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582A - 유압식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582A
KR20160031582A KR1020140120875A KR20140120875A KR20160031582A KR 20160031582 A KR20160031582 A KR 20160031582A KR 1020140120875 A KR1020140120875 A KR 1020140120875A KR 20140120875 A KR20140120875 A KR 20140120875A KR 20160031582 A KR20160031582 A KR 20160031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piston
rod
fluid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1582A/ko
Publication of KR2016003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accumulating utilisable energy, e.g. compress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27Mechanical springs regulated by flui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유압식 현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유압식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축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와, 스프링부재와 연결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며,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유동저항을 이용하여 차체의 진동을 제한하는 댐퍼부재와, 댐퍼부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피스톤로드에 결합되며, 피스톤로드의 이동 시 유체와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회전되어 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압식 현가장치{HYDRAULIC SUSPENSION}
본 발명은 유압식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댐퍼하우징부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회전부재와 유체의 상대 이동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차체의 진동에 대한 댐퍼부재의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식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가장치는 다양한 기준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위치에 따라 전륜 현가장치와 후륜 현가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차축을 스프링으로 차체와 연결한 차축현가식, 좌우 양바퀴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 독립현가식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승차감이나 조종성이 중요시되는 승용차에는 독립현가식이 사용되며 버스나 트럭 등에는 차축현가식이 사용되고 있다.
독립현가식은, V형의 상하 2개의 서스펜션 아암의 일 측은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 측은 보올 조인트에 의해 너클에 장착되는 위시본형, 리프 스프링을 가로로 설치하여 상측 또는 하측 서스펜션 아암의 작용을 스프링이 겸하도록 된 스프링형, 차의 뒤쪽으로 향하는 1개 이상의 아암으로 바퀴를 지지하는 트레일링 링크형, 위시본형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구성부분은 적지만 승차감이 개선된 형태의 맥퍼슨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차량에 필요한 전력의 일부를 유압식 현가장치 등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다만, 전력의 발전을 위한 장치를 추가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확보해야 하며,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차체의 진동에 대한 댐퍼부재의 저항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5410호(2014.05.09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현가발전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댐퍼하우징부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부재와, 유체의 상대운동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동에너지를 회수함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키고, 차량의 진동에 따른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식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차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와 연결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며,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유동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차체의 진동을 제한하는 댐퍼부재; 및 상기 댐퍼부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이동 시 유체와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회전되어 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부재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단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댐퍼하우징부;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댐퍼하우징부에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로드스토퍼부; 및 상기 로드스토퍼부와의 사이에 상기 회전부재가 개재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이동에 따라 유체와 마찰되어 상기 차체의 진동을 제한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로드스토퍼부와 상기 피스톤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에 고정되며,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자석이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터빈이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스톤로드를 둘러싸며, 상기 로드스토퍼부와 상기 피스톤부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바디; 및 상기 고정부바디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홈부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바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로드스토퍼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외주면에 상기 회전부가 끼움 결합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유압식 현가장치는, 상기 댐퍼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전선을 통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부재; 및 상기 충전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전선을 통한 전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선은, 상기 피스톤로드의 내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선안내홀부를 통하여, 상기 충전부재와 상기 고정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전선을 통한 전류의 이동방향 및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현가장치는, 회전부재와 유체와의 상대이동을 이용하여 발전함으로써, 차체의 진동에너지를 회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로드에 형성되는 고정홈부에 고정부가 걸리도록 구비됨으로써 고정부가 피스톤로드에 대하여 회전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전기에너지 생성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유동에 따른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재가 충전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의 전류의 이동방향, 전류의 세기 등을 조절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전시키거나, 댐퍼부재의 반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와 회전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와 회전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유체의 이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회전부재의 회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유체의 이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회전부재의 회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현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현가장치(1)는 스프링부재(100), 댐퍼부재(200) 및 회전부재(300)를 포함한다.
스프링부재(100)는 차체(미도시)와 차축(미도시)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를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부재(100)는 코일스프링으로 예시되는 스프링부(110)와, 인슐레이터(미도시) 등을 통하여 차체에 결합되는 상부시트(130)와, 댐퍼부재(200)에 결합되고 스프링부(11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시트(150)를 포함하여 차체를 탄성 지지한다.
댐퍼부재(200)는 스프링부재(100)와 연결되는 피스톤로드(230)를 포함하며,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유동저항을 이용하여 차체의 진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댐퍼부재(200)는 댐퍼하우징부(210), 피스톤로드(230), 로드스토퍼부(250) 및 피스톤부(270)를 포함한다.
댐퍼하우징부(210)는 피스톤로드(230)의 일단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측에 오일 등의 유체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댐퍼하우징부(210)는 내부에 오일이 수용되며, 피스톤로드(230)의 일단부(도 1 기준 하단부)가 내측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피스톤로드(230)는 일단부가 댐퍼하우징부(210)의 내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차체가 차축에 대하여 이동할 때 차체와 함께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로드(230)는 피스톤로드바디(231), 전선안내홀부(233), 로드스토퍼걸림부(238) 및 피스톤결함홀부(239)를 포함한다.
피스톤로드바디(231)는 피스톤로드(230)의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로드바디(231)는 상단부(도 1 기준)가 상부시트(130) 또는 인슐레이터 등을 통하여 차체에 결합되고, 하단부(도 1 기준)가 피스톤부(270)와 결합된 상태에서 댐퍼하우징부(210)의 내측을 왕복 이동한다.
전선안내홀부(233)는 전선(W)이 삽입되는 관에 해당하며, 피스톤로드바디(23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선안내홀부(233)는 피스톤로드(2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선안내수직홀(234)과, 전선안내수직홀(234)에 연통되며, 후술할 코일(315)과 전선(W)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피스톤로드바디(23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선안내수평홀(235)을 포함한다.
고정홈부(237)는 피스톤로드바디(231)에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고정부(310)가 끼워져, 고정부(310)가 피스톤로드바디(231)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드스토퍼걸림부(238)는 피스톤로드바디(23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로드스토퍼부(2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피스톤로드(230)의 외주면에 단턱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스톤결함홀부(239)는 피스톤로드바디(231)의 일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피스톤부(270)가 나사 결합된다.
로드스토퍼부(250)는 피스톤로드(23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피스톤로드(230)가 상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할 때, 댐퍼하우징부(210)에 걸리도록 피스톤로드(2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드스토퍼부(2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스톤로드(230)의 일단부(도 1 기준 하단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로드스토퍼부(250)에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로드스토퍼걸림부(238)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피스톤부(270)는 로드스토퍼부(250)와의 사이에 회전부재(300)가 개재되도록 피스톤로드(230)에 결합되며, 피스톤로드(230)의 이동에 따라 유체와 마찰되어 차체의 진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부(270)는 피스톤바디(271), 유체출입홀부(273), 피스톤홀부(275) 및 피스톤결합부(277)를 포함한다.
피스톤바디(271)는 피스톤부(270)의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스톤바디(271)에는 피스톤로드(230)의 상하방향으로 유체출입홀부(273)가 형성되어, 피스톤바디(271)가 피스톤로드(230)와 함께 댐퍼하우징부(210)의 내측에서 왕복 이동할 때, 유체가 유체출입홀부(273)를 통하여 출입한다.
유체출입홀부(273)의 직경은 피스톤바디(271)의 단면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유체출입홀부(273)를 통하여 유체가 출입할 때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피스톤부(270) 및 피스톤로드(230)의 이동이 제한된다.
피스톤홀부(275)는 볼트로 예시되는 피스톤결합부(277)가 진입하도록 구비되며, 피스톤바디(271)의 대략 중심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피스톤홀부(275)를 통하여 진입된 피스톤결합부(277)는 피스톤로드바디(231)의 단부에 형성되는 피스톤결함홀부(239)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피스톤바디(271)를 피스톤로드(230)에 결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와 회전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와 회전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회전부재(300)는 댐퍼부재(200)의 내측에 구비되고, 피스톤로드(230)에 결합되며, 피스톤로드(230)의 이동 시 유체와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회전되어 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300)는 고정부(310)와 회전부(330)를 포함한다. 고정부(310)는 로드스토퍼부(250)와 피스톤부(270) 사이에 위치하며, 피스톤로드(230)에 고정되며, 코일이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310)는 고정부바디(311) 및 고정부결합돌기(313)를 포함한다.
고정부바디(311)는 피스톤로드(230)를 둘러싸며, 로드스토퍼부(250)와 피스톤부(270) 사이에 위치한다. 고정부바디(311)의 외주면에는 코일(315)이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부바디(311)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코일결합홈부(312)가 고정부바디(311)의 외주면을따라 복수 개 위치한다.
고정부결합돌기(313)는 고정부바디(31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피스톤로드(230)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홈부(237)에 끼워져 고정부바디(311)를 고정시킨다.
회전부(330)는 고정부(31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할 베어링부(350)에 의하여 피스톤로드바디(231) 및 회전부(3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330)는 회전부바디(331), 자석결합홈부(333), 터빈(335) 및 자석(337)을 포함한다.
회전부바디(331)는 고정부(31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부(330)의 외관을 형성한다. 회전부바디(331)의 내주면에는 회전부바디(331)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자석결합홈부(333)가 복수 개 배치되어 자석(337)이 결합된다.
터빈(335)은 회전부바디(331)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회전부바디(331)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유체와의 상대이동에 따른 마찰, 유압 등에 의하여 회전부바디(331)가 회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300)는 베어링부(350)를 더 포함한다. 베어링부(350)는 고정부와 로드스토퍼부(250)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외주면에 회전부(330)가 끼움 결합되어, 회전부(330)가 고정부(310)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압식 현가장치(1)는 충전부재(400) 및 제어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회전부재(300)에서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회전부재(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충전부재(400)는 댐퍼부재(200)의 외측에 위치하며, 전선(W)을 통하여 회전부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부재(400)는 이차전지로 예시되며, 회전부재(30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제어부재(500)는 충전부재(400)와 결합되어, 회전부재(300)와 충전부재(400) 사이의 전류의 이동방향 및 전류의 세기를 제어한다. 제어부재(500)에 의하여 회전부재(300)에서 발생된 전류가 충전부재(400)에 전달되는 경우에는 전기에너지가 충전부재(400)에 전달되어 저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충전부재(400)에서 회전부재(300)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회전부가 고정부(31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유체와의 마찰이 발생되므로 회전부(330)가 결합되어 이동되는 피스톤로드(230) 및 피스톤부(270)가, 유체에 대하여 가지는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유체의 이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회전부재의 회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유체의 이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로드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회전부재의 회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현가장치(1)의 작동원리 및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하여 스프링부재(100)가 압축되면, 피스톤로드(230)와 댐퍼하우징부(210)에 대하여 상대 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피스톤로드(230)의 일단부(도 5 기준 하단부)가 댐퍼하우징부(2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로드(230)가 댐퍼하우징부(210)에 대하여 하측(도 5 기준)으로 이동하게 되면, 피스톤부(270)가 피스톤로드(230)와 함께 이동하면서 유체출입홀부(273)를 통하여 유체가 상측(도 5 기준)으로 이동한다. 유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터빈(335)과 유체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터빈(335)을 상측(도 5 기준)으로 가압하는 힘이 발생되며, 이러한 힘에 의하여 터빈(335)이 회전된다.
터빈(335)은 회전부바디(331) 및 자석(337)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자석(337)이 함께 회전되는데, 이러한 자석(337)의 회전에 의하여 코일(315)에서 유도전력이 발생된다.
코일(315)에서 발생된 전력은 코일(315)에 연결된 전선(W)을 통하여 충전부재(400)에 전달되고, 충전부재(400)에 저장된다.
유체와 회전부재(300)의 상대이동에 의한 전기에너지의 발생은 스프링부재(100)가 신장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스프링부재(100)가 압축되는 경우에 비하여 피스톤로드(230) 또는 피스톤부(270)의 이동방향과, 회전부(330)의 회전 방향이 반대일 뿐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압식 현가장치(1)는 회전부재(300)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것 이외에, 회전부재(300)를 회전시켜, 차체의 진동에 대한 댐퍼부재(200)의 반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재(500)가 충전부재(400)에서 회전부재(300), 구체적으로 고정부(31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면, 코일(315)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하여 자석(337)과 함께 회전부바디(331)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부바디(331)의 회전에 의하여 터빈(335)이 회전되면서 유체를 일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유체와의 저항의 크기가 변경된다.
충전부재(400)에서 회전부재(300)에 전달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회전부(33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부(330)의 이동방향 또는 전류의 세기에 따른 회전부(330)의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여 댐퍼부재(200)의 차체 진동에 대한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의 유압식 현가장치(1)는, 회전부재(300)와 유체와의 상대이동을 이용하여 발전함으로써, 차체의 진동에너지를 회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압식 현가장치(1)는 피스톤로드(230)에 형성되는 고정홈부에 고정부(310)가 걸리도록 구비됨으로써, 고정부(310)가 피스톤로드(230)에 대하여 회전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전기에너지 생성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유동에 따른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압식 현가장치(1)는 제어부재(500)가 충전부재(400)와 회전부(330)재 사이의 전류의 이동방향, 전류의 세기 등을 조절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전시키거나, 댐퍼부재의 반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유압식 현가장치 100: 스프링부재
110: 스프링부 130: 상부시트
150: 하부시트 200: 댐퍼부재
210: 댐퍼하우징부 230: 피스톤로드
231: 피스톤로드바디 233: 전선안내홀부
234: 전선안내수직홀 235: 전선안내수평홀
237: 고정홈부 238: 로드스토퍼걸림부
239: 피스톤결합홀부 250: 로드스토퍼부
270: 피스톤부 271: 피스톤바디
273: 유체출입홀부 275: 피스톤홀부
277: 피스톤결합부 300: 회전부재
310: 고정부 311: 고정부바디
312: 코일결합홈부 313: 고정부결합돌기
315: 코일 330: 회전부
331: 회전부바디 333: 자석결합홈부
335: 터빈 337: 자석
350: 베어링부 400: 충전부재
500: 제어부재 W: 전선

Claims (8)

  1. 차체와 차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차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와 연결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며,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유동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차체의 진동을 제한하는 댐퍼부재; 및
    상기 댐퍼부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이동 시 유체와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회전되어 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현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단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댐퍼하우징부;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댐퍼하우징부에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로드스토퍼부; 및
    상기 로드스토퍼부와의 사이에 상기 회전부재가 개재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이동에 따라 유체와 마찰되어 상기 차체의 진동을 제한하는 피스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현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로드스토퍼부와 상기 피스톤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에 고정되며,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자석이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터빈이 구비되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현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스톤로드를 둘러싸며, 상기 로드스토퍼부와 상기 피스톤부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바디; 및
    상기 고정부바디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홈부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바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현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로드스토퍼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외주면에 상기 회전부가 끼움 결합되는 베어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현가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전선을 통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부재; 및
    상기 충전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전선을 통한 전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현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상기 피스톤로드의 내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선안내홀부를 통하여, 상기 충전부재와 상기 고정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현가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전선을 통한 전류의 이동방향 및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현가장치.
KR1020140120875A 2014-09-12 2014-09-12 유압식 현가장치 KR20160031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875A KR20160031582A (ko) 2014-09-12 2014-09-12 유압식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875A KR20160031582A (ko) 2014-09-12 2014-09-12 유압식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582A true KR20160031582A (ko) 2016-03-23

Family

ID=5564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875A KR20160031582A (ko) 2014-09-12 2014-09-12 유압식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15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5010A (zh) * 2018-10-30 2019-02-05 西南交通大学 一种永磁电磁耦合控制馈能悬架作动器
KR102066983B1 (ko) * 2018-12-05 2020-01-1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레이드와 회전형 발전기를 적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유압 댐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5010A (zh) * 2018-10-30 2019-02-05 西南交通大学 一种永磁电磁耦合控制馈能悬架作动器
KR102066983B1 (ko) * 2018-12-05 2020-01-1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레이드와 회전형 발전기를 적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유압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0848B1 (en)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 for vehicle
US8499903B2 (en) Suspension device
EP1829718A1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US9340252B2 (en) Suspension device
KR20100093803A (ko) 차량용 회생 감쇠 장치
US8770358B2 (en) Variable damping force damper
US11629773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CN108518445A (zh) 一种车辆电磁避震器及可调节避震阻尼的汽车
KR20160031582A (ko) 유압식 현가장치
CN106385158B (zh) 一种液冷式音圈电机主动悬架
KR102096138B1 (ko) 조향 모터
KR20150085350A (ko) 범프 충격 완화장치
KR102553393B1 (ko) 에너지 회생 장치
JP2008256179A (ja) 車両用電磁式アブソーバ
CN109372931B (zh) 阻尼力可变减震器
JP6234862B2 (ja) 懸架装置および車高調整装置
CN110107640B (zh) 减震器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859051B1 (ko) 스프링 회전형 능동 서스펜션
JP2010091030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13711719U (zh) 用于减震器的可变阻尼电磁阀
KR20150064533A (ko) 선회 감응형 밸브 조립체를 갖는 쇽업소버
KR101464578B1 (ko) 쇽업쇼버 시스템의 솔레노이드
JP202005944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及び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20160043561A (ko) 유압식 현가장치
KR20100048154A (ko)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의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