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625B1 -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 - Google Patents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625B1
KR102035625B1 KR1020190057454A KR20190057454A KR102035625B1 KR 102035625 B1 KR102035625 B1 KR 102035625B1 KR 1020190057454 A KR1020190057454 A KR 1020190057454A KR 20190057454 A KR20190057454 A KR 20190057454A KR 102035625 B1 KR102035625 B1 KR 102035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vable mold
movable
mold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일
Original Assignee
유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일 filed Critical 유명일
Priority to KR102019005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개방 시 성형된 코어 반제품과 금형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을 제공하는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은, 고정가압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고정금형; 고정금형과 마주하는 가동가압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사출성형기의 형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금형 측으로 진퇴하는 제 1 가동금형; 및 제 1 가동금형과 고정금형 사이에 배치되며, 합형 시 제 1 가동금형에 의해 고정금형에 밀착되고, 형 개방 시 제 1 가동금형과 함께 고정금형에서 분리되면서 성형된 코어 반제품을 인출하는 제 2 가동금형;을 포함하며, 고정금형과 제 2 가동금형 사이에는 형 개방 시 제 2 가동금형과 제 1 가동금형을 분리시키는 리턴 체인이 장착되되, 리턴 체인의 일단은 볼트를 매개로 고정금형의 양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은 볼트를 매개로 제 2 가동금형의 양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INJECTION MOLD FOR FORMING CORE SEMI-PRODUCT}
본 발명은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 반제품을 성형시키며, 성형이 완료된 코어 반제품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하는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최근 휴대형 전자기기의 경량화와 고기능화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발전함에 따라 그 구동 전원으로 사용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도 높다는 장점이 있어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양극과 음극이 적층된 구조로 제공되는데, 여기서 분리막은 다공성의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막으로서 리튬 이온이 활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리튬 이차 전지의 분리막으로는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계 단독, 또는 폴리올레핀계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시트(sheet) 또는 필름(film)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이렇게 시트 또는 필름 형태의 분리막은 원통형상의 코어(core)에 권취되어 사용처로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이 권취되는 코어를 나타낸 도면으로, 코어(10)는 통상의 사출성형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코어 반제품(1)을 성형시킨 후, 코어 반제품(1)을 기계적으로 다듬어 제조된다.
도 1의 (a)는 금형에서 경화되어 나온 코어 반제품을 나타낸 것으로, 코어 반제품(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관(2)과, 내측관(2)과 동심원을 이루는 외측관(3), 및 내측관(2)과 외측관(3)을 연결하는 보강날개(4)들이 일체화되도록 금형에서 경화되어 나온다.
또한, 코어 반제품(1)에는 융용물을 금형의 공동 측으로 안내하는 러너(runner)를 따라 경화된 버(5; burr)가 내측관(2)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나오는데, 이렇게 형성된 버(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관(2)의 일단을 폐쇄시키기 때문에 수작업을 통해 제거된다.
그리고 코어 반제품(1)은 버(5)가 제거된 내측관(2)의 내경부(5')를 다듬는 후가공과, 분리막이 권취되는 외측관(3)의 외주면 측을 다듬는 후가공을 거쳐 코어(10)로 제조된다.
여기서, 코어 반제품(1)에 대한 후가공은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CNC 선반)이 이용되며, 도 1의 (b)에는 코어 반제품(1)에 대한 후가공이 완료된 코어(1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사출성형기의 금형에서는 코어 반제품(1) 취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코어 반제품(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길이를 가지며, 외측관(3)의 외주면이 테이퍼(taper)로 되어 있지 않고 수평하기 때문에 금형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 금형의 이젝터 핀(ejector pin)의 작동으로는 코어 반제품(1)을 취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코어 반제품(1) 성형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 사출성형기의 금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발명을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4983 (등록일자: 2012. 05. 03)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3960 (등록일자: 2017. 06. 28)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98129 (등록일자: 2016. 02. 22)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형 개방 시 성형된 코어 반제품과 금형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출성형기의 고정가압판과 가동가압판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에 있어서,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은, 고정가압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고정금형; 고정금형과 마주하는 가동가압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사출성형기의 형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금형 측으로 진퇴하는 제 1 가동금형; 및 제 1 가동금형과 고정금형 사이에 배치되며, 합형 시 제 1 가동금형에 의해 고정금형에 밀착되고, 형 개방 시 제 1 가동금형과 함께 고정금형에서 분리되면서 성형된 코어 반제품을 인출하는 제 2 가동금형;을 포함하며, 고정금형과 제 2 가동금형 사이에는 형 개방 시 제 2 가동금형과 제 1 가동금형을 분리시키는 리턴 체인이 장착되되, 리턴 체인의 일단은 볼트를 매개로 고정금형의 양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은 볼트를 매개로 제 2 가동금형의 양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구체적으로, 고정금형에는 코어 반제품의 일단 측과, 코어 반제품의 일단 측과 이어지는 코어 반제품의 외측관의 외경부 일부를 성형시키는 제 1 성형공간부가 마련되되, 제 1 성형공간부는 가동가압판과 마주하는 고정금형의 일측면 상에서 대향하는 면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고, 고정금형에는 고정가압판으로부터 용융수지가 제 1 성형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게 런너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가동금형은 제 1 가동금형에서 고정금형 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핀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가동금형에는 외측관의 나머지부분과 외측관의 외경부와 어이지는 코어 반제품의 타단 일부분을 성형시키는 제 2 성형공간부가 마련되되, 제 2 성형공간부에는 형 개방 시 성형된 코어 반제품이 물린 상태로 고정금형의 제 1 성형공간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동금형에는 제 2 가동금형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합형 시 제 2 가동금형을 관통해 제 1 성형공간부 내부로 삽입되는 성형돌기부가 마련되되, 성형돌기부는 코어 반제품의 타단 나머지부분과 코어 반제품의 내측관, 보강날개 및 외측관의 내경부를 성형시키며, 제 2 가동금형에는 성형돌기부가 관통하는 성형돌기부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 개방 시 성형된 코어 반제품과 금형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코어 반제품의 취출이 용이하며, 그로 인해 코어 반제품 성형 작업을 멈춤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턴 체인들이 고정금형과 제 2 가동금형의 외부 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금형, 제 1 가동금형 및 제 2 가동금형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권취 코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이 장착된 사출성형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이 장착된 사출성형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100)은 통상의 사출성형기(20)에 장착되어 코어 반제품(1)을 성형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사출성형기(20)는 대략 호퍼(22)와, 호퍼(22)를 통해 공급되는 수지를 가열하고 용융시켜 사출노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사출하는 가열실린더(24)와, 사출노출을 통해 사출된 용융수지가 유입되는 고정가압판(26)과, 고정가압판(26)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가동가압판(28), 및 가동가압판(28)을 고정가압판(26) 측으로 진퇴시키는 형 체결장치(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100)은 고정가압판(26)과 가동가압판(28)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가압판(26)으로부터 유입되는 용융수지를 경화시켜 코어 반제품(1)으로 성형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을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100)은 고정금형(110)과, 제 1 가동금형(120), 및 제 2 가동금형(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금형(110), 제 1 가동금형(120) 및 제 2 가동금형(130)은 형 체결장치(30)의 작동에 의해 서로 형합되면서 그 내부에 코어 반제품(1)의 형상에 부합하는 캐비티(cavity)를 생성한다.
먼저, 고정금형(110)은 가동가압판(28)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고정가압판(26)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금형(110)과 고정가압판(26)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고정금형(110)은 코어 반제품(1) 성형 시 코어 반제품(1)의 일단 측과, 코어 반제품(1)의 일단 측과 이어지는 외측관(3)의 외경부 일부를 성형시킨다.
이를 위해서, 고정금형(110)에는 제 1 성형공간부(112)가 마련되는데, 제 1 성형공간부(112)는 가동가압판(28)과 마주하는 고정금형(110)의 일측면 상에서 대향하는 면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된다.
한편, 고정금형(110)에는 고정가압판(26)으로부터 용융수지가 제 1 성형공간부(112)로 유입될 수 있게 런너(114)가 형성된다.
여기서, 런너(114)는 제 1 성형공간부(112)의 중앙부와 고정가압판(26)을 연결할 수 있게 형성된다.
제 1 가동금형(120)은 고정금형(110)과 마주하는 가동가압판(28)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제 2 가동금형(130)은 제 1 가동금형(120)에 지지되어 고정금형(110)과 제 1 가동금형(12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가동금형(120)과 가동가압판(28)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2 가동금형(130)은 제 1 가동금형(120)의 4개의 모서리부분에서 고정금형(110)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가이드 핀(122)에 의해 지지되어 제 1 가동금형(120)과 고정금형(1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 2 가동금형(130)에는 가이드 핀(122)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가이드 핀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가이드 핀 관통공(132)과 마주하는 고정금형(110)에는 가이드 핀 삽입공(116)이 형성된다.
즉, 제 2 가동금형(130)을 지지하는 가이드 핀(122)의 연장단은 합형 시 고정금형(110)의 가이드 핀 삽입공(116)으로 삽입된다.
한편, 제 2 가동금형(130)은 코어 반제품(1) 성형 시 외측관(3) 외경부의 나머지부분과 외측관(3)의 외경부와 이어지는 코어 반제품(1)의 타단 측 일부를 성형시킨다. 그리고 제 1 가동금형(120)은 제 2 가동금형(130)과 함께 코어 반제품(1)의 타단 측 나머지부분을 형성시키며 동시에 코어 반제품(1)의 내측관(2), 외측관(3)의 내경부 및 보강날개(4)들을 성형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 2 가동금형(130)에는 제 2 성형공간부(134)가 마련되고, 제 1 가동금형(120)에는 성형돌기부(124)가 마련되는데, 제 2 성형공간부(134)는 고정금형(110)과 마주하는 제 2 가동금형(130)의 일측면 상에서 대향하는 면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며, 성형이 완료된 코어 반제품(1)은 제 2 가동금형(130)의 제 2 성형공간부(134)에 물린 상태로 고정금형(110)에서 인출된다.
여기서, 제 2 가동금형(130)의 제 2 성형공간부(134)의 침강 깊이는 형 개방 시 제 2 성형공간부(134)에 물린 코어 반제품(1)이 제 2 성형공간부(134)에서 빠지지 않을 최소한의 길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 2 성형공간부(134)의 침강 깊이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 2 가동금형(130)의 제 2 성형공간부(134)가 성형 시키는 코어 반제품(1)의 타단 측은 외측관(3)의 두께만큼을 성형시킨다.
그리고 제 1 가동금형(120)의 성형돌기부(124)는 제 2 가동금형(130)과 마주하는 제 1 가동금형(120)의 일측면 상에서 제 2 가동금형(130)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되, 합형 시 제 2 가동금형(130)을 관통해 고정금형(110)의 제 1 성형공간부(112)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제 2 가동금형(130)에는 성형돌기부(124)가 관통하는 성형돌기부 관통공(136)이 형성된다.
여기서, 성형돌기부(124)에는 제 1 성형공간부(112)로 유입된 용융수지가 안내되어 코어 반제품(1)의 내측관(2) 및 보강날개(4)을 성형시키게 하는 성형홈(126)이 형성되며, 성형돌기부(124)의 외경부는 코어 반제품(1)의 외측관(3) 내경부를 성형시킨다.
즉, 고정금형(110), 제 2 가동금형(130) 및 제 1 가동금형(120) 합형 시 용융수지는 런너(114)를 따라 제 1 성형공간부(112)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용융수지는 제 1 가동금형(120)의 성형돌기부(124)에 형성된 성형홈(126)을 거쳐 제 1 및 제 2 성형공간부(112, 134)와 성형돌기부(124)의 외경부 사이로 거동된 후 경화되어 코어 반제품(1; 도 1 참조)이 성형되게 한다.
한편, 제 1 가동금형(120)과 제 2 가동금형(130)에는 형 개방 시 제 2 가동금형(130)이 고정금형(110)에서 먼저 이격될 수 있게 제 2 가동금형(130)과 제 1 가동금형(120)을 일시적으로 고정시켜주는 고정구(128) 및 고정구(128)가 억지 끼움되는 고정관(138)이 형성된다,
고정구(128) 및 고정관(138)은 당업계에서는 공지의 기술로,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351707 호"에 개시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고정구(128)가 제 1 가동금형(120)에는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고정관(138)은 제 2 가동금형(130)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정금형(110)과 제 2 가동금형(130) 사이에는 탈형 시 고정구(128)와 고정관(138)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된 제 2 가동금형(130)과 제 1 가동금형(120)을 분리시켜주는 리턴 체인(140)들이 장착된다.
리턴 체인(14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볼트(bolt) 등을 매개로 고정금형(110)의 양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마찬가지로 리턴 체인(140)의 타단은 볼트(bolt) 등을 매개로 제 2 가동금형(130)의 양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형 개방 시 제 2 가동금형(130)은 제 1 가동금형(120)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금형(110)에서 분리되고, 고정구(128) 및 고정관(138)에 의해 제 2 가동금형(130)과 제 1 가동금형(120)은 서로 고정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리턴 체인(140)들이 팽팽해지는데, 이때 제 2 가동금형(130)은 이동이 억지되면서 제 1 가동금형(120)에서 분리된다.
여기서, 리턴 체인(140)은 통상의 와이어 로프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100)을 이용해 코어 반제품(1)을 성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금형(110), 제 2 가동금형(130) 및 제 1 가동금형(120)이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출성형기(20)의 형 체결장치(30)를 작동시켜 고정금형(110), 제 2 가동금형(130) 및 제 1 가동금형(120)을 합형시킨다(도 5 참조).
다시 말해, 형 체결장치(30)가 가동가압판(28)을 고정가압판(26) 측으로 이동시키면, 먼저 제 1 가동금형(120)은 제 2 가동금형(130)을 밀어 이동시키게 되고, 계속해서 제 1 가동금형(120) 및 제 2 가동금형(130)을 고정가압판(26) 측으로 이동시키면 제 2 가동금형(130)이 고정금형(110)에 밀착되는데, 이때 제 1 가동금형(120)의 고정구(128)들은 제 2 가동금형(130)의 고정관(138)에 억지 끼움되면서 제 1 가동금형(120)과 제 2 가동금형(130)은 밀착된다.
이렇게 고정금형(110), 제 2 가동금형(130) 및 제 1 가동금형(120)이 합형되면, 리턴 체인(140)의 일단과 타단은 그 사이가 가까워지면서 자중에 의해 지면 측으로 늘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금형(110), 제 2 가동금형(130) 및 제 1 가동금형(120)이 밀착되어 합형되면, 사출성형기(20)는 용융수지를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100) 내부의 캐비티 내로 유입시키는데, 용융수지는 고정가압판(26) 측에서 런너(114)를 따라 제 1 성형공간부(112)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용융수지는 제 1 가동금형(120)의 성형돌기(124)에 형성된 성형홈(126)을 거쳐 제 1 및 제 2 성형공간부(112, 134)와 성형돌기부(124) 사이로 거동된 후 경화되어 코어 반제품(1; 도 1 참조)이 성형되게 한다.
한편, 코어 반제품(1)의 성형이 완료되면, 형 체결장치(30)를 작동시켜 고정금형(110), 제 2 가동금형(130) 및 제 1 가동금형(120)을 탈형(형 개방) 시킨다(도 6 및 도 7 참조).
다시 말해, 형 체결장치(30)를 작동시켜 고정금형(110), 제 2 가동금형(130) 및 제 1 가동금형(120)을 개방시키면, 우선 제 2 가동금형(130)은 제 1 가동금형(120)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금형(110)에서 분리되는데, 이때 성형된 코어 반제품(1)은 제 2 가동금형(130)의 제 2 성형공간부(132)에 걸쳐진 상태로 고정금형(110)에서 인출된다(도 6 참조).
그리고 계속해서 형 체결장치(30)를 작동시키면, 고정구(128) 및 고정관(138)에 의해 제 2 가동금형(130)과 제 1 가동금형(120)은 서로 고정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리턴 체인(140)들이 팽팽해지면 제 2 가동금형(130)의 이동이 억지되는데, 이때 제 1 가동금형(120)은 제 2 가동금형(130)에서 분리된다(도 7 참조).
이렇게 제 2 가동금형(130)에서 제 1 가동금형(120)이 분리되면, 취출로봇(R)은 고정금형(110)과 제 2 가동금형(130) 사이로 이동하여 제 2 가동금형(130)에 걸쳐진 코어 반제품(1)을 취출해 낸다.
여기서, 취출로봇(R)을 이용한 코어 반제품(1)의 취출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코어 반제품(1)이 제 2 가동금형(130)에 최소한의 길이로 걸쳐져 있기 때문에 코어로봇(R)은 용이하게 코어 반제품(1)을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100)은 형 개방 시 성형된 코어 반제품(1)의 일부분이 제 2 가동금형(130)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걸쳐져 인출되기 때문에 코어 반제품(1)과 제 2 가동금형(13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코어 반제품(1)의 취출이 용이하며, 그로 인해 코어 반제품(1) 성형 적업을 멈춤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100)은 리턴 체인(140)들이 고정금형(110)과 제 2 가동금형(130)의 외부 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금형(110), 제 1 가동금형(120) 및 제 2 가동금형(130)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 110 : 고정금형
112 : 제 1 성형공간부 120 : 제 1 가동금형
124 : 성형돌기부 130 : 제 2 가동금형
134 : 제 2 성형공간부 140 : 리턴 체인

Claims (4)

  1. 사출성형기의 고정가압판과 가동가압판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은,
    상기 고정가압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고정금형;
    상기 고정금형과 마주하는 상기 가동가압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사출성형기의 형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금형 측으로 진퇴하는 제 1 가동금형; 및
    상기 제 1 가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 사이에 배치되며, 합형 시 상기 제 1 가동금형에 의해 상기 고정금형에 밀착되고, 형 개방 시 상기 제 1 가동금형과 함께 상기 고정금형에서 분리되면서 성형된 상기 코어 반제품을 인출하는 제 2 가동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금형과 상기 제 2 가동금형 사이에는 형 개방 시 제 2 가동금형과 상기 제 1 가동금형을 분리시키는 리턴 체인이 장착되되,
    상기 리턴 체인의 일단은 볼트를 매개로 상기 고정금형의 양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은 볼트를 매개로 상기 제 2 가동금형의 양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금형에는 상기 코어 반제품의 일단 측과, 상기 코어 반제품의 일단 측과 이어지는 상기 코어 반제품의 외측관의 외경부 일부를 성형시키는 제 1 성형공간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 1 성형공간부는 상기 가동가압판과 마주하는 상기 고정금형의 일측면 상에서 대향하는 면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금형에는 상기 고정가압판으로부터 용융수지가 상기 제 1 성형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게 런너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동금형은 상기 제 1 가동금형에서 상기 고정금형 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가동금형에는 상기 외측관의 나머지부분과 상기 외측관의 외경부와 어이지는 상기 코어 반제품의 타단 일부분을 성형시키는 제 2 성형공간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 2 성형공간부에는 형 개방 시 성형된 상기 코어 반제품이 물린 상태로 상기 고정금형의 제 1 성형공간부에서 인출되는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금형에는 상기 제 2 가동금형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합형 시 상기 제 2 가동금형을 관통해 상기 제 1 성형공간부 내부로 삽입되는 성형돌기부가 마련되되,
    상기 성형돌기부는 상기 코어 반제품의 타단 나머지부분과 상기 코어 반제품의 내측관, 보강날개 및 상기 외측관의 내경부를 성형시키며,
    상기 제 2 가동금형에는 상기 성형돌기부가 관통하는 성형돌기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


KR1020190057454A 2019-05-16 2019-05-16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 KR102035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454A KR102035625B1 (ko) 2019-05-16 2019-05-16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454A KR102035625B1 (ko) 2019-05-16 2019-05-16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625B1 true KR102035625B1 (ko) 2019-10-23

Family

ID=6846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454A KR102035625B1 (ko) 2019-05-16 2019-05-16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6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097A (ja) * 1996-10-22 1998-05-12 Mitsubishi Heavy Ind Ltd 射出成形機の成形品取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6264142A (ja) * 2005-03-24 2006-10-05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樹脂結合型磁石用組成物の射出成形用金型、それを用いた樹脂結合型磁石用組成物の成形方法、及び得られる樹脂結合型磁石
KR20100012384A (ko) * 2008-07-28 2010-02-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
KR20110115674A (ko) * 2010-04-16 2011-10-24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금형체결장치
KR101144983B1 (ko) 2010-05-19 2012-05-11 최진국 이차전지 분리막 권취용 abs 코어 생산설비
KR101598129B1 (ko) 2014-07-04 2016-02-26 주식회사 대림테크 런너 표준취출식 3단 사출금형
KR20160143401A (ko) * 2015-06-05 2016-12-14 김종현 3단 사출금형 및 3단 사출금형의 제품취출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097A (ja) * 1996-10-22 1998-05-12 Mitsubishi Heavy Ind Ltd 射出成形機の成形品取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6264142A (ja) * 2005-03-24 2006-10-05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樹脂結合型磁石用組成物の射出成形用金型、それを用いた樹脂結合型磁石用組成物の成形方法、及び得られる樹脂結合型磁石
KR20100012384A (ko) * 2008-07-28 2010-02-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
KR20110115674A (ko) * 2010-04-16 2011-10-24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금형체결장치
KR101144983B1 (ko) 2010-05-19 2012-05-11 최진국 이차전지 분리막 권취용 abs 코어 생산설비
KR101598129B1 (ko) 2014-07-04 2016-02-26 주식회사 대림테크 런너 표준취출식 3단 사출금형
KR20160143401A (ko) * 2015-06-05 2016-12-14 김종현 3단 사출금형 및 3단 사출금형의 제품취출방법
KR101753960B1 (ko) 2015-06-05 2017-07-06 김종현 3단 사출금형의 제품취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3445B1 (en) Injection mold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US6394779B1 (en) Molding tool for molding with cylindrical core
CN101035661A (zh) 可转换注射成型系统、设备和方法
EP2340923A1 (en) Method for producing injection molded product and injection molding die
US9962877B2 (en) Ring-shaped insert molded article
KR102035625B1 (ko) 코어 반제품 성형용 사출 금형
CN101557916A (zh) 热固性树脂制成的成型品的制造方法和注射成型装置
EP1927457A1 (en) Mold apparatus for molding hollow molded article and method of molding hollow molded article
CN103496125A (zh) 一种三通管模具的开模方法
KR100524232B1 (ko) 연료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
CN212288561U (zh) 一种注塑模具的平衡式快速顶出装置
WO2018173128A1 (ja) 中子及び成形装置並びに成形方法
CN105751436A (zh) 一种电视机塑料壳的注塑模具
KR102437845B1 (ko) 배터리 셀 커버의 제조방법
CN217621924U (zh) 一种tpv波纹软管的成型装置
KR102053621B1 (ko) 코어 반제품 가공용 지그
CN101003161A (zh) 模具
JPH06198670A (ja) 多材料射出成形方法及び多材料射出成形用金型
CN115027003A (zh) 一种管接头注塑模具及模内组装方法
CN110385828B (zh) 模具装置
CN113246418A (zh) 一种二次注塑短冷却快速生产方法
JP5350646B2 (ja) 成形品取出方法および射出成形装置。
JP2004066699A (ja) 射出成形金型装置
CN216860455U (zh) 一种改善模内嵌件易飞边或压伤的模具
WO2016072449A1 (ja) 単位積層ゴムの製造装置、および単位積層ゴ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