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935B1 - 낚시 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935B1
KR102026935B1 KR1020180141286A KR20180141286A KR102026935B1 KR 102026935 B1 KR102026935 B1 KR 102026935B1 KR 1020180141286 A KR1020180141286 A KR 1020180141286A KR 20180141286 A KR20180141286 A KR 20180141286A KR 102026935 B1 KR102026935 B1 KR 102026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support
plate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제덕
Original Assignee
연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제덕 filed Critical 연제덕
Priority to KR1020180141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상에서 설치하여 낚시를 하거나 이동시 낚시를 거치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낚시대를 지지하기 위한 낚시대 받침부; 상기 낚시대 받침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낚시대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봉부; 및 상기 지지봉부에 연결되어 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고정단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 받침대{FISHING SUPPORTER}
본 발명은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상에서 설치하여 낚시를 하거나 이동시 낚시를 거치할 수 있는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상에서 낚시를 할 때는 낚시 받침대에 낚싯대를 받쳐두지 않지만 배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낚시를 들고 있기 힘들기 때문에 낚싯대를 받쳐둘 필요가 있다. 근래에는 낚싯배를 이용하여 선상에서 낚시를 하는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낚싯배의 난간에 낚시 받침대를 설치하여 낚싯대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특허공개공보 제10-2009-0127206호는 배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배낚시를 할 경우 배에 설치된 고정링에 끼우고 헤드체에 결합된 나사체를 돌리면, 나사체에 결합된 너트체가 상승하면서 외면에 결합된 벌림관의 내면을 밀어서 벌리고, 이에 따라 벌림관의 직경을 증가시켜 고정링에 자연 고정되도록 하여 낚시를 할 때 낚시대걸이를 포함하는 어셈브리가 자체의 요동을 막도록 하여 배낚시를 편하게 하도록 하는 배낚시 받침대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등록공보 제10-1832804호는 낚싯배 설치용 낚싯대 받침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낚싯배의 난간에 설치하여 낚싯대를 거치하는 낚싯대 받침을 탈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싯배 설치용 낚싯대 받침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파이프 구성 또는 목재 또는 철재 구성의 평면 구성으로 이루어진 난간에 용접이나 피스 등의 고정수단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분리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파손시 쉽게 교체 제공할 수 있는 낚싯배 설치용 낚싯대 받침 지지구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기술들은 직접 난간에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하는 등 설치가 간편하지 못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낚싯배가 이동시 낚시와 추를 보관할 때가 없어서 흔들거리다 이용자의 옷이나 몸에 끼여서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720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3280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54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23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낚싯배에 낚시의 거치가 용이한 낚시 받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 받침대에 낚시의 탈착이 용이한 낚시 받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가 가능한 낚시 받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낚시대를 지지하는 U자형 지지부와, 상기 U자형 지지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부에 장착되어 상기 낚시대를 고정하는 집게부로 구성되는 낚시대 받침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지지봉과,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봉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지지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낚시대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봉부; 및 상기 지지봉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판과, 상기 상부 고정판의 저면에서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하부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봉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제2 지지봉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으로 구성되어 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고정단에 고정되는 위치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나사산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일측 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측 집게와, 상기 나사산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 힌지부와 대응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타측 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타측 집게와, 상기 나사산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일측 집게와 상기 타측 집게를 위치고정하며 탄성력을 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집게부에는, 상기 일측 힌지부와 상기 타측 힌지부의 상부 공간에 위치하고, '┏┓'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나사산부의 단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연장부의 상부와 접촉하여 상기 집게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더 추가되며,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제1 지지봉 및 제2 지지봉이 관통 고정되는 상부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연결 플레이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로 볼록한 상부 호형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은,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봉이 부착되는 하부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연결 플레이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로 볼록한 하부 호형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판에는, 상기 상부 호형 플레이트의 상부에 하단이 부착되고 측면은 상기 제1 지지봉에 부착되는 낚시추함이 더 포함되고, 상기 지지봉부에 형성되는 낚시 고정줄 연결구와, 상기 낚시 고정줄 연결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착은 낚싯대 체결고리에 연결되는 고정줄과, 상기 고정줄의 타측에 연결되어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낚싯대에 체결되는 낚싯대 체결고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낚시대를 지지하는 U자형 지지부와, 상기 U자형 지지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체결된 나사산부에 장착되어 상기 낚시대를 고정하는 집게부로 구성되는 낚시대 받침부; 상기 연장부의 중앙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봉부 외함과, 상기 외함 내부에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지지홈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홈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지지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낚시대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봉부; 및 상기 지지봉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고정판과, 상기 상부 고정판의 저면에서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하부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홈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제2 지지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으로 구성되어 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고정단에 고정되는 위치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나사산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일측 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측 집게와, 상기 나사산부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 힌지부와 대응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타측 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타측 집게와, 상기 나사산부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일측 집게와 상기 타측 집게를 위치고정하며 탄성력을 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는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스톱퍼가 마련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나사산부에 삽입되는 상기 일측 집게와 상기 타측 집게 사이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집게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고정판은, 지지봉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상부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연결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부로 볼록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호형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호형 플레이트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평판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은,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체결볼트 관통홀이 형성되고, 가이드봉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연결 플레이트의 일측에 하부로 볼록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호형 플레이트와, 하부 호형 플레이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평판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봉부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낚시추함 본체와, 상기 낚시추함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물이 빠지는 홀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낚시추함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부에 고정되는 조인트부로 구성되는 낚시추함이 더 포함되고, 상기 연장부의 일측 저면에 형성되는 낚시 고정줄 연결구와, 상기 낚시 고정줄 연결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착은 낚싯대 체결고리에 연결되는 고정줄과, 상기 고정줄의 타측에 연결되어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낚싯대에 체결되는 낚싯대 체결고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위치 고정부가 있기 때문에 낚싯배에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 받침대의 탈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낚시 받침대의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게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대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측면도 및 일부 절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하부고정판 및 체결볼트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집게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집게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스톱퍼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스톱퍼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클램프가 부착된 지지봉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의 지지봉부와 위치 고정부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실시예의 위치고정부의 하부 고정구의 사시도.
도 15는 도 12의 실시예의 집게부의 사시도.
도 16은 도 12의 실시예의 낚시추함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측면도 및 일부 절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하부고정판 및 체결볼트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집게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집게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스톱퍼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스톱퍼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클램프가 부착된 지지봉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의 지지봉부와 위치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실시예의 위치고정부의 하부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실시예의 집게부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2의 실시예의 낚시추함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1)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1)는, 낚싯대 받침부(10)와, 낚시대 받침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봉부(20)와, 지지봉부(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위치 고정부(3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낚싯대 받침부(10)는, U형 지지부(11)와, U형 지지부(11)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와, 연장부(12)의 단부에 장착되는 집게부(13)로 구성된다. 또한, 낚싯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낚싯대 고정줄(15)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고정줄(15)의 일측은 연장부 본체(121)에 고정되거나 제2 지지봉(22)에 고정되는 낚시 고정줄 연결구(16)에 연결되고, 고정줄(15)의 타측에는 낚싯대와 연결하기 위한 낚싯대 체결고리(17)가 연결된다. 따라서, 낚싯대 고정줄(15)을 이용하여 낚시를 하거나 배가 이동하는 경우 낚싯대가 낚시 받침대(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장부(12)는 연장부 본체(121)와, 연장부 본체(121)의 단부에 집게부(13)가 장착될 수 있도록 나사산부(122)가 형성된다. 집게부(13)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나사산부(122)가 형성되며, 말단에는 너트(123)를 이용하여 집게부(13)를 고정하게 된다.
연장부 본체(121)는 봉으로 이루어지고, 연장부 본체(121)의 저면에는 제1 지지봉(21)과 제2 지지봉(22)으로 구성되는 지지봉부(20)가 연결된다. 제1 지지봉(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1)에 체결볼트(34)가 체결된다. 제2 지지봉(22)은 내부가 빈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로는 가이드봉(35)이 삽입된다.
지지봉부(20)에는 위치 고정부(30)가 장착된다. 위치 고정부(30)는 상부 고정판(31), 하부 고정판(32), 낚시추함(33), 체결볼트(34) 및 가이드봉(35)으로 구성된다. 낚시추함(33)은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하며, 낚시추함(33)은 배가 이동하는 경우 낚시추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낚시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게 해준다. 즉, 낚시추함(33)에 낚시 바늘과 낚시 추를 넣어 두면, 배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낚시 바늘 및 추를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부고정판(31)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상부 연결 플레이트(311)와, 상부 연결 플레이트(311)의 일측에 상부로 볼록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와,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평판 플레이트(315)로 구성된다. 상부 연결 플레이트(311)에는 제1 지지봉(21)이 삽입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제1 지지봉 장착홀(312)와 제2 지지봉(22)이 삽입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제2 지지봉 장착홀(313)이 더 마련되고,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와 상부 평판 플레이트(315)의 저면에는 마찰력을 주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패킹(316)이 더 마련된다. 도면에서는 상부 패킹(316)이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의 저면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부 평판 플레이트(315) 및 상부 연결 플레이트(311)의 저면 전체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상부 고정판(31)의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의 상부에는 낚시추함(33)이 부착된다. 낚시추함(33)을 더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 뿐만 아니라 제1 지지봉(21)에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부 고정판(32)은, 하부 연결 플레이트(321)와, 하부 연결 플레이트(321)의 일측에 하부로 볼록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호형 플레이트(324)와, 하부 호형 플레이트(324)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평판 플레이트(325)로 구성된다. 하부 패킹(326)은 상부 패킹(316)과 마찬가지로 하부 호형 플레이트(324)의 상부면에 부착되거나 하부 연결 플레이트(321)와 하부 평판 플레이트(325) 전체를 통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단순한 설계 변경에 불과한 사항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하부 연결 플레이트(321)에는 체결볼트(34)가 관통하는 체결볼트 관통홀(322)이 형성되고, 가이드봉(35)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장착된다.
도 2는 낚시 받침대(1)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위와 동일하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체결볼트(34)를 이용하여 배의 난간 등에 고정할 수 있게 되며, 배의 난간이 파이프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위치 고정부(30)가 호형 부분과 평판 부분이 모두 있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3은 하부 고정판(32)과 체결볼트(34) 및 가이드봉(35)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판(32)은 상부 고정판(31)과는 달리 완전히 분리가 될 수 있다.
도 4는 집게부(13)가 나사산부(122)에 장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집게부(13)는 일측 집게(131)와 타측 집게(132)게 한조를 이루어 형성된다. 일측 집게(131)의 일측 힌지부(133)와 타측 집게(132)의 타측 힌지부(134)가 서로 결합하고, 힌지부(133, 134)에 형성된 홀을 통해 나사산부(122)가 관통되고, 나사산부(122)의 단부에는 너트(123)로 집게부(13)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집게부(13)의 작동을 위한 스프링(135)이 일측 힌지부(133)과 타측 힌지부(134) 사이에 삽입되어 집게에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는 탄성을 준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측 집게(131)와 타측 집게(132)의 낚싯대를 고정하기 위해 찝는 부분에는 고무 패킹을 설치하여 마찰력을 줄 수도 있다.
도 5는 집게부(13)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는 스톱퍼(14)가 더 장착되어 있는데, 스톱퍼(14)는 집게부(13)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스톱퍼(14)는 힌지부(133, 134)의 상부로 삽입되어 일측은 나사산부(122)에 삽입되어 너트(123)로 고정되고, 타측은 연장부 본체(121)와 접촉하게 된다. 스톱퍼(14)가 위치가 고정되면, 집게부(13)의 회전은 방지된다.
도 6과 도 7은 집게부(13)에 장착되는 스톱퍼(14)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14)는, 길게 형성되는 스톱퍼 본체(141)와, 스톱퍼 본체(141)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톱퍼 체결구(142)와, 스톱퍼 본체(141)의 타측에 형성되는 스톱퍼 안착된(143)으로 구성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의 측면이 "┏┓"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8은 연장부(12')와 지지봉부(20')의 다른 연결방법에 대한 제2실시예이다. 연장부 본체(121')의 저면에는, 제1 지지봉(21')이 삽입되는 제1 체결봉(124')과, 제2 지지봉(22')이 삽입되는 제2 체결봉(125')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장착된다. 제1 체결봉(124')과 제2 체결봉(125')은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도록 브라켓(126')이 제1 체결봉(124')과 제2 체결봉(125')을 서로 연결하고, 브라켓(126')의 상부는 연장부 본체(121')의 저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장착된다. 또한, 연장부(12')와 지지봉부(20')가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볼트(127')가 제1 체결봉(124')에 더 장착되고, 고정볼트(127')의 체결에 의해 제1 지지봉(21')이 위치 고정된다. 그에 따라 제2 지지봉(22')도 제2 체결봉(125')에 체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고정볼트(127)의 헤드에는 고정줄(128')이 부착되고, 고정줄(128')은 연장부 본체(121')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볼트 고정줄 연결구(129')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볼트(127')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와 도 10은 클램프(23")를 이용한 낚시 받침대(1")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지지봉(21")과 제2 지지봉(22")의 상단에는 클램프(23")가 부착되고, 상기 클램프(23")가 연장부 본체(121)에 장착되어 지지봉부(20)와 위치고정부(30)가 연결된다. 클램프(23")는 상부 클램프(231")와 하부 클램프(232")로 구성되고, 상부 클램프(231")와 하부 클램프(232")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고정수단(233")이 구비된다. 클램프 고정수단(233")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프 고정수단(23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이 될 수 있고, 볼트로 고정할 수 있고, 다른 여러가지 방식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1은 제1 지지봉(21")과 제2 지지봉(22") 사이에 클램프(23")를 설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클램프(23")는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은 낚시 받침대(1"')의 제5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제5 실시예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한 실시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지지봉부(20"')의 구성에서 다소 차이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낚시 받침대(1"')는, 낚싯대 받침부(10"')와, 낚시대 받침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봉부(20"')와, 지지봉부(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위치 고정부(30"')로 구성된다. 낚싯대 받침부(10"')는, U형 지지부(11"')와, U형 지지부(11"')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와, 연장부(12"')의 단부에 장착되는 집게부(13"')로 구성된다. 또한, 낚싯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낚싯대 고정줄(15"')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고정줄(15"')의 일측은 연장부 본체(121"') 하부에 형성되는 낚시 고정줄 연결구(16"')에 연결되고, 고정줄(15"')의 타측에는 낚싯대와 연결하기 위한 낚싯대 체결고리(17"')가 연결된다. 따라서, 낚싯대 고정줄(15"')을 이용하여 낚시를 하거나 배가 이동하는 경우 낚싯대가 낚시 받침대(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장부(12"')는 연장부 본체(121"')와, 연장부 본체(121"')의 단부 내측에 집게부(13"')가 장착될 수 있도록 나사산부(122"')가 형성된다. 집게부(13"')를 통해 머신 볼트(123"')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내측 나사산부(122"')가 형성된다.
연장부 본체(121"')는 U형 지지부(11"')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연장부 본체(121)의 하부에는, 지지봉부 외함(201"')과, 상기 외함(20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홈(21"')과 제2 지지홈(22"')으로 구성된 지지봉부(20"')가 일체로 연결된다. 제1 지지홈(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1"')에 체결볼트(34"')가 체결된다. 제2 지지홈(22"')은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로 가이드봉(35"')이 삽입된다.
지지봉부(20"') 하단에는 위치 고정부(30"')가 형성된다. 위치 고정부(30"')는 상부 고정판(31"'), 하부 고정판(32"'), 낚시추함(33"'), 체결볼트(34"') 및 가이드봉(35"')으로 구성된다. 낚시추함(33"')은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하며, 낚시추함(33"')은 배가 이동하는 경우 낚시추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낚시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게 해준다. 즉, 낚시추함(33"')에 낚시 바늘과 낚시 추를 넣어 두면, 배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낚시 바늘 및 추를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부고정판(31"')은, 지지봉부(2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상부 연결 플레이트(311"')와, 상부 연결 플레이트(311"')의 일측에 상부로 볼록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와,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평판 플레이트(315"')로 구성된다.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와 상부 평판 플레이트(315"')의 저면에는 마찰력을 주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패킹(316"')이 더 마련된다. 상부 고정판(31"')의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의 상부에는 낚시추함(33"')이 부착된다. 낚시추함(33"')을 더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 상부 호형 플레이트(314'') 뿐만 아니라 지지봉부 외함(201"')에 조인트를 형성하여 낚시추함(33"')을 고정할 수 있다.
하부 고정판(32"')은, 하부 연결 플레이트(321"')와, 하부 연결 플레이트(321)의 일측에 하부로 볼록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호형 플레이트(324"')와, 하부 호형 플레이트(324"')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평판 플레이트(325"')로 구성된다. 하부 패킹(326"')은 상부 패킹(316"')과 반대방향이지만 형태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하부 연결 플레이트(321"')에는 체결볼트(34"')가 관통하는 체결볼트 관통홀(322"')이 형성되고, 가이드봉(35"')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201"')에 조인트가 형성되어 낚시추함(33"')의 조인트부(332"')가 고정된다. 조인트홀(333"')을 통해 나사 등으로 고정하거나, 외함 조인트에 형성된 돌기가 낚시추함 조인트부(332"')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체결볼트(34"')는 헤드(341"')와 중간헤드(343"') 및 헤드 및 중간헤드에 고정되는 볼트(342"')로 구성되며, 헤드(341"')에는 손으로 쉽게 돌릴 수 있도록 요곡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집게부(13"')와 스톱퍼(14"')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3"')의 일측 집게와 타측 집게 사이에 스톱퍼(14"')가 삽입됨으로써, 집게부(13"')가 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집게부(13"')는 머신 볼트(123"')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머신 볼트(123"')는 연장부 몸체(121"')의 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122"')에 체결된다.
도 16은 낚시추함(33"')을 도시하고 있다. 낚시추함(33"')은 낚시추함 본체(331"')와 낚시추함(33"') 바닥판(334"')와 낚시추함 본체(3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인트부(332"')로 구성된다. 바닥판(334"')에는 홀(335"')이 형성되어 물이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낚시 받침대
10 : 낚시대 받침부 11 : U형 지지부
12 : 연장부 121 : 연장부 본체
122 : 나사산부 123 : 너트
12' : 연장부 121' : 연장부 본체
122' : 나사산부 123' : 너트
124' : 제1 체결봉 125' : 제2 체결봉
126' : 지지 브라켓 127' : 고정 볼트
128' : 고정볼트 고정줄 129' : 고정볼트 고정줄 연결구
13 : 집게부 131 : 일측 집게
132 : 타측 집게 133 : 일측 힌지부
134 : 타측 힌지부 135 : 스프링
14 : 스톱퍼 141 : 스톱퍼 본체
142 : 스톱퍼 체결구 143 : 스톱퍼 안착단
15 : 낚시 고정줄 16 : 낚시 고정줄 연결구
17 : 낚싯대 체결고리
20 : 지지봉부
21, 21', 21" : 제1 지지봉 211 : 나사산
22, 22', 22" : 제2 지지봉
23" : 클램프 231" : 상부 클램프
232" : 하부 클램프 233" : 클램프 고정수단
30 : 위치 고정부
31 : 상부 고정판 311 : 상부 연결 플레이트
312 : 제1 지지봉 장착홀 313 : 제2 지지봉 장착홀
314 : 상부 호형 플레이트 315 : 상부 평판 플레이트
316 : 상부 패킹
32 : 하부 고정판 321 : 하부 연결 플레이트
322 : 체결볼트 관통홀 324 : 하부 호형 플레이트
325 : 하부 평판 플레이트 326 : 하부 패킹
33 : 낚시추함 34 : 체결볼트
341 : 체결볼트 헤드 342 : 체결볼트 본체

Claims (13)

  1. 낚시대를 지지하는 U자형 지지부와, 상기 U자형 지지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부에 장착되어 상기 낚시대를 고정하는 집게부로 구성되는 낚시대 받침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지지봉과,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봉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지지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낚시대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봉부; 및
    상기 지지봉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판과, 상기 상부 고정판의 저면에서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하부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봉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제2 지지봉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으로 구성되어 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고정단에 고정되는 위치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나사산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일측 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측 집게와, 상기 나사산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 힌지부와 대응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타측 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타측 집게와, 상기 나사산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일측 집게와 상기 타측 집게를 위치고정하며 탄성력을 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집게부에는, 상기 일측 힌지부와 상기 타측 힌지부의 상부 공간에 위치하고, '┏┓'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나사산부의 단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연장부의 상부와 접촉하여 상기 집게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더 추가되며,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제1 지지봉 및 제2 지지봉이 관통 고정되는 상부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연결 플레이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로 볼록한 상부 호형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은,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봉이 부착되는 하부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연결 플레이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로 볼록한 하부 호형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판에는, 상기 상부 호형 플레이트의 상부에 하단이 부착되고 측면은 상기 제1 지지봉에 부착되는 낚시추함이 더 포함되고,

    상기 지지봉부에 형성되는 낚시 고정줄 연결구와, 상기 낚시 고정줄 연결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착은 낚싯대 체결고리에 연결되는 고정줄과, 상기 고정줄의 타측에 연결되어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낚싯대에 체결되는 낚싯대 체결고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낚시대를 지지하는 U자형 지지부와, 상기 U자형 지지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체결된 나사산부에 장착되어 상기 낚시대를 고정하는 집게부로 구성되는 낚시대 받침부;
    상기 연장부의 중앙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봉부 외함과, 상기 외함 내부에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지지홈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홈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지지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낚시대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봉부; 및
    상기 지지봉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고정판과, 상기 상부 고정판의 저면에서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하부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홈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제2 지지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으로 구성되어 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고정단에 고정되는 위치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나사산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일측 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측 집게와, 상기 나사산부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 힌지부와 대응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타측 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타측 집게와, 상기 나사산부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일측 집게와 상기 타측 집게를 위치고정하며 탄성력을 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는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스톱퍼가 마련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나사산부에 삽입되는 상기 일측 집게와 상기 타측 집게 사이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집게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고정판은, 지지봉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상부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연결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부로 볼록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호형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호형 플레이트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평판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은,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체결볼트 관통홀이 형성되고, 가이드봉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연결 플레이트의 일측에 하부로 볼록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호형 플레이트와, 하부 호형 플레이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평판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봉부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낚시추함 본체와, 상기 낚시추함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물이 빠지는 홀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낚시추함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부에 고정되는 조인트부로 구성되는 낚시추함이 더 포함되고,
    상기 연장부의 일측 저면에 형성되는 낚시 고정줄 연결구와, 상기 낚시 고정줄 연결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착은 낚싯대 체결고리에 연결되는 고정줄과, 상기 고정줄의 타측에 연결되어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낚싯대에 체결되는 낚싯대 체결고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141286A 2018-11-16 2018-11-16 낚시 받침대 KR102026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286A KR102026935B1 (ko) 2018-11-16 2018-11-16 낚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286A KR102026935B1 (ko) 2018-11-16 2018-11-16 낚시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935B1 true KR102026935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286A KR102026935B1 (ko) 2018-11-16 2018-11-16 낚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93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680U (ko) * 1989-05-25 1990-12-12 김애종 낚시 받침대 결합식 조명 떡밥통
JP2006034196A (ja) * 2004-07-28 2006-02-09 Daiwa Seiko Inc 釣竿保持装置
KR20090127206A (ko) 2008-06-07 2009-12-10 김문식 배낚시 받침대
KR200447541Y1 (ko)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20150039436A (ko) * 2013-10-02 2015-04-10 홍충기 낚시대 거치 장치
KR101832804B1 (ko) 2016-12-09 2018-02-28 이수진 낚싯배 설치용 낚싯대 받침 지지구
KR20180002318U (ko) 2018-07-11 2018-07-31 박태종 선상 낚시용 낚싯대 받침구용 홀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680U (ko) * 1989-05-25 1990-12-12 김애종 낚시 받침대 결합식 조명 떡밥통
JP2006034196A (ja) * 2004-07-28 2006-02-09 Daiwa Seiko Inc 釣竿保持装置
KR20090127206A (ko) 2008-06-07 2009-12-10 김문식 배낚시 받침대
KR200447541Y1 (ko)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20150039436A (ko) * 2013-10-02 2015-04-10 홍충기 낚시대 거치 장치
KR101832804B1 (ko) 2016-12-09 2018-02-28 이수진 낚싯배 설치용 낚싯대 받침 지지구
KR20180002318U (ko) 2018-07-11 2018-07-31 박태종 선상 낚시용 낚싯대 받침구용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4537A (en) Hanger bracket
US3307710A (en) Bracket
US2739780A (en) Fixture hanger assembly
US5779210A (en) Decorative clay pot hangers
US2446736A (en) Suspension support for electric lighting fixtures
KR102026935B1 (ko) 낚시 받침대
US6582018B2 (en) Swing frame for hanging a swing chair
US5881675A (en) Bird feeder or bird house assembly
US20160114734A1 (en) Equipment Support System For Vessels
KR20200002449U (ko) 선상 낚시 거치대 고정 장치
US2367588A (en) Combined fish sack holder and fishing pole rest
KR102530854B1 (ko) 낚시대 지지대의 방수 방진용 클램프 레버 장치
KR20130063389A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JPH021562Y2 (ko)
US5370348A (en) Oarlock lantern holder device movable between inboard and outboard positions
CN111207110A (zh) 一种悬吊安装系统
US5341792A (en) Archery bow and appurtenance
KR20220000801U (ko) 낚시용 삼각받침대에 설치되는 물병의 연결캡.
US20080282989A1 (en) C-clip hummingbird feeder
KR102037340B1 (ko) 낚싯대용 팔 받침대
KR20110004863U (ko) 용접용 와이어피더의 릴샤프트
KR20160148143A (ko) 링 행거를 구비하는 스탠드 옷걸이
JP2022155224A (ja) シャフトの取付部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吊り具及びハンギング装置
KR200417181Y1 (ko) 철탑 조립용 행거
AU2018202314B2 (en) A cable susp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