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396B1 -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396B1
KR102039396B1 KR1020180132126A KR20180132126A KR102039396B1 KR 102039396 B1 KR102039396 B1 KR 102039396B1 KR 1020180132126 A KR1020180132126 A KR 1020180132126A KR 20180132126 A KR20180132126 A KR 20180132126A KR 102039396 B1 KR102039396 B1 KR 102039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stabilizer
stabilizer bar
vehicle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희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주) filed Critical 현대위아(주)
Priority to KR102018013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7Magnetic/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부시의 마모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는 스테빌라이저바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부시가 마련되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로서, 부시와의 대면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저바와; 상기 스테빌라이저바와의 대면 영역을 둘러싸는 코일이 배치되는 부시와; 상기 부시의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바의 회전시 부시에 배치된 코일의 내부에서 자석이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운동에너지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를 감지하는 센싱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Device bush for stabilizer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부시의 마모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스테빌라이저바는 선회 또는 거친 노면의 주행시 차체의 롤링 모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휠이 동시에 상하 운동을 할 때에는 작용하지 않으나, 좌우 휠이 서로 다르게 상하 운동을 할 때에는 스테빌라이저 바 양단의 역위상으로 인하여 비틀림이 생기고 비틀림에 의한 복원력으로 차체의 롤링 모션을 억제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저바는 서브펜션의 거동시 스테빌라이저바를 고정하고 좌우 거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 고정용 부시 장치를 사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저바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저바와 부시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바(30)는 마운팅 브라켓(40)을 이용하여 서브 프레임과 같은 차체(10)에 고정된다. 이때 마운팅 브라켓(40)의 내부에는 스테빌라이저바(3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마운팅 부시(50)가 개재된다. 마운팅 부시(5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서 스테빌라이저바(30)의 거동시 마운팅 브라켓(40)과의 접촉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0은 휠 및 타이어가 장착되는 장착부이다.
마운팅 부시(50)는 소재의 특성상 스테빌라이저바(30)의 거동이 지속되면 마모되고, 마모가 지속되면 파손되는데, 이렇게 마운팅 부시(50)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면 마운팅 부시(50)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40)에 고정되어 거동되는 스테빌라이저바(30)의 운동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된다.
이렇듯, 마운팅 부시(50)의 마모 및 파손은 소음 및 진동의 발생에 의해서만 파악할 수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마운팅 부시(50)의 마모를 억제시킬 수 있도록 마운팅 부시(50)의 재질, 표면 처리 및 형상 등을 개선하는 기술들이 제안되어 사용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마운팅 부시(50)가 마모되는 속도를 지연시킬 수는 있었지만, 마운팅 부시(50)의 마모 및 파손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5871호 (2011.11.22)
본 발명은 고무 재질인 부시의 마모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는 스테빌라이저바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부시가 마련되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로서, 부시와의 대면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저바와; 상기 스테빌라이저바와의 대면 영역을 둘러싸는 코일이 배치되는 부시와; 상기 부시의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바의 회전시 부시에 배치된 코일의 내부에서 자석이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운동에너지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를 감지하는 센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자석은 상기 스테빌라이저바의 외경을 따라 배치되도록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수단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광되는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수단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전류량 측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수단에서 감지되는 전기에너지의 변화량을 연산하여 스테빌라이저바의 운동량을 연산하고, 스테빌라이저바의 운동량에 따른 부시의 마모량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시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시에 코일을 배치하고, 스테빌라이저바에 자석을 배치하여, 코일과 자석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스테빌라이저바의 거동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래서 스테빌라이저바의 거동량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부시의 마모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시의 교체를 유도하여 항상 초기 상태의 승차감, 조정안정성 및 주행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저바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저바와 부시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는 스테빌라이저바(200), 부시(100) 및 센싱수단(400)을 포함한다.
스테빌라이저바(200)는 일반적인 차량에 적용되는 스테빌라이저바의 역할 및 형상을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바(200)는 부시(100)와의 대면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210)이 배치된다.
이때 자석(210)은 스테빌라이저바(200)의 외경을 따라 배치되도록 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시(100)는 일반적인 차량에 적용되는 부시의 역할 및 형상을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부시(100)는 스테빌라이저바(200)와의 대면 영역을 둘러싸는 코일(110)이 배치된다.
이때 부시(100)는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스테빌라이저바(200)에 배치되는 자석(210)과 부시(100)에 배치되는 코일(110)에 의해 소형 발전기와 같은 기능이 수행된다. 부연하자면, 스테빌라이저바(200)가 회전(거동)되는 경우에 부시(100)에 배치된 코일(110)의 내부에서 스테빌라이저바(200)가 이동되면서 스테빌라이저바(200)와 일체로 자석(210)이 이동되는데, 이때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자석(210)의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빌라이저바(200)에 배치되는 자석(210)과 부시(100)에 배치되는 코일(110)에 의해 스테빌라이저바(200)의 거동시에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감지하는 센싱수단(400)이 구비된다.
센싱수단(400)은 부시(100)의 코일(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테빌라이저바(200)의 회전시 부시(100)에 배치된 코일(110)의 내부에서 자석(210)이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운동에너지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센싱수단(400)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광되는 전구와 같은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광원은 부시(100)에 마련된 코일(110)과 전선(300)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부시(100)의 마모가 진행되지 않아 스테빌라이저바(200)의 거동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도 일정하게 양을 유지하기 때문에 광원에서 발광되는 광의 밝기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부시(100)의 마모가 진행되어 스테빌라이저바(200)의 거동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스테빌라이저바(200)의 거동이 많아지고, 이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도 증폭되어 광원에서 발광되는 광의 밝기가 증폭된다.
이때 광원은 사용자, 즉 운전자가 식별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광의 밝기가 변하는 것을 확인하여 부시(100)의 마모량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센싱수단(400)은 광원으로 한정되지 않고, 전기에너지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수단(400)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전류량 측정기일 수 있다.
그래서, 부시(100)의 마모가 진행되지 않아 스테빌라이저바(200)의 거동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도 일정하게 양을 유지하기 때문에 전류량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전류량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부시(100)의 마모가 진행되어 스테빌라이저바(200)의 거동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스테빌라이저바(200)의 거동이 많아지고, 이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도 증폭되어 전류량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전류량이 증폭된다.
그래서, 전류량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전류량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센싱수단(400)에서 감지되는 전기에너지의 변화량을 연산하여 스테빌라이저바(200)의 운동량을 연산하고, 스테빌라이저바(200)의 운동량에 따른 부시(100)의 마모량을 연산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에서 연산된 부시(100)의 마모량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차체
20: 장착부
30: 스테빌라이저바
40: 마운팅 브라켓
50: 마운팅 부시
100: 부시
110: 코일
200: 스테빌라이저바
210: 자석
300: 전선
400: 센싱수단

Claims (6)

  1. 스테빌라이저바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부시가 마련되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로서,
    부시와의 대면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저바와;
    상기 스테빌라이저바와의 대면 영역을 둘러싸는 코일이 배치되는 부시와;
    상기 부시의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바의 회전시 부시에 배치된 코일의 내부에서 자석이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운동에너지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를 감지하는 센싱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스테빌라이저바의 외경을 따라 배치되도록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광되는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전류량 측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에서 감지되는 전기에너지의 변화량을 연산하여 스테빌라이저바의 운동량을 연산하고, 스테빌라이저바의 운동량에 따른 부시의 마모량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KR1020180132126A 2018-10-31 2018-10-31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KR102039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26A KR102039396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26A KR102039396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396B1 true KR102039396B1 (ko) 2019-11-04

Family

ID=6857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126A KR102039396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9347A (zh) * 2021-07-22 2021-11-09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防侧倾控制装置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897A (ja) * 2000-10-31 2002-07-10 Snr Roulements トルク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モジュール
KR20090131982A (ko) * 2008-06-19 2009-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차고 계측 장치
KR20110125871A (ko) 2010-05-14 2011-11-22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KR20130059203A (ko) *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일진 차고센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897A (ja) * 2000-10-31 2002-07-10 Snr Roulements トルク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モジュール
KR20090131982A (ko) * 2008-06-19 2009-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차고 계측 장치
KR20110125871A (ko) 2010-05-14 2011-11-22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KR20130059203A (ko) *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일진 차고센서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9347A (zh) * 2021-07-22 2021-11-09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防侧倾控制装置及车辆
CN113619347B (zh) * 2021-07-22 2023-07-14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防侧倾控制装置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8057B2 (ja) 車高調整装置、車高調整装置用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60501A (ja) 車高調整装置
JP2019523375A (ja) ブレーキパッド摩耗センサ
JP2019532236A (ja) ブレーキパッド摩耗センサ
KR102039396B1 (ko)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용 부시 장치
JP2015140036A (ja) 車高調整装置、車高調整方法
JP2007302211A (ja) 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2015058844A (ja) 車高調整装置、車高調整方法
JP2019536952A (ja) ブレーキパッド摩耗センサ
US10337576B2 (en) Brake pad wear sensor
JP6317450B2 (ja) 車両ホイールの路面グリップのロスを検出するための加速度センサ、特に二重化された加速度センサ、装置、及び方法
JP2012040946A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20190084486A (ko) 차량용 댐핑 시스템
JP2006335226A (ja) タイヤ特性制御装置
JP6234862B2 (ja) 懸架装置および車高調整装置
JP2008238922A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KR20160031582A (ko) 유압식 현가장치
JP2018134970A (ja) リーン機構を備える車両
US20140375001A1 (en) Vehicle suspension device
CN207450017U (zh) 防大车侧翻的转向限制装置
JP2007024550A (ja) 車両の輪荷重検出装置
CN112277539B (zh) 轮廓可变形的轮胎及变形方法
KR20070093748A (ko)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가변식 서스펜션
JPH04191114A (ja) 車両用スタビライザ装置
CN117429245A (zh) 车辆悬置、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