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65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651A
KR20160083651A KR1020140196075A KR20140196075A KR20160083651A KR 20160083651 A KR20160083651 A KR 20160083651A KR 1020140196075 A KR1020140196075 A KR 1020140196075A KR 20140196075 A KR20140196075 A KR 20140196075A KR 20160083651 A KR20160083651 A KR 2016008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ndow
housing
display device
cov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083B1 (ko
Inventor
박지선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0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와 하우징의 조립 불량을 줄이고 방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면에 부착되고 테두리 영역과 상기 테두리 영역을 제외한 투과 영역으로 구분되는 커버 윈도우, 및 상기 커버 윈도우의 투과 영역 상에 마련된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윈도우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와 하우징의 조립 불량을 줄이고 방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및 모니터 등의 표시부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10),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 윈도우(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20)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30)에 의해 하우징(10)의 테두리 부분에만 부착되는데, 이때 커버 윈도우(20)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20)와 하우징(10)의 조립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커버 윈도우(20)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추세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우징(10)은 커버 윈도우(20)의 측면에서 본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딩 영역(BA)이 감소됨에 따라 커버 윈도우(20)와 하우징(10)의 조립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윈도우(20)의 두께가 얇아지고, 본딩 영역(BA)이 줄어듦으로 인해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의 도포 면적이 감소하여 방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커버 윈도우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와 하우징의 조립 불량을 줄이고 방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면에 부착되고 테두리 영역과 상기 테두리 영역을 제외한 투과 영역으로 구분되는 커버 윈도우, 및 상기 커버 윈도우의 투과 영역 상에 마련된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이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 윈도우의 측면을 감싸고, 이와 동시에 커버 윈도우의 상부면 테두리를 덮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와 하우징을 부착시키는 접착 부재의 본딩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와 하우징 간의 조립 불량을 줄이고 방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과 커버 윈도우 간의 본딩 영역을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액정 표시 패널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설명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기능층(600)을 커버 윈도우(500)의 투과 영역(TA)에만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워치 폰(Watch phone), 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사각 형태를 갖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스마트 폰은 사각 형태를 갖는 하우징(710)과, 상기 하우징(710)에 수납되는 사각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원 형태를 갖는 스마트 워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는 원 형태를 갖는 하우징(810)과, 상기 하우징(810)에 수납되는 원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면에는 커버 윈도우(720, 820)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윈도우(720, 820)의 상면에는 기능층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 윈도우(720, 820)는 강화 글라스(Glass), 투명 플라스틱, 또는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커버 윈도우(720, 82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 및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커버 윈도우(720, 820)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ethylenapthanate), 및 PNB(polynorborneen)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720, 820)는 긁힘과 투명도를 고려하여 상기 강화 글라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층은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정전기 방지층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문 방지층과 상기 커버 윈도우(720, 820) 사이에 반사 방지층 및 정전기 방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마련될 수 있다.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정전기 방지층은 기 공지된 바 있는 종래 기술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단, 기능층이 커버 윈도우(720, 820)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 기능층의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커버 윈도우(720, 820)와 하우징(710, 810)을 본딩하는 공정시 본딩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능층은 커버 윈도우(720, 820)의 상면에 구비되되, 하우징(710, 810)에 의해 커버 윈도우(720, 820)가 덮혀지는 영역에는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우징(710, 810)과 커버 윈도우(720, 820) 간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폰은 하우징(710, 810)이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 윈도우(720, 820)의 측면을 감싸고, 이와 동시에 커버 윈도우(720, 820)의 상부면 테두리를 덮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720, 820)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720, 820)와 하우징(710, 810)을 부착시키는 접착 부재(510)의 본딩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접착 부재(510)는 방수 기능과 접착 기능을 갖는 레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720, 820)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720, 820)와 하우징(710, 810) 간의 조립 불량을 줄이고 방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 윈도우(500), 상기 커버 윈도우(500)의 상면에 구비된 기능층(6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커버 윈도우(500)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커버 윈도우(500)의 상부면 테두리를 덮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300),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300)을 지지하는 미들 프레임(120), 상기 미들 프레임(120)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210), 및 상기 미들 프레임(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200)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300)은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화소 어레이를 갖는 화소 어레이 기판, 화소 어레이를 봉지하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 봉지층에 부착된 봉지 기판, 및 봉지 기판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갖는 화소 회로, 및 화소 회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패널(30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표시부를 갖는다.
미들 프레임(120)은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300)을 지지한다. 미들 프레임(120)은 내부에 배터리(210)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미들 프레임(120)의 배면에는 구동 시스템과 및 유기 발광 표시 패널(30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자 부품들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200)이 배치된다. 이러한 미들 프레임(120)의 배면에 배치되는 수납 공간은 하우징(110)의 배면 커버(미도시)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500)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urable resin)과 같은 투명 접착 부재(400)를 이용한 직접 본딩 공정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패널(300)의 상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편광 필름의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커버 윈도우(500)의 상부면은 상기 하우징(110)이 덮고 있는 테두리 영역(EA)과, 상기 테두리 영역(EA)을 제외한 투과 영역(TA)으로 구분된다. 즉, 커버 윈도우(500) 상에 부착되는 기능층(600)은 투과 영역(TA)에만 구비되고, 하우징(110)과 오버랩되는 영역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500)의 상부면 테두리에 하우징(110)을 본딩하는 공정이 용이해진다. 즉, 정전기 방지층과 같이 기능층(600)을 구성하는 필름들은 표면은 매끄럽기 때문에, 기능층(600)이 하우징(110)과 커버 윈도우(500) 간의 접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바, 하우징(110)과 커버 윈도우(500)가 접착되는 영역에는 기능층(600)이 제거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윈도우(500)의 상부면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윈도우(500)의 상부면은 테두리 영역(EA)과 투과 영역(TA) 간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테두리 영역(EA)의 높이는 투과 영역(TA)의 높이보다 낮게 설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500)의 테두리 영역(EA)과 하우징(110) 간의 본딩 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500)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500)와 하우징(110) 간의 조립 불량을 더 줄일 수 있으며, 방수 기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2)과, 상부 하우징(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2)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 및 상기 미들 프레임(120)이 적재된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112)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과 상기 미들 프레임(120)을 적재하는 바닥부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과 상기 미들 프레임(120) 각각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부를 구비한다.
상부 하우징(114)은 미들 프레임(120)의 측면과, 유기 발광 표시 패널(30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 커버와, 상기 측면 커버와 결합되고 커버 윈도우(500)의 테두리 영역(EA)을 덮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하우징(114)의 전면 커버는 접착 부재(510)에 의해 커버 윈도우(500)의 테두리 영역(EA)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114)은 방수층 또는 실링재로 구성된 접착 부재(510)에 커버 윈도우(500)의 테두리 영역(EA)과 본딩되는 바, 커버 윈도우(500)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500)와 하우징(110)의 조립 불량을 줄이고 방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패널(300) 대신, 액정 표시 패널(3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320)의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310)이 마련되며, 액정 표시 패널(320) 및 백라이트 유닛(310)은 미들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320)은 두 장의 기판들 사이에 구비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들은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필름 기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320)의 픽셀들은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픽셀들 각각의 액정 셀은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전압차에 따라 인가되는 전계에 의해 구동되어 입사광의 투과양을 조절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32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표시부를 갖는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310)은 액정 표시 패널(320)의 배면측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310)은 백라이트 구동부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다수의 광원들을 포함하여 액정 패널로 균일하게 광을 조사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310)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310) 또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31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10)의 광원은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ED(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기능층(600)을 커버 윈도우(500)의 투과 영역(TA)에만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b는 기능층(600)을 커버 윈도우(500)의 투과 영역(TA)에만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투과 영역(TA)과 테두리 영역(EA)으로 구분되는 커버 윈도우(500)를 마련한다. 이어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또는 마스크)를 마련하여, 상기 지그를 상기 커버 윈도우(500)의 테두리 영역(EA)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 커버 윈도우(500)의 테두리 영역(EA)은 지그에 의해 마스킹된다. 이어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영역(EA)을 제외한 투과 영역(TA) 상에 코팅 공정을 수행하여 기능층(600)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를 제거하여 커버 윈도우(500) 상에 기능층(600)을 형성하는 공정을 마친다. 한편, 상기 테두리 영역(EA)은 접착 부재(510)의 접착력을 고려하여 1 mm 보다 큰 폭을 갖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착 부재(510)가 부착되는 테두리 영역(EA)의 폭이 1 mm보다 얇을 경우, 접착력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사각 형태를 갖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커버 윈도우(500)의 일측이 특정 곡률을 갖고 라운딩됨으로써 밴딩부를 구?나다. 따라서, 플렉서블한 재질의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920)도 커버 윈도우(500)에 의해 특정 곡률을 갖고서 연장된 표시부(930)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표시부가 줄어들어 사용자에게 향상된 그립(grip)감을 제공할 수 있고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장된 표시부(93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윈도우(500)의 일측이 라운딩된 경우, 하우징(910; 112, 114)과 커버 윈도우(500) 간의 본딩 면적이 줄어들어 조립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더욱 커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12, 114)이 커버 윈도우(500)의 상부면 테두리와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운딩된 곡면을 포함한 상기 커버 윈도우(500)의 상부면은 상기 하우징(112, 114)이 덮고 있는 테두리 영역(EA)과, 상기 테두리 영역(EA)을 제외한 투과 영역(TA)으로 구분된다. 이때, 기능층(600)은 투과 영역(TA)에만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이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 윈도우의 측면을 감싸고, 이와 동시에 커버 윈도우의 상부면 테두리를 덮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와 하우징을 부착시키는 양면 테이프나 접착의 본딩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의 에지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와 하우징 간의 조립 불량을 줄이고 방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2: 하부 하우징
114: 상부 하우징
120: 미들 프레임
300: 유기 발광 표시 패널
400: 투명 접착 부재
500: 커버 윈도우
600: 기능층(지문 방지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및 정전기 방지 필름)

Claims (9)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면에 부착되고 테두리 영역과 상기 테두리 영역을 제외한 투과 영역으로 구분되는 커버 윈도우; 및
    상기 커버 윈도우의 투과 영역 상에 마련된 기능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커버 윈도우의 테두리 영역에 부착된 상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커버 윈도우의 테두리 영역을 덮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 윈도우의 테두리 영역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의 테두리 영역과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방수 층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투과 영역의 상부면과 단차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상부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지문 방지층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상기 지문 방지층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마련된 반사 방지층 및 정전기 방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특정 곡률로 마련된 밴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96075A 2014-12-31 2014-12-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9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6075A KR102329083B1 (ko) 2014-12-31 2014-12-3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6075A KR102329083B1 (ko) 2014-12-31 2014-12-3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651A true KR20160083651A (ko) 2016-07-12
KR102329083B1 KR102329083B1 (ko) 2021-11-19

Family

ID=5650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6075A KR102329083B1 (ko) 2014-12-31 2014-12-3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0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106A (ko) * 2016-07-28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랙시블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47987A (ko) * 2017-10-30 2019-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258017A (zh) * 2018-11-30 2020-06-09 深圳业际光电有限公司 一种带有光学式指纹识别组件的中框
US11785753B2 (en) 2020-09-28 2023-10-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529A (ko) * 2002-09-30 2004-04-03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1233A (ko) * 2009-08-25 201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20130061812A (ko) * 2011-12-02 2013-06-12 김영수 터치스크린 패널 보호용 필터
KR20140063228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529A (ko) * 2002-09-30 2004-04-03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1233A (ko) * 2009-08-25 201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20130061812A (ko) * 2011-12-02 2013-06-12 김영수 터치스크린 패널 보호용 필터
KR20140063228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106A (ko) * 2016-07-28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랙시블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47987A (ko) * 2017-10-30 2019-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258017A (zh) * 2018-11-30 2020-06-09 深圳业际光电有限公司 一种带有光学式指纹识别组件的中框
US11785753B2 (en) 2020-09-28 2023-10-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083B1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8435B2 (en) Mold-frame-fre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EP3112929B1 (en) Display
EP2527911B1 (en) Display
US10268086B2 (en) Electronic device
US873042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members
US9606659B2 (en) Touch display panel, touch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N204116762U (zh) 显示装置
US10539818B2 (en) Display device
CN108319074B (zh) 电子装置及其显示组件、背光模组
KR20140068735A (ko) 액정표시 장치
KR102174819B1 (ko) 표시장치
JP200923744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08445B (zh) 觸控顯示裝置及其防護鏡片與組裝方法
US20180107062A1 (en) Backlight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9395759B2 (en) Protective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3376571A (zh) 显示单元与电子装置及其组装方法
KR1023290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66615A (ko) 액정 표시 장치
EP3249453B1 (en) Display
US95942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40068734A (ko) 액정표시 장치
US9395477B2 (en) Display apparatus
CN203786693U (zh) 触控显示装置
KR20060084558A (ko) 평판표시패널의 유동을 방지하는 평판표시장치
KR10224508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