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715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715B1
KR102035715B1 KR1020130074855A KR20130074855A KR102035715B1 KR 102035715 B1 KR102035715 B1 KR 102035715B1 KR 1020130074855 A KR1020130074855 A KR 1020130074855A KR 20130074855 A KR20130074855 A KR 20130074855A KR 102035715 B1 KR102035715 B1 KR 102035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extension
extension par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970A (ko
Inventor
백인수
김용우
안상아
이상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715B1/ko
Priority to US14/253,483 priority patent/US9594270B2/en
Publication of KR2015000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그리고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둘러싸며, 액정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몰드 프레임을 안착 지지하는 바텀 섀시, 그리고 터치 패널 하부에 위치하며, 터치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터치 패널의 크기는 액정 표시 패널의 크기보다 더 크고, 터치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에 대응하는 패널 영역과 패널 영역의 주변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지지대는 접착 부재에 의해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의 표시 장치, 휴대용 전송 장치, 그 밖의 정보 처리 장치 등은 다양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이러한 입력 장치로서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입력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touch panel)은 화면 위에 손가락 또는 터치 펜(touch pen, stylus) 등을 접촉해 문자나 그림을 쓰고 그리거나, 아이콘을 실행시켜 컴퓨터 등의 기계에 원하는 명령을 수행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터치 패널이 부착된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이 화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접촉 위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고, 터치 패널의 크기는 표시 패널의 크기보다 더 크다. 이에, 터치 패널의 배치 시, 표시 패널 외부로까지 터치 패널이 노출되므로, 노출된 터치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터치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그리고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둘러싸며, 액정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몰드 프레임을 안착 지지하는 바텀 섀시, 그리고 터치 패널 하부에 위치하며, 터치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터치 패널의 크기는 액정 표시 패널의 크기보다 더 크고, 터치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에 대응하는 패널 영역과 패널 영역의 주변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지지대는 접착 부재에 의해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몰드 프레임은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둘러싸는 몸체 및 몰드 프레임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몰드 프레임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 연장부는 몰드 프레임의 몸체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 제1 연장부와 마주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 그리고 제1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는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일 수 있다.
바텀 섀시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몰드 프레임을 안착 지지하는 몸체 및 바텀 섀시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바텀 섀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섀시 연장부는 바텀 섀시의 몸체로부터 연장된 제4 연장부, 제4 연장부와 마주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5 연장부, 그리고 제4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6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장부, 제5 연장부 및 제6 연장부는 각각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의 하부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제1 연결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제4 연장부, 제5 연장부 및 제6 연장부에는 각각 복수 개의 개구부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제1 연결 부재는 각 개구부를 관통하여 몰드 프레임과 바텀 섀시를 부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 및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에 연결되어 있으며,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을 통하여 액정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은 제3 연장부와 마주하는 몰드 프레임의 몸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각 제2 연결 부재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은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 사이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는 고리 형상이며, 바텀 섀시의 몸체에 끼워져 있을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서브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지지대는 ㄱ자 형상이고, 서브 지지대의 상부면이 접착 부재에 의해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서브 지지대의 측면이 제2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서브 지지대는 ㄷ자 형상이고, 서브 지지대의 상부면이 접착 부재에 의해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서브 지지대의 측면이 제2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고, 서브 지지대의 하부면에 고정 부재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몰드 프레임의 연장부 또는 바텀 섀시의 연장부와 서브 지지대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는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와 광을 공급받아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0)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220) 및 바텀 섀시(280)를 포함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00)는 화면 위에 손가락 또는 터치 펜(touch pen, stylus) 등을 접촉해 문자나 그림을 쓰고 그리거나, 아이콘을 실행시켜 원하는 명령을 수행시키는 터치 패널(600)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00)는 터치 패널(600)을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창을 구비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0)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750), 액정 표시 패널(750)과 연결되어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chip on film, COF)(410) 및 인쇄 회로 기판(400)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750)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730)과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730) 상부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 표시판(710) 및 이들 표시판(730, 710)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730) 및 컬러 필터 표시판(710)은 각각 제1 표시판 및 제2 표시판으로도 지칭할 수 있다.
컬러 필터 표시판(710)의 상부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730)의 하부에는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하여 액정 표시 패널(750)을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킨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730)은 매트릭스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 기판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드레인 단자에는 도전성 재질로서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연결되어 있다.
컬러 필터 표시판(710)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730)에 대향하여 그 위에 배치되어 있다. 컬러 필터 표시판(710)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을 발현하기 위한 색필터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으로, 전면에 ITO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750)의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에 인쇄 회로 기판(400)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면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는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드레인 단자로 출력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면, 화소 전극과 컬러 필터 표시판의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730)과 컬러 필터 표시판(710)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서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상를 얻게 된다.
인쇄 회로 기판(400)은 액정 표시 패널(750)에 부착된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은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인쇄 회로 기판(400)은 액정 표시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데이터 신호, 게이트 구동 신호, 그리고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게이트 구동 신호 및 데이터 구동 신호를 집적 회로칩(420)이 실장된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을 통하여 액정 표시 패널(750)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각각 인가한다.
액정 표시 패널(750)의 하부에는 액정 표시 패널(75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가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몰드 프레임(220)에 고정되며, 액정 표시 패널(750)에 광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120) 및 발광 다이오드(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광 다이오드 전원 기판(140)을 포함한다.
또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가이드하여 액정 표시 패널(750)로 공급하는 도광판(160), 도광판(16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260), 그리고 도광판(16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의 광의 휘도 특성을 확보하여 액정 표시 패널(750)로 제공하기 위한 광학 시트류(240)를 포함한다.
몰드 프레임(220)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뚫려 있고,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둘러싼다. 또한, 몰드 프레임(220)은 액정 표시 패널(750)을 지지 한다.
몰드 프레임(22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둘러싸는 몸체(221) 및 몸체(221)로부터 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223)와 제2 연장부(224)는 서로 마주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3 연장부(225)는 제1 연장부(223)의 연장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의 하부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제1 연결 부재(22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몰드 프레임(220)의 몸체(221)에는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222)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222)는 제3 연장부(225)와 마주하고,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바텀 섀시(28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몰드 프레임(220)을 안착 지지하는 몸체(281)와 몸체(281)로부터 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를 포함한다.
제4 연장부(282)와 제5 연장부(283)는 서로 마주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6 연장부(284)는 제1 연장부(223)의 연장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에는 각각 복수 개의 개구부(285)가 형성되어 있다.
바텀 섀시(280)의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는 각각 몰드 프레임(220)의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 아래에 위치하여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을 지지한다.
몰드 프레임(220)과 바텀 섀시(280)은 제1 연결 부재(226) 및 제2 연결 부재(222)에 의해 고정 부착된다. 각 제1 연결 부재(226)는 각 개구부(285)를 관통하여 몰드 프레임(220)과 바텀 섀시(280)를 부착하고, 제2 연결 부재(222)는 고리 형상으로 바텀 섀시(280)의 몸체(281)에 끼워져 몰드 프레임(220)과 바텀 섀시(280)를 부착한다.
터치 패널(600)은 액정 표시 패널(750) 위에 위치하며, 그 크기가 액정 표시 패널(750)의 크기보다 더 크다. 이에, 터치 패널(600)은 액정 표시 패널(750)에 대응하는 패널 영역(A)과 패널 영역(A)의 주변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B)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600)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전가지 유도 방식의 터치 패널일 수 있다.
터치 패널(600)의 주변 영역(B)은 몰드 프레임(220)의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 위에 배치되어 있고, 접착 부재(610)에 의해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접착 부재(610)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즉, 몰드 프레임(220)의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과 이들에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바텀 섀시(280)의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는 터치 패널(600)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한다.
한편, 액정 표시 패널(750)에 부착된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은 몰드 프레임(220)의 몸체(281) 및 바텀 섀시(280)의 몸체(281)외부로 절곡되고,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400)은 바텀 섀시(280)의 하부에 위치한다.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은 절곡 시, 제2 연결 부재(222) 사이에서 절곡된다.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은 몰드 프레임(220)의 몸체(281) 및 바텀 섀시(280)의 몸체(281) 외부로 절곡됨에 따라 몰드 프레임(220)의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와 바텀 섀시(280)의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는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즉,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는 몰드 프레임(220)의 몸체(221)로부터 연장되는데,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대응하는 부분의 몰드 프레임(220)의 몸체(221)에서는 연장부가 연장되지 않는다.
또한,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는 바텀 섀시(280)의 몸체(281)로부터 연장되는데,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대응하는 부분의 바텀 섀시(280)의 몸체(281)에서는 연장부가 연장되지 않는다.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서브 지지대(290)가 배치되어 있다.
서브 지지대(290)는 접착 부재(610)에 터치 패널(600)의 주변 영역(B)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에, 서브 지지대(290)는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터치 패널(600)을 지지한다.
서브 지지대(290)는 'ㄱ' 자 형상으로, 제2 연결 부재(222)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서브 지지대(290)는 접착제 또는 나사에 의해 제2 연결 부재(222)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몰드 프레임(220)의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와 이들에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바텀 섀시(280)의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 그리고 서브 지지대(290)에 의해 터치 패널(6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몰드 프레임(220) 및 바텀 새시(280)의 형상만 다를 뿐,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다. 이에,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하게 설명한다.
터치 패널(600)은 액정 표시 패널(750) 위에 위치하며, 액정 표시 패널(750)에 대응하는 패널 영역(A)과 그 주변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B)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600)의 주변 영역(B)은 몰드 프레임(220)의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 위에 배치되어 있고, 접착 부재(610)에 의해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접착 부재(610)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몰드 프레임(220)의 몸체(221)에는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222)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222)는 제3 연장부(225)와 마주하고,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즉, 몰드 프레임(220)의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과 터치 패널(600)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와는 다르게,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에는 제1 연결 부재(226)가 형성되지 않는다.
바텀 섀시(28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몰드 프레임(220)을 안착 지지하며, 도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와는 다르게, 바텀 섀시(280)에는 연장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또한,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몰드 프레임(220)의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데,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서브 지지대(290)가 배치되어 터치 패널(600)을 지지한다.
즉, 몰드 프레임(220)의 제1 연장부(223), 제2 연장부(224) 및 제3 연장부(225)와 서브 지지대(290)에 의해 터치 패널(6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몰드 프레임(220) 및 바텀 섀시(280)의 형상만 다를 뿐,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다. 이에,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하게 설명한다.
터치 패널(600)은 액정 표시 패널(750) 위에 위치하며, 액정 표시 패널(750)에 대응하는 패널 영역(A)과 그 주변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B)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600)의 주변 영역(B)은 바텀 섀시(280)의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 위에 배치되어 있고, 접착 부재(610)에 의해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접착 부재(610)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즉, 바텀 섀시(280)의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는 터치 패널(600)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와는 다르게,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에는 개구부(285)가 형성되지 않는다.
몰드 프레임(22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둘러싸고 있으며, 도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와는 다르게, 몰드 프레임(220)의 연장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하지만, 몰드 프레임(220)의 몸체(221)에는 도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의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222)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222)는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또한,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바텀 섀시(280)의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데,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4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서브 지지대(290)가 배치되어 터치 패널(600)을 지지한다.
즉, 바텀 섀시(280)의 제4 연장부(282), 제5 연장부(283) 및 제6 연장부(284)와 서브 지지대(290)에 의해 터치 패널(6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지지대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지지대(290)는 'ㄷ' 자 형상이다. 이러한 서브 지지대(290)의 상부면이 접착 부재(610)에 의해 터치 패널(600)에 고정 부착되어 터치 패널(600)을 지지한다. 서브 지지대(290의 측면은 제2 연결 부재(222)에 부착된다. 이 때, 서브 지지대(290)는 접착제 또는 나사에 의해 제2 연결 부재(222)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지지대(290)의 하부면에는 소비자가 다른 곳에 고정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부재(291)가 부착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20: 몰드 프레임 223, 224, 225: 제1, 제2, 제3 연장부
280: 바텀 섀시 282, 283, 284: 제4, 제5, 제6 연장부
410: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 600: 터치 패널
750: 액정 표시 패널

Claims (24)

  1.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 표시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둘러싸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을 안착 지지하는 바텀 섀시, 그리고
    상기 터치 패널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의 크기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크기보다 더 크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대응하는 패널 영역과 상기 패널 영역의 주변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둘러싸는 몸체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몰드 프레임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 연장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몸체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마주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1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섀시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을 안착 지지하는 몸체 및 상기 바텀 섀시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바텀 섀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섀시 연장부는
    상기 바텀 섀시의 몸체로부터 연장된 제4 연장부,
    상기 제4 연장부와 마주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5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4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6 연장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인 액정 표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서,
    상기 제4 연장부, 상기 제5 연장부 및 상기 제6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의 하부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제1 연결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4 연장부, 상기 제5 연장부 및 상기 제6 연장부에는 각각 복수 개의 개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각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각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바텀 섀시를 부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 및 상기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을 통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제3 연장부와 마주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몸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 사이로 절곡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는 고리 형상이며, 상기 바텀 섀시의 몸체에 끼워져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서브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서브 지지대는 ㄱ자 형상이고,
    상기 서브 지지대의 상부면이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서브 지지대의 측면이 제2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서브 지지대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서브 지지대의 상부면이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서브 지지대의 측면이 제2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서브 지지대의 하부면에 고정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6. 삭제
  17.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 표시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둘러싸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을 안착 지지하는 바텀 섀시, 그리고
    상기 터치 패널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의 크기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크기보다 더 크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대응하는 패널 영역과 상기 패널 영역의 주변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바텀 섀시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을 안착 지지하는 몸체 및 상기 바텀 섀시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바텀 섀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섀시 연장부는
    상기 바텀 섀시의 몸체로부터 연장된 제4 연장부,
    상기 제4 연장부와 마주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5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4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6 연장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4 연장부, 상기 제5 연장부 및 상기 제6 연장부인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 및 상기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을 통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몰드 프레임의 몸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칩 실장 필름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 사이로 절곡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21. 제20항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연결 부재는 고리 형상이며, 상기 바텀 섀시의 몸체에 끼워져 있는 액정 표시 장치.
  22. 제21항에서,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서브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3. 제22항에서,
    상기 서브 지지대는 ㄱ자 형상이고,
    상기 서브 지지대의 상부면이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서브 지지대의 측면이 제2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24. 제22항에서,
    상기 서브 지지대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서브 지지대의 상부면이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서브 지지대의 측면이 제2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서브 지지대의 하부면에 고정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30074855A 2013-06-27 2013-06-27 액정 표시 장치 KR102035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855A KR102035715B1 (ko) 2013-06-27 2013-06-27 액정 표시 장치
US14/253,483 US9594270B2 (en) 2013-06-27 2014-04-15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855A KR102035715B1 (ko) 2013-06-27 2013-06-27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70A KR20150002970A (ko) 2015-01-08
KR102035715B1 true KR102035715B1 (ko) 2019-10-24

Family

ID=5211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855A KR102035715B1 (ko) 2013-06-27 2013-06-27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94270B2 (ko)
KR (1) KR102035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9206B (zh) * 2014-08-19 2017-10-27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装配方法
TWI521277B (zh) * 2014-08-28 2016-02-11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JP2018004728A (ja) * 2016-06-28 2018-01-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接着方法
CN108604147A (zh) * 2017-01-05 2018-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终端组件及其粘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2390B2 (ja) 2001-11-09 2008-01-16 ミネベア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アッセンブリー
KR20030055856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필름 타입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4761736B2 (ja) 2004-08-20 2011-08-31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6227712A (ja) 2005-02-15 2006-08-31 Nec Infrontia Corp 電子機器
JP2007065855A (ja) 2005-08-30 2007-03-15 Optrex Corp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20070105659A (ko) 2006-04-27 2007-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08151898A (ja) 2006-12-15 2008-07-03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JP5038000B2 (ja) 2007-01-17 2012-10-03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液晶表示装置
KR101466029B1 (ko) * 2007-11-27 2014-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085243B1 (ko) 2008-03-27 2011-11-22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전자 장치 및 촉감형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KR20090130775A (ko) 2008-06-16 2009-12-24 주식회사 리즈 터치패널장치
KR20100039143A (ko) * 2008-10-07 2010-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이 장착된 액정표시장치
KR20120101381A (ko) 2009-11-11 2012-09-1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도전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52545B1 (ko) * 2010-02-10 2012-06-0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평판표시장치
KR102125906B1 (ko) * 2013-12-06 2020-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4270B2 (en) 2017-03-14
KR20150002970A (ko) 2015-01-08
US20150002757A1 (en)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906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395571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apparatus
US20170192596A1 (en) Electronic Device
KR20140132879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5022019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gitizer module for the same
US1001911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digitizer
JP2010237447A (ja) 表示装置
US9395759B2 (en) Protective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35715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436305B2 (en) Touch display apparatus
JP2008009225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71637A (ko) 표시장치
KR2016008365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8859B1 (ko) 터치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
US2014016853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005116A1 (en) Displays Having Substrate Ledge Support
US10216306B2 (en) Touch panel-equipped display device
KR101481966B1 (ko) 보정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터치 스크린 모듈 및 터치 스크린 모듈 제조 방법
US9483130B2 (en) Touch device
US95471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802326B2 (en) Terminal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100981630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3145398A (ja) 携帯電話装置
KR100926110B1 (ko) 터치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KR101509594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