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636A -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636A
KR20140088636A KR1020120157941A KR20120157941A KR20140088636A KR 20140088636 A KR20140088636 A KR 20140088636A KR 1020120157941 A KR1020120157941 A KR 1020120157941A KR 20120157941 A KR20120157941 A KR 20120157941A KR 20140088636 A KR20140088636 A KR 20140088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door
vehicle
magnetic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김정학
정지윤
강동호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636A/ko
Publication of KR2014008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자동차 등의 차량의 도어가 안전벨트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완전히 닫혀있지 있을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된 자기 센서를 사용하여 차량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스피커 및/또는 경고등을 통해 알람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비노출형 도어 안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는, 제1 자력투과창을 구비하고,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부를 수납하도록 차량의 도어와 차체 중의 하나에 설치된 제1 수납부, 제1 수납부에 대향하는 제2 자력투과창을 구비하고,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력감지부를 수납하도록 제1 수납부에 대향하게 도어와 차체 중의 다른 하나에 설치된 제2 수납부, 도어의 열림을 알람하는 알람부, 및 자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의 세기에 따라 도어의 열림을 알람하도록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자력투과창은 도어가 닫혔을 때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Door safety apparatus for us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의 차량의 도어가 안전벨트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완전히 닫혀있지 있을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된 자기 센서를 사용하여 차량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스피커 및/또는 경고등을 통해 알람(alarm)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비노출형 도어 안전 장치(non-projected or hidden door safety apparatus for use in vehicl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의 도어에는 마이크로 스위치, 자기 리드 스위치 등과 같은 도어 스위치가 설치되어 도어가 열릴 때 운전자가 도어 열림을 인지할 수 있도록 대쉬 보드상에 경고등이 켜지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울리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에 도어 열림을 알람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어 스위치는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므로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도어 스위치의 장착위치에 대한 설계 내지 조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도어 스위치가 인식을 못하고 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힌 것으로 인식하여 알람하거나, 반대로 도어와 차체 사이에 안전벨트 등의 이물질이 끼어 도어가 완전하게 닫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검출하여 알람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또한, 도어 스위치의 장착위치에 대한 설계 내지 조립시 오차가 발생되면, 이를 다시 수정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심할 경우 공정불량 문제 내지 전면적인 수정작업이 요구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 자석과 전기코일이 감긴 중공 환봉을 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사용하여 도어 열림을 알람하는 차량의 도어 알람 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솔레노이드 스위치는 자석이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므로 외부 접촉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될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자석이 중공 환봉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먼지 등이 중공 환봉 내에 유입되어 스위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의 도어가 안전벨트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완전히 닫혀있지 있을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된 자기 센서를 사용하여 차량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스피커 및/또는 경고등을 통해 알람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비노출형 도어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양상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는, 제1 자력투과창을 구비하고,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부를 수납하도록 차량의 도어와 차체 중의 하나에 설치된 제1 수납부, 제1 수납부에 대향하는 제2 자력투과창을 구비하고,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력감지부를 수납하도록 제1 수납부에 대향하게 도어와 차체 중의 다른 하나에 설치된 제2 수납부, 도어의 열림을 알람하는 알람부, 및 자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의 세기에 따라 도어의 열림을 알람하도록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자력투과창은 도어가 닫혔을 때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및 제2 자력투과창은 투명한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자력투과창은 도어가 닫혔을 때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서로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거나 서로 면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력발생부는 자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감지부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 변화하는 자석부재의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기센서는 플럭스게이트 센서, 홀효과 소자, 자기저항소자, 또는 자기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납부, 자력발생부, 및 자력감지부는 차량의 복수의 도어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도록 복수의 도어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를 포함하고, 알람부는 복수의 도어의 각각의 열림을 독립적으로 알람하도록 복수의 도어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의 경고등,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에 따르면, 자동차 등의 차량의 도어가 안전벨트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완전히 닫혀있지 있을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된 자기센서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도어열림을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스피커 및/또는 경고등을 통해 알람한다. 따라서, 도어의 열림 상태는 자기센서를 통해 도어의 닫힘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자력의 세기를 검출한 다음 이를 미리 설정된 완전 닫힘 상태에서의 자력 세기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자력발생부와 자력감지부를 각각 수납하는 제1 및 제2 수납부의 장착위치에 대한 설계 내지 조립시 오차가 발생 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완전 닫힘 상태에서의 자력 세기 임계치를 수정하면 간단히 해결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차량의 도어 열림을 알람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와 같이 장착위치에 대한 설계 내지 조립 오차 발생 시 공정불량 문제 내지 전면적인 수정작업이 요구되는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자력발생부와 자력감지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제1 및 제2 수납부 내에 수납 설치되므로, 자력발생부 및/또는 자력감지부에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어 자력감지부가 동작불량을 발생하거나 자력발생부가 외부 접촉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알람부가 차량의 복수의 도어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의 경고등과 스피커를 포함하여 복수의 도어의 각각의 열림을 독립적으로 알람하므로, 운전자는 알람하는 경고등 및/또는 스피커에 따라 어느 도어가 열렸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차량의 모든 도어를 여닫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를 차량의 운전석 도어에 대해 설치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운전석 도어가 닫혔을 때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의 제1 및 제2 수납부를 예시하는 부분 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100)를 차량의 운전석 도어(101)에 대해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10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된 자기센서를 사용하여 차량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스피커 및/또는 경고등을 통해 알람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비노출형 도어 안전 장치로서, 제1 수납부(110), 자력발생부(115), 제2 수납부(150), 자력감지부(155), 제어부(180), 및 알람부(190)를 포함한다.
제1 수납부(110)는 운전석 도어(101)의 프레임(101a)의 단부측 가장자리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자력 발생부(115; 도 3 참조)를 수납하여 설치한다. 이를 위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납부(110)는 제1 본체(111), 및 제1 자력투과창(120)을 구비한다.
제1 본체(111)는 자력 발생부(115)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본체(111)는 플라스틱재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 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력투과창(120)은 내측면에 자력 발생부(115)가 장착되고, 제1 본체(111)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 제1 본체(11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자력투과창(120)은 투명한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력투과창(120)의 내측면에 장착된 후술하는 자력발생부(115)의 자석부재(117)에서 발생하는 자력은 자력감지부(155)의 자기센서(156)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제1 수납부(110)에 수납된 자력발생부(115)는 자력을 발생한다. 본 실시에에서, 자력발생부(115)는 영구자석, 초전도 자석 등과 같은 자석부재(117)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수납부(150)는 제1 수납부(110)에 대향하게 차체(103)의 프레임(103a)에 설치되고, 내부에 자력감지부(155)를 수납하여 설치한다. 이를 위해, 제1 수납부(150)는 제2 본체(151), 및 제2 자력투과창(160)을 구비한다.
제2 본체(151)는 자력발생부(155)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 자력감지부(155)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본체(151)는 제1 본체(111)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재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 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자력투과창(160)은 제2 본체(151)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 제2 본체(15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자력투과창(160)은 투명한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력투과창(120)의 내측면에 장착된 자력발생부(115)의 자석부재(117)에서 발생하는 자력은 자력감지부(155)의 자기센서(156)에서 원활하게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수납부(110)의 제1 자력투과창(120)과 제2 수납부(150)의 제2 자력투과창(160)은 운전석 도어(101)가 닫혔을 때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서로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수납부(110)의 제1 자력투과창(120)과 제2 수납부(150)의 제2 자력투과창(160)은 운전석 도어(101)가 닫혔을 때, 서로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는 대신, 서로 면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력발생부(115)와 자력감지부(155)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제1 및 제2 수납부(110, 150) 내에 수납 설치되므로, 자력발생부(115) 및/또는 자력감지부(155)에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어 자력감지부(155)가 동작불량을 발생하거나 자력발생부(115)가 외부 접촉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수납부(150) 내에 수납된 자력감지부(155)는 자력발생부(115)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의 영향으로 물질의 성질 등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것으로, 자기센서(156), 및 자기센서(156)가 장착되는 센서 브라켓(157)을 포함한다.
자기센서(156)는 운전석 도어(101)의 개폐에 의해 변화하는 자석부재(117)로부터의 이격거리와 정렬 정도에 따라 자석부재(117)의 자력의 세기에 대응하는 가변적인 크기의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를 발생한다. 이때, 자기센서(156)에서 발생되는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는 센서 브라켓(157)에 연결된 연결선(158)을 통해 제어부(180)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센서(157)는 플럭스게이트 센서, 홀효과 소자, 자기저항소자, 또는 자기임피던스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하에 운전석 도어(101)의 열림을 알람하는 것으로, 차량의 대쉬 보드에 설치되고, 경고등(191) 및 스피커(195)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구성되며, 차량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자력감지부(155)의 자기센서(156)로부터 제공된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형태의 신호를 신호증폭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토대로 운전석 도어(101)의 닫힌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80)는 증폭된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내부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닫힘 상태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임계치와 비교한다. 여기서,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임계치는 운전석 도어(101)가 개방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닫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을 정도에서 검출되는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값으로 설정된다. 비교 결과, 증폭된 신호가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임계치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운전석 도어(101)가 개방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닫힌 상태라고 판단하고, 알람부(190)의 경고등(191)과 스피커(195)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반대로, 증폭된 신호가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임계치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운전석 도어(101)가 개방될 위험이 있을 정도로 잠김 상태이거나 닫힌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이를 경고등(191)과 스피커(195)를 통해 알람하여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알람부(190)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100)는 운전석 도어(101)의 개폐 시 자기센서(156)가 자석부재(117)와의 이격거리와 정렬 정도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의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를 출력함에 따라 제어부(180)에서는 운전석 도어(101)의 닫힌 상태를 달리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100)에 의해 운전석 도어(101)의 닫힘 정도를 판단할 경우, 운전석 도어(101)의 조립공정 시 제1 및 제2 수납부(110, 150) 또는 자석부재(117)와 자기센서(156)가 다소 공차를 두고 위치하게 되더라도, 제어부(180)에서 닫힌 상태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인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임계치를 상황에 따라 달리 설정하게 되면, 정상적인 운전석 도어(101)의 닫힌 정도, 즉, 록킹부(도시하지 않음)의 잠김 상태 내지 미잠김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180)는 운전석 도어(101)의 개폐 시 자기센서(156)로부터 제공되는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를 통해 정확한 잠김 상태를 확인하여, 이를 알람부(190)를 통해 운전자에게 올바르게 알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100)는 자력발생부(115)와 자력감지부(155)를 각각 수납한 제1 및 제2 수납부(110, 150) 및 알람부(190)가 운전석 도어(101)에 대해서만 설치된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발생부(도시하지 않음)와 자력감지부(155, 155', 155", 155"')를 각각 수납한 제1 및 제2 수납부(150, 150', 150", 150"'; 제1 수납부는 도시하지 않음) 및 알람부(190')는 운전석 도어(101) 외에, 조수석 도어(도시하지 않음)와 뒷자석 좌우도어(도시하지 않음)에 대해도 설치되어 차량의 도어들의 각각의 열림을 독립적으로 알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알람하는 복수의 경고등(191, 191', 191", 191"')과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의 스피커(195)의 멜로디에 따라 어느 도어가 열렸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차량의 모든 도어를 여닫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100)는 적용되는 운전석 도어(101)가 회동식 도어인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100)는 직선이동식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도어에서도 동일한 구성과 원리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회동식 도어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100)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점화스위치를 작동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와 연결된 자력감지부(155)의 자기센서(156)가 작동된다.
자기센서(156)는 현재의 운전석 도어(101)의 닫힘 상태에서 자력발생부(115)의 자석부재(117)로부터의 이격거리와 정렬 정도에 따라 자석부재(117)의 자력의 세기에 대응하는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를 발생하여 연결선(158)을 통해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자기센서(156)로부터 출력된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형태의 신호를 신호증폭부를 통해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닫힘 상태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임계치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증폭된 신호가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임계치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운전석 도어(101)가 개방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닫힌 상태라고 판단하고, 알람부(190)의 경고등(191)과 스피커(195)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반대로, 증폭된 신호가 전류, 전압, 전기저항, 또는 임피던스 임계치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운전석 도어(101)가 개방될 위험이 있을 정도로 잠김 상태이거나 닫힌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이를 경고등(191)과 스피커(195)를 통해 알람하여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알람부(190)를 제어한다.
만일, 경고등(191)과 스피커(195)를 통해 알람이 발생하면, 운전자는 운전석 도어(101)를 열어서 도어 프레임(101a)과 차체 프레임(103a) 사이에 안전벨트 등의 이물질이 끼어있는지 확인하여 이물질이 있으면 제거하고, 운전석 도어(101)를 다시 닫아서 운전석 도어(101)가 확실히 잠김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한다. 만일, 운전석 도어(101)가 확실히 닫혀지지 않아서 다시 알람이 발생하면, 알람이 발생하지 않을 때 까지 운전석 도어(101)를 개폐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후, 운전자는 차량을 운전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만일, 운전자가 중간 경유지에서 운전석 도어(101)를 열고 차량에서 내리거나 다시 탈 경우, 자기센서(156)와 제어부(18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운전자에서 운전석 도어(101)의 열림 상태를 알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 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110: 제1 수납부
115: 자력발생부 117: 자석부재
120: 제1 자력투과창 150: 제2 수납부
155: 자력감지부 156: 자기센서
160: 제2 자력투과창 180: 제어부
190: 알람부 191: 경고등
195: 스피커

Claims (8)

  1. 제1 자력투과창을 구비하고,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부를 수납하도록 차량의 도어와 차체 중의 하나에 설치된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에 대향하는 제2 자력투과창을 구비하고, 상기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력감지부를 수납하도록 상기 제1 수납부에 대향하게 상기 도어와 상기 차체 중의 다른 하나에 설치된 제2 수납부;
    상기 도어의 열림을 알람하는 알람부; 및
    상기 자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자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도어의 열림을 알람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자력투과창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투과창은 투명한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투과창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서로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투과창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서로 면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부는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자석부재의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는 플럭스게이트 센서와, 홀효과 소자와, 자기저항소자와, 자기임피던스 소자 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 상기 자력발생부, 및 상기 자력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복수의 도어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도어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의 각각의 열림을 독립적으로 알람하도록 상기 복수의 도어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의 경고등,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KR1020120157941A 2012-12-31 2012-12-31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KR20140088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941A KR20140088636A (ko) 2012-12-31 2012-12-31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941A KR20140088636A (ko) 2012-12-31 2012-12-31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636A true KR20140088636A (ko) 2014-07-11

Family

ID=5173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941A KR20140088636A (ko) 2012-12-31 2012-12-31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6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723A (ko) * 2018-02-23 2019-09-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723A (ko) * 2018-02-23 2019-09-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창문 개문에 따른 차량 내외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배출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199B1 (en) Device for monitoring a locked condition of locking and support components of a connecting device for fixing a child seat in a motor vehicle
KR100473971B1 (ko)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US5915286A (en) Safety restraint sensor system
JP2007503538A (ja) 自動車用のドア閉鎖システム
US7014005B2 (en) Seat belt latch sensor assembly
US20110101970A1 (en) Position signaling device
JP2017036655A (ja) 安全システム
US8826770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CN114556725A (zh) 带有具有门状态传感器的开关柜门的开关柜
KR20150133212A (ko) 위치 모니터링 장치
JP6238157B2 (ja) 建具用開閉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建具用施解錠検出装置
KR20140088636A (ko) 차량용 도어 안전 장치
JP2003281636A (ja) マグネットセンサ、マグネットセンサシステム、警報システム及び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4156312A (ja) 扉開閉検出装置,扉装置,安全管理システム,扉の開閉検出方法
US6895643B2 (en) Buckle device
WO2022085323A1 (ja) ドア解錠装置
ES1296836U (es) Sistema de alarma e instalación de alarmas
KR101934357B1 (ko) 스마트키 연동 테일게이트 자동 열림 및 램프 자가점검방법
JP2003223683A (ja) 検出装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出力電圧値登録方法
US9272687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belt lock
EP2223623B1 (en) Seatbelt buckle with switch
KR200300365Y1 (ko) 개폐감지용 도어록시스템
JP5345308B2 (ja) こじ開け防止システム
KR20170019032A (ko) 차량용 도어 스위치
US200500564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 la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