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033B1 -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033B1
KR102035033B1 KR1020120091590A KR20120091590A KR102035033B1 KR 102035033 B1 KR102035033 B1 KR 102035033B1 KR 1020120091590 A KR1020120091590 A KR 1020120091590A KR 20120091590 A KR20120091590 A KR 20120091590A KR 102035033 B1 KR102035033 B1 KR 102035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lay
power
motor
battery pack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674A (ko
Inventor
음영환
조세훈
이윤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033B1/ko
Priority to PCT/KR2013/007476 priority patent/WO2014030914A1/ko
Publication of KR2014002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1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al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4Preventing excessive dis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5Preventing over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0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limiting speed of change of electric quantities, e.g. soft switching on or of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5Current limitation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파워 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2파워 릴레이; 상기 제1파워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 를 포함하며, 상기 병렬 경로 상에는 저항성 소자만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경량화 및 소형화 가능하며, 운행중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긴급상황에서도 고전압 전원에 의해 릴레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원 차단 신뢰도가 우수한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을 고려한 자동차로서 하이브리드자동차 및 전기자동차가 주목받고 있다. 하이브리드자동차는 구동력원으로, 종래의 엔진 이외에 DC전원,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이 구동되어 구동력원을 제공하게 되고, 추가로 인버터가 DC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DC전압을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AC전압으로 변환하여 구동력원을 제공하게 된다. 전기자동차는 구동력원으로서, DC전원과 인버터뿐만 아니라 상기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한다.
차량에 탑재 가능하며, 주행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용 부품들은 소형화 및 경량화가 필수적이나, 부품들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서는 내전압 특성이 소자들이 사용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의해, DC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경우, 돌입전류 또는 과전류에 의해 릴레이등 내전압 특성이 낮은 소자들의 조기 소손 및/또는 융착이 발생하여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내전압 특성이 낮은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1-0051564호와 같이, 전력원과 변환기 간에 전류제한회로부를 구성하여 돌입전류로부터 소자들을 보호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차단 전류 제한 또는 전류 차단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부피가 크거나 고도로 복잡한 회로가 추가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1-00515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화 및 소형화 가능하며, 차량 운행중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긴급상황에서도 고전압 전원에 의해 릴레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원 차단 신뢰도가 우수한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전기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파워 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2파워 릴레이; 상기 제1파워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를 포함하며, 병렬 경로 상에는 저항성 소자만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있어, 저항성 소자는 저항(re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또는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는 능동소자; 또는 정특성 서미스터(PTC thermistor;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또는 부특성 서미스터(NTC thermistor;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를 포함하는 열가변 저항기(thermisto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배터리 팩의 +단과 제1파워 릴레이 사이에 전류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파워 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2파워 릴레이, 및 제1파워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병렬 경로 상에는 저항성 소자만이 구비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차량을 구동하는 상기 모터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은 상술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에 기반하여, 모터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는 구동상태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에 따라 응급상황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단계; 및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1파워릴레이를 차단(OFF)시켜, 배터리 팩과 모터 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병렬경로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2파워릴레이에 의해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류제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은 전류제한단계가 수행된 후,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제2파워릴레이를 차단(OFF)시켜 배터리 팩과 모터 간 전기적 개회로를 형성하는 개로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에 있어, 응급상황 기준 정보는 모터의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값인 고전류상태; 상기 고전류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인 유지시간; 및 상기 고전류상태와 상기 고전류유지시간에 의해 산출되는 전력량;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파워 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2파워 릴레이, 및 제1파워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성 소자의 배터리 팩 +단 측에 프리-차지 릴레이(pre-charge relay)가 직렬 구비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와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차량을 구동하는 상기 모터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작동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작동 방법은 상술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에 기반하여, 모터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는 구동상태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프리-차지 릴레이를 도통(ON)시켜, 구동상태에서 병렬 경로를 전류가 흐르는 저저항 경로로 제어하는 병렬경로형성단계; 모터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는 구동상태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에 따라 응급상황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단계; 및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1파워릴레이를 차단(OFF)시켜, 배터리 팩과 모터 간, 저저항 경로로 제어된 병렬경로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2파워릴레이에 의해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류제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작동 방법에 있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제2파워릴레이를 차단(OFF)시켜 배터리 팩과 모터 간 전기적 개회로를 형성하는 개로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작동 방법에 있어, 응급상황 기준 정보는 모터의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값인 고전류상태; 상기 고전류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인 유지시간; 및 상기 고전류상태와 상기 고전류유지시간에 의해 산출되는 전력량;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배터리 팩과 모터간의 파워 릴레이 선로에 전류 이동 가능한 경로를 제공하는 병렬 경로를 구성하고, 이러한 병렬 경로에 전류를 제한 할 수 있는 저항성 소자를 도입하여, 전기 자동차의 운행 중, 모터의 과부하등의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에너지 시스템 구성 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경량화 및 소형화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이고 높은 신뢰도로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내전압이 낮은 소자들의 손상이 방지되어, 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시스템 작동 방법은 배터리 팩과 모터간의 파워 릴레이 선로에 전류 이동 가능한 경로를 제공하는 병렬 경로를 구성하고, 전기 자동차의 운행 중, 모터의 과부하등의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전류 제한 단계 및 개로 형성단계를 통해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에 따라, 자동차 에너지 시스템 구성 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경량화 및 소형화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이고 높은 신뢰도로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내전압이 낮은 소자들의 손상이 방지되어, 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일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일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다른 일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 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일 순서도이며,
도 6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 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일 순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200 : 배터리 팩
300 : 모터 컨트롤 유닛 400 : 모터
10 : 제1파워릴레이 20 : 제2파워릴레이
30 : 저항성 소자 40 : 전류 센서
500 : 배터리 관리 시스템 50 : 프리-차지 릴레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전기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상술함에 있어, 전기자동차는 전기 모터에 의해 운행되는 자동차를 포함하며, 직렬식, 병렬식 또는 혼합식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전기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파워 릴레이; 배터리 팩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2파워 릴레이; 제1파워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를 포함하며, 병렬 경로 상에는 저항성 소자만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과 전기자동차를 구동하는 모터 사이에 구비되어, 배터리 팩의 전력을 모터로 선택적(ON/OFF)으로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팩이 파워 릴레이를 통해 모터와 바로 연결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모터 컨트롤 유닛이 배터리 팩의 전압 및 전류를 입력받아 모터의 정격 전압 및 전류로 변환시켜 모터에 공급함에 따라, 아래의 일 실시예를 기반한 설명에 있어, 파워릴레이가 배터리 팩과 모터 컨트롤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바로 모터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일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일 예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전력을 충전하여 모터에 공급하는 배터리 팩(200), 차량을 구동하는 차량 구동 모터(400) 및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컨트롤 유닛(MCU; Motor Control Unit)(300)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에서, 배터리 팩(200)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을 연결하며, 모터(400)에 인가되는 배터리 팩(200)의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전기 자동차에 배터리 팩(200), 차량 구동 모터(400) 및 모터 컨트롤 유닛(300)과 함께 구비되어, 모터 컨트롤 유닛(300)을 통해, 배터리 팩(200)의 전력이 차량 구동 모터(400)에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상세 회로도를 도시한 일 예이다.
도 2의 일 실시예와 같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배터리 팩(200)의 +단에 직렬 연결된 제1파워 릴레이(10); 배터리 팩(200)의 -단과 직렬 연결된 제2파워 릴레이(20); 제1파워 릴레이(10)의 양 단에 병렬 연결되어,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30);를 포함하며, 병렬 경로 상에는 저항성 소자(30)만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을 연결하는 제1파워 릴레이(10);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을 연결하는 제2파워 릴레이(20); 제1파워 릴레이(10)에 병렬 연결되어,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 사이에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30);를 포함하며, 병렬 경로 상에는 저항성 소자(30)만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전력의 모터(400) 인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1파워 릴레이(10) 및 제2파워 릴레이(20)와 함께, 제1파워 릴레이(10)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성 소자(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워 릴레이(10)의 병렬 경로에 경로를 개폐하는 스위치 또는 릴레이 소자가 형성되지 않으며, 저항성 소자(30)만으로 병렬 경로가 이루어짐에 따라, 병렬 경로는 제1파워 릴레이(10) 및/또는 제2파워 릴레이(20) 스위칭 상태(ON 또는 OFF 상태)와 무관하게, 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 모터(400)에 배터리 팩(200)의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제1파워 릴레이(10) 및 제2파워 릴레이(20)가 도통(ON)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 경로에는 제1파워 릴레이(10)에 병렬 연결된 저항성 소자(30)만이 구비되어, 병렬 경로를 개폐하는 스위치 소자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제1파워 릴레이(10) 및 제2파워 릴레이(20)에 의한 전류 경로와 함께, 병렬 경로에도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상세하게, 모터(400)에 배터리 팩(200)의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제1파워 릴레이(10) 및 제2파워 릴레이(20)가 차단(OFF)되어, 전류가 흐를 수 없는 상태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 경로는 모터(400)에 배터리 팩(200)의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병렬 경로를 개폐하는 스위치 소자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사이에 전류 흐름 가능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가 제1파워 릴레이(10)와 함께 배터리 팩(200)의 음의 단자와 연결된 제2파워 릴레이(20)를 포함함에 따라, 제2파워 릴레이(20)의 차단(OFF)에 의해, 배터리와 모터간의 폐회로가 형성되지 않아, 병렬 경로가 전류 흐름 가능한 경로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모터(4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파워 릴레이(10) 및 제2파워 릴레이(20)의 동작과 무관하게, 항상 전류 이동 가능한 경로를 제공하는 병렬 경로를 구성하고, 이러한 병렬 경로에 전류를 제한 할 수 있는 저항성 소자(30)를 도입하여, 전기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용자에 의한 모터의 구동 또는 정지가 아닌, 모터의 과부하등의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에너지 시스템 구성 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하게, 전기 자동차의 운전 중,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제1파워 릴레이(10) 및 제2파워 릴레이(20)은 도통(ON) 상태에 있으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기 자동차가 주행중에 있음에 따라, 다량의 전류가 제1 및 제2파워 릴레이를 통해 흐르는 상태이다.
이러한 운전 상태에서, 사용자의 지시와 무관하게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해야 하는 응급상황에서 제1파워 릴레이(10) 또는 제2파워 릴레이(20)를 차단(OFF)시키는 경우, 극심한 과전류가 발생하여 파워 릴레이를 포함하는 내 전압 특성이 낮은 소자들의 손상을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 상태에서도 항상 전류의 이동이 가능한 병렬 경로를 제공하고, 이러한 병렬 경로에 전류 제한 소자인 저항성 소자(30)를 도입함에 따라, 응급상황 발생시, 과전류에 의한 소자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부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 조건에 의해, 내전압 특성이 낮은 릴레이의 조기 소손 및 융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단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세하게, 운전 상태 중 응급상황 발생시, 저항성 소자(30)와 병렬 연결된 제1파워 릴레이(10)를 차단(OFF)하여, 저항성 소자(30)에 의한 병렬 경로와 제2파워 릴레이(20)가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하여 과전류를 제한하고, 저항성 소자(30)에 의한 과전류 제한이 이루어진 후, 제2파워 릴레이(20)를 차단(OFF)하여 배터리 팩(200)과 모터(400) 간의 전기적 개회로를 형성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있어, 저항성 소자(30)는 저항(re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또는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는 능동소자; 또는 정특성 서미스터(PTC thermistor;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또는 부특성 서미스터(NTC thermistor;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를 포함하는 열가변 저항기(thermistor)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다른 회로도를 도시한 일 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배터리 팩(200)의 +단과 제1파워 릴레이(10) 및 저항성 소자(30) 사이에 구비되는 전류 센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센서(40)는 배터리 팩(200)의 +단에서 제1파워 릴레이(10) 경로 및 병렬 경로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센서로, 후술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측정된 전류값을 제공하여, 배터리 관리 시스템 이 차량의 응급상황 발생 여부 즉, 차량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상태인지 아니면 응급상황이 발생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일 구성도를 도시한 예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은 배터리 팩(200)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파워 릴레이(10), 상기 배터리 팩(200)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2파워 릴레이(20), 및 제1파워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제1파워 릴레이(10)와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30)를 포함하며, 상기 병렬 경로 상에는 저항성 소자만이 구비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를 제어하여, 배터리 팩(200)으로부터 모터 컨트롤 유닛(및/또는 모터)(300)으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은 전력을 충전하여 모터에 공급하는 배터리 팩(200);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400); 차량 구동 모터(400)와 연결되어 모터(400)를 제어하는 모터 컨트롤 유닛(MCU; Motor Control Unit)(300); 배터리 팩(200)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 사이를 연결하는 상술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를 제어하여, 배터리 팩(200)으로부터 모터 컨트롤 유닛(및/또는 모터)(300)으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에 있어, 배터리 팩(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 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2차 전지가 직/병렬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모터 컨트롤 유닛(300)은 모터 컨트롤 유닛(30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40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400)에 인가함과 동시에, 배터리 팩(200)의 고전압의 전원을 모터(400) 특성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모터(40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일 예와 같이, 모터 컨트롤 유닛(300)은 서로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310) 및 인버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제1파워 릴레이(10)와 저항성 소자(30)가 병렬 연결되어 형성된 제1 노드가 캐패시터(310)의 일 단과 연결되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제2파워 릴레이(20)가 캐패시터(310)의 다른 단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에 있어, 차량의 운행 중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이 이러한 응급상황 발생을 감지 및 판단하고, 응급상황을 종료하기 위해 모터(4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에 있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에 따라 응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를 제어하여 모터(4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의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는 모터(400)의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값인 고전류상태; 상기 고전류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인 유지시간; 및 상기 고전류상태와 상기 고전류유지시간에 의해 산출되는 전력량;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전류상태는 모터(400)의 정격 전류를 기준으로 2배 이상의 전류값일 수 있으며, 유지시간은 2분 이내 일 수 있으며, 전력량은 모터(400)의 정격 전류를 기준한 2배 이상의 전류값과 2분 이내의 유지시간을 곱하여 산출되는 전력량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메모리에 기 저장된 고전류상태, 유지시간 및 전력량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정보를 기준으로, 응급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예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고전류상태 및 유지시간을 기준하거나, 전력량을 기준하여 응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일 예로, 고전류상태는 모터의 정격 전류를 기준으로 한 2배 내지 8배의 전류값일 수 있으며, 유지시간은 0.5초 내지 2분일 수 있으며, 전력량은 상기 고전류상태의 전류값과 유지시간을 곱한 양일 수 있다.
실질적인 일 예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에 구비될 수 있는 전류 센서(40)에서 측정된 배터리 팩(200)의 +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전류 센서(40)의 측정 전류값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측정 전류값이 응급상황 기준 정보의 전류 상태의 전류값과 같거나 큰 경우, 모터 과부하상태(응급상황 발생)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내장된 리얼타임클록(RTC; real time clock)에 의해, 과부하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러한 과부하상태가 응급상황 기준 정보에 저장된 값인 일정 기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질적인 일 예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에 구비될 수 있는 전류 센서(40)에서 측정된 배터리 팩(200)의 +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내장된 리얼타임클록(RTC; real time clock)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흐른 전류값을 누적하여 실 전력량을 산출하고, 이러한 실 전력량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발생의 기준이 되는 전력량을 비교하여, 기준 전력량보다 실 전력량이 같거나 큰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제1파워 릴레이(10)를 차단(OFF)시켜, 배터리 팩(200)과 모터(400) 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병렬경로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제2파워 릴레이(20)에 의해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류제한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에 있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응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제1파워 릴레이(10)를 차단시켜, 저항성 소자(30)에 의해 과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에 있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저항성 소자(30)의 병렬 경로에 의해 전류를 제한하는 동작이 수행된 후,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제2파워 릴레이(20)를 차단(OFF)시켜 배터리 팩(200)과 모터(400) 간 전기적 개회로를 형성하는 개로동작을 수행하여, 모터(400)에 공급되는 전력(배터리 팩의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은 상술한 배터리 팩(200), 모터 컨트롤 유닛(300), 모터(400)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과 함께, 외부 전력을 통해 배터리 팩을 충전하고, 배터리 팩 내의 셀 간의 전압차를 고르게 유지하여, 배터리가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균일화장치(BMS; Battery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 4를 기반으로 상술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400)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400)와 연결되어 모터(400)를 제어하는 모터 컨트롤 유닛(300)을 연결하는 제1파워 릴레이(10),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을 연결하는 제2파워 릴레이(20) 및 제1파워 릴레이(10)에 병렬 연결되어,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 사이에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30)를 포함하며, 병렬 경로 상에는 저항성 소자(30)만이 구비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를 제어하여, 배터리 팩(200)으로부터 모터 컨트롤 유닛(300)으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일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일 순서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은 모터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동 판단상태(s10); 차량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응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단계(s20) 및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한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전류제한단계(s3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구동 판단상태(s10); 응급상황 판단단계(s20) 및 전류제한단계(s30)가 수행된 후, 개회로를 형성하여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개로단계(s4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 모터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는 구동상태는 외부 구동 입력, 일 예로, 차량 사용자의 시동에 의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1파워 릴레이 및 제2파워 릴레이를 도통(ON)시켜, 배터리 팩의 전력이 모터 컨트롤 유닛을 통해 모터에 적합하도록 변형되어 모터에 인가되고, 모터가 구동되는 상태일 수 있다.
구동 판단상태(s1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제1파워 릴레이 및 제2파워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ON 또는 OFF)를 확인하여 제1파워 릴레이 및 제2파워 릴에이가 모두 도통상태인 경우, 구동중으로 판단하며, 제1파워 릴레이 및 제2파워 릴에이중 적어도 어느 한 릴레이가 차단(OFF)상태인 경우, 비구동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이 구동상태인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에 따라 응급상황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응급상황 판단단계(s2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비휘발성 메모리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를 바탕으로 응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는 모터(400)의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값인 고전류상태; 상기 고전류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인 유지시간; 및 상기 고전류상태와 상기 고전류유지시간에 의해 산출되는 전력량;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실질적인 일 예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에 구비될 수 있는 전류 센서(40)에서 측정된 배터리 팩(200)의 +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전류 센서(40)의 측정 전류값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측정 전류값이 응급상황 기준 정보의 전류 상태의 전류값과 같거나 큰 경우, 모터 과부하상태(응급상황 발생)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내장된 리얼타임클록(RTC; real time clock)에 의해, 과부하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러한 과부하상태가 응급상황 기준 정보에 저장된 값인 일정 기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질적인 일 예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에 구비될 수 있는 전류 센서(40)에서 측정된 배터리 팩(200)의 +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내장된 리얼타임클록(RTC; real time clock)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흐른 전류값을 누적하여 실 전력량을 산출하고, 이러한 실 전력량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발생의 기준이 되는 전력량을 비교하여, 기준 전력량보다 실 전력량이 같거나 큰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응급상황 판단단계(s20)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응급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도 5에 도시한 일 예와 같이 차량의 운행 상태(즉, 구동여부)를 판별하는 단계가 다시 수행될 수 있으며,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전류제한단계(s30)을 수행할 수 있다.
전류제한단계(s30)는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1파워릴레이를 차단(OFF)시켜, 배터리 모듈과 모터 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병렬경로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2파워 릴레이에 의해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병렬경로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2파워 릴레이의 폐회로가 형성되는 경우, 병렬경로의 저항성 소자(30)에 의해 모터 컨트롤 유닛 및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파워 릴레이 차단시의 과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류제한단계(s30)가 수행된 후, 개로단계(s40)가 더 수행될 수 있는데, 개로단계(s40)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저항성 소자(30)의 병렬 경로에 의해 전류를 제한하는 동작이 수행된 후,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제2파워 릴레이(20)를 차단(OFF)시켜 배터리 팩(200)과 모터(400) 간 전기적 개회로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러한 개로단계(s40)에 의해,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배터리 팩의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개로단계(s40)는 전류제한단계(s30)가 안정적으로 전류를 제한 한 후, 수행될 수 있다. 실질적인 일 예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에 구비될 수 있는 전류센서가 배터리 팩의 +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전류값을 측정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전류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류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측정된 전류값과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저항성 소자(30)에 의해 전류가 제한된 경우 갖게 되는 기준 전류값 정보를 비교하여, 측정된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 정보와 같거나 낮은 경우 전류제한단계(s30)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개로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있어,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저항성 소자(30)의 병렬 경로에 의해 전류를 제한하는 동작이 수행된 후, 제2파워 릴레이(20)를 차단(OFF)시켜 모터(4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킴에 따라, 응급상황 발생시, 과전류에 의한 소자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부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 조건에 의해, 내전압 특성이 낮은 릴레이의 조기 소손 및 융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단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일 구성도를 도시한 예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일 구성도의 예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은 도 4를 기반으로 상술한 에너지 시스템(I)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가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 에너지 시스템(II)에 구비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도 2 및 도 3을 기반으로 상술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병렬 경로에 저항성 소자(30)와 함께 프리-차지 릴레이(50)가 형성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너지 시스템(II)에 구비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400)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200)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파워 릴레이(10), 상기 배터리 팩(200)의 -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2파워 릴레이(20), 및 직렬 연결된 프리-차지 릴레이(pre-charge relay)(50)와 저항성 소자(30)가 제1파워 릴레이(10) 양 단에 병렬 연결되어, 병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차량을 구동하는 모터(400)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400)와 연결되어 모터(400)에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모터(400)를 제어하는 모터 컨트롤 유닛(300)을 연결하는 제1파워 릴레이(10),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을 연결하는 제2파워 릴레이(20) 및 제1파워 릴레이(10)에 병렬 연결되어,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 사이에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30)를 포함하며, 저항성 소자(30)의 배터리 팩(200) +단 측에 프리-차지 릴레이(pre-charge relay)(50)가 직렬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 시스템(II)에 구비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는 직렬 연결된 프리-차지 릴레이(50)와 저항성 소자(30)에 의해 병렬 경로가 형성되며, 배터리 팩의 +단 측에 프리-차지 릴레이(50)가 위치하며, 모터 컨트롤 유닛(300) 측에 저항성 소자(30)가 위치하여 병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에 있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를 제외한 구성은 상술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과 유사함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일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일 순서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작동 방법은 모터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동 판단상태(s10); 차량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형성단계(s15); 차량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응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단계(s20) 및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한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전류제한단계(s3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구동 판단상태(s10); 경로형성단계(s15); 응급상황 판단단계(s20) 및 전류제한단계(s30)가 수행된 후, 개회로를 형성하여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개로단계(s4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 모터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는 구동상태는 외부 구동 입력, 일 예로, 차량 사용자의 시동에 의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1파워 릴레이 및 제2파워 릴레이를 도통(ON)시켜, 배터리 팩의 전력이 모터 컨트롤 유닛을 통해 모터에 적합하도록 변형되어 모터에 인가되고, 모터가 구동되는 상태일 수 있다.
구동 판단상태(s1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제1파워 릴레이 및 제2파워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ON 또는 OFF)를 확인하여 제1파워 릴레이 및 제2파워 릴에이가 모두 도통상태인 경우, 구동중으로 판단하며, 제1파워 릴레이 및 제2파워 릴에이중 적어도 어느 한 릴레이가 차단(OFF)상태인 경우, 비구동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이 구동상태인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도 6을 기반으로 상술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프리-차지 릴레이(50)를 도통(ON)시켜 배터리 팩(200)의 +단과 모터 컨트롤 유닛(300)간의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병렬 경로를 형성(s15)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프리-차지 릴레이(50)를 도통(ON)상태로 유지하여, 운행 상태에서 항상 병렬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경로형성단계(s15)가 수행된 후,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과 유사하게,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에 따라 응급상황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과 유사하게, 응급상황 판단단계(s2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비휘발성 메모리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를 바탕으로 응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는 모터(400)의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값인 고전류상태; 상기 고전류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인 유지시간; 및 상기 고전류상태와 상기 고전류유지시간에 의해 산출되는 전력량;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전류제한단계(s30)는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1파워릴레이를 차단(OFF)시켜, 배터리 모듈과 모터 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병렬경로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2파워 릴레이에 의해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병렬경로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2파워 릴레이의 폐회로가 형성되는 경우, 병렬경로의 저항성 소자(30)에 의해 모터 컨트롤 유닛 및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파워 릴레이 차단시의 과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의 작동 방법과 유사하게, 전류제한단계(s30)가 수행된 후, 개로단계(s40)가 더 수행될 수 있는데, 개로단계(s40)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저항성 소자(30)의 병렬 경로에 의해 전류를 제한하는 동작이 수행된 후, 배터리 관리 시스템(500)은 제2파워 릴레이(20)를 차단(OFF)시켜 배터리 팩(200)과 모터(400) 간 전기적 개회로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러한 개로단계(s40)에 의해,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배터리 팩의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개로단계(s40)는 전류제한단계(s30)가 안정적으로 전류를 제한 한 후, 수행될 수 있다. 실질적인 일 예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에 구비될 수 있는 전류센서가 배터리 팩의 +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전류값을 측정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전류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류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측정된 전류값과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저항성 소자(30)에 의해 전류가 제한된 경우 갖게 되는 기준 전류값 정보를 비교하여, 측정된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 정보와 같거나 낮은 경우 전류제한단계(s30)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개로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응급상황 판단단계(s20)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동판단 단계(s10)가 다시 수행될 수 있는데, 구동판단 단계(s10)에서 차량이 구동중인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프리-차지 릴레이(50)의 스위치 상태(ON/OFF)를 확인하여, 프리-차지 릴레이(50)가 이미 도통된 상태인 경우, 응급상황 판단단계(s20)가 바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II)의 작동 방법에 있어, 차량 운전상태에서, 항상 프리-차지 릴레이를 도통(ON)시켜 병렬 경로가 형성되도록 유지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의 저항성 소자(30)의 병렬 경로에 의해 전류를 제한하는 동작이 수행된 후, 제2파워 릴레이(20)를 차단(OFF)시켜 모터(4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킴에 따라, 응급상황 발생시, 과전류에 의한 소자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부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 조건에 의해, 내전압 특성이 낮은 릴레이의 조기 소손 및 융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단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플러스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파워 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의 마이너스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2파워 릴레이;
    상기 제1파워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 및
    상기 제1파워 릴레이 및 상기 제2파워 릴레이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1파워 릴레이를 차단(OFF)시켜 상기 배터리 팩과 모터간 상기 병렬경로 및 상기 제2파워 릴레이에 의해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하여 과전류를 제한하는 전기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성 소자는 저항(re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또는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는 능동소자; 또는 정특성 서미스터(PTC thermistor;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또는 부특성 서미스터(NTC thermistor;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를 포함하는 열가변 저항기(thermistor)인 전기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플러스단과 상기 제1파워 릴레이 사이에 전류 센서가 더 구비되는 전기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4.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의 플러스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파워 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의 마이너스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2파워 릴레이, 및 제1파워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병렬 경로 상에는 저항성 소자만이 구비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차량을 구동하는 상기 모터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이며,
    모터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는 구동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에 따라 응급상황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단계; 및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1파워릴레이를 차단(OFF)시켜,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모터 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병렬경로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2파워릴레이에 의해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하여 과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제한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제2파워릴레이를 차단(OFF)시켜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모터 간 전기적 개회로를 형성하는 개로단계;가 더 수행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기준 정보는 모터의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값인 고전류상태; 상기 고전류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인 유지시간; 및 상기 고전류상태와 상기 고전류유지시간에 의해 산출되는 전력량;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정보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7.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의 플러스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파워 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의 마이너스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2파워 릴레이, 및 제1파워 릴레이에 병렬 연결되어, 병렬 경로를 형성하는 저항성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성 소자와 프리-차치 릴레이(pre-charge relay)가 직렬 구비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와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차량을 구동하는 상기 모터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이며,
    모터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는 구동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를 도통(ON)시켜, 상기 구동상태에서 상기 병렬 경로를 전류가 흐르는 저저항 경로로 제어하는 병렬경로형성단계;
    모터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는 구동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응급상황 기준 정보에 따라 응급상황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단계; 및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1파워릴레이를 차단(OFF)시켜,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모터 간, 상기 저저항 경로로 제어된 병렬경로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2파워릴레이에 의해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하여 과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제한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제2파워릴레이를 차단(OFF)시켜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모터 간 전기적 개회로를 형성하는 개로단계;가 더 수행되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기준 정보는 모터의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값인 고전류상태; 상기 고전류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인 유지시간; 및 상기 고전류상태와 상기 고전류유지시간에 의해 산출되는 전력량;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정보인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20091590A 2012-08-22 2012-08-22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35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590A KR102035033B1 (ko) 2012-08-22 2012-08-22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PCT/KR2013/007476 WO2014030914A1 (ko) 2012-08-22 2013-08-21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590A KR102035033B1 (ko) 2012-08-22 2012-08-22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74A KR20140025674A (ko) 2014-03-05
KR102035033B1 true KR102035033B1 (ko) 2019-10-23

Family

ID=5015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590A KR102035033B1 (ko) 2012-08-22 2012-08-22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5033B1 (ko)
WO (1) WO2014030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9968A (zh) * 2015-11-26 2017-06-06 河北优控新能源科技有限公司 基于安全策略的混合动力车辆高压互锁回路(hvil)设计
DE102017102937B4 (de) * 2017-02-14 2022-05-19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steuern von zwei seriell angeordneten Relais
KR102371194B1 (ko) 2017-04-07 2022-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차량 구동용 전력 공급 시스템
EP3421287B1 (en) * 2017-06-28 2023-03-29 Fico Triad, S.A. Battery 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 and/or hybrid vehicles
JP7064592B2 (ja) * 2017-12-28 2022-05-10 ユラ コーポレ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自動車用パワーリレーアセンブリ駆動装置及び方法
KR102087701B1 (ko) * 2017-12-28 2020-03-1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2087702B1 (ko) * 2017-12-28 2020-03-1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2601987B1 (ko) * 2018-07-18 2023-11-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스마트 pra의 차단 방법 및 그 스마트 pra
JP2020150629A (ja) * 2019-03-12 2020-09-17 株式会社竹内製作所 作業用車両の直流給電回路
KR102395239B1 (ko) * 2020-06-10 2022-05-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전 전압을 제어하여 과충전을 방지하는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회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698A (ja) * 2001-03-09 2002-09-18 Sanyo Electric Co Ltd 電流検出装置
JP2010193691A (ja) * 2009-02-20 2010-09-02 Yaskawa Electric Corp 電動車両のインバータ装置及びその保護方法
KR101000160B1 (ko) * 2008-12-02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스위치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387A (ko) * 2003-08-05 2005-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모터 콘트롤 유닛 보호 회로장치
JP2009044914A (ja) * 2007-08-10 2009-02-26 Toyota Motor Corp 電源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モータ駆動装置
KR101053741B1 (ko) 2009-11-10 2011-08-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돌입 전류 제한 회로
KR20120081824A (ko) * 2011-01-12 2012-07-20 (주)브이이엔에스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698A (ja) * 2001-03-09 2002-09-18 Sanyo Electric Co Ltd 電流検出装置
KR101000160B1 (ko) * 2008-12-02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스위치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JP2010193691A (ja) * 2009-02-20 2010-09-02 Yaskawa Electric Corp 電動車両のインバータ装置及びその保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74A (ko) 2014-03-05
WO2014030914A1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033B1 (ko)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9130383B2 (en) Charging/discharging control device, battery pack, electrical equipment, and charging/discharging control method
JP6155569B2 (ja) 電源システム
TWI625910B (zh) 鋰離子二次電池之保護電路及電池組
US9893343B2 (en) Battery pack and electric device
JP5061935B2 (ja) 電池パック
EP2079142B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a thermal protection circuit
CN101145686B (zh) 电动工具
US11450895B2 (en) Electric tool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electric tool
US20100277845A1 (en) Circuit Apparatus for Protecting a Pre-Charge Resistance Using an Interlock Switch
JP4936227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を用いた電動工具
CN104935026B (zh) 具有电池组电池和限流电路的电池组电池装置和相应方法
TW200529532A (en) Protection methods, protection circuits and protective devices for secondary batteries, a power tool, charger and battery pack adapted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fault conditions in the battery pack
JP2010193588A (ja) 電源装置
JP5966727B2 (ja) 電源システム
JP2009005559A (ja) 電池パック
JP5277711B2 (ja) 電源装置及び車両用電源装置
US20150180091A1 (en) Accumulator battery protected against external short-circuits
JP6922530B2 (ja) 電池パック
KR101546046B1 (ko) 전동카트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및 방법
JP6734468B2 (ja) バッテリー逆電圧防止システム及び方法
JP6733581B2 (ja) 電池パック
JP2010148252A (ja) 故障診断回路、及び電池パック
KR102529199B1 (ko) 대용량 배터리용 제어전원 보호 시스템 및 보호 방법
JP2007242448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