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632B1 -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632B1
KR102034632B1 KR1020170082610A KR20170082610A KR102034632B1 KR 102034632 B1 KR102034632 B1 KR 102034632B1 KR 1020170082610 A KR1020170082610 A KR 1020170082610A KR 20170082610 A KR20170082610 A KR 20170082610A KR 102034632 B1 KR102034632 B1 KR 102034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user
providing system
butt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135A (ko
Inventor
박정신
나승균
Original Assignee
캐시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시워크(주) filed Critical 캐시워크(주)
Priority to KR102017008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6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보행을 포함하는 동작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동작에서 보행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보행량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버튼을 로딩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캐시를 적립하도록 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센싱은 보상 제공 시스템의 백그라운드에서 상시 수행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상 제공 시스템의 잠금화면에서 보행 히스토리만을 로딩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화면에서 상기 버튼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 주 광고는 로딩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A REWARD SYSTEM BASED ON WALKING}
본 발명은 보상 또는 혜택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보행에 기반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심장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의 성인 질환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에 의한 불안감,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이 만연해 있으며, 영양 과다와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까지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WHO는 지난 2013년 3월 보고서에서 "1980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2배로 늘었다"며 "2008년 기준 남성 2억명, 여성 3억명이 비만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건강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몸에 무리를 주지 않는 걷기 운동은 많은 사람들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걷기는 특별한 장비나 경제적인 투자 없이도 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유산소 운동이다. 따라서 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 노약자, 임산부 그리고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을 포함한 거의 모든 이들이 하기 쉬운 운동이며,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 및 체지방률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효과가 뛰어나다. 이때, 운동을 위한 걷기는 일상생활에서의 걷기와 약간 차이가 있어야 한다. 운동으로서의 걷기는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하되, 천천히 걷기부터 시작하여 경쾌하면서도 약간 빠르게 해야 효과가 있다.
그러나 걷기 운동은 특별한 재미요소가 없어 싫증을 내기 쉽기 때문에 운동효과를 얻을 만큼 오랜 시간 걷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며, 꾸준히 지속적으로 걷기 운동을 유지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이에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통하여 운동속도, 운동거리, 칼로리 등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거나, 이미 이동한 경로를 표시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걷기 운동의 지루함을 극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조작의 불편함과 목표의식, 흥미유발 등의 부재로 인해 꾸준하고 지속적인 걷기 운동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걷기 운동에 대한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는 재미와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고, 목표설정이 용이한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1177호(2010. 07. 1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의 동기 부여 및 광고 노출 효과를 극대화한 보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보행을 포함하는 동작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동작에서 보행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보행량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버튼을 로딩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캐시를 적립하도록 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센싱은 보상 제공 시스템의 백그라운드에서 상시 수행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상 제공 시스템의 잠금화면에서 보행 히스토리만을 로딩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화면에서 상기 버튼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 주 광고는 로딩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보상 제공 시스템은 광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버튼 선택 시에 표시부가 주 광고가 로딩하도록 보상 제공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버튼을 표시부가 로딩한 경우에 부 광고를 잠금화면에 로딩하도록 보상 제공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된 저장부 또는 SNS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저장부 또는 SNS 서버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를 호출하여 캐시를 적립하거나 대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스텝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GPS 및 마이크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싱된 값은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GPS 및 마이크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수집한 센싱값으로부터 보행 데이터를 산출하는 보행연산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행연산모듈은 보행 데이터 산출 시 보상 제공 시스템의 정책 서버에서 전송받은 연산 방법을 반영하고, 상기 연산 방법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센싱값수집모듈, 버튼로딩모듈, 광고로딩모듈, SNS연동모듈 및 보행오류수정 모듈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히스토리표시모듈, 버튼표시모듈, 및 광고표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아이템 로딩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GPS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지리정보맵 상의 사용자 동선을 추출하고, 상기 아이템 로딩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동선 진행 방향 상에 가상의 아이템을 로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버튼입력부, 정보입력부, 캐시소비부 및 SNS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행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 잠금화면에 버튼을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운동 동기 부여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캐시 적립이 가능해지고, 이와 함께 주 광고의 노출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의 혜택 및 광고주의 광고 노출이라는 모두의 이익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서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입력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주 광고가 표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에서의 잠금화면에서 부 광고가 표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에서 캐시를 적립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를 호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센서부, 제어부, 표시부 및 입력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100)은 일정 걸음 수에 도달하면 단말기 잠금화면에서 버튼이 표시되고 이러한 버튼을 선택하여 캐시를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버튼의 선택에 따라 잠금화면에서 주 광고도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추가적인 특징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100)은 센서부(10), 제어부(20), 표시부(30), 및 입력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100)은 시스템서버(200) 및 광고서버(3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SNS 서버(400) 등으로 연결된 다른 사용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행과 관련된 연산 정책을 포함하는 정책 서버(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10)는 사용자의 보행을 포함하는 동작을 센싱하는데 스텝센서(11), 가속도센서(21), 자이로센서(13), GSP(14), 마이크(15)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동작 센싱은 보상 제공 시스템의 백그라운드에서 상시 수행된다. 즉, 대기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서도 센싱이 이루어져 지속적 동작 또는 보행 센싱을 가능토록 한다.
스텝센서(11)는 가속도센서 또는 자이로센서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걸음 수를 측정하는 센서이고, 최근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에서 그 채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에서는 스텝센서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는 한정하지 않는다.
가속도센서(12)는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보행과 관련된 동작을 측정하는 경우에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 중의 다양한 동작에 구애 받지 않고 걸음 수를 획득하기 위해 검출 알고리즘을 구성한다.
가속도센서(12)는 지표면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측정하는데, 물체의 움직임을 세밀하게 측정할 수 없고 속 운동하는 물체에 대해서는 측정할 수 있는 것이 없으므로 자이로센서(13)가 ‘각속도’를 측정하여 얻은 정보를 가지고 기울기를 측정하여 보행 동작 측정의 정합성을 높이도록 한다.
GPS는 위치 정보 이동에 따라 보행을 센싱하거나 추후 설명할 제어부가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아이템을 로딩하여 사용자가 이를 획득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마이크(15)는 사용자의 옷 속이나 가방 속 등에 단말기가 배치된 경우 보행이 이루어지면 주기적인 마찰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기적 마찰음을 측정하여 보행 센싱의 정합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은 센싱한 센싱값을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GPS 및 마이크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보정하여 보행 인식 오류를 현저하게 개선함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어플리케이션으로 공개되는 보행관련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손으로 단말기를 흔드는 경우 등을 보행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은 스텝센서의 오류를 가속도센서가 보정하고, 등속 운동인 경우의 오류를 자이로센서 또는 GPS가 보정하고, 다시 마이크가 주기적인 마찰음의 획득에 따라 보행 상태임으로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20)는 센싱된 사용자의 동작에서 보행량(보행 데이터)을 산출하는데, 센싱값은 센싱값수집모듈(21)에 의해 입수되고, 보행 데이터는 보행연산모듈(22)이 도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100)은 보행과 관련된 연산 방법을 정책 서버(500)에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보행 데이터는 보행연산모듈(22)이 도출하는데, 도출과 관련된 알고리즘의 변경은 정책 서버(500)의 정책 변경에 따라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연산모듈(22)은 보행 데이터 산출 시 보상 제공 시스템의 정책 서버(500)에서 가장 최근에 전송받은 연산 방법을 반영하게 된다. 이에, 보행 감지 오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보행 특징에 따른 다양한 보상 기회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20) 버튼로딩모듈(23), 광고로딩모듈(24), SNS연동모듈(25) 및 보행오류수정모듈(2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버튼로딩모듈(23)은 사용자의 보행이 설정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버튼을 로딩하도록 한다. 버튼은 후술할 표시부의 버튼표시모듈(32)이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상 제공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보행수가 설정값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버튼을 로딩하고 사용자가 입력부(40)에 의해 버튼을 터치 등의 방법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만 혜택을 누리는 가상 화폐인 캐시가 적립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에 따른 입력 단계와 표시 단계를 더욱 늘려 광고 기회가 현저하게 증대되도록 하여 광고주의 광고 노출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고, 사용자의 새로운 경험를 도출함에 현저하게 기여할 수 있다.
광고로딩모듈(24)은 광고서버(300)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노출할 광고를 로딩한다. 그런데, 광로로딩모듈(24)은 사용자가 상기한 버튼을 두드리는 등의 행위로 선택하는 경우에만 주 광고를 노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하여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하나의 목적인데, 광고로딩모듈(24)은 광고를 시스템의 표시부 전반에 표시하는 주 광고와 표시부의 가장자리에 표시하는 부 광고로 구별하여, 주 광고의 경우에는 사용성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리도록 표시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표시되도록 한다.
그러나, 광고로딩모듈(24)은 부 광고는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표시되도록 하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리지 않도록 표시되도록하여 사용자의 사용성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광고 노출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SNS연동모듈(25)는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된 저장부(미도시) 또는 SNS 서버(400)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를 호출하여 캐시를 적립하거나 대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 보행오류수정모듈(26)은 상기한 보행 관련 센싱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한 보정을 통합 제어한다.
한편, 표시부(30)는 히스토리표시모듈(31), 버튼표시모듈(32), 및 광고표시모듈(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표시부(30)는 상기한 SNS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SNS정보표시모듈(34), 시스템 관련 사항을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알려주는 알라밍모듈(35), 및 아이템로딩모듈(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히스토리표시모듈(31)은 전술한 센싱값수집모듈(21)이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보행연산모듈(22)이 연산한 보행 데이터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총 걸음수, 소모열량, 시간, 거리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표시되는 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 제공 시스템은 우선적으로 표시부가 잠금 화면(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메인 화면 진입 전 1차 턴온 된 화면 상태)에서 이러한 보행 히스토리 데이터만을 표시한다. 즉, 버튼표시모듈(32)은 버튼로딩모듈(23)의 제어에 따라 잠금화면에서 버튼을 로딩하는데, 사용자가 버튼을 터치 등으로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히스토리표시모듈(31)이 오직 보행 히스토리 데이터만을 표시하고 주 광고는 로딩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운동 효과와 관련된 운동 히스토리만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캐시 획득을 위해 버튼을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의 추가 동작을 요하는 행위이므로 결국 운동만을 위해 집중하는 상태가 아니라 판단하여 이 경우에는 캐시 획득과 함께 광고표시모듈(33)이 주 광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보상 및 광고주의 광고 노출 양자 모두 만족하도록 한다. 이때 부 광고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과 무관하게 버튼이 로딩된 경우에 잠금화면의 가장 자리에(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리지 않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GPS(14)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 제어부(20)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지리 정보맵 상의 사용자 동선을 추출하게 되는데, 이때 아이템 로딩 모듈(36)은 사용자의 동선 진행 방향 상에 가상의 아이템을 로딩하여 표시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운동 중에 표시장치를 열람하는 경우에 전방에 표시된 가상의 아이템과 가까워짐을 알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동기 유발 또는 광고주의 부가 광고를 가능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입력부(40)는 버튼입력부(41), 정보입력부(42), 캐시소비부(43), SNS선택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버튼입력부(41)는 잠금화면에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캐시가 적립되도록 하거나 주 광고가 노출되도록 한다고 전술한 바 있다. 정보입력부(42)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또는 기타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캐시소비부(43)은 적립된 캐시를 사용하도록 아이템을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SNS선택부(44)는 사용자의 인적 네트워크에 포함된 타인을 선택하여 본 시스템에 접속하거나 대전 등의 기능을 함께 하도록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보행히스토리(31)의 하단에 출력된 버튼(32)을 선택하고 이에 캐시가 적립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주 광고가 표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에서의 잠금화면에서 광고가 표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의 주 광고(C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에서와 같은 사용자의 버튼 선택을 전제하여 출력되고, 도 8에서의 부 광고(C2)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과 무관하게 출력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에서 캐시를 적립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를 호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SNS(44) 또는 저장된 연락처 상의 제3자(44')를 호출하여 보행 기반 SNS로서 확대 적용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보상 제공 시스템
10: 센서부
11: 스텝센서
12: 가속도센서
13: 자이로센서
14: GPS
15: 마이크
20: 제어부
21: 센싱값수집모듈
22: 보행연산모듈
23: 버튼로딩모듈
24: 광고로딩모듈
25: SNS연동모듈
26: 보행오류수정모듈
30: 표시부
31: 히스토리표시모듈
32: 버튼표시모듈
33: 광고표시모듈
34: SNS정보표시모듈
35: 알라밍모듈
36: 아이템로딩모듈
40: 입력부
41: 버튼입력부
42: 정보입력부
43: 캐시소비부
44: SNS선택부

Claims (12)

  1.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보행을 포함하는 동작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동작에서 보행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보행량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에만 버튼을 로딩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캐시를 적립하도록 하는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센싱은 보상 제공 시스템의 백그라운드에서 상시 수행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상 제공 시스템의 잠금화면에서 보행 히스토리만을 로딩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화면에서 상기 버튼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 주 광고는 로딩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상 제공 시스템은 광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버튼을 표시부가 로딩한 경우에 부 광고를 잠금화면에 로딩하도록 보상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주 광고는 표시부의 전반에 표시되고, 상기 부 광고는 표시부의 가장자리에 표시되며,
    상기 센싱부는 스텝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GPS 및 마이크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센싱된 값은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GPS 및 마이크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보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수집한 센싱값으로부터 보행 데이터를 산출하는 보행연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행연산모듈은 보행 데이터 산출 시 보상 제공 시스템의 정책 서버에서 전송받은 연산 방법을 반영하고, 상기 연산 방법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된 저장부 또는 SNS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저장부 또는 SNS 서버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를 호출하여 캐시를 적립하거나 대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싱값수집모듈, 버튼로딩모듈, 광고로딩모듈, SNS연동모듈 및 보행오류수정 모듈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히스토리표시모듈, 버튼표시모듈, 및 광고표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아이템 로딩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GPS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지리정보맵 상의 사용자 동선을 추출하고, 상기 아이템 로딩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동선 진행 방향 상에 가상의 아이템을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버튼입력부, 정보입력부, 캐시소비부 및 SNS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KR1020170082610A 2017-06-29 2017-06-29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KR102034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10A KR102034632B1 (ko) 2017-06-29 2017-06-29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10A KR102034632B1 (ko) 2017-06-29 2017-06-29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35A KR20190002135A (ko) 2019-01-08
KR102034632B1 true KR102034632B1 (ko) 2019-11-08

Family

ID=6502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610A KR102034632B1 (ko) 2017-06-29 2017-06-29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6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952A (ko) 2022-04-04 2023-10-11 엑서마인 주식회사 미션 제공 기능을 활용한 운동 보상형 운영 플랫폼
KR20240031458A (ko) 2022-08-29 2024-03-08 엑서마인 주식회사 디지털 id가 적용된 운동장치를 활용한 운동 보상형 운영 플랫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18B1 (ko) 2019-01-29 2020-11-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센서 기반 보행상태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292087B1 (ko) * 2019-07-09 2021-08-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걸음 기반 보상 적립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102450736B1 (ko) * 2021-11-03 2022-10-05 이영규 메타버스를 이용하는 셀프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714A (ko) * 2011-07-26 2013-0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보폭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94374A (ko) * 2013-01-22 2014-07-30 부산대학교기술지주주식회사 잠금 화면을 이용한 모바일 광고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6709A (ko) * 2014-09-25 2016-04-05 (주)플라잉마운틴 걷기 운동 활성화를 위한 걷기 운동 보조시스템
KR20170023633A (ko) * 2015-08-24 2017-03-06 김윤혁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보상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하늘다래. "갤럭시 S4활용 - S 헬스, ChatOn, Samsung Hub". 블로그. [2017년 12월 26일 검색], <URL: http://seeit.kr/1263>(2013.06.12) 1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952A (ko) 2022-04-04 2023-10-11 엑서마인 주식회사 미션 제공 기능을 활용한 운동 보상형 운영 플랫폼
KR20240031458A (ko) 2022-08-29 2024-03-08 엑서마인 주식회사 디지털 id가 적용된 운동장치를 활용한 운동 보상형 운영 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35A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632B1 (ko)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JP5923857B2 (ja) 活動量計
US10886016B2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600451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output method, and program
US20160174910A1 (en) Biological exercise information display processing device and biological exercis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40135592A1 (en) Health band
US20110131005A1 (en) Mobile recording apparatus, body movement measur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vement pattern determining apparatus, activity amount calculat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body movement measur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ovement pattern determining method, activity amount calculating met
JP4521040B2 (ja) 消費カロリ測定装置及び消費カロリ測定方法
JP5440434B2 (ja) 体重管理装置
CN104126184A (zh) 用于包括训练计划的自动个人训练的方法和系统
JP5853533B2 (ja) 体重管理装置
US20160022199A1 (en) Physical condition presentation apparatus, physical condition presentation system, presented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presented information output program
JP2018023681A (ja)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JP5736823B2 (ja) 体重管理装置
US201700558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ength of an object using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36709A (ko) 걷기 운동 활성화를 위한 걷기 운동 보조시스템
JP2010165088A (ja) 歩数計、および歩数の計測方法
JP2022003542A (ja) 肌状態のケアに関する情報出力システム
JP2018023680A (ja)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JP2018025517A (ja)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JP2012085889A (ja) 活動量計
US20140243711A1 (en)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JP5237482B1 (ja) 歩数計
KR102242325B1 (ko)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건강관리용 웨어러블기기와 건강관리앱을 추천하는 방법.
US116388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