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327B1 -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 - Google Patents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327B1
KR102039327B1 KR1020180067387A KR20180067387A KR102039327B1 KR 102039327 B1 KR102039327 B1 KR 102039327B1 KR 1020180067387 A KR1020180067387 A KR 1020180067387A KR 20180067387 A KR20180067387 A KR 20180067387A KR 102039327 B1 KR102039327 B1 KR 10203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enclosure
rotating
rela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홍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7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327B1/ko
Priority to US16/224,079 priority patent/US10483063B1/en
Priority to CN201811610561.8A priority patent/CN11060032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Casings portable; hand held

Abstract

본 발명은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부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백 케이스와, 상기 백 케이스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와 복수의 버튼부가 구비된 프런트 케이스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렛대 구조를 갖는 핸들을 구비한 내함; 및 상기 내함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핸들을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이 구비된 외함; 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내함이 상기 외함으로부터 분리될 때 일부분이 상기 지지 브래킷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내함을 상기 외함으로부터 밀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이 기어 구조가 아닌 지렛대 구조로 고정 또는 분리되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핸들을 외함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Easy protective relay to pullout}
본 발명은 계전기를 인출하는 힘을 부여해 계전기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핸들 구조를 갖는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보호 계전기는 과전압이나 과전류 등에 의해 전선 또는 기기에 이상이나 고장이 생겼을 때, 고장 부위를 즉시 감지해 차단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보호 계전기는 내함과 외함으로 구성된다. 내함은 프런트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로 구성된다. 보호 계전기의 내함은 외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것은 전기 배전반에 보호 계전기를 장착하거나 인출할 때 타 기기와의 연결 신호선의 장착이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이다.
내함은 내부에 각종 부품이 수용되므로 소정의 무게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내함을 외함에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내함을 들어 올려야 하는 구조이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내함의 프런트 케이스에는 핸들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보고 계전기에 따른 핸들 조립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보호 계전기의 장착 또는 인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 계전기에 따른 핸들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호 계전기는 외함(3)에 내함(5)이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다. 내함(5)은 프런트 케이스(7) 및 아우터 케이스(9)로 구성된다. 프런트 케이스(7)에는 핸들(7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외함(3)에는 핸들(7a)에 인접한 부분에 핸들(7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구조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7a)은 힌지(7b)에 의해 프런트 케이스(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7a)은 힌지(7b)를 기준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예를 들어, 일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고, 타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핸들(7a)은 힌지(7b)에 인접한 길이 방향 일단에 기어핀(7c)이 돌출 형성된다. 외함(3)에는 내함(5)의 결합 시 기어 핀(7c)의 위치에 인접하여 외함 고정핀(3a)이 형성된다.
외함 고정핀(3a)은 외함(3)의 일단으로부터 내함(5)의 프런트 케이스(7)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외함 고정핀(3a)의 일측에 기어핀(7c)이 삽입 또는 분리되는 핀 삽입홈(3b)이 형성된다.
내함(5)이 외함(3)에 삽입될 때 도 2를 기준으로 사용자는 핸들(7a)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함(5)이 외함(3) 내측으로 점차 삽입되면서 핸들(7a) 단부의 기어핀(7c)은 외함 고정핀(3a)의 핀 삽입홈(3b)에 인접하게 된다. 사용자는 핀 삽입홈(3b)의 위치에 핸들(7a)의 기어핀(7c)의 위치를 맞춘 다음 기어핀(7c)을 핀 삽입홈(3b)에 삽입시킬 수 있다.
내함(5)을 외함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전술한 것과 반대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사용자가 핸들(7a)을 타 방향(도 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내함(5)을 들어 올리면, 기어핀(7c)이 핀 삽입홈(3b)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내함(5)이 외함(3)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런데 전술한 핸들 구조는 내함을 외함으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시키면 기어핀이 삽입홈에서 빠져나오면서 간섭되어 마모되기 쉬운 구조이다. 따라서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면 핸들의 기어핀이 마모되어 핸들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핸들 구조는 기어핀이 삽입홈에 정확하게 맞물리기 위해 핸들 및 외함 고정핀의 제조 시 적정 오차 이내의 맞물림 형상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제조 상의 오차가 커지는 경우 핸들을 사용할 수 없어 다시 제조해야 하므로 원가 상승의 문제가 발생한다.
적절히 만들어진 핸들이 장착되더라도 기어핀을 삽입홈에 정확하게 삽입하려면 사용자가 눈으로 삽입홈의 위치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그 후 핸들에 걸리는 내함의 무게를 팔로 지지한 상태에서 핸들을 회전시키면서 기어핀을 삽입홈에 삽입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손쉽게 내함을 외함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장착할 수 있는 핸들 구조를 구비한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의 고정 및 분리가 간편하도록 개선된 핸들 구조를 갖는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부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백 케이스와, 상기 백 케이스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와 복수의 버튼부가 구비된 프런트 케이스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렛대 구조를 갖는 핸들을 구비한 내함; 및 상기 내함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핸들을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이 구비된 외함; 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내함이 상기 외함으로부터 분리될 때 일부분이 상기 지지 브래킷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내함을 상기 외함으로부터 밀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지지 브래킷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함의 개구된 단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기 내함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핸들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함은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프런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되 'ㄷ'자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가 상기 프런트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내함은 상기 핸들의 단부 내측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 브래킷을 향해 'V'자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 인접하여 회전 중심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 시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 브래킷에 삽입되거나 상기 지지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는 회전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래킷은 상기 지지 브래킷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핸들 지지부를 관통하는 중공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외함으로부터 상기 내함이 분리될 때, 상기 핸들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연장된 단부가 상기 외함에 대해 상기 내함을 밀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이 기어 구조가 아닌 지렛대 구조로 고정 또는 분리되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핸들을 외함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내함을 외함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내함을 외함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보호 계전기의 장착 또는 인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 계전기에 따른 핸들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전기의 내함과 외함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내함 분리 시 핸들의 일부 회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내함 분리시 핸들의 완전 회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내함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외함과 핸들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핸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계전기의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전기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전기의 내함과 외함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내함 분리 시 핸들의 일부 회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내함 분리시 핸들의 완전 회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내함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전기(10)는 내부에 각종 모듈이 장착되는 내함(100)과, 내함(100)을 수납하는 외함(300)으로 구성된다.
내함(100)이 외함(300)에 완전히 삽입되면, 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각종 신호선(CT/PT/, DIO, 통신선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내함(100)이 외함(300)으로부터 분리되면, 각종 신호선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신호선들의 연결을 편리하게 하고, 무게가 있는 내함(100)을 외함(300)으로부터 손쉽게 인출하거나 외함(300)에 쉽게 장착하기 위해 핸들 및 핸들 장착 구조가 구비된다.
내함(100)은 프런트 케이스(110) 및 백 케이스(150)를 포함한다.
프런트 케이스(110)는 내함(100)의 전방(도 1을 기준으로 상면)을 구성한다. 프런트 케이스(110)에는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12), 각종 기능 조작을 위한 버튼부(114), 신호를 표시하는 램프부(116), 각종 케이블 커넥터(118)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10)의 가장자리에는 백 케이스(150)와의 결합을 위한 프런트 프레임(130)이 구비된다. 프런트 케이스(110)의 후방(도 1을 기준으로 상면을 제외한 전체)에 백 케이스(150)가 결합된다.
프런트 프레임(130)은 프런트 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조립된다. 프런트 프레임(130)의 일측에는 핸들(132)이 구비된다. 프런트 프레임(130)에는 핸들(132)의 회전 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홀이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32)은 프런트 프레임(130)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4를 기준으로 핸들(132)은 프런트 프레임(13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132)은 프런트 프레임(13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내함(100)과 외함(300)의 결합 상태에서 핸들(132)은 외함(300)에 일시 고정된다. 내함(100)이 외함(3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핸들(132)을 회전시키면, 핸들(132)이 외함(30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내함(100)이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상세한 핸들 및 핸들 고정 구조는 후술하기로 함).
여기서 '일시 고정'이라는 용어는 핸들(132)이 외함(300)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케이스(150)는 내함(100)의 전방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구성한다. 즉, 백 케이스(150)는 육면체 형상에서 전방(도 4를 기준으로 상면)이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 백 케이스(150) 내부에는 각종 부품이 수납된다. 백 케이스(150)는 볼트나 나사 등으로 프런트 케이스(110)와 상호 결합된다.
프런트 케이스(110)와 백 케이스(15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케이스에 장착된 각종 단자는 백 케이스(150)에 장착된 각종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10)와 백 케이스(150)가 상호 결합되어 내함(100)을 형성한 상태에서 내함(100)이 외함(300)에 삽입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300)은 내함(100)의 백 케이스(150)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즉, 외함(300)은 육면체 형상에서 전방(도 5를 기준으로 상면측)이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 외함(300)에 내함(100)이 수용되므로, 외함(300)은 내함(1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내함(100)의 백 케이스(150)가 외함(30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므로 외함(300)은 백 케이스(150)의 크기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외함(300)의 개구된 가장자리에는 프런트 프레임(130)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302)가 형성된다.
프레임 지지부(302)는 내함(100)이 외함(300)에 삽입될 때 프런트 프레임(130)에 면접촉된다. 프레임 지지부(302) 상에는 지지 브래킷(310)이 결합된다.
지지 브래킷(310)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프레임 지지부(302)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지지 브래킷(3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되, 프레임 지지부(302)의 일측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지지 브래킷(310)은 핸들(13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지 브래킷(310)은 강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지지 브래킷(310)은 핸들(1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312)와, 외함(30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314)을 포함한다.
핸들 지지부(312)는 지지 브래킷(310)이 프레임 지지부(302)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런트 케이스(11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핸들 지지부(312)는 핸들(1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중공이 형성된다. 중공은 지지 브래킷(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중공에 핸들(132)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결합홀(314)은 지지 브래킷(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된다. 결합홀(314)에 볼트(미도시)가 삽입되어 지지 브래킷(310)을 외함(300)의 프레임 지지부(302)에 결합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전기의 핸들 및 핸들의 결합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외함과 핸들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핸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따른 계전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계전기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32)은 프런트 케이스(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132)은 프런트 케이스(110)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핸들(132)은 프런트 케이스(110)의 두께보다 다소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핸들(132)이 구비된 쪽은 핸들(132)이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132)이 구비되지 않은 쪽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32)은 프런트 프레임(130)의 형태를 따라 'ㄷ'자 형태를 갖는다. 핸들(132)은 내함(100)을 들어 올릴 때 사용되므로 프런트 케이스(110)의 절반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핸들(132)은 힌지(134e, 도 9 참조)에 의해 양단부가 각각 프런트 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132)의 가장 긴 쪽 프레임 상에는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핸들 고정부(132a)가 구비된다.
핸들 고정부(132a)에 볼트를 삽입해 핸들(132)을 프런트 프레임(130) 상에 일시 고정할 수 있다. 핸들 고정부(132a)는 핸들 커버(138)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외함(300)에 내함(100)이 삽입된 후 분리될 때까지 핸들(132)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핸들(132)은 프런트 프레임(130)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외함(300)에서 내함(100)은 분리할 때 핸들(132)이 필요하므로, 핸들(132)을 사용할 때 볼트를 풀어 핸들(132)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핸들(132)의 서로 마주보는 짧은 쪽 프레임 내측에는 긴 돌기 형태의 결합 리브(132b)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짧은 쪽 프레임 내측에는 체결부재(136)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핸들(132)은 짧은 쪽 프레임 내측에 힌지(134e)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이들의 사이에는 회전 프레임(134)과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리브(132b)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 리브(132b)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일종의 돌기로, 회전 프레임(134)에 삽입되어 회전 프레임(134)과 결합된다.
회전 프레임(134)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바(bar) 형상이며, 한 쌍으로 구비된다. 회전 프레임(134)은 핸들(132)의 짧은 쪽 프레임 내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된다. 회전 프레임(134)은 핸들(132)의 짧은 쪽 프레임 내측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좀더 상세하게는, 회전 프레임(134)의 일부가 핸들(132)의 단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회전 프레임(134)은 일단에 핸들 지지부(312)에 삽입되는 회전부(134a)가 구비된다. 판면에는 체결부재(136)가 삽입되는 체결홀(134b), 결합 리브(132b)가 삽입되는 리브홀(134c), 힌지(134e)가 삽입되는 힌지홀(134d)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34a)는 회전 프레임(134)의 일단으로부터 대략 'V'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회전부(134a)는 회전 중심(a)을 기준으로 양단이 'V'자 형태로 벌어진 형상을 갖는다. 회전부(134a)는 회전 중심(a)을 기준으로 일단이 회전 프레임(134)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연장된 단부 b로 정의함). 연장된 회전부(134a)의 타단이 지지 브래킷(310)의 핸들 지지부(312)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회전부(134a)의 연장된 단부(b)는 회전 프레임(134)의 일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134a)는 지지 브래킷(310)의 핸들 지지부(312)에 삽입됨으로써 내함(100)을 외함(300)에 일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34a)는 핸들 지지부(312)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내함(100)이 외함(3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부(134a)는 일종의 지렛대 역할을 한다. 회전부(134a)는 회전 중심(a)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연장된 단부(b)가 핸들 지지부(312)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거나 중공으로부터 이탈된다. 회전부(134a)가 핸들 지지부(312)에 삽입되면 핸들(132)이 외함(300)에 일시 고정된다. 반대로 회전부(134a)가 핸들 지지부(312)에서 이탈되면 핸들(132)이 외함(30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132)을 이용해 내함(100)을 들어 외함(300)에 삽입할 때, 회전 프레임(134)의 회전부(134a)의 단부는 외함(300)의 지지 브래킷(310)을 향해 돌출된 상태이다. 핸들(132)이 사용을 위해 회전될 때 회전부(134a)와 프런트 프레임(130)이 간섭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런트 프레임(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절개될 수 있다. 또는, 프런트 프레임(130)에 회전부(134a)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내함(100)을 외함(300)에 삽입한 후 핸들(132)을 원래 위치로 회전시키면, 회전 프레임(134)의 회전부(134a)가 지지 브래킷(310)의 핸들 지지부(312)에 삽입된다. 회전부(134a)가 회전 프레임(134)의 단부에 'V'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핸들(132)을 회전하는 동작에 따라 회전부(134a)가 핸들 지지부(312)에 삽입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핸들(132)이 회전함에 따라 지지 브래킷(310)과 이격되어 있던 회전부(134a)의 회전 중심(a)이 점차 지지 브래킷(310)에 가까워진다. 핸들(132)이 완전히 회전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 회전 중심(a)은 지지 브래킷(310)의 판면에 접촉된다. 도 10을 기준으로 하면, 회전부(134a)의 단부가 회전 중심(a)의 좌측을 향하게 된다. 지지 브래킷(310)의 핸들 지지부(312) 역시 회전 중심(a)의 좌측에 위치하므로 핸들 지지부(312)에 핸들(132)의 회전부(134a)가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132)의 고정 시 사용자가 회전부(134a)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사용자가 외함(300)으로부터 내함(100)을 인출할 때에는 핸들(132)의 회전 프레임(134)이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된다. 사용자가 핸들(132)을 사용하기 위해 도 10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핸들(1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핸들(132)이 회전하면서 회전 중심(a)을 기준으로 회전부(134a)의 연장된 단부가 도 10의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핸들(132)이 회전하면서 회전 중심(a)이 지렛대의 중심점 역할을 하므로 회전부(134a)의 연장된 단부(b)가 외함(300)을 밀면서 내함(100)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핸들(132)의 회전에 따라 내함(100)이 외함(300)으로부터 밀려 올라가므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내함(100)을 외함(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전기에 있어서, 내함의 삽입 및 인출 시 핸들의 결합 구조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계전기(10)는 내함(100)이 외함(300)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내함(100)을 외함(300)에 삽입할 때, 사용자는 핸들(132)을 회전시켜 내함(100)을 들어 올린다. 이때 핸들(132)은 프런트 프레임(130)과 수직하게 회전된다(핸들의 회전 상태는 도 5를 참조). 핸들(132)의 회전부(134a)는 백 케이스(150)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런트 프레임(130) 상에는 회전부(134a)가 회전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홀이 관통 형성되므로 회전부(134a)가 백 케이스(150)를 향해 회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내함(10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내함(100)을 외함(300)의 개구된 부분으로 삽입한다. 내함(100)을 외함(300)에 삽입한 후 사용자가 핸들(132)을 원래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핸들(132)이 회전되면서 회전부(134a)의 회전 중심(a)이 외함(300)의 지지 브래킷(310) 판면에 접촉된다. 회전 중심(a)이 지지 브래킷(310) 판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핸들(132)이 계속 회전되면 회전부(134a)가 핸들 지지부(312)의 중공에 삽입된다. 핸들(132)의 회전부(134a)가 지지 브래킷(310)의 핸들 지지부(312)에 삽입됨으로써 핸들(132)이 외함(300)에 일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132)의 핸들 고정부(132a)에 볼트를 삽입해 핸들(132)을 프런트 프레임(130)에 고정할 수 있다. 핸들(132)은 프런트 프레임(130)의 일부를 구성하며 외함(300)에 고정되므로 내함(100)이 외함(300)에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외함(300)에서 내함(100)을 분리할 때, 사용자는 핸들 커버(138)를 열고 볼트를 분리해 핸들(132)이 프런트 프레임(130)에서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후 도 5 및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프런트 프레임(130)과 수직인 상태로 핸들(1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핸들(132)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134a)는 핸들 지지부(312)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핸들(132)이 외함(300)의 지지 브래킷(310)에서 분리된다. 회전부(134a)의 회전 중심(a)을 기준으로 연장된 단부(b)가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회전부(134a)의 연장된 단부(b)가 회전 중심(a)을 기준으로 내함(100)을 지지 브래킷(310)으로부터 밀어낼 수 있다. 회전부(134a)가 내함(100)을 외함(300)으로부터 밀어내므로 지렛대 구조가 없을 때에 비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로 내함(100)을 외함(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는 핸들의 조립 위치를 맞추지 않아도 핸들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내함을 외함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내함을 외함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계전기 100: 내함
110: 프런트 케이스 130: 프런트 프레임
132: 핸들 134: 회전 프레임
134a: 회전부 136: 체결부재
138: 핸들 커버 150: 백 케이스
300: 외함 310: 지지 브래킷
312: 핸들 지지부

Claims (6)

  1. 부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백 케이스와, 상기 백 케이스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와 복수의 버튼부가 구비된 프런트 케이스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렛대 구조를 갖는 핸들을 구비한 내함;
    상기 내함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핸들을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이 구비된 외함; 및
    상기 핸들의 단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프레임 내측에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브래킷은
    상기 내함을 향해 돌출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핸들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단부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중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내함이 상기 외함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중공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상기 외함을 밀어내어 상기 내함이 상기 외함으로부터 분리되는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지지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함의 개구된 단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계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은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프런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되 'ㄷ'자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가 상기 프런트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계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프레임에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외함을 밀어내도록 회전할 때 상기 회전부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계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의 단부는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중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내함이 상기 외함에 고정되는
    계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의 단부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중공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상기 외함을 밀어내어 상기 내함이 상기 외함으로부터 분리되는
    계전기.
KR1020180067387A 2018-06-12 2018-06-12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 KR102039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87A KR102039327B1 (ko) 2018-06-12 2018-06-12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
US16/224,079 US10483063B1 (en) 2018-06-12 2018-12-18 Protective relay with easy withdrawal
CN201811610561.8A CN110600325B (zh) 2018-06-12 2018-12-27 容易引出的继电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87A KR102039327B1 (ko) 2018-06-12 2018-06-12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327B1 true KR102039327B1 (ko) 2019-11-01

Family

ID=6853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387A KR102039327B1 (ko) 2018-06-12 2018-06-12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83063B1 (ko)
KR (1) KR102039327B1 (ko)
CN (1) CN110600325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008A (ko) * 2009-03-10 2010-09-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사용자 설정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계전기
KR101752085B1 (ko) * 2016-01-21 2017-06-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6546C3 (de) * 1977-08-11 1980-07-1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Elektrisches Gerät, insbesondere Schutzrelais
US5652695A (en) * 1995-05-05 1997-07-29 Dell Usa, L.P. Hard drive carrier design permitting floating retention of a connector assembly to facilitate blind mating of the connector assembly in a hard drive bay
US5668696A (en) * 1995-07-10 1997-09-16 Dell Usa, L.P. Carrier-based mounting structure for computer peripheral chassis
US5844781A (en) * 1996-09-16 1998-12-01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 such as a network protector relay with printed circuit board seal
JP3533100B2 (ja) * 1999-01-08 2004-05-31 松下電工株式会社 タイムスイッチ
US6490153B1 (en) * 1999-08-06 2002-12-03 California Digital Corporation Computer system for highly-dense mounting of system components
US6356441B1 (en) * 2000-04-18 2002-03-12 Emc Corporation Disk drive assembly with improved securing and releasing mechanism
US6871150B2 (en) * 2001-02-23 2005-03-22 Power Measurement Ltd. Expandabl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US6851867B2 (en) * 2001-04-14 2005-02-08 Jds Uniphase Corporation Cam-follower release mechanism for fiber optic modules with side delatching mechanisms
US6840680B1 (en) * 2001-04-14 2005-01-11 Jds Uniphase Corporation Retention and release mechanisms for fiber optic modules
DE50303700D1 (de) * 2003-07-18 2006-07-20 Schroff Gmbh Ein -und Ausziehvorrichtung einer Steckbaugruppe in bzw. aus einem Baugruppenträger
TW201141357A (en) * 2010-05-05 2011-11-16 Inventec Corp A detent structure of an electronic device
CN203186316U (zh) * 2013-04-27 2013-09-11 北京理工华创电动车技术有限公司 电池箱锁止保持结构
JP2015015792A (ja) * 2013-07-03 2015-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保護継電器および保護継電器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008A (ko) * 2009-03-10 2010-09-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사용자 설정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계전기
KR101752085B1 (ko) * 2016-01-21 2017-06-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00325A (zh) 2019-12-20
CN110600325B (zh) 2021-07-13
US10483063B1 (en) 2019-11-19
US20190378671A1 (en)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2769B2 (en) Security cage for game machine and game machine using the same
US7690230B2 (en) Housing for electronic lock
FR2616581A1 (fr) Enceinte d'equipements accessoires pour disjoncteur en boitier moule
KR100854383B1 (ko) 일체형 도어를 갖는 회로 차단기의 외함
KR102039327B1 (ko)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
US20090049591A1 (en) Toilet bowl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EP0425393A1 (fr) Dispositif pour la réalisation d'ensembles pour la commande et la protection de circuits électriques basse tension
KR102431932B1 (ko) 패널 유니트가 구비된 mcc
US7037143B2 (en) Front access lan and timing (SATT)
KR200409250Y1 (ko) 회전식 광어댑터 판넬이 구비된 광케이블 분배반
JP2004064868A (ja) 分電盤
US20030019984A1 (en) Device bracket assembly
KR200439322Y1 (ko) 퓨즈 홀더
CA2263899A1 (en) Center with pivo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JP5063404B2 (ja) 接続プラグおよび接続端子用カバー
JP2007300707A (ja) 自立型分電盤
CN215770920U (zh) 电气设备开关及开关遮挡机构
CN216981138U (zh) 一种便于插拔接线的集成式配电箱
CN217158076U (zh) 一种便于安装的小型漏电断路器
JP2008034150A (ja) タップ装置
JP2010268648A (ja) 電気機器収納用箱
JP3888018B2 (ja) 引出機器収納装置
JP2007300706A (ja) 分電盤
JP2005026372A (ja) ラックマウント型機器収納箱
JP2004064869A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