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209Y1 - 생맥주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생맥주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209Y1
KR200332209Y1 KR20-2003-0025077U KR20030025077U KR200332209Y1 KR 200332209 Y1 KR200332209 Y1 KR 200332209Y1 KR 20030025077 U KR20030025077 U KR 20030025077U KR 200332209 Y1 KR200332209 Y1 KR 200332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draft
connector
supply pipe
draft b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선
Original Assignee
최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선 filed Critical 최형선
Priority to KR20-2003-0025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2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2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2Froth control preven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2001/1494T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compensator from outside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맥주 인출시에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생맥주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생맥주저장통으로부터 연장된 맥주공급관이 내설된 드래프트타워와; 후방단부에 맥주공급관이 밀봉적으로 연결되고, 내경면에는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진 평탄부를 구비한 연결구와; 연결구의 경사부 및 평탄부 내로 조절밸브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면에 복수의 맥주유입홈이 형성된 원추형상의 플러그와, 생맥주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와, 토출구의 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진 콕크밸브조립체를 포함하는 생맥주인출장치에 있어서, 맥주유입홈은 플러그의 외면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맥주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생맥주가 직선형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맥주 인출장치{Device for drafting a draught beer}
본 고안은 생맥주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맥주 인출시에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생맥주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는 병맥주와 생맥주로 구분되며, 병맥주는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를 한 것이고, 이에 반해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및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생맥주라 한다. 생맥주는 남아 있는 효모의 작용으로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지만, 항상 냉장보관을 해야하고 2일 내지 3일이 지나면 변질될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생맥주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생맥주 공급시스템이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생맥주 공급시스템은 생맥주가 저장된 생맥주저장통(100)과,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압축가스가 충전된 압축가스통(300)과, 생맥주저장통(100)의 개방구 측에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적으로 결합된 연결캡(200)과, 이 연결캡(200)으로부터 연장된 맥주공급관(500)을 통해 생맥주저장통(100) 내에 저장된 생맥주를 인출하는 생맥주 인출장치(600)와, 이러한 맥주공급관(500)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맥주공급관(500) 내로 공급되는 생맥주를 급속냉각하는 냉각기(400)로 구성된다.
또한, 생맥주인출장치(600)는 상술한 생맥주저장통(100), 압축가스통(300), 및 냉각기(400) 등이 내설된 테이블(T) 상부면 상에 고정설치된 드래프트타워(800) 및 이 드래프트타워(800)에 설치되어 맥주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콕크밸브조립체(700)로 이루어진다. 또한, 맥주공급관(500) 내로 이송되는 생맥주의 냉각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드래프트타워(800)의 내부에 냉각기(400)로부터 연장된 냉각관(900)이 드래프트타워(800) 내부에 설치된 맥주공급관(500)에 근접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축가스통(300) 내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생맥주저장통(100)으로 유입되고, 이 압축가스의 압력에 의해 생맥주저장통(100)내에 저장된 생맥주는 맥주공급관(500)을 따라 이송되고 생맥주인출장치(600)를 통해 인출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맥주공급관(500) 내로 이송되는 맥주는 냉각기(400)에 의해 급속냉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생맥주인출장치(600)의 콕크밸브조립체(700)는 맥주의 공급 흐름이 급격하게 절곡되는 개ㆍ폐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콕크밸브조립체(700) 내부에서 와류가 심하게 발생하여 인출되는 생맥주의 거품 발생이 심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생맥주의 공급 흐름이 거의 직선에 근접하는 유로 개ㆍ폐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인출되는 생맥주의 거품 발생을 최소화하는 생맥주인출장치의 콕크밸브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생맥주 공급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인출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장치의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맥주공급관 20 : 연결구
30 : 콕크밸브조립체 34 : 플러그
34a : 맥주유입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생맥주저장통으로부터 연장된 맥주공급관이 내설된 드래프트타워와; 후방단부에 맥주공급관이 밀봉적으로 연결되고, 내경면에는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진 평탄부를 구비한 연결구와; 연결구의 경사부 및 평탄부 내로 조절밸브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면에 복수의 맥주유입홈이 형성된 원추형상의 플러그와, 생맥주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와, 토출구의 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진 콕크밸브조립체를 포함하는 생맥주인출장치에 있어서,
맥주유입홈은 플러그의 외면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맥주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생맥주가 직선형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맥주유입홈은 연결구의 경사부 및 평탄부가 교차하는 모서리에 근접하는 플러그의 일측면으로부터 플러그의 후방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인출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생맥주인출장치는 생맥주저장통(도1참조)으로부터 연장된 맥주공급관(10)이 내설된 드래프트타워(800, 도 1참조)과, 맥주공급관(10)이 후방단부측에 밀봉적으로 연결된 연결구(20)와, 이 연결구(20)의 전방단부에 연결된 콕크밸브조립체(30)를 포함한다.
드래프트타워(8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 상부면에 고정설치되고, 그 내부에 생맥주저장통으로부터 연장되는 맥주공급관(10)이 배치된다.
연결구(20)는 드래프트타워(800) 내의 맥주공급관(10) 및 후술하는 콕크밸브조립체(30)를 연결하는 구성부품으로, 그 후방단부에는 맥주공급관(10)이 밀봉적으로 연결된다. 연결구(20)는 내부가 관통된 관형상이고, 그 내경면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1)와 길이방향으로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진 제1평탄부(22)과 이 제1평탄부(22)보다 적은 직경의 제2평탄부(23)을 가진다.
콕크밸브조립체(30)는 그 하부 일측에 구비된 토출구(31)와, 그 상부 일측에이 토출구(31)가 연통되는 내부 유로(미도시)를 개폐시키는 작동레버(32)와, 일측면에 구비된 조절밸브(33)에 의해 연결구(20)의 경사부 및 제1평탄부(21, 22) 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원추형상의 플러그(34)를 포함한다.
토출구(31)는 콕크밸브조립체(30)의 하부일측에 구비되고, 이 토출구(31)는 콕크밸브조립체(30)의 내부유로(미도시) 상에 연통된다.
작동레버(32)는 이 토출구(31)가 연통되는 콕크밸브조립체(30)의 내부유로(미도시)를 개방시켜 생맥주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원추형상의 플러그(34)는 콕크밸브조립체(30)의 일측면에 구비된 조절밸브(33)의 회동에 의해 연결구(20)의 경사부 및 제1평탄부(21, 22)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34)가 연결구(20) 내로 전후진 이동함에 의해 맥주공급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생맥주는 그 공급유량이 조절된다.
또한, 이 플러그(34)의 외면 양측에는 상호 대칭적인 한 쌍의 맥주유입홈(34a)이 형성되어, 맥주공급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생맥주는 맥주유입홈(34a)을 따라 콕크밸브조립체(30)의 내부유로(미도시)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맥주유입홈(34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의 경사부(21) 및 평탄부(22)이 교차하는 모서리(24)에 근접하는 플러그(34)의 일측면으로부터 플러그(34)의 후방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맥주유입홈(34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4)의 전체 길이의 1/2 지점(t)으로부터 후방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은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맥주저장통(도 1참조)으로부터 연장된 맥주공급관(10)을 통해 생맥주가 연결구(20) 내경면으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생맥주는 플러그(34)의 맥주유입홈(34a)을 통해 콕크밸브조립체(30)의 내부유로(미도시)로 유입된 후에, 콕크밸브조립체(30)의 작동레버(32)에 의해 내부유로(미도시)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면 토출구(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연결구(20) 및 플러그(34)의 맥주유입홈(34a) 내에서 유동하는 생맥주의 흐름은 거의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와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콕크밸브조립체는 맥주공급관으로부터 플러그의 맥주유입홈으로 유입되는 생맥주의 흐름이 급격하게 굴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와류 발생이 빈번하고 이로 인해 생맥주 인출시에 기포가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지만, 본 고안은 맥주공급관(10)으로부터 플러그(34)의 맥주유입홈(34a)으로 유입되는 생맥주가 직선형의 흐름을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와류 발생이 거의 없고 이로 인해 생맥주 인출시에 기포 발생이 최소화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생맥주의 공급 흐름이 거의 직선에 근접하는 유로 개ㆍ폐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인출되는 생맥주의 거품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생맥주저장통으로부터 연장된 맥주공급관이 내설된 드래프트타워와; 후방단부에 맥주공급관이 밀봉적으로 연결되고, 내경면에는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진 평탄부를 구비한 연결구와; 연결구의 경사부 및 평탄부 내로 조절밸브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면에 복수의 맥주유입홈이 형성된 원추형상의 플러그와, 생맥주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와, 토출구의 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진 콕크밸브조립체를 포함하는 생맥주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맥주유입홈은 플러그의 외면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맥주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생맥주가 직선형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맥주유입홈은 연결구의 경사부 및 평탄부가 교차하는 모서리에 근접하는 플러그의 일측면으로부터 플러그의 후방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인출장치.
KR20-2003-0025077U 2003-08-04 2003-08-04 생맥주 인출장치 KR200332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077U KR200332209Y1 (ko) 2003-08-04 2003-08-04 생맥주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077U KR200332209Y1 (ko) 2003-08-04 2003-08-04 생맥주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209Y1 true KR200332209Y1 (ko) 2003-11-05

Family

ID=49418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077U KR200332209Y1 (ko) 2003-08-04 2003-08-04 생맥주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2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62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비어라인 음료 분배 장치
EP3107645B1 (en) 2014-02-19 2020-10-28 Luxembourg Patent Company S.A. In-line carbonation of water-base beverag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7645B1 (en) 2014-02-19 2020-10-28 Luxembourg Patent Company S.A. In-line carbonation of water-base beverages
KR20190041762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비어라인 음료 분배 장치
KR102038196B1 (ko) * 2017-10-13 2019-10-30 주식회사 비어라인 음료 분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3963802A (en) Turbulent air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atheter assemblies
CN202420050U (zh) 空调用双向节流阀
TW201619532A (zh) 具有最小的滯流的改良閥體
KR200332209Y1 (ko) 생맥주 인출장치
CN213698039U (zh) 一种脉动真空灭菌器及其真空循环系统
CN104150425B (zh) 一种灌装阀
CN205505536U (zh) 一种化工生产多管喷淋冷却机
CN211093432U (zh) 防冷凝堵塞的注气管
KR200343211Y1 (ko) 생맥주 인출용 콕크밸브의 유량조절구조
CN215208747U (zh) 一种地热水处理的曝气箱
KR20050075678A (ko) 생맥주 콕크밸브의 유량조절구조
CN212025295U (zh) 一种酿酒装置
CN108100501A (zh) 一种存储杏鲍菇的装置
CN109458552B (zh) 一种果蔬保鲜用液氮气化温度多级调控装置
KR200358057Y1 (ko) 생맥주 콕크밸브의 유량조절구조
CN209605403U (zh) 排气装置及导热油系统
KR20050054431A (ko) 생맥주 인출용 콕크밸브의 유량조절구조
CN216668068U (zh) 冷却装置和冷却设备
CN205605386U (zh) 一种新型二氧化碳增压泵
CN211551147U (zh) 一种可在线快捷吹扫除冰的液氮加注机
CN206771796U (zh) 基于喷射器的第二类吸收式热泵
CN110664252A (zh) 防冷凝堵塞的注气管
KR200358055Y1 (ko) 생맥주 콕크밸브의 유량조절구조
KR200154187Y1 (ko) 냉장고용 워터 디스펜서의 급수밸브
CN212757288U (zh) 带减压腔的蒸馏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