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983B1 -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983B1
KR102036983B1 KR1020180022062A KR20180022062A KR102036983B1 KR 102036983 B1 KR102036983 B1 KR 102036983B1 KR 1020180022062 A KR1020180022062 A KR 1020180022062A KR 20180022062 A KR20180022062 A KR 20180022062A KR 102036983 B1 KR102036983 B1 KR 10203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ndow
detection unit
foreign matter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723A (ko
Inventor
임광희
우용득
이창노
함윤영
신승택
박경현
이승찬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98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의 내외부로의 이물질이 유입 및 배출된 것을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가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이물질로 인한 차량 화재발생방지 및 후속조치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A system for detecting foreign substances entering and exi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window opening of a vehicle}
본 발명은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의 내외부로의 이물질이 유입 및 배출된 것을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가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이물질로 인한 차량 화재발생방지 및 후속조치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는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창문의 개문된 상태에서 발화성 물질이 유입될 경우, 차량 내부에 화재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하며, 이와 같은 사고사례로서, 2017년에 마산 합포구 진전면 봉암리 봉암 교차로에서 주행 중이던 벤츠차량 뒷좌석에 외부로부터 날려 들어온 담배꽁초의 불씨에 의해 차량이 전소한 사례가 있으며, 2016년에는 안동시 풍산읍 34호선 예천방향 국도에서 주행 중이던 1ton 트럭 화물칸으로 외부로부터 날려 들어온 이물질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사례 또한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창문 개방상태를 확인하여 사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차량 창문 개폐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97069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97069호의 경우, 단순히 창문 개방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차량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여부 및 이로 인한 화재발생여부를 차량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9706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의 내외부로의 이물질이 유입 및 배출된 것을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가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이물질로 인한 차량 화재발생방지 및 후속조치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는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창문 주변의 도어프레임 또는 차량의 창문에 구비되어 차량 창문이 개문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 및 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감지부와; 상기 이물질감지부의 이물질감지신호에 따라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차량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차량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이물질감지부의 이물질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감지부는 차량의 창문 주변의 도어프레임의 외측면 또는 차량의 창문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외측이물질감지부와; 차량의 창문 주변의 도어프레임의 내측면 또는 차량의 창문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내측이물질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알림부는 차량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여부 및 차량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차량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여부 및 차량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차량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알림부가 차량 내부에서의 화재발생여부를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차량의 창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창문개폐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창문개폐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물질감지부를 통해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의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배출여부를 알림부를 통해 차량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보다 용이하게 알 수 있어 외부로부터 차량 내부로 날려 들어온 담배꽁초 등의 이물질로 인한 차량화재발생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부주의로 인해 차량 외부로 담배꽁초, 음료캔 등의 이물질이 배출된것을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용이하게 인지하여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의 이물질감지부가 차량의 외측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의 내부에 이물질감지부 및 알림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이물질감지부가 차량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감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차량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에 따른 알림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이물질감지부가 차량 외부로 배출된 이물질을 감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차량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에 따른 알림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의 이물질감지부가 차량의 외측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은 크게, 이물질감지부(10), 알림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이물질감지부(10)는 적외선 근접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물질감지부(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3)의 창문(311) 모서리 주변의 도어프레임(31)부위 각각 구비되거나 차량(3)의 창문(3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차량(3)의 창문(311)이 개문된 상태에서 차량(3)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담배꽁초, 음료캔 등의 이물질 및 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꽁초, 음료캔 등의 이물질을 감지하게 된다.
도 2는 차량의 내부에 이물질감지부 및 알림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이물질감지부(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외측이물질감지부(110)와 내측이물질감지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이물질감지부(110)는 차량(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차량(3)의 창문(311) 모서리 주변의 도어프레임(31)의 외측면 또는 차량(3)의 창문(311)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이물질감지부(120)는 차량(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차량(3)의 창문(311) 모서리 주변의 도어프레임(31)의 내측면 또는 차량(3)의 창문(311)의 상부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알림부(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3)의 대시보드(32)에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감지부(10)의 이물질감지신호에 따라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차량(3) 내부로의 담배꽁초, 음료캔 등의 이물질 유입 및 차량(3)의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여부를 알릴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알림부(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LED 등의 발광부재(210)와 스피커(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LED 등의 상기 발광부재(2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3)의 대시보드(32)에 구비되는 제 1발광부재(211)와; 상기 제 1발광부재(21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차량(3)의 대시보드(32)에 구비되는 제 2발광부재(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발광부재(211, 212)는 차량(3)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여부 및 차량(3)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20)는 상기 발광부재(2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차량(3)의 대시보드(32)에 구비되어 차량(3)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여부 및 차량(3)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이물질감지부(10)의 이물질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3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알림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이물질감지부가 차량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감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차량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에 따른 알림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차량(3)의 창문(311)이 부분개문 또는 완전개문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이물질감지부(110)가 담배꽁초 등의 이물질을 감지한 후 상기 내측이물질감지부(120)가 담배꽁초 등의 이물질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3)의 내부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배꽁초 등의 이물질(5)이 유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외측이물질감지부(110) 및 상기 내측이물질감지부(120)가 담배꽁초 등의 이물질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3)의 내부로 담배꽁초 등의 이물질(5)이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발광부재(210)의 제 1, 2발광부재(211, 212) 중 어느 하나가 평상시에도 청색빛을 발광 또는 상기 발광부재(210)의 제 1, 2발광부재(211, 212)의 작동이 중지되면서 상기 스피커(220)의 작동 또한 중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가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3)의 내부로 담배꽁초 등의 이물질(5)이 유입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 청색빛을 발광 또는 작동중지되었던 상기 제 1, 2발광부재(211, 212) 중 어느 하나가 적색빛을 발광 및 상기 스피커(220)가 사이렌 소리 또는 '주의하십시요. 차량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었습니다'와 같은 경고음성 등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이물질감지부가 차량 외부로 배출된 이물질을 감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차량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에 따른 알림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차량(3)의 창문(311)이 부분개문 또는 완전개문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이물질감지부(110)가 담배꽁초, 음료캔 등의 이물질을 감지한 후 상기 외측이물질감지부(120)가 담배꽁초, 음료캔 등의 이물질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3)의 외부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배꽁초, 음료캔 등의 이물질(5)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 청색빛을 발광 또는 작동중지되었던 상기 제 1, 2발광부재(211, 212) 중 어느 하나가 황색빛을 발광 또는 청색빛을 점멸하면서 상기 스피커(220)가 사이렌 소리 또는 '주의하십시요. 차량 외부로 이물질이 배출되었습니다.'와 같은 경고음성 등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3)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5)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연기감지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기감지부(40)는 차량(3)의 내부 천장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연기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알림부(20)를 제어하여 차량(3) 내부에서의 화재발생여부를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연기감지부(40)가 차량(3) 내부로 유입된 담배꽁초 등의 이물질(5)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평상시 청색빛을 발광 또는 작동중지되었던 상기 제 1, 2발광부재(211, 212) 중 어느 하나가 적색빛을 발광 및 상기 스피커(220)가 사이렌 소리 또는 '주의하십시요. 차량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와 같은 경고음성 등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3)의 창문(311)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창문개폐감지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창문개폐감지부(50)는 상기 연기감지부(4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차량(3)의 내부 천장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창문개폐감지부(50)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크게, 차량(3) 도어프레임(31)를 닫기 전의 차량(3)의 내부 기압과, 차량(3)의 도어프레임(31)을 닫는 순간 발생하는 차량 내부 기압차를 감지하는 기압감지부재와; 상기 기압감지부재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창문(311)의 오픈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차량(3)의 도어프레임(31)을 닫을 경우, 순간적인 기압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창문(311)이 정상적으로 닫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압차가 발생하지 않거나 기저장된 밀폐상태의 기압차보다 작을 경우에는 창문(311)이 정상적으로 닫혀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창문개폐감지부(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창문개폐감지부(50)의 판단부가 상기 창문(311)이 정상적으로 닫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310)에서 상기 알림부(2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알림부(2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 창문개폐감지부(50)의 판단부가 상기 창문(311)이 정상적으로 닫혀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경우,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310)에서 상기 알림부(20)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알림부(20)가 상기 이물질감지부(10)의 이물질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이물질감지부(10)를 통해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3)의 내외부로의 이물질(5) 유입 배출여부를 알림부를 통해 차량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보다 용이하게 알 수 있어 외부로부터 차량(3) 내부로 날려 들어온 담배꽁초 등의 이물질(5)로 인한 차량화재발생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부주의로 인해 차량(3) 외부로 담배꽁초, 음료캔 등의 이물질(5)이 배출된것을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용이하게 인지하여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이물질감지부, 20; 알림부,
30; 제어부.

Claims (6)

  1. 차량의 창문 주변의 도어프레임의 외측면 또는 차량의 창문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외측이물질감지부와, 차량의 창문 주변의 도어프레임의 내측면 또는 차량의 창문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내측이물질감지부로 구성되어 차량 창문이 개문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담배꽁초, 음료캔을 포함한 이물질 및 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꽁초, 음료캔을 포함한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감지부와;
    차량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여부 및 차량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로 구성되어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차량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차량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차량의 창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창문개폐감지부와;
    차량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와;
    상기 창문개폐감지부가 차량의 창문이 정상적으로 닫혀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알림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알림부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창문개폐감지부가 차량의 창문이 정상적으로 닫혀지지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알림부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알림부가 상기 이물질감지부의 이물질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연기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알림부가 차량 내부에서의 화재발생여부를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2. 차량의 창문 주변의 도어프레임의 외측면 또는 차량의 창문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외측이물질감지부와, 차량의 창문 주변의 도어프레임의 내측면 또는 차량의 창문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내측이물질감지부로 구성되어 차량 창문이 개문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담배꽁초, 음료캔을 포함한 이물질 및 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꽁초, 음료캔을 포함한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감지부와;
    차량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여부 및 차량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되어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차량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차량 외부로의 이물질 배출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차량의 창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창문개폐감지부와;
    차량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와;
    상기 창문개폐감지부가 차량의 창문이 정상적으로 닫혀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알림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알림부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창문개폐감지부가 차량의 창문이 정상적으로 닫혀지지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알림부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알림부가 상기 이물질감지부의 이물질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연기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알림부가 차량 내부에서의 화재발생여부를 차량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22062A 2018-02-23 2018-02-23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KR10203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062A KR102036983B1 (ko) 2018-02-23 2018-02-23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062A KR102036983B1 (ko) 2018-02-23 2018-02-23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723A KR20190101723A (ko) 2019-09-02
KR102036983B1 true KR102036983B1 (ko) 2019-11-26

Family

ID=6795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062A KR102036983B1 (ko) 2018-02-23 2018-02-23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852A1 (ko)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휴온스글로벌 보툴리눔 독소의 안정화 액상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24B1 (ko) * 2009-12-07 2010-06-16 부산교통공사 화재감지시스템
KR101523475B1 (ko) * 2014-11-24 2015-05-28 정진권 출입 감지 장치
KR101768847B1 (ko) 2016-06-13 2017-08-18 김동철 차량 내부 모니터링 및 알림기능이 구비된 블랙박스
KR101797069B1 (ko) * 2017-02-28 2017-11-15 (주)디지파츠 차량 창문 개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855320B1 (ko) 2017-03-22 2018-05-08 (주)성광유니텍 복합센서를 이용한 창문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660A (ko) * 2002-11-04 2004-05-12 (주)태성엠아이에스 적외선 감지기
KR101089319B1 (ko) * 2010-04-06 2011-12-08 이우방 태양에너지를 통한 자동차 창문 자동 개폐 장치
KR20140088636A (ko) * 2012-12-31 2014-07-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24B1 (ko) * 2009-12-07 2010-06-16 부산교통공사 화재감지시스템
KR101523475B1 (ko) * 2014-11-24 2015-05-28 정진권 출입 감지 장치
KR101768847B1 (ko) 2016-06-13 2017-08-18 김동철 차량 내부 모니터링 및 알림기능이 구비된 블랙박스
KR101797069B1 (ko) * 2017-02-28 2017-11-15 (주)디지파츠 차량 창문 개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855320B1 (ko) 2017-03-22 2018-05-08 (주)성광유니텍 복합센서를 이용한 창문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723A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983B1 (ko)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WO2008065870A1 (fr) Alarme d'état de l'air
US2024007587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nvironment lighting device of a vehicle
KR101566977B1 (ko) 포토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슬라이딩 도어
KR100520356B1 (ko) 승합차량의 도어끼임 검출장치 및 방법
KR20150018082A (ko) 횡단보도의 적색신호횡단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9155069A (ja) エレベータドア制御装置
KR200355804Y1 (ko)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0459228Y1 (ko) 차량 도어 개방 경보 장치
KR102231288B1 (ko) 화재상황에서도 식별이 용이한 피난구 유도 장치
KR102009849B1 (ko) 대중교통 차량의 화재 진압 시스템 및 방법
KR101380647B1 (ko) 선박 경보 시스템
KR20090116576A (ko) 차량 트렁크 내부 위험 알림 장치
KR20080000200U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JP5251146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KR102361044B1 (ko) 차량용 안전 경보시스템
KR101684002B1 (ko) 후방 차량의 하이빔 감지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029314B1 (ko) 주방 소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970037872A (ko) 트럭의 구조물 충돌 방지장치
KR102270724B1 (ko) 미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038329A1 (en) A vehicle turn indicator system
KR19980039450U (ko) 자동차 도어의 충돌방지 장치
TWM522149U (zh) 車門警示系統
JP2005075616A (ja) 荷役車両の安全装置
KR200351581Y1 (ko) 3차원센서를 적용한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