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340B1 - 낚싯대용 팔 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팔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340B1
KR102037340B1 KR1020160010135A KR20160010135A KR102037340B1 KR 102037340 B1 KR102037340 B1 KR 102037340B1 KR 1020160010135 A KR1020160010135 A KR 1020160010135A KR 20160010135 A KR20160010135 A KR 20160010135A KR 102037340 B1 KR102037340 B1 KR 102037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support
arm
pedestal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651A (ko
Inventor
임헌성
임승원
Original Assignee
임헌성
임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헌성, 임승원 filed Critical 임헌성
Priority to KR102016001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3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팔 받침대는 상호 결합되고, 낚싯대의 손잡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상부몸체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지지대 상부에 결합되고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팔 받침대; 지지대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받침대 연결부; 및 받침대 연결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으로, 낚싯대 손잡이에 장착되어 낚싯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여 낚싯대 사용자의 팔 및 몸 전체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받침대와 본체를 상호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고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민물낚시나 갯바위 낚시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고정장치에 고정시 낚싯대가 회전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손과 팔의 각도, 낚싯대를 잡는 손의 위치등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환경에 따라 팔 받침대의 각도를 변경하여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싯대용 팔 받침대{FOREARM SUPPORT FOR FISHING SUPPORT FOR FISHING ROD}
본 발명의 낚싯대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낚싯대의 손잡이에 끝에 결합되는 보조도구로 사용자의 팔 또는 몸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싯대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는 일회 낚시를 하는데 오랜 시간 사용되기 때문에 낚싯대 사용자의 팔과 손목 등에 무리를 가하지 않기 위하여 가볍게 제작되어야 하면서, 낚싯대에 걸리는 물고기의 힘을 견디기 위하여 강하고 튼튼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통상적인 민물낚시의 경우, 낚싯대가 최소 6시간 이상 최대 수일까지 사용되는 경향이 있어, 낚싯대 사용자의 팔에 상당한 무리가 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낚싯대의 주요 소재로서 사용되는 캐브라 소재의 경우, 낚싯대의 재질로 너무 많이 함유되면 무거워지고 너무 적게 사용되면 약해서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낚싯대를 가벼우면서 강도가 강한 초경질 및 초경량으로 제작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항공기와 같은 고가의 기계제품에 사용되는 복합재료를 낚싯대의 재질로 선택할 경우 낚싯대 1개의 가격이 상당히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낚싯대 사용자의 경향에 비추어 여러대의 낚싯대를 편성하여 낚시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비용이 더욱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낚싯대 구조의 개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85-0007907호에는 캐스팅 핸들에 있어서, 라일부착용 본체와 이 본체와는 별체의 클립으로 되며 양자에 공통으로 낚싯대부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캐스팅핸들에 있어서, 본체의 클립측의 단면과 클립의 본체측의 단면의 한쪽에 감합용요소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감합용요소에 밀접하게 끼워지는 감합용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낚싯대부착공은 감합용요부와 감합용철부의 편심위치에 관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핸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85-0007907호의 캐스팅 핸들은 낚싯대의 무게를 줄이거나 낚싯대 사용자의 피로를 저감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33004호에는 낚싯대 손잡이에 있어서, 릴씨트 손잡이와, 코르크 또는 EVA(Ethylvinyl Acetate)등으로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각종 디자인이 형성된 우레탄 발포 및 러버(rubber) 발포를 가열 융착하여 우레탄 발포 및 러버(rubber) 발포 손잡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손잡이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82405호에는 낚싯대 손잡이에 있어서, 낚싯대 고정을 위한 긴 슬리브와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낚싯대의 바닥 쪽에 고정된 릴 근처에 낚싯대의 상부와 측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해 슬리브의 한쪽 끝에 있는 반 원통형의 카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손잡이가 공지되어 있다.
덧붙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65287호에는 릴 낚싯대의 릴시이트 고정자에 있어서,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제조되어 표면에 마찰 돌기가 형성된 관체로된 고정자를 내측관체와 외측관체로 구분되게 형성하여 내측관체와 외측관체의 저면부 외측에 각각 릴시이트 고정부를 형성하고 내측관체는 내측에 외측관체는 외측에 단턱으로 된 실권취부를 형성하여 낚싯대에 끼우면 두관체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게 구성한 두 관체 사이에 릴시이트를 가설하여 양단부와 중간부에 실을 감아 릴시이트를 낚싯대에 고정하고 릴시이트 중간부와 낚싯대를 결속하는 실권취부에는 외면에 커버를 씌워 은폐시키도록 한 릴 낚싯대의 릴시이트 고정자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85-000790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8240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65287호는 낚싯대 손잡이의 재질이나 형상에 관한 특징이 있어, 낚싯대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하거나 낚싯대의 긴 장력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으나, 낚싯대의 무게를 줄이거나 낚싯대 사용자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4836호에는 낚싯대의 케이스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낚싯대 사용자의 손에서 땀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낚싯대가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4836호의 낚싯대는 사용자의 땀을 발생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으나, 낚싯대의 무게를 줄이거나 낚싯대 사용자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85-000790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3300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8240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6528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483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낚싯대 손잡이에 끝에 장착되어 낚싯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여 낚싯대 사용자의 팔 및 몸 전체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낚싯대용 팔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민물낚시나 갯바위 낚시와 같이 낚싯대를 보조고정할 수 있는 장소 여부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의 용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용자의 손과 팔의 각도, 낚싯대를 잡는 손의 위치등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환경에 따라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팔 받침대는 상호 결합되고, 낚싯대의 손잡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상부몸체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지지대 상부에 결합되고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팔 받침대; 지지대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받침대 연결부; 및 받침대 연결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팔 받침대의 지지대와 팔 받침대가 맞닿는 면 중 지지대의 면에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지지대와 팔 받침대가 맞닿는 면 중 팔 받침대의 면에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팔 받침대의 회전 후 제1걸림돌기가 제2걸림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팔 받침대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팔 받침대의 받침대는 받침대 연결부와 나사결합되고, 받침대의 일측에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낚싯대 손잡이에 장착되어 낚싯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여 낚싯대 사용자의 팔 및 몸 전체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받침대와 본체를 상호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고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민물낚시나 갯바위 낚시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민물낚시용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때 물고기가 끌고가는 입질이와도 낚싯대가 이탈 내지 실손 방지효과가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던 실손 방지용으로 사용하던 걸침방울을 제거하여 불편함을 없애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사용자의 손과 팔의 각도, 낚싯대를 잡는 손의 위치등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환경에 따라 팔 받침대의 각도를 변경하여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팔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낚싯대용 팔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갯바위에서 바다낚시를 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민물낚시를 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낚싯대용 팔 받침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팔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낚싯대용 팔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팔 받침대는 상호 결합되고, 낚싯대의 손잡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와, 상부몸체(100)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300)와, 지지대(300) 상부에 결합되고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팔 받침대(400)와, 지지대(300)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받침대 연결부(500)와, 받침대 연결부(50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받침대(600)를 포함한다.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는 낚싯대의 손잡이를 사이에 배치하고, 상호 체결되어 낚싯대 손잡이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낚싯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에 반원 형상의 안착부(110, 120)가 형성되나, 낚싯대의 손잡이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안착부(110, 120)는 이러한 형상과 달리 다각형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의 체결은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되나, 체결구의 양단이 돌출되지 않도록 적당한 깊이의 홈(120, 2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300)는 상부 몸체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앞에서 언급한 팔 받침대(400)와 받침대 연결부(500)가 형성된다.
팔 받침대(400)는 지지대(30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 사이에 낚싯대를 고정하고 낚싯대의 사용자의 손이 낚싯대를 잡는 경우 팔이 안착되는 것으로, 팔의 안착시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30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후방(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받침대 연결부(500)가 연장형성된다. 이때 받침대 연결부(500)의 길이는 상부 몸체(100)의 사용자 방향의 단부와 일치하거나 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받침대(600)를 받침대 연결부(500)에서 분리시킨 경우에 사용자가 걸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600)는 받침대 연결부(50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되는 경우 민물낚시를 하는 경우 보조고정구에 고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방향으로 갈 수록 단면이 넓게 형성된다.
이러한 낚시대용 팔 받침의 지지대(300)와 팔 받침대(400)가 맞닿는 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제1걸림돌기(310)와 제2걸림돌기(410)가 형성된다.
팔 받침대(400)는 사용자가 낚싯대를 잡는 손의 위치, 팔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팔 받침대(400)는 지지대(300) 상에서 회전가능하여야 한다. 그러나, 회전가능하면서도 고정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도 2와 같이 지지대(300)와 팔 받침대(400)가 맞닿는 면 중 지지대(300)의 일면에는 제1걸림돌기(310)가 형성되고, 지지대(300)와 팔 받침대(400)가 맞닿는 면 중 제1걸림돌기(310)가 맞닿는 팔 받침대(400)의 면에는 제2걸림돌기(4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하여 팔 받침대(400)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410)이 걸림턱(310)을 타고 이동하여 팔 받침대(4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갯바위에서 바다낚시를 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인 도 3과 민물낚시를 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인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대(600)의 체결 및 분리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갯바위에서 바다낚시를 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낚삿대를 고정할 수 있는 낚싯대 꽃이(도면 미도시)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받침대(600)를 받침대 연결부(500)에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와 같이 민물낚시를 하는 경우 낚싯대 꽃이(1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받침대 연결부(500)에 받침대(600)를 결합하여 낚싯대 꽃이(10)에 받침대(6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받침대(600)는 받침대 연결부(500)와 체결 분리가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대(600)의 끝에는 이탈방지턱(610)을 형성하여 낚싯대 꽃이(10)가 이탈방지턱(610)에 걸려 낚싯대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상부몸체
200 : 하부몸체
300 : 지지대
310 : 제1걸림돌기
400 : 팔 받침대
410 : 제2걸림돌기
500 : 받침대 연결부
600 : 받침대
610 : 이탈방지턱

Claims (3)

  1. 상호 결합되고, 낚싯대의 손잡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부에 결합되고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팔 받침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받침대 연결부; 및
    상기 받침대 연결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는 이탈방지턱이 배치되고,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받침대가 낚싯대 꽂이에 안착될 때, 상기 낚싯대 꽂이로부터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팔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팔 받침대가 맞닿는 면 중 상기 지지대의 면에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와 팔 받침대가 맞닿는 면 중 상기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팔 받침대의 면에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팔 받침대의 회전 후 상기 제2걸림돌기가 상기 제1걸림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팔 받침대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팔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 연결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팔 받침대.
KR1020160010135A 2016-01-27 2016-01-27 낚싯대용 팔 받침대 KR102037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135A KR102037340B1 (ko) 2016-01-27 2016-01-27 낚싯대용 팔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135A KR102037340B1 (ko) 2016-01-27 2016-01-27 낚싯대용 팔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651A KR20170089651A (ko) 2017-08-04
KR102037340B1 true KR102037340B1 (ko) 2019-10-29

Family

ID=5965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135A KR102037340B1 (ko) 2016-01-27 2016-01-27 낚싯대용 팔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3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9648B2 (ja) 1993-04-09 1996-07-31 秀一 大原 固定浮子及び浮子止ゴムの構造
JP2008092809A (ja) 2006-10-06 2008-04-24 Takao Horie 浮き止めとそれを用いた釣り用浮き
JP5596693B2 (ja) 2008-10-03 2014-09-24 ラングレイ イノベーション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改良された魚釣り用のおもり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1833A (ja) 1984-05-14 1985-11-30 富士工業株式会社 キヤステイングハンドル
KR100333004B1 (ko) 2000-04-24 2002-04-15 유병돈 낚시대 손잡이
KR20020082405A (ko) 2001-04-19 2002-10-31 웨요시 코포레이션 낚시대 손잡이
KR200265287Y1 (ko) 2001-11-29 2002-02-21 구경열 릴 낚시대의 릴시이트 고정자
KR200424836Y1 (ko) 2006-06-05 2006-08-25 황성준 땀이 발생하지 않는 낚시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9648B2 (ja) 1993-04-09 1996-07-31 秀一 大原 固定浮子及び浮子止ゴムの構造
JP2008092809A (ja) 2006-10-06 2008-04-24 Takao Horie 浮き止めとそれを用いた釣り用浮き
JP5596693B2 (ja) 2008-10-03 2014-09-24 ラングレイ イノベーション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改良された魚釣り用のおも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651A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034B1 (en) Fishing rod butt and reel seat assembly
US20130283665A1 (en) Seat for Spinning Reel
FR2997375A1 (fr) Cadre de bicyclette avec range-outils integre
US5890313A (en) Fishing rod butt and reel seat assembly
KR102037340B1 (ko) 낚싯대용 팔 받침대
US20080136244A1 (en) Quick release armrest assembly for a bath chair
JP2009240283A (ja) 釣竿用尻栓
US10010462B1 (en) Foot support for a wheelchair
KR101451231B1 (ko) 낚시대 손잡이 장치
KR102368702B1 (ko) 낚시대 고정 보조 장치
US8919262B2 (en) Trolling motor rigging station
JP2007202402A (ja) 釣竿
JP4240334B2 (ja) 釣竿支持具
JP2006197858A (ja) 竿保持具および竿尻グリップ
JP2006345757A (ja) 釣り竿
JP6234115B2 (ja) 釣り竿の尻栓取付構造
JP4954011B2 (ja) 釣り竿
JP2020092641A (ja) 釣竿及び釣竿用のグリップ部材
CN211721570U (zh) 用于钓鱼绕线轮的安装组件
US11391055B2 (en) Umbrella pole adapter for boat table leg mounts
JP7057181B2 (ja) サポートグリップ
KR200495274Y1 (ko) 릴 낚시대
US11944084B1 (en) Post mounted item holder
US20170181418A1 (en) Mounting assembly for a fishing reel
KR102026935B1 (ko) 낚시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