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085B1 -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085B1
KR101752085B1 KR1020160007497A KR20160007497A KR101752085B1 KR 101752085 B1 KR101752085 B1 KR 101752085B1 KR 1020160007497 A KR1020160007497 A KR 1020160007497A KR 20160007497 A KR20160007497 A KR 20160007497A KR 101752085 B1 KR101752085 B1 KR 101752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locking
housing
lev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01H45/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3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relays
    • H01H2050/325Combined electrical and mechanical interlocking, e.g. usually for auxiliary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는 상단에 테두리에 락킹 돌기가 형성되는 하우징 부와; 상기 하우징 부에 삽입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단 테두리에 배치되거나, 상기 본체부의 상단 테두리와 가압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하우징 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락킹 레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LOCKING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SWITCHES}
본 발명은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장치의 본체부를 하우징 부로부터 탈거 또는 장착시 본체부 및 하우징 부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탈거 및 장착할 수 있는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개폐기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중지하는 전기적인 접점 개폐 장치의 일 종으로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자 개폐기는, 서로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상기 가동 접점을 구동시키는 전기 액츄에이터(electric actuator)가 구비된다.
이러한 전자개폐장치는 후크 구조를 포함한다.
이의 구성을 통해, 전자개폐장치는 고전압 정션박스에 조립시 안착과 동시에 유동 방지 및 이탈방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역으로, 전자개폐장치를 박스로부터 탈거하는 경우, 릴레이 리무버 및, 풀러(Puller)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탈거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전자개폐장치를 하우징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종래의 전자개폐장치의 릴레이(20) 및 하우징(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 하면, 종래의 릴레이(20)에는 회전 가능한 락킹 레버(30)가 설치된다.
상기 릴레이(20)의 상단 양측부에는 힌지(21)가 형성된다. 상기 락킹 레버(30)의 양측부는 상기 힌지(21)에 연결되어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락킹 레버(30)에는, 상기 릴레이(20)의 양측부에 걸칠 수 있는 한 쌍의 활주홀(31)이 형성된다. 상기 활주홀(31)은 곡률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에는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릴레이(20)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양측부에는 한 쌍의 락킹 돌기(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11)는, 상술한 활주홀(31)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활주홀(31)의 회전을 안내하고, 외측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 레버(30)는 힌지(2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고, 한 쌍의 락킹 돌기(11)는 해당 활주홀(31)에서 활주되는 상태로 락킹 레버(30)의 회전을 안내한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통해, 종래의 릴레이(20)를 하우징(10)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 하면, 릴레이에 설치되는 락킹 레버(30)는 릴레이(10)의 상단을 기준으로 90도를 이루도록 세워진 상태를 이룬다.
이때, 활주홀(31)의 우측단은 하부에 대기되는 하우징(10)의 해당 락킹 돌기(11)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어,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릴레이(20)를 상기 하우징(10)의 안착홈(10a)에 삽입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양측부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락킹 돌기(11)는 상기 활주홀(31)의 우측단으로 강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락킹 레버(30)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따라 벌어지고, 해당 락킹 돌기(11)는 해당 활주홀(31)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 레버(30)는 상기 하우징(10)에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락킹 레버(30)를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락킹 레버(3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한 쌍의 락킹 돌기(11)는 활주홀(31)을 따라 활주되고, 릴레이(20)는 회전되는 레버 몸체(30)에 의해 하우징(10)의 안착홈(10a)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강된다.
도 4를 참조 하면, 종래의 락킹 레버(30)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20)의 상단을 기준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회전되면, 해당 락킹 돌기(11)는 활주홀(31)의 좌측단에 위치된다.
아울러, 릴레이(20)는 상기 하우징(10)의 안착홈(10a)에 안착되도록 삽입이 완료된다.
역으로, 릴레이(2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 상기의 과정을 역으로 실시하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릴레이(20)를 하우징(10)에 탈착하는 경우, 하우징(10)의 락킹 돌기(11)를 락킹 레버(30)의 활주홀(31)에 끼우거나 이탈시켜야 한다.
이때, 활주홀(31)이 형성되는 레버 몸체(30)는 외력에 의해 강제 벌어짐이 반복된다.
또한, 종래에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미널(12)이 일정한 삽입력, 이탈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릴레이(20)를 하우징(10)에 반복적으로 삽입 및 탈거시 락킹 레버(30)의 회전만으로는 터미널(12)의 삽입력, 이탈력 이상의 힘을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락킹 레버(30)의 회전을 안내하는 락킹 돌기(11) 부분이 상기 힘을 버티지 못하여 파손이 발생하거나, 걸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터미널(12)의 삽입력, 이탈력을 낮출 경우, 터미널(12)이 하우징(10)에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못함으로 인해, 제품의 성능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03081호(공개일: 2014년 01월 09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 접촉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를 하우징 부로부터 탈거 또는 장착시 본체부 및 하우징 부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탈거 및 장착할 수 있는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는 상단의 테두리에 락킹 돌기가 형성되는 하우징 부와; 상기 하우징 부에 삽입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단 테두리에 배치되거나, 상기 하우징 부의 상단 테두리와 가압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하우징 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락킹 레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 레버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버 몸체와,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 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 각각의 하단에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 부의 상단 테두리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수평 구간부와, 상기 수평 구간부의 측부에 형성되며, 외측을 따라 상기 하우징 부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는 경사 구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구간부는, 상기 락킹 레버부가 상방으로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 부의 상단 테두리와 가압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하우징 부로부터 강제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상단 테두리 양측부에는, 한 쌍의 락킹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 레버부의 양측부에는,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가 끼워지는 한 쌍의 락킹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를 상기 하우징 부로부터 강제 이탈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는, 상기 한 쌍의 락킹홀로부터 강제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에는, 상기 한 쌍의 락킹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안내홈은,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의 회전 곡률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 각각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경사면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안내홈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 각각의 이동을 안내 하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체부를 하우징 부로부터 탈거 또는 장착시 본체부 및 하우징 부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탈거 및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전자개폐장치를 하우징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종래의 전자개폐장치가 하우징에 설치되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가 하우징 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락킹홀에 락킹 돌기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가 하우징 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가 하우징 부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락킹홀이 락킹 돌기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가 하우징 부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락킹 몸체에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레버 몸체 각각의 하단부에 한 쌍의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가 하우징 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락킹홀에 락킹 돌기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는 크게, 하우징 부(100)와, 본체부(200)와, 락킹 레버부(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 부(100)에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본체부(200)가 삽입되는 안착 공간(101)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부(100)의 상단 테두리에는 한 쌍의 락킹 돌기(110)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110)는 상기 하우징 부(100)의 상단 테두리 양측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110) 각각은, 삼각형 형상의 지지물(1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물(111)은, 상기 하우징 부(100)의 상단 테두리 양측 중앙에 상방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하우징 부(100)의 일측에는 상하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120)은, 하우징 부(100)가 상기 절개홈(120)의 양측으로 벌어지는 경우, 벌어짐에 따르는 파손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 부(100)에는 상술한 본체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200)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부(100)에 형성되는 안착 공간(101)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부(200)의 외측 둘레는 상기 하우징 부(100)의 안착 공간(101)의 내벽에 슬립되는 상태로 접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 부(100)의 안착 공간(101)의 내벽과, 상기 본체부(200)의 외측 둘레는 슬라이딩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200)의 상단부에는 상하 회전되는 락킹 레버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락킹 레버부(300)는 한 쌍의 레버 몸체(310)와, 손잡이(32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310)는 판 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손잡이(320)는,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310)의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본체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힌지단(210)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힌지단(210)은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부 중앙 상단부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310)의 상하폭은, 상기 본체부의 상하폭 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310)를 포함한 락킹 레버부(300)는 상기 힌지단(21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본체부(200)에서 상하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310)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락킹홀(313)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락킹홀(313)은 해당 레버 몸체(310)에서 외측으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고, 홈의 형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락킹홀(313)은, 본체부(100)가 하우징 부(100)의 안착 공간(101)에 삽입되는 경우, 하우징 부(100)에 형성되는 해당 락킹 돌기(1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110)는 상기 한 쌍의 락킹홀(313)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를 이루는 것이 좋다.
더하여,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110)의 끝단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110)는 해당 락킹홀(313)에 끼워지거나 이탈되는 경우, 반구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삽입 이탈이 용이하게 안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310) 각각의 하단에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며, 상기 본체부(200)의 상단 테두리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수평 구간부(3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구간부(311)의 측부에 형성되며, 외측을 따라 상기 하우징 부(100)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는 경사 구간부(3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 구간부(312)는, 상기 락킹 레버부(300)가 상방으로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 부(100)의 상단 테두리와 가압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200)를 상기 하우징 부(100)로부터 강제 이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320)의 단부에는 고정 홀더들(3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0)의 일측부에는, 레버 몸체(310)가 하향 회전되는 경우, 상기 고정 홀더들(330)에 의해 걸려 고정되는 고정 돌기들(220)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부가 하우징 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가 하우징 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 하면, 본체부(200)가 하우징 부(100)의 안착 공간(101)에 삽입되면, 락킹 레버부(300)는 본체부(200)의 상단 테두리에 평행한 상태를 이룬다.
이때, 락킹 레버부(300)의 수평 구간부(311)는 본체부(200)의 상단 테두리에 접하는 상태를 이룬다.
아울러, 락킹 레버부(3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락킹홀(313)은 하우징 부(10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락킹 돌기(110)에 끼워진 상태, 즉 락킹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가 하우징 부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락킹홀이 락킹 돌기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가 하우징 부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 하면, 본체부(200)를 하우징 부(100)로부터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락킹 레버부(300)의 손잡이를 사용하여, 한 쌍의 레버 몸체(310)를 상방으로 강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레버 몸체(3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락킹홀(313)은,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당 락킹 돌기(110)로부터 강제 이탈될 수 있다.
이어, 연속적으로 한 쌍의 레버 몸체(310)를 상방을 따라, 본체부(200)의 상단을 기준으로 수직을 이룰 때까지 회전시킨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200)가 하우징 부(100)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이 한 쌍의 락킹홀(313)이 해당 락킹 돌기(110)로부터 이탈된 이후에, 회전되는 한 쌍의 레버 몸체(310) 각각의 하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 구간부(312)는 하우징 부(100)의 상단 테두리에 연속적으로 가압 접촉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경사 구간부(312)는 캠(cam)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레버 몸체(310)가 세워지도록 회전되면서, 상기 한 쌍의 경사 구간부(312)는 본체부(200)의 상단 테두리와의 반력을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본체부(200)를 상방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힘을 형성한다.
즉,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한 쌍의 레버 몸체(310)와, 하우징 부(100)와의 반력으로 인해, 본체부(200)의 이탈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버 몸체(310)가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그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 구간부(312)가 하우징 부(100)의 상단 테두리에 가압 접촉되어 밀면서, 본체부(200)를 상승시켜, 하우징 부(1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200)는 하우징 부(100)로부터 언락(unlock)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더하여, 본체부(200)를 하우징 부(100)에 삽입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과정으로 역으로 실시하면 이룰 수 있다.
즉, 한 쌍의 레버 몸체(310)에서, 한 쌍의 락킹홀(313)이 해당 락킹 돌기(110)에 끼워짐으로써, 본체부(200)는 하우징 부(100)에서 락킹(locking)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락킹 몸체에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레버 몸체(310)에는 상기 한 쌍의 락킹홀(31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홈(314)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안내홈(314)은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310)의 회전 곡률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의 구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200)를 하우징 부(100)에 삽입 또는 이탈하는 경우에, 해당 락킹홀(313)에 끼움 또는 이탈이 반복되는 한 쌍의 락킹 돌기(110)는 해당 락킹홀(313)을 따라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즉, 락킹 돌기(110)가 락킹홀(313)으로부터 이탈 및 끼움이 반복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레버 몸체(310) 각각의 하단부에 한 쌍의 경사면(315)이 더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레버 몸체(310) 각각의 하단부에 한 쌍의 경사면(3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경사면(314)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310)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락킹홀(313) 각각에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110) 각각의 이동을 안내 하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직선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선면(315)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레버 몸체(310) 회전시, 락킹 돌기(110)는 락킹홀(313)로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즉, 락킹홀(313)과, 레버 몸체(310)의 하단과의 단차를 줄임으로써, 락킹 돌기(110)가 락킹홀(313)에 끼워지거나 이탈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부
101 : 안착 공간
110 : 락킹 돌기
200 : 본체부
210 : 힌지단
220 : 고정 돌기
300 : 락킹 레버부
310 : 레버 몸체
311 : 수평 구간부
312 : 경사 구간부
313 : 락킹홀
314 : 경사면
320 : 그립퍼
330 : 고정 홀더

Claims (6)

  1. 상단의 테두리에 락킹 돌기가 형성되는 하우징 부;
    상기 하우징 부에 삽입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단 테두리에 배치되거나, 상기 하우징 부의 상단 테두리와 가압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하우징 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락킹 레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락킹 레버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버 몸체와,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 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되,
    상기 레버 몸체의 상하폭은, 상기 본체부의 상하폭 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 각각의 하단에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 부의 상단 테두리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수평 구간부와,
    상기 수평 구간부의 측부에 형성되며, 외측을 따라 상기 하우징 부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는 경사 구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경사 구간부는, 상기 락킹 레버부가 상방으로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 부의 상단 테두리와 가압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하우징 부로부터 강제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 테두리 양측부에는, 한 쌍의 락킹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 레버부의 양측부에는,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가 끼워지는 한 쌍의 락킹홀이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를 상기 하우징 부로부터 강제 이탈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는,
    상기 한 쌍의 락킹홀로부터 강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에는,
    상기 한 쌍의 락킹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홈이 더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안내홈은,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의 회전 곡률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 각각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경사면이 더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경사면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레버 몸체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안내홈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락킹 돌기 각각의 이동을 안내 하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KR1020160007497A 2016-01-21 2016-01-21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KR101752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497A KR101752085B1 (ko) 2016-01-21 2016-01-21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497A KR101752085B1 (ko) 2016-01-21 2016-01-21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085B1 true KR101752085B1 (ko) 2017-06-28

Family

ID=5928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497A KR101752085B1 (ko) 2016-01-21 2016-01-21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327B1 (ko) * 2018-06-12 2019-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308Y1 (ko) * 1999-12-09 2000-05-15 윤여관 릴레이 소켓의 릴레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308Y1 (ko) * 1999-12-09 2000-05-15 윤여관 릴레이 소켓의 릴레이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327B1 (ko) * 2018-06-12 2019-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이 용이한 계전기
US10483063B1 (en) 2018-06-12 2019-11-19 Lsis Co., Ltd. Protective relay with easy withdrawal
CN110600325A (zh) * 2018-06-12 2019-12-20 Ls产电株式会社 容易引出的继电器
CN110600325B (zh) * 2018-06-12 2021-07-13 Ls产电株式会社 容易引出的继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51611A (ja) 電源遮断装置
KR101752085B1 (ko) 전자 개폐기의 락킹 구조
US8383969B2 (en) Apparatus including a circuit breaker retaining mechanism for use in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0288859B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 boîtier d'équipements électroniques sur un plateau
KR101545890B1 (ko) 전자개폐장치
EP3343703B1 (fr) Appareil électrique comportant au moins une borne de connexion automatique
KR20150039919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09199753A (ja) 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電気コネクタ
KR100907384B1 (ko) 차량용 퓨즈 풀러
KR102085980B1 (ko) 도난 방지용 파워커넥터
JP5707175B2 (ja) 電子回路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装置
KR20070025698A (ko) 휴즈 홀더
KR100942224B1 (ko) 진공 차단기의 포지션별 동작 제어장치
WO2023162234A1 (ja) バッテリ収容装置
US11888379B2 (en) Electrical system with closed compartment for preventing access to an electrical conductor extending in the compartment and methods for allowing and preventing access to an electrical conductor
KR101981596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및 그 조립방법
KR200409936Y1 (ko) 자동차의 암전류 차단용 퓨즈 고정구조
KR10158586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CN214203993U (zh) 具有锁定装置的切割端子装置
KR100681949B1 (ko) 자동차의 암전류 차단용 퓨즈 고정구조
KR101698815B1 (ko) 회로 차단기
CA2356660C (en) Mounting for circuit interrupter
JP2001118487A (ja) 電気接続箱
JP2007317515A (ja) 接続器具
KR100705679B1 (ko) 연주기용 더미바의 헤드 클립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