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570B1 -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570B1
KR101625570B1 KR1020140128370A KR20140128370A KR101625570B1 KR 101625570 B1 KR101625570 B1 KR 101625570B1 KR 1020140128370 A KR1020140128370 A KR 1020140128370A KR 20140128370 A KR20140128370 A KR 20140128370A KR 101625570 B1 KR101625570 B1 KR 10162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beer
valve assembly
draft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311A (ko
Inventor
최형선
Original Assignee
최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선 filed Critical 최형선
Priority to KR102014012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5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2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on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는, 선단부에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구비된 맥주공급관이 내장되고, 상기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통과가능한 사이즈를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관통공을 전면에 구비하는 드래프트 타워와; 상기 맥주공급관과 연통되도록 조립되는 콕크밸브 조립체와; 상기 맥주공급관과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를 상호 연통시키도록 조립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형상의 연결구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구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너트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맥주공급관의 선단부가 밀봉결합되는 후방결합부와, 상기 후방결합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중간결합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개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기 위한 결합너트가 외주면상에 구비된 전방결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Assembling structure of draft beer dispens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체 및 조립이 용이한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는 병맥주와 생맥주로 구분되며, 병맥주는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를 한 것이고, 이에 반해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및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생맥주라 한다. 생맥주는 남아 있는 효모의 작용으로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지만, 항상 냉장보관을 해야하고 2일 내지 3일이 지나면 변질될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생맥주는 영업장소에서 손님들에게 보다 시원하고 신선한 맥주를 판매 및 제공하기 위하여 생맥주 디스펜서 시스템을 통하여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생맥주 디스펜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맥주가 저장된 생맥주저장통(100)과,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압축가스가 충전된 압축가스통(300)과, 생맥주저장통(100)의 개방구 측에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적으로 결합된 연결캡(200)과, 이 연결캡(200)으로부터 연장된 맥주공급관(500)을 통해 생맥주저장통(100) 내에 저장된 생맥주를 인출하는 생맥주 인출장치(600)와, 이러한 맥주공급관(500)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맥주공급관(500) 내로 공급되는 생맥주를 급속냉각하는 냉각기(400)로 구성된다.
또한, 생맥주인출장치(600)는 상술한 생맥주저장통(100), 압축가스통(300), 및 냉각기(400) 등이 내설된 테이블(T) 상부면 상에 고정 설치된 드래프트타워(800) 및 이 드래프트타워(800)에 설치되어 맥주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콕크밸브조립체(700)로 이루어진다. 또한, 맥주공급관(500) 내로 이송되는 생맥주의 냉각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드래프트타워(800)의 내부에 냉각기(400)로부터 연장된 냉각관(900)이 드래프트타워(800) 내부에 설치된 맥주공급관(500)에 근접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생맥주 인출장치(600)가 장기간 사용되면, 냉각기(400) 및 냉각관(900)의 잦은 온도 변화에 의해 맥주 공급관(500)의 팽창 및 수축이 반복 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맥주공급관(500)의 파손 및 이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손된 맥주공급관(500)을 교체하여야 하며 기타 장시간 사용에 따라 콕크 밸브 나 관련 부속품 등의 교체 필요성이 제기된다.
맥주공급관이나 콕크밸브조립체, 관련 부속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생맥주 인출장치가 교체가 용이하도록 조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448호(2004.07.1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드래프트 타워와 콕크 밸브조립체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연결구를 통해 조립가능하도록 하고, 조립 및 교체시에는 드래프트 타워의 상부 일측면에 절개부를 두어 드래프트 타워의 내부공간 부분의 경우에는 절개부를 통해 관련 부품의 분리 및 조립을 수행하고 드래프트 타워 외부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부품의 분리 및 조립을 수행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절개부에 별도의 덮개가 구비된다고 하여도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어 드래프트 타워 내부의 냉각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교체나 조립을 위해서는 덮개를 분리하여야 하는 등 조립이나 분리 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개부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여 조립 분리해야 하며 조립이 불편하여 완전 밀봉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448호(2004.07.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체를 위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한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는, 선단부에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구비된 맥주공급관이 내장되고, 상기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통과가능한 사이즈를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관통공을 전면에 구비하는 드래프트 타워와; 상기 맥주공급관과 연통되도록 조립되는 콕크밸브 조립체와; 상기 맥주공급관과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를 상호 연통시키도록 조립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형상의 연결구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구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너트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맥주공급관의 선단부가 밀봉결합되는 후방결합부와, 상기 후방결합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중간결합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개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기 위한 결합너트가 외주면상에 구비된 전방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전방결합부의 외주면에는 톱니형상의 숫치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암치형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조립공구를 통해 상기 연결구를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전방결합부의 외주면에는 톱니형상의 숫치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상기 개방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암치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암치형부가 상호 끼움결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방법은, 선단부에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구비된 맥주공급관이 내장되고, 상기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통과가능한 사이즈를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관통공을 전면에 구비하는 드래프트 타워와; 콕크밸브 조립체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너트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맥주공급관의 선단부가 밀봉결합되는 후방결합부와, 상기 후방결합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중간결합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개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기 위한 결합너트가 외주면상에 구비된 전방결합부를 구비하는 연결구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구비된 상기 선단부를 상기 드래프트 타워 외부로 통과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연결구의 후방결합부와 상기 맥주공급관의 선단부를 상기 압착너트를 통해 외부에서 나사결합시켜 조립하는 제3단계와; 상기 연결구와 조립된 상기 맥주공급관의 선단부를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드래프트 타워 내부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의 중간결합부를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시켜 상기 연결구와 상기 드래프트 타워를 조립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드래프트 타워에 조립된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전방결합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개방구를 상기 결합너트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제5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전방결합부의 외주면에는 톱니형상의 숫치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암치형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조립공구를 통해 상기 연결구를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상기 개방구 내주면상에는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암치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암치형부는 상호 끼움결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래프트 타워에 별도의 절개부를 형성함이 없이 드래프트 타워 내부의 맥주공급관과 콕크밸브 조립체를 연결구를 통해 조립함에 따라, 밀봉성이 향상되고, 조립부품이 적어 조립이 단순하고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맥주공급관 또는 콕크밸브 조립체 등의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드래프트 타워에 절개부가 필요없어 이물질 유입에 따른 오염이나 냉각효율 저하 등이 방지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생맥주 디스펜서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인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조립순서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완료후의 측면도이고,
도 9는 조립과정에 사용되는 공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인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조립순서 단면도들이고, 도 7 및 도 8은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완료후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의 경우 드래프트 타워의 경우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인출장치는, 드래프트 타워(60), 콕크밸브 조립체(10), 연결구(30)를 구비하여 이들을 조립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드래프트 타워(60)는 별도의 절개부가 구비되지 않으며, 맥주 디스펜서시스템의 생맥주저장통, 압축가스통 및 냉각기 등이 내설된 판매 테이블의 상부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맥주공급관 및 냉각관이 삽입되는 공간부(6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연결구(30)가 체결되기 위한 관통공(62)을 구비하고, 맥주공급관(70) 및 냉각관(미도시)이 드래프트타워(60)의 내부 공간부(65)에 내장되게 된다.
상기 관통공(62)의 내주면에는 종래와 달리, 상기 연결구(30)의 중간결합부(35)와 나사결합되기 위해 나사선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62)은 후술하는 맥주공급관(70)을 포함하는 밀봉부재(55) 및 압착너트(57)가 통과가능한 사이즈로 크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맥주공급관(70)은 상기 콕크밸브 본체(10)로 측으로 맥주가 인출되는 선단부측에 밀봉부재(55)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압착너트(57)가 구비된다. 상기 압착너트(57)는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외주면상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나, 상기 밀봉부재(55)에 의해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를 통해 외부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나 상기 맥주공급관(70)과 일체형 구조는 아니며 맥주공급관(70)에 결합되어 있으나 공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밀봉부재(55) 및 상기 압착너트(57)는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의 상기 관통공(62)을 관통 또는 통과가능한 사이즈로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밀봉부재(55) 및 상기 압착너트(57)의 직경은 상기 관통공(6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밀봉부재(55) 및 상기 압착너트(57)의 직경이 표준화되어 있거나 변경불가능한 경우 상기 관통공(62)의 직경을 상기 밀봉부재(55) 및 상기 압착너트(57)의 직경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는 그 일측의 개방구(12) 측에 원추형상의 플러그(11)가 장착되고, 상기 플러그(11)를 통해 유량이 조절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상부에는 맥주를 토출하기 위한 작동레버(13)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맥주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14)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레버(13)에 힘을 부가하여 일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토출구(14)를 통하여 맥주가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개방구(12) 측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결합너트(31)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콕크밸브 본체(10)의 플러그(11)측 개방구(12)의 내주면상에는 후술하는 상기 연결구(30)의 전방결합부(36)의 단부측 외주면에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숫치형부(3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암치형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암치형부(17)에 인접하여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밀폐링(18)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맥주공급관(70)과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를 상호 연통시키도록 조립되며, 내부에 유로(32)가 형성된 관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30)는 후방결합부(33), 중간결합부(35) 및 전방결합부(36)를 구비하는 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후방결합부(33)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너트(57)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가 밀봉결합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결합부(33) 측의 내부유로는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밀봉부재(55)의 전방단부측이 삽입되어 밀봉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후방결합부(33)는 상기 압착너트(57)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져야 한다.
상기 중간결합부(35)는 상기 후방결합부(33)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중간결합부(35)는 상기 관통공(62)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관통공(62)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져야 한다.
상기 전방결합부(36)는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결합너트(31)를 통해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개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결합너트(31)는 상기 전방결합부(36)의 외주면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전방결합부(36)에는 걸림턱(3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너트(31)가 상기 연결구(30)의 후방결합부(33)측을 통해서 상기 전방결합부(36) 측으로부터 끼워지게 되고, 상기 전방결합부(36) 측으로는 상기 걸림턱(39)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합너트(31)는 상기 전방결합부(36)의 외주면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30)를 상기 관통공(62)에 조립하는 경우에 상기 결합너트(31)와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의 관통공(62) 사이에 위치되도록 링 형상의 마감재(31a)가 상기 연결구(30)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결합너트(31)는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개방구(12)측 외주면 상에 형성된 나사선을 통해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구(30)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가 조립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결합부(36)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39)에 인접하여 전방측으로 톱니형상의 숫치형부(37)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9)과 상기 숫치형부(37) 사이에는 밀폐링(38)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숫치형부(37)는 두가지 역할을 수행하게된다. 하나는 상기 연결구(30)를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의 관통공(62)에 끼워 나사결합되도록 삽입하여 조립하는 경우에, 상기 관통공(62)에 상기 연결구(30)의 후방결합부(33)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0)의 숫치형부(37)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암치형부(17a)가 내주면에 형성된 조립공구(80)를 사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구(30)의 숫치형부(37)는 상기 조립공구(80)를 이용하여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의 관통공(62)과 나사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다른 하나는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개방구(12) 내주면상에 형성되는 상기 암치형부(17)와 상호 끼움결합되도록 조립됨에 따라,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와 상기 연결구(30)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밀폐링(18, 38)과 함께 2중 또는 3중으로 밀봉 및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맥주 공급시 발생하는 고압력에 의해 생맥주가 누수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의 내부에 있는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를,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62)을 통해 드래프트 타워(60) 외부로 통과시켜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밀봉부재(55) 및 상기 압착너트(57)가 함께 외부로 통과되어 노출되게 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0)의 후방결합부(33)와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를 상기 압착너트(57)를 통해 상기 드래프트 타워(60) 외부에서 나사결합시켜 조립하게 된다. 즉 상기 압착너트(57)는 상기 연결구(30)의 후방결합부(3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을 통해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구(30)와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가 조립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55)의 전방 단부측은 상기 후방결합부(33) 측의 내부유로에 일부 삽입되어 밀봉 결합된다.
이는 종래의 경우 드래프트 타워에 절개부가 있어 절개부를 통해 조립공구를 투입하여 드래프트 타워 내부에서도 조립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드래프트 타워에 별도의 절개부를 구비하지 않아 드래프트 타워 내부에서 조립이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와 상기 연결구(30)의 조립을 위해 상술한 방법이 이용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0)와 조립된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를 상기 관통공(62)을 통해 상기 드래프트 타워(60)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 경우 상기 관통공(62)을 통하여 상기 연결구(30)의 후방결합부(33)가 상기 드래프트 타워(60) 내부로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후방결합부(33)와 상기 중간결합부(35)의 경계부분이 상기 관통공(62)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연결구(30)의 중간결합부(35)를 상기 관통공(62)에 나사결합시켜 상기 연결구(30)와 상기 드래프트 타워(60)를 조립시켜 상기 연결구(30)가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구(30)의 중간결합부(35)를 상기 관통공(62)에 나사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구(30)의 전방결합부(36)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치형부(37)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공구(80)를 조립공구(8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치형부(17a)가 맞물리도록 끼우고, 별도의 너트 결합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조립공구(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연결구(30)를 회전시켜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와 상기 연결구(30)의 후방결합부(33)는 서로 압착된 상태이고, 상기 압착너트(57)는 상기 연결구(30)의 후방결합부(33)와 나사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연결구(30)의 회전시 상기 연결구(30)에 결합된 압착너트(57)는 상기 연결구(30)와 함께 회전하지만, 상기 맥주공급관(70)의 선단부는 회전하지 않고 원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드래프트 타워의 관통공에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이경우에 관통공은 연결구의 삽입통로로의 역할만을 수행할 뿐 나사결합용도로 사용되지 않았다. 종래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통공(62)이 나사결합용도로 사용됨에 의해 연결구(30)를 드래프트 타워(6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너트 등이 필요하지 않아 조립이 용이하고 단순해지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구(30)가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의 관통공(62)에 고정조립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에 조립된 상기 연결구(30)의 상기 전방결합부(36)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개방구(12)를 상기 결합너트(31)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먼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플러그(11)측 개방구(12)에 상기 연결구(30)의 전방결합부(36)를 끼움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구(30)의 숫치형부(37)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개방구 측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암치형부(17)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플러그(11)는 상기 연결구(30)의 내부유로(32)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암치형부(17)에 인접되는 밀폐링(18)은 상기 연결구(30)의 전방결합부(36)의 대응 외주면과 맞닿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30)의 숫치형부(37)에 인접되어 구비되는 밀폐링(38)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개방구(12) 측의 대응 내주면과 맞닿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암치형부(17)에 숫치형부(37)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암치형부(17)와 숫치형부(37)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밀폐링(18, 38)에 의하여 상기 콕크밸브 본체(10)와 연결구(30)가 결합되는 부분이 2중 또는 3중으로 밀봉 및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맥주 공급시 발생하는 고압력에 의해 생맥주가 누수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이렇게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플러그(11)측 내주면에 상기 연결구(30)의 전방결합부(36) 측을 밀봉적으로 끼운 다음,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플러그(11)측(또는 개방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상기 결합너트(31)를 체결하여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와 상기 연결구(30)를 고정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작동레버(13)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개방하면, 맥주 저장탱크로부터 맥주가 맥주공급관(70) 및 연결구(30)를 통하여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10)의 토출구(14)를 통하여 토출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추가적으로, 도 4에서 연결구(30)를 상기 관통공(62)에 조립하는 경우에 상기 결합너트(31)와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의 관통공(62) 사이에 위치되도록 링 형상의 마감재(31a)가 상기 연결구(30)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0)와 상기 드래프트 타워(60)의 결합부위가 상기 마감재(31a)를 통해 보다 기밀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30)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여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드래프트 타워에 별도의 절개부를 형성함이 없이 드래프트 타워 내부의 맥주공급관과 콕크밸브 조립체를 연결구를 통해 조립함에 따라, 밀봉성이 향상되고, 조립부품이 적어 조립이 단순하고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맥주공급관 또는 콕크밸브 조립체 등의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드래프트 타워에 절개부가 필요없어 이물질 유입에 따른 오염이나 냉각효율 저하 등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 : 콕크밸브 조립체 11 : 플러그
13 : 작동레버 14 : 토출구,
17 :암치형부 18, 38 : 밀폐링
30 : 연결구 31 : 결합너트
37 : 숫치형부 57 : 압착너트
60 : 드래프트 타워 62 : 관통공
70 : 맥주공급관

Claims (6)

  1.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선단부에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구비된 맥주공급관이 내장되고, 상기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통과가능한 사이즈를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관통공을 전면에 구비하는 드래프트 타워와;
    상기 맥주공급관과 연통되도록 조립되는 콕크밸브 조립체와;
    상기 맥주공급관과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를 상호 연통시키도록 조립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형상의 연결구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구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너트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맥주공급관의 선단부가 밀봉결합되는 후방결합부와, 상기 후방결합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중간결합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개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기 위한 결합너트가 외주면상에 구비된 전방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전방결합부의 외주면에는 톱니형상의 숫치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암치형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조립공구를 통해 상기 연결구를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2. 삭제
  3.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선단부에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구비된 맥주공급관이 내장되고, 상기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통과가능한 사이즈를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관통공을 전면에 구비하는 드래프트 타워와;
    상기 맥주공급관과 연통되도록 조립되는 콕크밸브 조립체와;
    상기 맥주공급관과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를 상호 연통시키도록 조립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형상의 연결구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구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너트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맥주공급관의 선단부가 밀봉결합되는 후방결합부와, 상기 후방결합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중간결합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개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기 위한 결합너트가 외주면상에 구비된 전방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전방결합부의 외주면에는 톱니형상의 숫치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상기 개방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암치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암치형부가 상호 끼움결합되도록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4.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선단부에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구비된 맥주공급관이 내장되고, 상기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통과가능한 사이즈를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관통공을 전면에 구비하는 드래프트 타워와; 콕크밸브 조립체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너트와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맥주공급관의 선단부가 밀봉결합되는 후방결합부와, 상기 후방결합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중간결합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개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기 위한 결합너트가 외주면상에 구비된 전방결합부를 구비하는 연결구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가 구비된 상기 선단부를 상기 드래프트 타워 외부로 통과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연결구의 후방결합부와 상기 맥주공급관의 선단부를 상기 압착너트를 통해 외부에서 나사결합시켜 조립하는 제3단계와;
    상기 연결구와 조립된 상기 맥주공급관의 선단부를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드래프트 타워 내부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의 중간결합부를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시켜 상기 연결구와 상기 드래프트 타워를 조립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드래프트 타워에 조립된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전방결합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개방구를 상기 결합너트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제5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전방결합부의 외주면에는 톱니형상의 숫치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암치형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조립공구를 통해 상기 연결구를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상기 개방구 내주면상에는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암치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의 숫치형부와 상기 콕크밸브 조립체의 암치형부는 상호 끼움결합되도록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방법.
KR1020140128370A 2014-09-25 2014-09-25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10162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370A KR101625570B1 (ko) 2014-09-25 2014-09-25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370A KR101625570B1 (ko) 2014-09-25 2014-09-25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311A KR20160036311A (ko) 2016-04-04
KR101625570B1 true KR101625570B1 (ko) 2016-05-30

Family

ID=5579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370A KR101625570B1 (ko) 2014-09-25 2014-09-25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62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비어라인 음료 분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193Y1 (ko) * 2001-07-30 2002-01-09 김홍식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KR200343212Y1 (ko) 2003-12-04 2004-02-27 최형선 생맥주 공급장치의 콕크밸브 본체와 연결구의 결합구조
KR200357448Y1 (ko) 2004-05-11 2004-07-30 최형선 생맥주 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193Y1 (ko) * 2001-07-30 2002-01-09 김홍식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KR200343212Y1 (ko) 2003-12-04 2004-02-27 최형선 생맥주 공급장치의 콕크밸브 본체와 연결구의 결합구조
KR200357448Y1 (ko) 2004-05-11 2004-07-30 최형선 생맥주 인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62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비어라인 음료 분배 장치
KR102038196B1 (ko) 2017-10-13 2019-10-30 주식회사 비어라인 음료 분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311A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2069A1 (en) Vessel having compressed CO2 gas source
KR101622949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CN101977838A (zh) 用于与安装在饮料容器中的提取装置相连接的分配头
US8328053B2 (en) Siphon head
AU2015345387B2 (en) Fitting for liquid gas cylinders and filling method
US3498313A (en) Beer keg tap
KR101625570B1 (ko) 생맥주 인출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AU2006254390B2 (en) Vessel having pressurized CO2 gas source
EP2154103A1 (en) Modular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8196768B2 (en) Connector, particularly for casks
CN106103336A (zh) 一体化的桶连接器
CN110668383B (zh) 一种酒桶与啤酒分配装置的连接结构
CN104989490A (zh) 呼吸式放油螺塞组件
JP7263391B2 (ja) 飲料容器の閉鎖ユニット
JP6467162B2 (ja) ビール樽
US911225A (en) Air-inlet and beer-outlet bung-hole apparatus.
TW201713892A (zh) 多重密封貯氣瓶
CN205013095U (zh) 呼吸式放油螺塞组件
CN205013400U (zh) 气动抽油机
US2047096A (en) Charging valve for siphon bottles
JP3222487U (ja) 酒類のディスペンサ
CN205403552U (zh) 一种冷凝管
CN207306557U (zh) 以瓶装水水瓶代替饮料机水箱的转接头结构
US3348565A (en) Dispensing of carbonated beverages
KR20120116704A (ko) 범용 가스용기 접속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