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196B1 - 음료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196B1
KR102038196B1 KR1020170133403A KR20170133403A KR102038196B1 KR 102038196 B1 KR102038196 B1 KR 102038196B1 KR 1020170133403 A KR1020170133403 A KR 1020170133403A KR 20170133403 A KR20170133403 A KR 20170133403A KR 102038196 B1 KR102038196 B1 KR 10203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upply pipe
beer
plug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762A (ko
Inventor
서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어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어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어라인
Priority to KR102017013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1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1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2Froth control preven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와 음료 공급관을 손쉽게 결합시켜 최소화된 거품을 포함하는 음료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음료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는, 음료를 저장하는 케그; 상기 케그에 저장된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음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의 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음료의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밸브조립체; 및 상기 공급관과 밸브조립체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플러그가 상기 연결부재 내로 전후진 이동함에 의해 상기 공급유량이 조절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연결부재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절삭된 니플(nipple) 구조이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니플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관과 상기 플러그를 원터치로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분배 장치{Beverage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은 음료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와 음료 공급관을 손쉽게 결합시켜 최소화된 거품을 포함하는 음료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음료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맥주 영업점 등에서는 생맥주 냉각기를 이용해 탄산가스가 혼합된 생맥주를 냉각시킨 상태로 취출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생맥주 냉각기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냉각탱크, 냉각탱크의 내부에 코일 형태로 배치되어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 코일, 냉각탱크의 냉각수를 교반시켜 냉각수와 냉각 코일의 열교환을 향상시키는 교반기, 냉각 코일에서 냉각된 맥주를 인출할 수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 코일은 냉각탱크를 관통하여 냉각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 코일의 내부에는 케그(맥주통, Keg)와 같은 저장용기와 연결되어 생맥주 저장용기에서 토출된 생맥주가 생맥주 추출 장치인 커플러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한편, 음료 공급관은 수직으로 음료를 끌어올리는 형상을 일반적으로 취하고 있는데,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는 수평의 구조를 취하고 있어 음료 공급관과 커플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구조가 필요하여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료 인출장치의 콕크밸브조립체는 음료의 공급 흐름이 급격하게 절곡되는 개/폐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콕크밸브조립체 내부에서 와류가 심하게 발생하여 인출되는 음료에 거품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2003-00194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와 음료 공급관을 손쉽게 결합시켜 최소화된 거품을 포함하는 음료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음료 분배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는, 음료를 저장하는 케그; 상기 케그에 저장된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음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의 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음료의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밸브조립체; 및 상기 공급관과 밸브조립체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플러그가 상기 연결부재 내로 전후진 이동함에 의해 상기 공급유량이 조절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연결부재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절삭된 니플(nipple) 구조이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니플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관과 상기 플러그를 원터치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케그에 저장된 음료를 수직으로 전달하는 구조이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니플 구조의 플러그와 상기 수직 구조의 공급관과 한번에 연결되는 꺽인 구조로 단일 연결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플 구조의 플러그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니플 구조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 내부에 발생된 공간을 통해 와류 발생이 예방됨으로써, 상기 외부로 토출되는 음료에 거품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홈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음료가 직선형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외부로 토출되는 음료와 관련된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물을 흘려보내며 상기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싱크(sink)이고, 상기 싱크는 상기 음료 분배 장치에 매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상기 음료를 배출하는 드래프트타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그 및 공급관 만이 상기 저장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조립체, 연결부재 및 드래프트타워는 상기 저장부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는 생맥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와 음료 공급관을 손쉽게 결합시켜 최소화된 거품을 포함하는 음료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음료 분배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음료 분배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생맥주 공급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냉장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서 설명한 냉장 시스템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매립형 냉장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매립형 냉장 시스템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 냉장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서 설명한 하부 냉장 시스템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라 커플러와 음료 공급관을 연결하는 연결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커플러와 음료 공급관을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스마트 연결 구조와 종래의 연결구조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맥주 라인 교체시 가이드 튜브에 맥주 방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캡이 장착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맥주 케그 내 음료 소진시, 캐그와 맥주 라인을 함께 교체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맥주 라인을 교체하여 새로운 케그에 연결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1개의 급속 냉각기를 통해 복수의 음료를 냉각 및 추출할 수 있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음료 분배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음료 분배 장치는 다른 종류의 음료, 예를 들어, 맥주 및 탄산음료(carbonated beverage) 용의 분배용 수도꼭지 A1, A2, A3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및 청량 음료(cold drinks) 시럽(syrup)의 냉장기 또는 탄산수 혼합기(B)로의 공급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음료 분배 장치는 맥주를 보유하는 용기(C), 시럽(syrup)을 보유하는 1개 이상의 용기(D)를 포함하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기(C)에 접속된다.
또한, 맥주를 보유하는 용기(C), 시럽(syrup)을 보유하는 1개 이상의 용기(D)는 가압 탄산 가스(carbon dioxide)의 공급원, 즉, 원통 용기(E)에 접속된다.
이때, 탄산 가스(carbon dioxide)는 용기(C) 및 용기(D) 내에서 액체의 액면보다 위쪽에 도입된다.
또한, 액체는 용기 내에 연재하고 있는 출수 모듈 구조(사이펀관, F)를 다니며 유출하도록 압력이 더해진다.
용기(C)의 내부에는 액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출수 모듈 구조(F)가 설치되고, 가압 탄산 가스 공급원 (E)에 의해 용기(C)의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가 액체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액체는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커플러(20)의 세척을 위한 경우에는 용기(C)는 세정수 보관통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세정수를 보관하는 용기(C)의 내부에는 액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출수 모듈 구조(F)가 설치되고, 가압 탄산 가스 공급원 (E)에 의해 용기(C)의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가 세정수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의 하단부에 구비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를 통해 용기(C)의 외부로 공급됨으로써, 커플러(20)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도 1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생맥주 공급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는 음료를 생맥주로 한정하여 생맥주가 사용자에 공급되는 시스템의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맥주는 병맥주와 생맥주로 구분되며, 병맥주는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를 한 것이고, 이에 반해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및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생맥주라 한다.
생맥주는 남아 있는 효모의 작용으로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지만, 항상 냉장보관을 해야 하고 2일 내지 3일이 지나면 변질될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생맥주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생맥주 공급시스템이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생맥주 공급시스템은 생맥주가 저장된 생맥주저장통(C)과,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압축가스가 충전된 압축가스통(E)과, 생맥주저장통(C)의 개방구 측에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적으로 결합된 연결캡(200)과, 이 연결캡(200)으로부터 연장된 맥주공급관(500)을 통해 생맥주저장통(C) 내에 저장된 생맥주를 인출하는 생맥주 인출장치(A)와, 이러한 맥주공급관(500)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맥주공급관(500) 내로 공급되는 생맥주를 급속냉각하는 냉각기(B)로 구성된다.
또한, 생맥주인출장치(A)는 상술한 생맥주저장통(C), 압축가스통(E), 및 냉각기(B) 등이 내설된 테이블 상부면 상에 고정설치된 드래프트타워(800) 및 이 드래프트타워(800)에 설치되어 맥주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콕크밸브조립체(700)로 이루어진다.
또한, 맥주공급관(500) 내로 이송되는 생맥주의 냉각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드래프트타워(800)의 내부에 냉각기(B)로부터 연장된 냉각관(900)이 드래프트타워(800) 내부에 설치된 맥주공급관(500)에 근접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축가스통(E) 내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생맥주저장통(C)으로 유입되고, 이 압축가스의 압력에 의해 생맥주저장통(C) 내에 저장된 생맥주는 출수관(F) 및 맥주공급관(500)을 따라 이송되고 생맥주인출장치(A)를 통해 인출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맥주공급관(500) 내로 이송되는 맥주는 냉각기(B)에 의해 급속 냉각된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전술한 음료 또는 맥주 분배 시스템과 관련하여, 생맥주저장통(C) 또는 시스템 전체를 냉장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냉장 시스템에 대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냉장 시스템(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따른 미니셀러 시스템은 스텐드형 냉장고를 이용하여 생맥주 보관 및 추출이 편리하도록 관련 기자재를 설치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3에 따른 스탠드형 냉장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제품으로 워크인 시스템을 설치하고 싶으나 장소 및 업장의 여건이 안 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에 장점을 지닌다.
도 3의 (a) 및 (b)의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도어(101, 102) 또는 3개의 도어(111, 11, 113)을 포함하는 구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안하는 냉장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경우, 냉장고 1대로 케그 보관, 추출, 라인청소 등 모든 생맥주 추출 과정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 시스템(100)은 전면 유리도어 사용으로 생맥주 보관 및 주출 과정을 손님에게 보여줄 수 있고, 이때 LED 조명 옵션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맥주, 병멱주, 음료의 동시 보관이 가능하고, 워크인 냉장고 제작 비용 대비 저렴한 단가로 처리 가능하다.
여기서 설치 기자재는 탭, 부탄산게이지, 버블스탑, 크리닝소켓, 트레이, 컵샤워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설명한 냉장 시스템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는 냉장 시스템(100) 내부 기자재 설치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옆면 탭 사용 이미지로서, 6라인을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의 (c)는 파이톤라인을 이용하여 외부 Bar. Tower를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매립형 냉장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매립형 냉장 시스템(200)은 씽크를 매립하므로 생맥주 추출 작업과 잔 세척 및 Bar에서 물을 이용하는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업장 여건에 맞게 제작 가능하고, 1200, 1800, 2100 등 냉장고 사이즈, 씽크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지역(210)에서는 생맥주 추출 작업이 가능하고, 제 2 지역(220)에서는 잔 세척 및 Bar에서 물을 이용하는 작업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매립형 냉장 시스템(200)이 적용되는 경우, 냉장고 1대로 케그 보관, 추출, 라인청소 등 모든 생맥주 추출 과정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취향의 맞는 Tower 설치로 업장 인테리어 효과를 도모하고, 스펄보이 사용으로 잔 세척, 건조 동시에 작업 가능하다.
또한, 잔 세척을 위한 별도의 씽크가 필요 없으므로, 비용 절약, 공간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후면에 강화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생맥주 보관 및 주출 과정을 손님에게 보여줄 수 있고, LED 조명도 이용 가능하며, 생맥주, 병맥주, 음료 등을 동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워크인 냉장고 및 미니셀러 비용과 대비하여 저렴한 단가로 운용 가능하다.
이러한 매립형 냉장 시스템(200)에 적용되는 설치 기자재로는, 타워, 부탄산게이지, 버블스탑, 스펄보이, 컵샤워기, 크리닝소켓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도 5에서 설명한 매립형 냉장 시스템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부 냉장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a)는 기존 하부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하부 냉장 시스템(3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Bar냉장고(하부 냉장고) 제품은 기계실이 냉장고 옆면에 위치해 있으나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하부 냉장 시스템(300)은 기계실(310)이 냉장고(320) 윗면에 있어 케그 보관 면적을 넓게 사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하부 냉장 시스템(300)이 적용되는 경우, 좁은 공간 활용하여 1~2가지 생맥주 사용이 가능하고, 하부 이동식 트레이 적용으로 무거운 케그 수납이 편리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냉장 시스템(300)에 적용되는 설치 기자재는 타워, 부탄산게이지, 버블스탑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도 7에서 설명한 하부 냉장 시스템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는 기존 하부 냉장고 내/외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b)는 하부 냉장 시스템(300)의 내/외부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생맥주인출장치(A)의 콕크밸브조립체(700)는 맥주의 공급 흐름이 급격하게 절곡되는 개폐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료 공급관과 커플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구조가 필요하여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맥주인출장치(A)의 콕크밸브조립체(700)는 맥주의 공급 흐름이 급격하게 절곡되는 개폐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콕크밸브조립체(700) 내부에서 와류가 심하게 발생하여 인출되는 생맥주의 거품 발생이 심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와 음료 공급관을 손쉽게 결합시켜 최소화된 거품을 포함하는 음료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음료 분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라 커플러와 음료 공급관을 연결하는 연결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생맥주인출장치는 생맥주저장통으로부터 연장된 맥주공급관(10)이 내설된 드래프트타워(800)와, 맥주공급관(10)이 후방단부측에 밀봉적으로 연결된 연결구(20)와, 이 연결구(20)의 전방단부에 연결된 콕크밸브조립체(30)를 포함한다.
연결구(20)는 드래프트타워(800) 내의 맥주공급관(10) 및 후술하는 콕크밸브조립체(30)를 연결하는 구성부품으로, 그 후방단부에는 맥주공급관(10)이 밀봉적으로 연결된다. 연결구(20)는 내부가 관통된 관형상이고, 그 내경면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1)와 길이방향으로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진 제1평탄부(22)과 이 제1평탄부(22)보다 적은 직경의 제2평탄부(23)을 가진다.
콕크밸브조립체(30)는 그 하부 일측에 구비된 토출구(31)와, 그 상부 일측에 이 토출구(31)가 연통되는 내부 유로(미도시)를 개폐시키는 작동레버(32)와, 일측면에 구비된 조절밸브(33)에 의해 연결구(20)의 경사부 및 제1평탄부(21, 22) 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원추형상의 플러그(34)를 포함한다.
토출구(31)는 콕크밸브조립체(30)의 하부일측에 구비되고, 이 토출구(31)는 콕크밸브조립체(30)의 내부유로(미도시) 상에 연통된다.
작동레버(32)는 이 토출구(31)가 연통되는 콕크밸브조립체(30)의 내부유로(미도시)를 개방시켜 생맥주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원추형상의 플러그(34)는 콕크밸브조립체(30)의 일측면에 구비된 조절밸브(33)의 회동에 의해 연결구(20)의 경사부 및 제1평탄부(21, 22)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34)가 연결구(20) 내로 전후진 이동함에 의해 맥주공급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생맥주는 그 공급유량이 조절된다.
또한, 이 플러그(34)의 외면 양측에는 상호 대칭적인 한 쌍의 맥주유입홈(34a)이 형성되어, 맥주공급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생맥주는 맥주유입홈(34a)을 따라 콕크밸브조립체(30)의 내부유로(미도시)로 유입된다.
맥주유입홈(34a)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의 경사부(21) 및 평탄부(22)이 교차하는 모서리(24)에 근접하는 플러그(34)의 일측면으로부터 플러그(34)의 후방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9의 (b)는 (a)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에 대응하여 실제 제작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물(410)은 전술한 콕크밸브조립체(30)와 연결관(500), 삽입부(412) 및 고정부(411)을 포함한다.
즉, 전술한 종래의 생맥주인출장치(A)의 콕크밸브조립체(700)는 맥주의 공급 흐름이 급격하게 절곡되는 개폐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콕크밸브조립체(30)와 연결관(500)을 커넥팅 함에 있어, 삽입부(412) 및 고정부(411)라는 별도의 연결구조가 필요하여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콕크밸브조립체(30)의 말단을 니플 형태로 제작하고, 니플 형태의 콕크밸브조립체(30)가 연결관(500)에 다이렉트로 원터치 피팅 연결되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니플 형태의 콕크밸브조립체(30)는 ShanK 또는 탭 뒷뭉치로 호칭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커플러와 음료 공급관을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스마트 연결 구조와 종래의 연결구조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 조립체(400)가 도시된다.
즉,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도 9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콕크밸브조립체(30)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조립체(30)는 니플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도 10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조립체(30)는 니플구조를 기초로 연결부재(401) 한 개만이 요구되나 종래의 콕크밸브조립체(30)는 연결부재로서 삽입부(412) 및 고정부(411)가 함께 요구된다.
따라서 도 1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연결부재(410)는 연결을 위한 더 많은 구조물이 필요하여 부피가 크고 연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결부재(400)는 콕크밸브조립체(30)의 말단을 니플 형태로 제작하고, 니플 형태의 콕크밸브조립체(30)가 연결관(500)에 다이렉트로 원터치 피팅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콕크밸브조립체(30)의 말단을 니플 형태로 제작하고, 니플 형태의 콕크밸브조립체(30)가 연결관(500)에 다이렉트로 원터치 피팅 연결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설치 부품의 간소화, 설치 시간 절약 및 간편한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생맥주인출장치(A)의 콕크밸브조립체(700)는 맥주의 공급 흐름이 급격하게 절곡되는 개폐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콕크밸브조립체(700) 내부에서 와류가 심하게 발생하여 인출되는 생맥주의 거품 발생이 심한 종래의 단점도 함께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관의 내면에는 소위 물때라고 불리는 슬라임이 침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관 내면에 침착되는 슬라임은 음용 액체의 풍미를 변질시킬 뿐만 아니라 세균 등의 증식처가 되어 해당 액체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구체적으로 일반 수도관 등에서는 도관 내부에 부식으로 침착된 스케일의 형태로 슬라임이 발생되며, 식음료 인출을 위한 도관 등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슬라임 형태로 스케일이 침착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588047호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도관 내부에 슬라임 제거용 약제를 주입하거나 고압의 세척수를 주입하여 스케일 등의 슬라임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임 제거 방법은 슬라임의 제거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슬라임 제거용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제의 화학 성분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고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맥주는 완전히 밀폐된 생맥주통에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을 연결하여 생맥주 인출장치의 콕크밸브를 조작하여 맥주잔에 담아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나, 생맥주 인출장치 자체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418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4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생맥주통에서 도관을 통해 생맥주 인출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소위 "비어스톤(beer stone)"이 침착되는데, 이러한 비어스톤은 맥주를 변질시켜 맛을 저하시키고 맥주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약제를 주입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비어스톤 제거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어스톤 제거 약제를 식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생맥주통에서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도관을 포함하는 생맥주 공급 라인과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부 구조는 위생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살균 및 세정 관리가 필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와 같은 생맥주 공급 장비의 내부 구조에 대한 정기적인 세정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맥주 케그 내 음료 소진시, 캐그와 맥주 라인을 함께 교체하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맥주 라인 교체시 가이드 튜브에 맥주 방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캡이 장착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맥주 케그 내 음료 소진시, 캐그와 맥주 라인을 함께 교체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도 12에서 맥주 라인을 교체하여 새로운 케그에 연결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맥주 등을 포함하는 용기(C) 즉, 케그가 모두 소진된 경우, 케그(C)를 교환함과 동시에 맥주공급관(500)을 새로운 배관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맥주 라인 교체시 가이드 튜브에 맥주 방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캡(510)이 케그(C)와 연결되는 맥주공급관(500)의 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도 1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콕크밸브조립체(700)의 적어도 일부(520)의 조작을 통해 내부의 전체 맥주공급관(530a)이 외부로 배출되고,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로 배출된 보호 캡(510)을 포함하는 맥주 공급관(530a)은 버려진다.
이후, 도 12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새로운 보호캡(510)을 포함하는 새로운 맥주 공급관(530b)이 콕크밸브조립체(700)의 적어도 일부(520) 조작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고, 보호캡(510)을 제거한 후에 새로운 케그와 새롭게 삽입된 맥주 공급관(530b)이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1회용 맥주라인이 적용되므로, 맥주가 통과하는 라인을 정기적으로 세척 및 교체를 해야 하는 문제점을 한번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생맥주 케그 1통을 소진하여 교체 시, 맥주라인도 새로운 라인으로 교체하게 되므로, 슬러지 등에 의한 맥주라인의 오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별한 구조의 냉각기(B)를 통해 복수의 음료를 냉각 및 추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1개의 급속 냉각기를 통해 복수의 음료를 냉각 및 추출할 수 있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B)에 적용되는 급속 냉각기(600)는 부동액이 입력되는 구간(620) 및 급속 냉각기(600) 내부를 순환하여 배출되는 구간(6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맥주가 입력되는 구간(640)및 저온의 부동액과 접촉하여 냉각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구간(6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음료 또는 맥주 등의 효율적인 냉각을 위해, 입력 구간(640)으로 유입되는 음료 유입관을 복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유입관을 통해 입력된 맥주 등의 음료가 내부로 유입된 저온의 부동액과 최대한 접촉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복수의 음료 유입관이 적어도 일부 각도로 꼬여진 모세구조(61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모세구조(610)를 통해, 복수 유입관으로 유입된 음료는 부동액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늘어나게 되고, 결국 1가지가 아닌 복수의 음료를 한번에 냉각하여 배출 구간(650)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본 발명의 급속 냉각기(600)에 따르면, -4도 냉각기 1대 이용하며 복수의 맥주를 추출 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생맥주 설치 시, 냉각기 1대로 1~2가지의 맥주를 사용할 수 있으며 10가지 맥주를 사용한다면 최소 5대의 냉각기 공간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급속 냉각기(600)는 작고, 가벼운 무게로 설치 제약이 거의 없으며 설치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고, 1대의 냉각기만 사용하므로 공간 절약 및 전기 절약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8)

  1. 음료 분배 장치에 있어서,
    음료를 저장하는 케그;
    상기 케그에 저장된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음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의 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음료의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밸브조립체; 및
    상기 공급관과 밸브조립체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플러그가 상기 연결부재 내로 전후진 이동함에 의해 상기 공급유량이 조절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연결부재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절삭된 니플(nipple) 구조이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니플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관과 상기 플러그를 원터치로 연결하며,

    상기 공급관은, 상기 케그에 저장된 음료를 수직으로 전달하는 구조이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니플 구조의 플러그와 상기 수직 구조의 공급관과 한번에 연결되는 꺽인 구조로 단일 연결 구조이며,

    상기 니플 구조의 플러그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니플 구조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 내부에 발생된 공간을 통해 와류 발생이 예방됨으로써, 상기 외부로 토출되는 음료에 거품 발생이 방지되며,

    상기 플러그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홈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음료가 직선형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외부로 토출되는 음료와 관련된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물을 흘려보내며 상기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싱크(sink)이고,
    상기 싱크는 상기 음료 분배 장치에 매립되어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로 상기 음료를 배출하는 드래프트타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그 및 공급관 만이 상기 저장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조립체, 연결부재 및 드래프트타워는 상기 저장부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생맥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33403A 2017-10-13 2017-10-13 음료 분배 장치 KR10203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403A KR102038196B1 (ko) 2017-10-13 2017-10-13 음료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403A KR102038196B1 (ko) 2017-10-13 2017-10-13 음료 분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762A KR20190041762A (ko) 2019-04-23
KR102038196B1 true KR102038196B1 (ko) 2019-10-30

Family

ID=6628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403A KR102038196B1 (ko) 2017-10-13 2017-10-13 음료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1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209Y1 (ko) * 2003-08-04 2003-11-05 최형선 생맥주 인출장치
KR200341254Y1 (ko) 2003-11-28 2004-02-11 이보영 생맥주 인출장치
KR101625570B1 (ko) 2014-09-25 2016-05-30 최형선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1262A1 (de) * 1986-08-30 1988-03-10 Eckhard Waehning Transportable biertheke
JP2004502536A (ja) 2000-07-07 2004-01-29 アクゾ ノーベル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移送配管及び移送配管を洗浄する方法
DE10353100B8 (de) * 2003-11-12 2006-10-19 Cmb Schankanlagen Gmbh Getränkezapfanl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209Y1 (ko) * 2003-08-04 2003-11-05 최형선 생맥주 인출장치
KR200341254Y1 (ko) 2003-11-28 2004-02-11 이보영 생맥주 인출장치
KR101625570B1 (ko) 2014-09-25 2016-05-30 최형선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762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880B1 (ko) 워터 서버
US5390826A (en) Bottled water station with removable reservoir and manifolded support platform
PT2370342E (pt) Método de limpeza e lavagem de um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bebidas
TW200934719A (en) Device for dosed dispensing of a liquid from a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for filling such a container with liquid
US20060163292A1 (en) Riser tube for a barrel
US101606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one or more liquids from a liquid storage container
KR102038196B1 (ko) 음료 분배 장치
US10065846B2 (en) Integral keg connector
KR102025672B1 (ko) 음료 냉각 장치
KR102038936B1 (ko) 음료 분배 라인 교체 장치
CN103534194B (zh) 一种用于防止饮料分配系统中细菌生长的方法
ES2731155T3 (es) Sistema y método de dispensación de bebidas
WO2006092783A2 (en) Drinking water dispenser
KR20120005915U (ko) 여러가지 거품 음료 및/또는 탄산 음료의 가압 수동 분배를 위한 장치
US2699887A (en) Display and dispensing device
EP2563713A1 (en) A system for sampling and display of a plurality of boutique beers
JP6210373B2 (ja) 飲料用ディスペンサ
KR200409982Y1 (ko) 은나노 필터가 설치된 냉온수기
JP2007062746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CN216973596U (zh) 一种国家公园旅游景区用便捷取水装置
KR20230080775A (ko) 발효음료 제조장치
JP3453402B2 (ja) 飲料容器及び容器内飲料の冷却注出方法
KR20230080772A (ko) 발효음료 제조장치
KR200168951Y1 (ko) 자동 가열 냉각식 식수 공급장치.
ITMI20000195U1 (it) Apparecchio frigorifero con dispositivo erogatore di beva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