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185B1 - 전환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냉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환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냉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185B1
KR102036185B1 KR1020177034045A KR20177034045A KR102036185B1 KR 102036185 B1 KR102036185 B1 KR 102036185B1 KR 1020177034045 A KR1020177034045 A KR 1020177034045A KR 20177034045 A KR20177034045 A KR 20177034045A KR 102036185 B1 KR102036185 B1 KR 10203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ort
valve opening
valve co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754A (ko
Inventor
송얀 황
칭용 왕
Original Assignee
저장 산후아 클라이메이트 앤드 어플라이언스 컨트롤스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250159.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28689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893338.9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812975B/zh
Application filed by 저장 산후아 클라이메이트 앤드 어플라이언스 컨트롤스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저장 산후아 클라이메이트 앤드 어플라이언스 컨트롤스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4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with a plurality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582Pilot-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환 밸브(1000) 및 이를 구비한 냉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환 밸브(1000)는 파일럿 밸브(1200)와 메인 밸브(1100)를 포함하고, 메인 밸브(1100)는 소량의 밸브 개구(40)가 형성된 밸브 시트(30)가 설치된 밸브 실(20)을 구비히는 밸브 본체(10)와, 소량의 밸브 개구(40)에 대응되게 연통되는 소량의 유로 포트(50)와, 밸브 시트(30)와 협동하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60)를 포함하고, 소량의 밸브 개구(40)는 제1 밸브 개구와(41), 제2 밸브 개구(42)와, 제3 밸브 개구(43)와, 제4 밸브 개구(44)와, 제5 밸브 개구(45)를 포함하고, 소량의 유로 포트(50)는 S 포트(S)와, E 포트(E)와, C 포트(C)와, D1 포트(D1)와, D2 포트(D2)를 포함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60)가 제1 소정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D1 포트(D1)는 E 포트(E)와 연통되고 S 포트(S)는 C 포트(C)와 연통되며, 슬라이드 밸브 코어(60)가 제2 소정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D2 포트(D2)는 C 포트(C)와 연통되고 S 포트(S)는 E 포트(E)와 연통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 밸브(1000)를 구비한 냉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환 밸브(1000)에 의하면 기존기술에서 전환 밸브가 스위칭 과정에 밸브 실내의 고압 유체 압력이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환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냉방 시스템
본 발명은 밸브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환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방 시스템에 응용되는 전환 밸브는 주로 파일럿 밸브와 메인 밸브로 구성되었다. 제어 과정에서 파일럿 밸브의 작용을 통하여 메인 밸브의 방향 전환을 실현하여 냉방 매체의 흐름 방향을 스위칭하여 열펌프형 냉방 시스템이 냉방과 난방의 두가지 작동 상태에서 스위칭할 수 있게 되고 하나로 여름에는 냉방하고 겨울에는 난방하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냉방 시스템에 응용된 전형적인 전환 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밸브는 메인 밸브(100)와 파일럿 밸브(200)를 포함한다. 메인 밸브(100)의 슬라이드 밸브 코어(104)는 밸브 실(107)내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104)는 밸브 시트(105)와 접촉되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된다. 연결관(106c), 연결관(106s), 연결관(106e)은 밸브 시트(105)에 용접 연결되어 실린더(107)와 연통되고 연결관(106d)은 밸브 본체에 용접 연결되어 실린더(107)와 연통된다.
연결관(106d)은 압축기(110)의 배기 포트에 연통되고 연결관(106s)은 압축기(110)의 흡기 포트에 연통되며 연결관(106e)은 실내 열교환기(140)와 연통되고 연결관(106c)은 실외 열교환기(120)에 연통되었다. 이로하여 메인 밸브(100) 내부의 피스톤 부품(101)에 의하여 밸브 코어(104)가 밸브 시트(105) 대비 슬라이딩되어 냉방과 난방의 두가지 작동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시스템이 냉방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야 할 경우, 링크(103)에 의하여 슬라이드 밸브 코어(104)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좌측단의 피스톤 부품(101)이 좌측단의 엔드캡(108)에 접하며 연결관(106e)과 연결관(106s)이 연통되고 연결관(106d)과 연결관(106c)이 연통된다. 이때 시스템 내부의 냉매가 통과하는 통로는 압축기(110)→ 연결관(106d) → 연결관(106c) → 실외 열교환기(120) → 스로틀 소자(130)→ 실내 열교환기(140) → 연결관(106e) → 연결관(106s) → 압축기(110)이다. 시스템이 난방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야 할 경우, 슬라이드 밸브 코어(104)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우측단의 피스톤 부품(101)이 우측단의 엔드캡에 접하며 연결관(106c)과 연결관(106s)이 연통되고 연결관(106d)과 연결관(106e)이 연통되며 이때의 냉매가 통과하는 통로는 압축기(110) → 연결관(106d) → 연결관(106e) → 실내 열교환기(140) → 스로틀 소자(130)→ 실외 열교환기(120) → 연결관(106c) → 연결관(106s) → 압축기(110)이다.
기존기술의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전반의 동작 과정은 압축기(110)→ 연결관(106d)→ 연결관(106c)→ 실외 열교환기(120)→ 스로틀 소자(130)→ 실내 열교환기(140)→ 연결관(106e)→ 연결관(106s)→ 압축기(110)이다. 상기 과정은 한 작동 순환으로, 기존의 에어컨은 실제로 작동될 때 상기 작동 순환을 반복하여 중복하게 된다.
기존기술의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기 출구의 고압 매체는 연결관(106d)을 통하여 밸브 실(107)내로 들어가고 연결관(106e) 또는 연결관(106e)이 형성한 통로를 통과함으로 밸브 실(107)은 냉매 스위칭 통로의 일부분으로 이용되고 밸브 실(107)내에서 슬라이드 밸브 코어(104)는 탄성 시트를 통하여 밸브 시트(105)에 접하며 시스템 스위칭 과정에 있어서, 밸브 실(107)내의 압력이 비 안정적 상태이면 밸브 코어(104)의 밸브 시트(105)와의 접촉에 영향을 주게 되어 전환이 안정적이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전환 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방 시스템의 유로 배치를 조절하여 최적화하는 것은 이 분야의 기술자가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되었다.
그리고 상기한 작동과정에 의하면 전환 밸브중 압축기의 배기 포트와 협동하는 연결관은 하나뿐임으로 이러한 전환 밸브가 적용될 수 있는 냉방 시스템은 단일하고, 즉 하나의 실내 열교환기와 하나의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방 시스템에만 적용될 수 있다. 냉방 시스템이 개변된 후, 예를 들어 하나의 실내 열교환기와 두개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할 경우, 상기한 전환 밸브는 적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기존기술중의 전환 밸브가 스위칭 과정에서 밸브 실내의 고압 유체의 압력이 불안정적인 문제 또는 전환 밸브를 기타 유형의 냉방 시스템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환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냉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일럿 밸브와 메인 밸브를 포함하고, 메인 밸브는 소량의 밸브 개구가 형성된 밸브 시트가 설치된 설밸브 실을 구비하는 밸브 본체와, 소량의 밸브 개구에 대응되게 연통되는 소량의 유로 포트와, 밸브 시트와 협동하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와,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구동시켜 밸브 개구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부품을 포함하고, 소량의 밸브 개구는 제1 밸브 개구와, 제2 밸브 개구와, 제3 밸브 개구와, 제4 밸브 개구와, 제5 밸브 개구를 포함하고, 소량의 유로 포트는 제1 밸브 개구에 연통되는 S 포트와, 제2 밸브 개구와 연통되는 E 포트와, 제3 밸브 개구와 연통되는 C 포트와, 제4 밸브 개구와 연통되는 D1 포트와, 제5 밸브 개구와 연통되는 D2 포트를 포함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1 소정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D1 포트는 E 포트와 연통되고 S 포트는 C 포트와연통되며,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2 소정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D2 포트는 C 포트와 연통되고 S 포트는 E 포트와 연통되는 전환 밸브를 제공한다.
진일보로,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1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D2 포트는 밸브 실과 밀폐 연통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D1 포트는 밸브 실과 밀폐 연통된다.
진일보로, 슬라이드 밸브 코어에 단독으로 제1 통로와 제2 통로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1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D1 포트는 제1 통로를 통하여 E 포트에 연통되고 S 포트는 제2 통로를 통하여 C 포트에 연통되며,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D2 포트는 제2 통로를 통하여 C 포트에 연통되고 S 포트는 제1 통로를 통하여 E 포트에 연통된다.
진일보로, 전환 밸브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밸브 시트측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압축 스프링에는 종방향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 제1 탄성 가압부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의 종방향 양측에 제1 탄성 가압부와 협동하는 제1 홈이 형성되었다.
진일보로, 압축 스프링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제2 탄성 가압부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의 약 중간부위에 횡방향으로 제2 탄성 가압부와 협동하는 제2 홈이 형성되었다.
진일보로, 전환 밸브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밸브 시트측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제1 통로가 형성된 제1 밸브 코어와 제2 통로가 형성된 제2 밸브 코어를 포함하며, 압축 스프링은 제1 밸브 코어와 협동하는 제1 압축 스프링과 제2 밸브 코어와 협동하는 제2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진일보로, 밸브 실은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밀폐 분리된다.
진일보로,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동기화하여 작동되는 제1 밸브 코어부와 제2 밸브 코어부를 포함하고, 제1 밸브 코어부는 제1 밸브 개구, 제2 밸브 개구, 제3 밸브 개구와 협동하고 제2 밸브 코어부는 제4 밸브 개구, 제5 밸브 개구와 협동하며,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1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2 밸브 개구와 제3 밸브 개구는 제1 밸브 코어부의 내부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제1 밸브 개구와 제4 밸브 개구는 밸브 실을 통하여 연통되며 제2 밸브 코어부는 제5 밸브 개구를 폐쇄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밸브 개구와 제2 밸브 개구는 제1 밸브 코어부의 내부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제3 밸브 개구와 제5 밸브 개구는 밸브 실을 통하여 연통되며 제2 밸브 코어부는 제4 밸브 개구를 폐쇄한다.
진일보로, 구동 부품은 링크를 포함하고, 제1 밸브 코어부와 제2 밸브 코어부는 링크에 장착되고, 링크에는 제1 밸브 코어부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공과, 제2 밸브 코어부를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공이 형성되었다.
진일보로, 제2 밸브 코어부는 밸브 코어 본체와 연결부를 구비하고, 연결부의 반경방향 사이즈는 밸브 코어 본체의 반경방향 사이즈보다 작다.
진일보로, 링크와 제2 밸브 코어부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설치되었다.
진일보로, 제2 밸브 코어부의 밸브 시트를 향한 표면에 요홈부를 구비한다.
진일보로, 밸브 실은 원통형 모양이고, 제1 밸브 개구, 제2 밸브 개구, 제3 밸브 개구, 제4 밸브 개구, 제5 밸브 개구는 밸브 실의 일측에서 밸브 실의 축선 방향에 따라 직선형으로 배치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압축기와, 제1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와, 제1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를 연결시키는 스로틀 밸브를 포함하는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보조 열교환기와, 상기한 전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압축기의 입구는 전환 밸브의 제2 밸브 개구와 연통되고 압축기의 출구는 전환 밸브의 제4 밸브 개구와 제5 밸브 개구에 각각 연통되며, 제1 열교환기는 전환 밸브의 제1 밸브 개구와 연통되고 제2 열교환기는 전환 밸브의 제3 밸브 개구와 연통되며 보조 열교환기는 압축기의 출구와 제4 밸브 개구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압축기의 출구와 제5 밸브 개구 사이에 설치되는 냉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공개된 전환 밸브 및 이 전환 밸브를 사용한 냉방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는 냉방 유로의 일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직접 밸브 실에 연통되는 두개 독립된 압축기 출력관을 설치하여 밸브 실을 냉방 유로의 일부로 사용하지 않음으로 냉방 시스템의 스위칭 과정에 있어서, 밸브 실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냉방 시스템 전환의 믿음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응용하면, 밸브 실내에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동기화하여 작동되는 제1 밸브 코어부와 제2 밸브 코어부를 포함하고 제1 밸브 코어부는 제1 밸브 개구, 제2 밸브 개구, 제3 밸브 개구와 협동하고 제2 밸브 코어부는 제4 밸브 개구, 제5 밸브 개구와 협동한다. 밸브 작동을 전환시킬 경우,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제1 소정 위치과 제2 소정 위치의 두가지 작동 위치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1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밸브 개구와 제3 밸브 개구는 제1 밸브 코어부의 내부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제2 밸브 개구와 제4 밸브 개구는 밸브 실을 통하여 연통되며, 제2 밸브 코어부가 제5 밸브 개구를 폐쇄한다.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밸브 개구와 제2 밸브 개구는 제1 밸브 코어부의 내부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제3 밸브 개구와 제5 밸브 개구는 밸브 실을 통하여 연통되며 제2 밸브 코어부가 제4 밸브 개구를 폐쇄한다. 본 출원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제4 밸브 개구와 제5 밸브 개구가 모두 압축기의 배기구에 연통될 수 있음으로 전환 밸브가 기타 유형의 냉방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게 되고 응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환 밸브와 이 전환 밸브를 사용하는 냉방 시스템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장점이 있다: 두개 독립된 압축기 출력관을 설치하여 전환 밸브가 제1 소정 위치 또는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밸브 실은 모두 안정적인 밀페된 고압 유체를 유지하게 되어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유효하게 밸브 시트에 접하게 되고 유체 간섭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시스템 전환의 안정성과 작동의 믿음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환 밸브와 이 전환 밸브를 사용하는 냉방 시스템에 의하면, 진일보로 하기와 같은 장점이 있다: 두개 독립된 압축기 출력관을 설치하여 그중의 한 출력관에 보조 열교환기를 병렬 연결하여 에어컨 시스템이 작동되었을 경우 압축기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고압 기체는 보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열량을 배출할 수 있다. 기체로 방출되는 열량을 기타 물질을 가열하는데 이용할수 있어 진일보로 에너지를 절약하고 배출을 감소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이고 본 발명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기존기술의 냉방 시스템에 사용된 전환 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환 밸브의 실시예1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2중의 전환 밸브의 밸브 본체와 밸브 시트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도 2중의 전환 밸브의 슬라이드 밸브 코어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2중의 전환 밸브의 슬라이드 밸브 코어의 구조를 나타낸 부감도이다.
도 5a는 도 2중의 전환 밸브의 압축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b는 도 2중의 전환 밸브의 압축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 밸브의 실시예2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환 밸브의 제2 밸브 코어부의 종향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밸브 코어부를 나타낸 부감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전환 밸브의 밸브 본체의 종향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밸브 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전환 밸브의 밸브 시트의 종향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밸브 시트의 측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도 6의 전환 밸브의 링크의 종향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링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6의 전환 밸브의 압축 스프링의 종향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압축 스프링의 측면을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5b중의 부호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1000: 전환 밸브, 1100: 메인 밸브, 1200: 파일럿 밸브, 10: 밸브 본체, 11: 엔드캡, 20: 밸브 실, 30: 밸브 시트, 40: 밸브 개구, 41: 제1 밸브 개구, 42: 제2 밸브 개구, 43: 제3 밸브 개구, 44: 제4 밸브 개구, 45: 제5 밸브 개구, 50: 유로 포트, S: S 포트, E: E 포트, C: C 포트, D1: D1 포트, D2: D2 포트, 60: 슬라이드 밸브 코어, 61: 제1 통로, 62: 제2 통로, 63: 제1 홈, 64: 제2 홈, 70: 구동 부품, 71: 링크, 72: 피스톤, 80: 압축 스프링, 81: 개구, 82: 제1 탄성 가압부, 83: 제2 탄성 가압부, 1: 압축기, 2: 스로틀 밸브, 3: 제1 열교환기, 4: 제2 열교환기, 6: 보조 열교환기.
여기서, 도 6 내지 도 16중의 부호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1: 압축기, 2: 스로틀 밸브, 3: 제1 열교환기, 4: 제2 열교환기, 6: 보조 열교환기, 20: 밸브 본체, 30: 밸브 시트, 31: 제3 밸브 개구, 32: 제1 밸브 개구, 33: 제2 밸브 개구, 34: 제5 밸브 개구, 35: 제4 밸브 개구, 41: 제1 밸브 코어부, 42: 제2 밸브 코어부, 421: 밸브 코어 본체, 422: 연결부, 51: C 포트, 52: S 포트, 53: E 포트, 54: D2 포트, 55: D1 포트, 60: 링크, 61: 제1 장착공, 62: 제2 장착공, 70: 압축 스프링.
여기서, 상호 충돌되지 않는 상황하에서 본 발명중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기재된 특징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냉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환 밸브의 실시예1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전환 밸브(1000)는 메인 밸브(1100)와 파일럿 밸브(1200)를 포함한다. 메인 밸브(1100)의 밸브 실(20)은 원통형 모양의 금속관인 밸브 본체(10)의 양단에 각각 엔드캡(11)을 용접하여 구성되었다. 밸브 실(20)내에 구동 부품(70)에 설치되고 구동 부품(70)은 링크(71)와 링크(71)의 양단에 고정된 피스톤(72)으로 구성되었다. 두개 피스톤(72)이 밸브 본체(10)의 밸브 실(20)을 메인 실린더를 좌우 실린더로 구분한다. 밸브 시트(30)는 밸브 본체(10)에 용접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60)는 밸브 시트(30)에 접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된다. 밸브 시트(30)에 소량의 밸브 개구(40)가 형성되고 소량의 밸브 개구(40)는 차례로 제4 밸브 개구(44), 제2 밸브 개구(42), 제1 밸브 개구(41), 제3 밸브 개구(43), 제5 밸브 개구(45)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30)에는 유로 포트인 소량의 포트가 용접되고, 유로 포트는 각각 제4 밸브 개구(44), 제2 밸브 개구(42), 제1 밸브 개구(41), 제3 밸브 개구(43), 제5 밸브 개구(45)에 연통되는 D1 포트, E 포트, S 포트, C 포트, D2 포트를 포함한다.
냉방 시스템의 배치에서 D1 포트와 D2 포트는 압축기(1)의 배기 포트에 연통되고(본 실시예에 있어서, D2 포트는 보조 열교환기(6)를 통하여 압축기(1)의 배기 포트에 연통된다) S 포트는 압축기(1)의 흡기 포트에 연통되며 E 포트는 제1 열교환기(3)에 연통되며 C 포트는 제2 열교환기(4)에 연통된다. 슬라이드 밸브 코어(60)에 단독으로 제1 통로(61)와 제2 통로(62)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60)가 밸브 시트(30)에 접하여 제1 통로(61)와 제2 통로(62)가 밸브 실(20)과 분리되어 폐쇄된다.
시스템이 도 2에 도시한 작동 상태로 스위칭 될 경우(제1 소정 위치), 시스템 내부의 냉매가 통과하는 통로는 압축기로 압축된 고압 유체 매체→D1 포트→ 제1 통로(61) →E 포트→ 제1 열교환기(3) → 스로틀 밸브(2)→ 제2 열교환기(4) →C 포트→ 제2 통로(62) →S 포트→ 압축기(1)의 입구이다. 이와 동시에 다른 한 통로는 압축기로 압축된 고압 유체 매체→ 보조 열교환기(6) →D2 포트→ 밸브 실(20)이다.
시스템을 작동 상태로 스위칭하여야 할 경우(제2 소정 위치), 파일럿 밸브(1200)의 모세관 압력의 전환을 통하여, 밸브 실(20)의 좌우 실린더 압력 차이를 전환시키고 구동 부품(70)에 의하여 슬라이드 밸브 코어(6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며(미도시), 시스템 내부의 냉매가 통과하는 통로는 압축기로 압축된 고압 매체→ D2 포트→ 제2 통로(62) → C 포트→ 제2 열교환기(4) → 스로틀 밸브(2) → 제1 열교환기(3) → E 포트→ 제1 통로(61) → S 포트→ 압축기(1)이고, 이와 동시에 압축기로 압축된 다른 한 통로는 고압 매체→ D1 포트→ 밸브 실(20)이다.
상기한 유체 매체의 통로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전환 밸브가 제1 소정 위치에 위치하거나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밸브 실(20)은 모두 안정적인 밀폐된 고압 유체를 유지함으로 가압시트의 압력과 협력하여 슬라이드 밸브 코어(60)를 밸브 시트(30)에 접촉시킬 수 있고 전환과정에도 유체 간섭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시스템 전환의 안정성과 작동의 믿음성을 보장할 수 있다.
진일보로, 두개 독립된 압축기 출력관D1, D2를 설치하였고 그중 한 출력관에는 보조 열교환기(6)가 병렬 연결되고 냉방 시스템이 작동될 때 제1 소정 위치 또는 제2 소정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일반적으로 냉방 환경으로 선택한다). 압축기의 출구로 배출되는 고온 고압 기체는 보조 열교환기를 통과하고 열량을 배출하며 기체로 배출되는 열량을 기타 물질을 가열하는데 이용할 수 있음으로 진일보로 에너지를 절약하고 배출을 줄이며 에너지를 절약하고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중의 전환 밸브의 밸브 본체와 밸브 시트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2중의 전환 밸브의 슬라이드 밸브 코어 구조의 정면도 및 부감도이며, 도 5a와 도 5b는 도 2중의 전환 밸브의 압축 스프링 구조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 도 4a, 도 4b, 도 5a,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시트(30)상의 5개 밸브 개구(제1 밸브 개구(41), 제2 밸브 개구(42), 제3 밸브 개구(43), 제4 밸브 개구(44), 제5 밸브 개구(45))는 밸브 실(20)의 일측에서 밸브 실(20)의 축선 방향에 따라 직선으로 배치된다. 포트인 D1 포트/E 포트/S 포트/C 포트/D2 포트는 직접 밸브 시트(30)에 용접되고 각각 상기한 5개 밸브 개구와 연통된다. 이로하여 5개 포트를 밸브 시트(30) 및 밸브 본체(10)와 한번에 용접할 수 있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60)의 스위칭 동작에도 유리하며 가공 고정이 간단하다.
본 실시예중의 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슬라이드 밸브 코어(60)는 완벽한 구조를 이요하고, 즉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밸브 코어(60)는 종방향의 축선 방향에 따라 두개 사발모양의 구조체를 설치하여 제1 통로(61)와 제2 통로(62)로 한다. 사발모양의 구조체의 반대측에 종방향의 축선 방향 양측에 제1 홈(63)을 구비한다. 슬라이드 밸브 코어(60)의 약 중간 위치의 제1 통로(61)와 제2 통로(62) 사이에 횡방향으로 제2 홈(64)을 구비한다.
압축 스프링(80)은 일반적으로 탄성이 있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판이다. 압축 스프링(80)은 약 직사각형 구조를 가지고 구동 부품(70)의 링크(71)와 슬라이드 밸브 코어(60) 사이에 설치되며 종방향에 따라 두개 개구(81)가 나란이 형성되고 두개 개구(81)가 슬라이드 밸브 코어(60)의 사발모양의 구조에 대응되어 슬라이드 밸브 코어(60)와 압축 스프링(80)이 결합된다.
압축 스프링(80)의 종방향 축선 방향의 양측에 제1 탄성 가압부(82)가 설치되고 제1 탄성 가압부(82)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60)의 제1 홈(63)을 가압한다. 압축 스프링(80)상의 두개 개구(81) 사이에는 제2 탄성 가압부(83)가 설치되고 제2 탄성 가압부(83)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60)의 제2 홈(64)을 가압한다. 이러한 협력 방식을 통하여 슬라이드 밸브 코어(60)가 확실하게 밸브 시트(30)에 접할 수 있다.
다만,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확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냉방 시스템의 배치에서 D1 포트와 D2 포트를 압축기(1)의 배기 포트에 직접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어 두개 구조가 동일한 제1 밸브 코어와 제2 밸브 코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밸브 코어와 제2 밸브 코어가 각각 하나의 독립된 스프링 시트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상기한 방안도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16은 실시예2의 전환 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전환 밸브는 밸브 실을 구비한 밸브 본체(20)와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포함하고, 그중 밸브 실에는 밸브 시트(30)가 설치되고 밸브 시트(30)에는 소량의 밸브 개구가 형성되며 소량의 밸브 개구는 제1 밸브 개구(32), 제2 밸브 개구(33), 제3 밸브 개구(31), 제4 밸브 개구(35), 제5 밸브 개구(34)를 포함한다. 제3 밸브 개구(31), 제1 밸브 개구(32), 제2 밸브 개구(33), 제5 밸브 개구(34), 제4 밸브 개구(35)는 밸브 본체(20)의 축방향에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밸브 실내에 설치되어 밸브 시트(30)와 협동하며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동기화하여 동작하는 제1 밸브 코어부(41)와 제2 밸브 코어부(42)를 포함하고, 제1 밸브 코어부(41)는 제1 밸브 개구(32), 제2 밸브 개구(33), 제3 밸브 개구(31)와 협동하고 제2 밸브 코어부(42)는 제4 밸브 개구(35), 제5 밸브 개구(34)와 협동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제1 소정 위치와 제2 소정 위치를 구비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1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도에 도시하지 않은 위치), 제1 밸브 개구(32)와 제3 밸브 개구(31)는 제1 밸브 코어부(41)의 내부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제2 밸브 개구(33)와 제4 밸브 개구(35)는 밸브 실을 통하여 연통되며 제2 밸브 코어부(42)가 제5 밸브 개구(34)를 폐쇄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도 6에 도시한 위치), 제1 밸브 개구(32)와 제2 밸브 개구(33)는 제1 밸브 코어부(41)의 내부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제3 밸브 개구(31)와 제5 밸브 개구(34)는 밸브 실을 통하여 연통되며 제2 밸브 코어부(42)가 제4 밸브 개구(35)를 폐쇄한다.
본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응용할 경우, 밸브 실내에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설치되고 이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동기화하여 동작하는 제1 밸브 코어부(41)와 제2 밸브 코어부(42)를 포함하고, 매개 밸브 코어부는 밸브 시트(30)상의 대응되는 밸브 개구와 협동한다. 전환 밸브가 작동될 때,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두개 작동 위치를 가지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1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밸브 개구(32)와 제3 밸브 개구(31)는 제1 밸브 코어부(41)의 내부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제2 밸브 개구(33)와 제4 밸브 개구(35)는 밸브 실을 통하여 연통되며 제2 밸브 코어부(42)가 제5 밸브 개구(34)를 폐쇄한다.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밸브 개구(32)와 제2 밸브 개구(33)는 제1 밸브 코어부(41)의 내부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제3 밸브 개구(31)와 제5 밸브 개구(34)는 밸브 실을 통하여 연통되며 제2 밸브 코어부(42)가 제4 밸브 개구(35)를 폐쇄한다. 본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제4 밸브 개구와 제5 밸브 개구를 모두 압축기의 배기 포트에 연통시킬 수 있어 전환 밸브를 기타 유형의 냉방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고 응용범위를 확대시켰다.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밸브 본체(20)가 금속관 재료로 형성되고 동일한 원주방향 위치에 설계한 축방향 간격에 따라 펀칭, 선삭(lathe turning), 드릴 등 가공 방법을 통하여 5개 구멍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30)로 인발 또는 압연 제조된 D형 금속 봉재를 이용하고(주철, 단조 등 기타 가공 방법으로 얻은 반제품으로 봉재를 대신하여 가공하여 얻은 것일 수도 있다), 동일한 원주방향 위치에 설계한 축방향 간격에 따라 선삭, 드릴 등 가공 방법을 통하여 5개 계단형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시트(30)의 슬라이드 밸브 코어와 접촉되는 이동 평면은 밸브 시트(30)의 재질의 차이에 따라 다른 가공 방법과 프로세스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시트(30)는 황동 재료로 형성되고 기타 부품과 일체로 용접된 후 브로칭머신 가공할 수 있다. 밸브 시트(30)가 스테인리스 재료로 형성되었으면 용접하기 전, 즉 부품 상태에서 마모 가공을 수행한다. 밸브 시트(30)의 슬라이드 밸브 코어와 접촉되는 이동 평면을 가공함으로써 밸브 시트(30)와 슬라이드 밸브 코어 사이의 밀봉을 보장하고 밸브 시트(30)와 슬라이드 밸브 코어 사이의 마찰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나일론 또는 PPS 등 고분자 재료로 형성하고 사출 성형 또는 바의 선삭 처리 등 가공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밸브 코어의 밸브 시트(30)와 접촉되는 이동 평면에는 절삭 가공 등을 수행하여 평활도와 표면 거칠기를 보장하여 동적 밀봉을 보장하고 밸브 시트(30)와 슬라이드 밸브 코어 사이의 마찰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도 6,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밸브 개구(31), 제1 밸브 개구(32), 제2 밸브 개구(33), 제5 밸브 개구(34), 제4 밸브 개구(35)는 밸브 실의 일측에서 밸브 실의 축선 방향에 따라 직선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하여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밸브 실의 축선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 제1 소정 위치와 제2 소정 위치 사이에서의 스위칭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고 공간을 절약하며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환 밸브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부품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하여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1 소정 위치와 제2 소정 위치 사이에서 스이칭힐 수 있다.
도 6,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부품은 링크(60)를 포함하고 제1 밸브 코어부(41)와 제2 밸브 코어부(42)는 링크(60)에 장착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구동 부품이 링크(60)를 구동시켜 밸브 실의 축선 방향에서 이동하도록 하여 제1 밸브 코어부(41)와 제2 밸브 코어부(42)가 밸브 실의 축선 방향에서 이동한다. 링크(60)에 제1 밸브 코어부(41)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공(61)과, 제2 밸브 코어부(42)를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공(62)이 형성되고, 제1 밸브 코어부(41)와 제2 밸브 코어부(42)는 자체 구조상의 단계를 통하여 링크(60)의 제1 장착공과 제2 장착공에 자유롭게 장착된다. 상기한 조립 방식에 의하면 제1 밸브 코어부 및 제2 밸브 코어부와 링크(60) 사이에 일정한 조립 간격이 형성되고 이러한 간격으로 인하여 제1 밸브 코어부(41)와 제2 밸브 코어부(42)가 모두 밸브 시트(30)에 밀착되어 밀봉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60)는 판형 재료로 펀칭 성형된 것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밸브 코어부(42)는 밸브 코어 본체(421)와 연결부(422)를 구비하고, 연결부(422)의 반경방향 사이즈는 밸브 코어 본체(421)의 반경방향 사이즈보다 작다. 상기 연결부(422)는 제2 장착공(62)과 협동하고 상기 사이즈로 인하여 쉽게 밀착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60)와 제2 밸브 코어부(42) 사이에 압축 스프링(70)이 설치된다. 제2 밸브 코어부(42) 양측의 압력 차이가 아주 작음으로 폐쇄 성능을 보장하기위하여 제2 밸브 코어부(42)와 링크(60) 사이에 예를 들어 접시 모양의 스프링 시트를 배치하여 제2 밸브 코어부(42)로 하여금 밸브 시트(30)에 밀착되어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이 판형 재료로 펀칭 성형된 것이고 모서리가 제2 밸브 코어부(42)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밸브 코어부(42)와 링크(60)가 더욱 잘 접촉될 수 있도록 스프링의 상하면에 모두 접힘 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2에 있어서, 제2 밸브 코어부(42)의 밸브 시트(30)를 향한 표면에 요홈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제2 밸브 코어부(42)와 밸브 시트(30)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고 제2 밸브 코어부(42)가 받는 운동 마찰 저항이 감소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환 밸브는 소량의 밸브 개구에 대응되게 연통되는 소량의 유로 포트를 구비하고, 소량의 유로 포트는 제3 밸브 개구(31)에 연통되는 C 포트(51), 제1 밸브 개구(32)에 연통되는 S 포트(52), 제2 밸브 개구(33)에 연통되는 E 포트(53), 제5 밸브 개구(34)에 연통되는 D2 포트(54), 제4 밸브 개구(35)에 연통되는 D1 포트(55)를 포함한다. 상기 각 포트는 대응되는 밸브 개구와 협동하여 전환 밸브와 협동하는 연결관이 상기 포트에 연결될 수 있고 관의 연결이 더욱 간단하다.
밸브 실, 밸브 시트(30), 유로 포트를 기타 필요한 부품과 사전에 조립한 후 용접 공정을 통하여 일체로 용접(화염 용접 또는 터널로 납땜 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은 냉방 시스템을 더 제공하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냉방 시스템의 실시예는 압축기(1)와, 제1 열교환기(3)와, 제2 열교환기(4)와, 제1 열교환기(3)와 제2 열교환기(4)를 연통시키는 스로틀 밸브(2)와, 전환 밸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환 밸브는 상기한 전환 밸브이고 압축기(1)의 입구는 전환 밸브의 제1 밸브 개구(32)에 연통되고 압축기(1)의 출구는 전환 밸브의 제5 밸브 개구(34)와 제4 밸브 개구(35)에 각각 연통되며 제1 열교환기(3)는 전환 밸브의 제3 밸브 개구(31)에 연통되고 제2 열교환기(4)는 전환 밸브의 제2 밸브 개구(33)에 연통된다.
아래 제1 열교환기(3)를 실외 열교환기로하고 제2 열교환기(4)를 실내 열교환기로하는 경우를 예로 냉방 시스템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냉방 시스템이 작동될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때 전환 밸브는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하고 E 포트(53)는 S 포트(52)와 연통되고 D2 포트(54)는 C 포트(51)와 연통되며 D1 포트(55)는 제2 밸브 코어부(42)에 의하여 차단되어 폐쇄된다. 시스템 내부의 냉매는 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통로에 따라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1)로부터 배출된 기체는 D2 포트(54)로부터 밸브 실에 들어가고 이어서 D2 포트(54)와 연통된 C 포트(51)로부터 배출되며 차례로 제1 열교환기(3), 스로틀 밸브(2), 제2 열교환기(4)를 통과하며 제2 열교환기(4)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E 포트(53)로 들어가서 E 포트(53)에 연통된 S 포트(52)로부터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압축기(1)로 되돌아온다. 상기 작동 과정은 냉방 시스템이 운행하는 하나의 작동 순환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방 시스템은 보조 열교환기(6)를 더 포함하고, 보조 열교환기(6)는 압축기(1)의 출구와 제5 밸브 개구(3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압축기(1)로부터 배출된 고온 고압 기체는 먼저 보조 열교환기(6)를 통과하여 열교환을 수행하고 보조 열교환기(6)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재다시 D2 포트(54)로부터 밸브 실로 들어가고 D2 포트(54)에 연통된 C 포트(51)로부터 배출되며 차례로 제1 열교환기(3), 스로틀 밸브(2), 제2 열교환기(4)를 통과하고 제2 열교환기(4)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E 포트(53)로 들어가서 E 포트(53)에 연통된 S 포트(52)로부터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압축기(1)로 되돌아온다. 압축기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고온 고압 기체가 모두 보조 열교환기(6)를 통과하여 열량을 배출하고 기체로 배출된 열량을 기타 물질을 가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어 에너지를 진일보로 절약하고 배출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에어컨이 난방 운행하여야할 경우, 전자기 시스템의 작용을 통하여 링크(60)로 하여금 제1 밸브 코어부(41)와 제2 밸브 코어부(42)를 제1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고(미도시), 이때 C 포트(51)는 S 포트(52)와 연통되고 D1 포트(55)는 E 포트(53)와 연통되며 D2 포트(54)는 제2 밸브 코어부(42)에 의하여 차단되어 폐쇄되며 시스템 내부의 냉매는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통로에 따라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1)로부터 배출된 기체는 보조 열교환기(6)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D1 포트(55)로 들어가고, 즉 보조 열교환기(6)는 열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냉매를 저장하는 작용만을 한다, 이때의 이부분 냉매는 순환 작동에 참요하지 않고 D1 포트(55)로부터 밸브 실로 들어온 냉매는 E 포트(53)로부터 배출되어 차례로 제2 열교환기(4), 스로틀 밸브(2), 제1 열교환기(3)를 통과하고 제1 열교환기(3)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C 포트(51)로 들어간 뒤 C 포트(51)에 연결된 S 포트(52)로부터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압축기(1)로 되돌아간다. 상기 작동 과정은 난방 시스템이 운행하는 한 작동 순환이다. 여기서 전자기 시스템은 주로 밸브 실내의 밸브 코어부를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여 밸브 실의 전환 목적을 실현하고, 즉 기존기술중의 사방 밸브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1 열교환기(3)가 실내 열교환기이고 제2 열교환기(4)가 실외 열교환기일 경우, 보조 열교환기(6)는 압축기(1)의 출구와 제4 밸브 개구(35) 사이에 설치된다. 그 작동 원리는 제1 열교환기(3)가 실외 열교환기이고 제2 열교환기(4)가 실내 열교환기인 경우와 같음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당업자라면 제1 열교환기(3)가 실내 열교환기이고 제2 열교환기(4)가 실외 열교환기일 경우, 냉방과 난방 모드가 상기한 내용과 반대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가지 실시형태로 보조 열교환기(6)가 제4 밸브 개구(35)에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라면 여러가지 변경과 변화를 가져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행하는 모든 수정, 동등교체, 개량 등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파일럿 밸브와 메인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밸브는
    5개 밸브 개구가 형성된 밸브 시트가 설치된 밸브 실을 구비하는 밸브 본체와,
    상기 5개 밸브 개구에 대응되게 연통되는 5개 유로 포트와,
    상기 밸브 시트와 협동하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와,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구동시켜 상기 밸브 개구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부품
    을 포함하고,
    상기 5개 밸브 개구는 제1 밸브 개구와, 제2 밸브 개구와, 제3 밸브 개구와, 제4 밸브 개구와, 제5 밸브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실은 원통형 모양이고, 상기 제1 밸브 개구, 제2 밸브 개구, 제3 밸브 개구, 제4 밸브 개구, 제5 밸브 개구는 상기 밸브 실의 일측에서 상기 밸브 실의 축선 방향에 따라 직선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5개 유로 포트는 상기 제1 밸브 개구에 연통되는 S 포트와, 상기 제2 밸브 개구와 연통되는 E 포트와, 상기 제3 밸브 개구와 연통되는 C 포트와, 상기 제4 밸브 개구와 연통되는 D1 포트와, 상기 제5 밸브 개구와 연통되는 D2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D1 포트와 상기 D2 포트는 서로 독립된 서로 다른 통로의 입구이고 상기 D1 포트와 상기 D2 포트는 서로 독립된 것이며,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의 위치가 전환됨에 따라 상기 D1 포트와 상기 D2 포트의 작용도 전환되고,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1 소정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D1 포트는 상기 E 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S 포트는 상기 C 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D2 포트는 상기 밸브 실과 밀폐 연통되고, 매체가 상기 밸브 실에 밀폐되고 상기 D2 포트는 전환 작용에 참여하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에 아래로 향하는 압력을 인가하고,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제2 소정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D2 포트는 상기 C 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S 포트는 상기 E 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D1 포트는 상기 밸브 실과 밀폐 연통되고 매체가 상기 밸브 실에 밀폐되고 상기 D1 포트는 전환 작용에 참여하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에 아래로 향하는 압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에 단독으로 제1 통로와 제2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서로 다른 통로이고,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상기 제1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D1 포트는 상기 제1 통로를 통하여 상기 E 포트에 연통되고 상기 S 포트는 상기 제2 통로를 통하여 상기 C 포트에 연통되며,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상기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D2 포트는 상기 제2 통로를 통하여 상기 C 포트에 연통되고 상기 S 포트는 상기 제1 통로를 통하여 상기 E 포트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상기 밸브 시트 측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에는 종방향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 제1 탄성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의 종방향 양측에 상기 제1 탄성 가압부와 협동하는 제1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제2 탄성 가압부가 설치되고 제1 통로(61)와 제2 통로(62) 사이에 횡방향으로 상기 제2 탄성 가압부와 협동하는 제2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상기 밸브 시트 측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상기 제1 통로가 형성된 제1 밸브 코어와 제2 통로가 형성된 제2 밸브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제1 밸브 코어와 협동하는 제1 압축 스프링과 상기 제2 밸브 코어와 협동하는 제2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실은 상기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밀폐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동기화하여 작동되는 제1 밸브 코어부와 제2 밸브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코어부는 상기 제1 밸브 개구, 제2 밸브 개구, 제3 밸브 개구와 협동하고 상기 제2 밸브 코어부는 상기 제4 밸브 개구, 제5 밸브 개구와 협동하며,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상기 제1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밸브 개구와 상기 제3 밸브 개구는 상기 제1 밸브 코어부의 내부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상기 제2 밸브 개구와 상기 제4 밸브 개구는 상기 밸브 실을 통하여 연통되며 상기 제2 밸브 코어부는 상기 제5 밸브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슬라이드 밸브 코어가 상기 제2 소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밸브 개구와 상기 제2 밸브 개구는 상기 제1 밸브 코어부의 내부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고 상기 제3 밸브 개구와 상기 제5 밸브 개구는 상기 밸브 실을 통하여 연통되며 상기 제2 밸브 코어부는 상기 제4 밸브 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품은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코어부와 제2 밸브 코어부는 상기 링크에 장착되고, 상기 링크에는 상기 제1 밸브 코어부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공과, 상기 제2 밸브 코어부를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코어부는 밸브 코어 본체와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의 반경방향 사이즈는 상기 밸브 코어 본체의 반경방향 사이즈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링크와 상기 제2 밸브 코어부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코어부의 상기 밸브 시트를 향한 표면에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밸브.
  12. 압축기와, 제1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제1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를 연결시키는 스로틀 밸브를 포함하는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보조 열교환기와, 청구항 1에 기재된 전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입구는 상기 전환 밸브의 제1 밸브 개구와 연통되고 상기 압축기의 출구는 상기 전환 밸브의 제4 밸브 개구와 제5 밸브 개구에 각각 연통되며,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상기 전환 밸브의 제3 밸브 개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는 상기 전환 밸브의 제2 밸브 개구와 연통되며 상기 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압축기의 출구와 상기 제5 밸브 개구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압축기의 출구와 상기 제4 밸브 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7034045A 2015-05-14 2016-04-07 전환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냉방 시스템 KR102036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250159.3A CN106286890B (zh) 2015-05-14 2015-05-14 一种换向阀及使用该换向阀的制冷系统
CN201510250159.3 2015-05-14
CN201510893338.9A CN106812975B (zh) 2015-11-27 2015-11-27 换向阀以及具有其的制冷系统
CN201510893338.9 2015-11-27
PCT/CN2016/078690 WO2016180111A1 (zh) 2015-05-14 2016-04-07 换向阀以及具有其的制冷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754A KR20170141754A (ko) 2017-12-26
KR102036185B1 true KR102036185B1 (ko) 2019-11-29

Family

ID=5724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045A KR102036185B1 (ko) 2015-05-14 2016-04-07 전환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냉방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19897B2 (ko)
EP (1) EP3309432B1 (ko)
KR (1) KR102036185B1 (ko)
WO (1) WO2016180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1869B2 (ja) * 2016-03-30 2019-01-30 Ckd株式会社 流路切替弁、及びその製造方法
JP6955436B2 (ja) 2017-12-25 2021-10-27 Ckd株式会社 電磁アクチュエータ
US10830501B2 (en) * 2018-04-25 2020-11-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for detecting and positioning of reversing valve
CN108374910B (zh) * 2018-04-28 2024-05-07 格力电器(合肥)有限公司 四通阀和空调
JP7100244B2 (ja) * 2018-05-22 2022-07-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四路切換弁及び冷凍装置
CN109323016A (zh) * 2018-12-10 2019-02-12 郑州云宇新能源技术有限公司 四通换向阀
JP6933388B2 (ja) * 2019-03-13 2021-09-08 株式会社不二工機 流路切換弁
US20210156596A1 (en) * 2019-11-27 2021-05-27 Carri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slider of a reversing valve
CN111336148B (zh) * 2020-03-24 2022-10-11 北京天玛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阀套、阀芯组件及换向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8957A (zh) * 2011-04-29 2012-10-31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四通换向阀及其主阀、连杆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801A (en) * 1903-01-15 1903-03-24 Owen A Rauschenberg Gas-reversing valve.
US2974682A (en) * 1959-06-11 1961-03-14 Internat Heater Company Reversing valve for heat pumps
GB966836A (en) 1963-05-03 1964-08-19 Chatleff Controls Inc Fluid pressure operated valves
US3293880A (en) * 1965-09-16 1966-12-27 Lyle A Trolz Reversing valve for refrigeration systems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US3400736A (en) * 1966-05-31 1968-09-10 Controls Co Of America Reversing valve
US3369790A (en) * 1967-05-19 1968-02-20 Robertshaw Controls Co Fluid system and method and parts therefor or the like
JPS5248746B2 (ko) * 1972-11-15 1977-12-12
US3894561A (en) * 1974-03-14 1975-07-15 Controls Co Of America Four-way reversing valve with differential area operator
US4027700A (en) * 1976-04-01 1977-06-07 Robertshaw Controls Company Reversing valve construction
US4248058A (en) * 1979-04-04 1981-02-03 Robertshaw Controls Company Differential piston type reversing valve construc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US4318425A (en) * 1979-10-26 1982-03-09 Ranco Incorporated Refrigerant flow reversing valve
CA1085179A (en) * 1979-12-31 1980-09-09 Leszek S. Korycki Reversible heat pump system
US4564045A (en) * 1984-06-18 1986-01-14 Koch Rudolf K Reversing valv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644760A (en) * 1984-11-05 1987-02-24 Kabushiki Kaisha Saginomiya Seisakusho Reversible four-way valve for reversible refrigerating cycle
JP3059613B2 (ja) 1993-10-26 2000-07-04 甲南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弁
JPH08170865A (ja) * 1994-12-19 1996-07-02 Sanyo Electric Co Ltd ヒートポンプ空調装置用切換弁
JPH10132105A (ja) 1996-10-28 1998-05-22 Smc Corp パイロット式5ポート切換弁
JP2000046213A (ja) * 1998-07-28 2000-02-18 Calsonic Corp 流路切替弁
KR100758366B1 (ko) * 2000-02-10 2007-09-14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사방 변환 밸브
US7124777B2 (en) * 2004-09-03 2006-10-24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Reversing valve with flowsplitter
JP4651394B2 (ja) * 2005-01-13 2011-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四方弁
KR101279833B1 (ko) * 2009-07-24 2013-06-28 쯔지앙 산화 클라이메이트 앤드 어플라이언스 컨트롤스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엔드 커버 및 그것을 사용하는 4-방향 리버싱 밸브와 그것의 조립 방법
CN104180020A (zh) 2013-05-27 2014-12-03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一种制冷系统用换向阀及其导阀
JP2015075211A (ja) 2013-10-11 2015-04-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流路切換弁および冷媒回路
US20150354713A1 (en) * 2014-06-10 2015-12-10 Trane International Inc. Five-Way Heat Pump Reversing Valve
CN104214369A (zh) 2014-08-11 2014-12-17 海信(浙江)空调有限公司 一种四通换向阀、空调器以及控制方法
US10018382B2 (en) * 2015-06-01 2018-07-10 Gd Midea Heating & Ventilating Equipment Co., Ltd. Six-way directional valv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and air conditioner
JP6288146B2 (ja) * 2016-04-01 2018-03-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8957A (zh) * 2011-04-29 2012-10-31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四通换向阀及其主阀、连杆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9432B1 (en) 2020-06-17
US10619897B2 (en) 2020-04-14
EP3309432A1 (en) 2018-04-18
WO2016180111A1 (zh) 2016-11-17
US20180299173A1 (en) 2018-10-18
KR20170141754A (ko) 2017-12-26
EP3309432A4 (en)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185B1 (ko) 전환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냉방 시스템
JP2015075211A (ja) 流路切換弁および冷媒回路
JP5175144B2 (ja) 四方切換弁用弁体
JP4818668B2 (ja) 流路切換弁
CN106838374B (zh) 换向阀及具有该换向阀的制冷系统
CN2706644Y (zh) 四通电磁换向阀
JP6539470B2 (ja) 流路切換弁
JP5663330B2 (ja) 四方切換弁
CN107355563B (zh) 换向阀及具有其的制冷系统
CN107166060B (zh) 换向阀及具有其的制冷系统
EP3754234B1 (en) Channel switching valve
JP2018194022A (ja) 流路切換弁及びその組立方法
JP6832299B2 (ja) スライド式切換弁、および、それを備える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WO2020110840A1 (ja) 流路切換弁
WO2019129190A1 (zh) 电磁切换阀
CN106812975B (zh) 换向阀以及具有其的制冷系统
CN109563946B (zh) 滑阀以及冷冻循环系统
CN114704670B (zh) 一种电磁换向阀及其主阀
CN101395415B (zh)
CN109990115B (zh) 电磁切换阀
CN109990113B (zh) 电磁切换阀及活塞
CN216407808U (zh) 一种电磁换向阀
JP7137834B2 (ja) 四方切換弁
CN113167396B (zh) 流路切换阀
CN114838182B (zh) 电磁切换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