퍼의 내부 타측벽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제1지탱부재와 접하고,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지탱부재, 상기 제1지탱부재와 제2지탱부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양측이 스크래퍼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고정되며,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가지탱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피가공물을 프레싱하여 여러 조각으로 절단함에 있어, 피가공물의 배열위치를 설정해주어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도 쉽게 가공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가공물을 여러 조각으로 절단 한 이후에 프레스 장치에서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본체, 프레싱부, 가공부 및 위치설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위치설정부가 본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위치설정부에 피가공물을 배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로 피가공물을 가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탄성 지지대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11은 도 6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이송부, 분리부, 분산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분리부 및 분산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
도 16은 도 15의 A-A 단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본체, 프레싱부, 가공부 및 위치설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위치설정부가 본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위치설정부에 피가공물을 배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로 피가공물을 가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탄성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11은 도 6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이송부, 분리부, 분산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적용된 분리부 및 분산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A-A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는 고무, 실리콘과 같은 피가공물(P)을 가압하여 다수개의 조각형태로 절단 후 분리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때, 피가공물(P)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 타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는 본체(10), 프레싱부(20), 가공부(30), 위치설정부(40), 이송부(80), 분리부(90), 분산부(100), 보강부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대략 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위치설정부(40)가 안착된다.
본체(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위치설정부(4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핀(11)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프레싱부(20)와 위치설정부(40) 및 후술되는 가압부(50)의 상호작용을 통해 피가공물(P)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피가공물(P)을 열변형시켜 수월하게 절단시키기 위한 열선(미도시)이 매립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는 금속과 같이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며, 열선은 본체(10) 전체를 고루게 가열할 수 있도록 파형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프레싱부(20)는 도 2를 기준으로 하후측이 본체(1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프레싱부(20)의 전측에는 회동제어용 손잡이(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21)를 파지한 다음, 프레싱부(2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가면서 피가공물(P)을 가공하면 된다.
이때, 프레싱부(20)를 하 방향으로 회동 시 가공부(30)가 위치설정부(40)의 상면에 안착된 피가공물(P)을 가압하며, 프레싱부(20)를 상 방향으로 회동 시에는 가공부(30)가 피가공물(P)와 이격된다.
프레싱부(20)의 저면 즉, 위치설정부(40)와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이격되는 홈이 형성되며, 가공부(30)는 홈에 각각 수용 및 고정되어 프레싱부(20)에 매립된다.
가공부(30)에는 위치설정부(40)에 안착된 피가공물(P)을 가압 및 절단하는 다수개의 가공수단이 일정패턴으로 형성된다.
이때, 가공수단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피가공물(P)을 가압하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311)과 수평 격벽(312) 및 수직 격벽(311)과 수평 격벽(312)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홈(313)으로 구성된다.
가공수단의 홈(313)은 피가공물(P)을 절단하였을 때, 절단된 피가공물(P)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타원형,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프레싱부(20)의 내부에도 피가공물(P)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피가공물(P)을 열변형시켜 수월하게 절단시키기 위한 열선(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위치설정부(40)는 피가공물(P)이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자동으로 가이드하여 피가공물(P)의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본체(10)의 고정핀(11)이 관통하는 관통홀(40a)이 형성된다.
즉, 위치설정부(40)를 본체(10)의 상면에 안착하면 고정핀(11)이 위치설정부(40)를 지지하여, 피가공물(P)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위치설정부(40)가 상,하 좌,우 방향 등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프레싱부(2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고정핀(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홈(20a)이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싱부(20)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위치설정부(40)의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핀(11)의 상측이 수용홈(20a)에 수용되어, 수직 격벽(311)과 수평 격벽(312)이 피가공물(P)을 가압하고, 홈(313)의 내부에는 피가공물(P)이 수용된다.
위치설정부(40)에는 가공부(30)의 가공수단의 홈(3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피가공물(P)의 배열위치를 가이드 하면서 가공과정에서 피가공물(P)의 하측을 홀딩시키는 가이드수단(41)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수단(41)은 위치설정부(40)에 수직,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는 홈 또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수단(41)은 가공수단의 홈(313)과 동일한 개수 및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프레싱부(20)가 위치설정부(40)의 상면에 안착되면 각각의 가공수단과 가이드수단(41)이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이드수단(41)에 피가공물(P)을 올려 놓으면, 가공수단과 피가공물(P)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는 작업자가 피가공물(P)을 배치할 때 감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수단(41)을 통해 피가공물(P)의 배열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P)과 가공수단의 위치가 맞지 않아 다시 보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가공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도록 할 수 있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는 전술한 가공부(30)와 위치설정부(40)를 제공함으로써,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도 쉽게 가공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체(10)는 가압부(5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부(50)는 공지의 프레싱기기로써, 작업대(70)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이송레일(51), 이송레일(51)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며, 상면에 본체(10)가 고정되는 지지판(52), 지지판(52)이 전진 시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압판(53), 이송레일(51) 및 지지판(52)을 상승시켜 위치설정부(40)에 배열된 피가공물(P)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레일(51)의 내부에는 본체(10)를 자동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로드레스 실린더(미도시)가 매립될 수 있다.
이때, 로드레스 실린더의 이송체(미도시)는 지지판(52)과 연결되어, 지지판(52)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설정부(40)의 가이드수단(41)에 피가공물(P)을 올려놓은 다음, 프레싱부(20)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가공수단이 피가공물(P)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한 후, 가압판(53)과 지지판(52)으로 본체(10)와 프레싱부(20)를 가압하면 가이드수단(41)에 배열된 피가공물(P)이 가공수단의 패턴대로 여러 조각으로 절단된다.
한편, 가압부(50)의 양측에는 피가공물(P), 가공작업에 필요한 도구나 재료 등을 올려 놓을 수 있고, 분리부(90), 분산부(100)가 설치되는 작업대(70)가 배치된다.
그리고, 작업대(70)의 저면에는 작업자가 일어서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다리(7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다리(71)는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작업대(7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에 따라, 작업자가 다리나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가공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싱 장치는 작업대(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지지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대(60)는 상판(61), 케이스(62) 및 상판 지지부(63)를 포함한다.
상판(61)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다리(71)의 저면과 밀착되며, 상판 지지부(63)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62)는 상판(61)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63)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63)는 케이스(6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62)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61)을 지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63)는, 제1 지지부(6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631)는 상판(61)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61)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는 상판(61)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61)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61)이 하강하려고 할 경우 제1 지지부(6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63)는 제1 지지부(6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61) 및 상판(61)에 안착된 지지다리(71)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631)는, 제1 회동 체결부(6311), 제1 연결 볼(6312), 제1 지지 바아(6313), 충전액 탱크(6314) 및 연결관(6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63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61)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6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6312)은 제1 회동 체결부(6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6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6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6313)는 제1 연결 볼(6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6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6312)을 지지하며, 상판(61)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6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6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6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6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61)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6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6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6313)는 충전액 탱크(6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6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6315)은 충전액 탱크(6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는 제2 회동 체결부(6321), 제2 연결 볼(6322), 제2 지지 바아(6323), 탄성 지지부(6324) 및 승하강 조절부(6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63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61)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6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6322)은 제2 회동 체결부(6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6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6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지지 바아(6323)는 제2 연결 볼(6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62)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6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6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6324)는 제2 지지 바아(6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6323)를 케이스(62)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6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6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6325h)에 제2 지지 바아(6323)가 삽입되며, 상판(61)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6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6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6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632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6325h)이 위치하는 내측(6325i)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6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6323)와 대향하는 내측(6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63)는 제1 지지부(6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를 이용하여 상판(61)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를 이용하여 상판(61)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61)이 각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6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6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61)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61)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6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6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61)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탄성지지대(60)는 지지다리(7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작업대(70)의 하강 구동을 억제함에 따라, 작업대(70)에 분산부(100), 분리부(90), 가공재료 이외의 무거운 물건을 올려 놓거나 또는 많은 양의 피가공물(P)을 올려 놓더라도 지지다리(71)가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등 작업대(7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해준다.
이송부(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50)가 피가공물(P)을 여러 조각으로 절단한 이후에 작동되어 피가공물(P)이 홀딩된 위치설정부(40)를 분리부(90)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제1 실린더(81), 픽킹부(82), 제2 실린더((83)를 포함한다.
제1 실린더(8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위치설정부(4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된다.
이때, 제1 실린더(81)에 구비되는 피스톤은 본체(10)에 안착된 위치설정부(40)의 파지부(42)와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1 실린더(81)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로 형성되어,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파지부(42)에 대해 하강되거나 상승된다.
픽킹부(8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 실린더(81)의 피스톤 하단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픽킹부(82)는 파지부(42)와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픽킹부(82)는 제1 실린더(81)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과 함께 파지부(42)에 대해 하강되거나 상승된다.
픽킹부(82)는 다수개의 집게발(821)을 갖는 공지의 집게장치로 형성되며, 집게발(821)이 오므려졌을 시 파지부(42)를 잡고, 집게발(821)이 벌려졌을 시에는 파지부(42)를 놓는다.
제2 실린더((83)는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린더((83)에 구비되는 2개의 이송체(831)는 제1 실린더(81)에 각각 결합되며, 제2 실린더((83)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제1 실린더(81)를 본체(10) 또는 분리부(90)로 이동시킨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 프레싱부(20), 가압부(50)를 통한 피가공물(P)의 절단 작업이 완료되면, 제1 실린더(81)의 피스톤이 하강 후 상승되어 픽킹부(82)가 위치설정부(40)를 상승시키고, 이후, 제2 실린더((83)가 제1 실린더(81) 및 픽킹부(82)를 이송시켜 위치설정부(40)를 분리부(90) 측으로 이송시키며, 이후에, 제1 실린더(81)의 피스톤이 하강되고, 집게발(821)이 벌려져 위치설정부(40)를 분리부(90)에 공급하며, 이어서 제2 실린더((83)가 제1 실린더(81) 및 픽킹부(82)를 본체(10) 측으로 다시 이송시키는 것이다.
한편, 분리부(90)는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된 위치설정부(40)에서 피가공물(P)을 자동으로 분리시키는 것으로, 안착부(91), 주행구동부(92), 스크래퍼(93)를 포함한다.
안착부(91)는 작업대(70)의 상면에 설치되고, 본체(10)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면에는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된 위치설정부(40)가 안착된다.
안착부(91)의 상면은 위치설정부(40)가 완전한 수평형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주행구동부(9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안착부(9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된다.
주행구동부(92)는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주행구동부(92)들에 구비되는 이송체(921)는 스크래퍼(93)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주행구동부(92)에 마련된 레일(922)을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스크래퍼(93)를 안착부(91)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 이송시킨다.
스크래퍼(93)는 양측면이 주행구동부(92)의 이송체(921)에 각각 결합되어 안착부(91)의 상면에 안착된 위치설정부(40)의 상부에 위치된다.
스크래퍼(93)는 피가공물(P)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대해 강성을 갖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스크래퍼(93)는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래퍼(93)의 내부는 후술되는 보강부에 의해 보강된다.
스크래퍼(93)의 하측에는 가이드수단에 홀딩 된 피가공물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스크래핑 하는 역삼각형 형상의 분리부재(931)가 형성되며, 위치설정부(40)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위치설정부(40)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퍼(93)는 주행구동부(92)에 의해 위치설정부(40)의 일단에서 타단 또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주행하면서 가이드수단(41)에 홀딩 된 피가공물(P)을 스크래핑하여 분리시킨다.
이때, 스크래퍼(93)는 가이드수단(41)에 홀딩 된 피가공물(P)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단이 피가공물(P)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주행구동부(92)의 이송체(921)에 결합될 수 있다.
분산부(100)는 분리부(90)를 틸팅시켜 스크래퍼(93)에 가해지는 피가공물(P)의 저항력을 분산시키는 것으로, 유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부(10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도 13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주행구동부(92)와 우측에 위치된 주행구동부(92)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며, 자체에 구비되는 피스톤이 주행구동부(92)의 저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분산부(100)는 피스톤이 반복해서 교번되게 작동된다.
이때, 주행구동부(92)는 원활하게 롤링 작동될 수 있도록 분산부(100)의 피스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주행구동부(92)의 저면에는 분산부(100)의 피스톤 양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브라켓(B)을 설치하고, 한 쌍의 브라켓(B)과 분산부(100)의 피스톤을 축(110)으로 결합하여, 주행구동부(92)가 원활하게 롤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에 위치된 분산부(100)의 피스톤이 상승될 시, 우측에 위치된 분산부(100)의 피스톤은 하강되고, 좌측에 위치된 분산부(100)의 피스톤이 하강될 시에는 우측에 위치된 분산부(100)의 피스톤은 상승되어, 주행구동부(92)가 좌,우 방향으로 롤링된다.
이로 인해, 주행구동부(92)에 결합된 스크래퍼(93) 또한 좌,우 방향으로 롤링 및 직진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가이드수단(41)에 절단된 상태로 홀딩된 피가공물(P)을 스크래핑하게 됨으로써, 스크래퍼(93)에 가해지는 피가공물(P)의 저항력과 하중이 분산되어 가이드수단(41)에 홀딩된 피가공물(P)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스크래퍼(93)의 단면을 두껍게 보강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외력을 완충시키는 것으로, 보강부재(121), 제1지탱부재(122), 제2지탱부재(123), 부가지탱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121)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리부재(93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보강심(1211)이 매립된다.
보강부재(121)는 분리부재(931)의 내부공간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보강심(1211)은 보강부재(121)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보강부재(121)와 보강심(1211)은 모두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보강부재(121) 분리부재(931)를 보강하고, 보강심(1211)은 보강부재(121)를 보강한다.
제1지탱부재(122)는 스크래퍼(93)의 내부 일측벽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단이 스크래퍼(93)의 상부 입구측에 배치되고, 하단은 보강부(121)의 상단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1지탱부재(122)는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지탱부재(123)는 스크래퍼(93)의 내부 타측벽에 제1지탱부재(122)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제1지탱부재(122)와 접하고,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지탱부재(122)와 제2지탱부재(123)는 곡선부분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지지되면서 외력을 완충시키며, 스크래퍼(93)의 내부 단면을 두껍게 보강해준다.
따라서, 스크래퍼(93)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내부 양측벽이 가까워지는 형태로 수축되는 현상을 억제해주어, 스크래퍼(93)가 언제나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지탱부재(124)는 제1지탱부재(122)와 제2지탱부재(123)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양측이 스크래퍼(93)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고정되며,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부가지탱부재(124)는 제1지탱부재(122)와 제2지탱부재(123)의 사이에서 스크래퍼(93)의 내부 단면을 보다 두껍게 보강해주면서 스크래퍼(93)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내부 양측벽이 가까워지는 형태로 수축되는 현상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프레스 장치 10 : 본체
11 : 고정핀 20 : 프레싱부
20a : 수용홈 21 : 손잡이
30 : 가공부 311 : 수직 격벽
312 : 수평 격벽 313 : 홈
40 : 위치설정부 40a,6325h : 관통홀
41 : 가이드수단 42 : 파지부
50 : 가압부 51 : 이송레일
52 : 지지판 53 : 가압판
54 : 실린더 60 : 탄성지지대
61 : 상판 62 : 케이스
63 : 상판 지지부 631 : 제1 지지부
6311 : 제1 회동 체결부 6312 : 제1 연결 볼
6313 : 제1 지지 바아 6314 : 충전액 탱크
6315 : 연결관 6321 : 제2 회동 체결부
6322 : 제2 연결 볼 6323 : 제2 지지 바아
6324 : 탄성 지지부 6325 : 승하강 조절부
6325o : 외측벽 6325i : 내측
70 : 작업대 71 : 지지다리
80 : 이송부 81 : 제1 실린더
82 : 픽킹부 821 : 집게발
83 : 제2 실린더 831,921 : 이송체
90 : 분리부 91 : 안착부
92 : 주행구동부 922 : 레일
93 : 스크래퍼 931 : 분리부재
100 : 분산부 110 : 축
121 : 보강부재 1211 : 보강심
122 : 제1지탱부재 123 : 제2지탱부재
124 : 부가지탱부재

Claims (2)

  1. 본체,
    상기 본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싱부,
    상기 본체와 마주하도록 프레싱부에 매립되며, 피가공물을 가압 및 절단하는 다수개의 가공수단이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가공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가공부의 가공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피가공물의 배열위치를 가이드 하면서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홀딩시키는 가이드수단이 형성된 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위치설정부에서 피가공물을 분리시키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를 틸팅시켜 피가공물의 저항력을 분산시키는 분산부,
    상기 분리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위치설정부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에 구비되는 피스톤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위치설정부를 픽킹하는 픽킹부,
    상기 제1 실린더를 상기 본체의 영역 밖으로 이송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본체와 이격되고, 상면에 상기 제2 실린더에 의해 이송된 위치설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주행구동부,
    상기 주행구동부에 의해 위치설정부를 따라 주행하며, 하측에 가이드수단에 홀딩 된 피가공물을 스크래핑 하는 역삼각형 형상의 분리부재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스크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부는 실린더로 형성되어 상기 주행구동부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교번되게 작동되면서 상기 주행구동부 및 스크래퍼를 롤링시키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보강심이 일정간격으로 매립된 역삼각형 형상의 보강부재,
    상기 스크래퍼의 내부 일측벽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지탱부재,
    상기 스크래퍼의 내부 타측벽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제1지탱부재와 접하고,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지탱부재,
    상기 제1지탱부재와 제2지탱부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양측이 스크래퍼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고정되며,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가지탱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스 장치.
  2. 삭제
KR1020190091178A 2019-07-26 2019-07-26 프레스 장치 KR102040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178A KR102040274B1 (ko) 2019-07-26 2019-07-26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178A KR102040274B1 (ko) 2019-07-26 2019-07-26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274B1 true KR102040274B1 (ko) 2019-11-04

Family

ID=6857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178A KR102040274B1 (ko) 2019-07-26 2019-07-26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2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791Y1 (ko) * 2003-08-18 2003-11-19 김복희 펀칭기
JP3184789U (ja) * 2013-04-24 2013-07-18 ツジカワ株式会社 押圧加工機構
KR20180058498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프레스 성형의 원료가 되는 실리콘 또는 고무의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791Y1 (ko) * 2003-08-18 2003-11-19 김복희 펀칭기
JP3184789U (ja) * 2013-04-24 2013-07-18 ツジカワ株式会社 押圧加工機構
KR20180058498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프레스 성형의 원료가 되는 실리콘 또는 고무의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6567B (zh) 金刚石用叶蜡石块生产的抓装成套设备
CN104972251B (zh) 一种用于叉车货叉架组焊的定位工装
JP6518212B2 (ja) 食品の詰め込み装置
CN107116568A (zh) 一种夹具
CN106170374A (zh) 工业机器人
CN103737278B (zh) 阀杆自动装配机
CN108015588A (zh) 一种用于产品载具的固定机构
KR102040274B1 (ko) 프레스 장치
CN110561748B (zh) 门板3d打印设备
JP5554429B2 (ja) 板材仕分装置
CN107097421A (zh) 一种3d打印机的固定装置
CN210549739U (zh) 一种双工位气动夹具
CN205394579U (zh) 一种夹具
CN108500593B (zh) 农工具气动组装机
CN104720195B (zh) 一种用于全自动化制鞋生产线的自动插楦和卸楦装置
CN112621278B (zh) 一种起重设备异形零件机床加工用定位支撑装置
CN213833639U (zh) 一种板材搬运用的机器人
KR101805611B1 (ko) 내열성, 내충격성, 내마모성이 강화된 그리퍼의 제조 방법
CN208529088U (zh) 一种窑具搬运机械手
CN204867668U (zh) 一种直边倒角机
CN210789650U (zh) 一种机器人超声波焊接装置
US6022439A (en) Method for assembling a pair of members
CN210548225U (zh) 一种双轴双工位钻孔的装置
CN209578401U (zh) 一种线切割夹持工装
KR102179964B1 (ko) 금속 케이스의 면삭 및 면취 가공을 위한 전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