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880B1 -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880B1
KR102033880B1 KR1020190094919A KR20190094919A KR102033880B1 KR 102033880 B1 KR102033880 B1 KR 102033880B1 KR 1020190094919 A KR1020190094919 A KR 1020190094919A KR 20190094919 A KR20190094919 A KR 20190094919A KR 102033880 B1 KR102033880 B1 KR 102033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orking body
support rod
fixtur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익
Original Assignee
김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익 filed Critical 김동익
Priority to KR1020190094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2Machine tools for performing different machin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mounted on a 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호 프레임의 단부에 단턱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일단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창호 프레임이 놓여지는 제1 작업본체와, 상기 제1 작업본체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의 타단부가 놓여지는 제2 작업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작업본체와 제2 작업본체 각각에는 창호 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작업본체는 외주를 따라 톱날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창호 프레임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가공날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은 고정구에 의해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날이 이동하며 일단을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하여 일단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Processing apparatus for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호 프레임의 단부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가공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프레임은 창호의 상단과 하단, 좌우 양측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각각의 프레임은 적절한 길이와 형태로 가공된 후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틀을 형성하고, 상기 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유리 등이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창호 프레임은 용도나 결합방식에 따라, 양단 또는 일단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가공되기도 하는데, 창호 프레임을 가공하는 다양한 장치가 존재하나, 양단 또는 일단에 단턱을 형성할 수 있는 적합한 가공장치가 없어 현재 수작업으로 가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공된 단턱 부분이 일정치 않아 품질이 저하되며, 단턱을 가공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6445호 '창호 프레임 가공 머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호 프레임의 단부에 단턱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는 일단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창호 프레임이 놓여지는 제1 작업본체와, 상기 제1 작업본체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의 타단부가 놓여지는 제2 작업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작업본체와 제2 작업본체 각각에는 창호 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작업본체는 외주를 따라 톱날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창호 프레임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가공날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은 고정구에 의해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날이 이동하며 일단을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하여 일단에 단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은 타단이 제2 작업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놓여지되, 상기 제2 작업본체는 외주를 따라 톱날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창호 프레임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가공날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은 일단에 단턱이 형성된 후, 제2 작업본체에 구비된 가공날이 이동하여 타단을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하여 타단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작업본체와 제2 작업본체 각각에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안착구가 구비되어, 상기 안착구에 상기 창호 프레임의 저면과 후면이 맞닿도록 놓여지되, 상기 고정구는 안착구의 전방에 구비되어 창호 프레임의 전면(前面)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제1 고정구와, 상기 안착구의 상측에 구비되어 창호 프레임의 상면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제2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구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창호 프레임의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고정구는 창호 프레임에서 가공날이 지나는 지점과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창호 프레임의 절삭이 이루어지는 높이 및 깊이를 가지는 통과홈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구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이 창호 프레임의 상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고정구는 창호 프레임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창호 프레임의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면에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작업본체 및 2 작업본체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수직으로 배치되어 창호 프레임의 끝단 측에 맞닿을 수 있는 지지봉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은 작업자에 의해 끝단 측이 지지봉에 맞닿도록 놓아진 후, 고정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작업본체 및 제2 작업본체는 각각 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지지봉고정판과, 상기 지지봉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내측에 구비되고 지지봉고정판에 고정되는 지지봉가이드가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봉고정판에는 복수 개의 지지봉가이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가이드는 볼트에 의해 지지봉고정판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봉고정판은 수평방향으로 볼트의 머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관통할 수 있는 이동홀이 형성되어, 지지봉가이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가공날의 하방에 위치하고 지지봉고정판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모터와 지지봉고정판은 연결대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연결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작업본체와 제2 작업본체는 각각 창호 프레임이 놓여지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측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구 및 제1 고정구는 작업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구는 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작업본체와 제2 작업본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지면에 설치되는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 프레임은 고정구에 의해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가공날이 이동하며 일단을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하는바, 창호 프레임의 단부에 단턱을 일정하게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창호 프레임을 생산할 수 있으며 수작업으로 단턱을 형성하는 것보다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창호 프레임의 일단에 단턱을 형성한 후, 창호 프레임을 움직이지 않더라도 타단에 단턱을 형성할 수 있어, 양단에 단턱이 형성된 창호 프레임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적용되는 제1 작업본체 또는 제2 작업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적용되는 제2 작업본체에 가공될 창호 프레임이 놓여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적용되는 제1 작업본체에 가공될 창호 프레임이 놓여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적용되는 제2 작업본체에서 가공될 창호 프레임이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적용되는 제1 작업본체에서 가공될 창호 프레임이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적용되는 제1 작업본체에 구비된 가공날에 의해 창호 프레임의 단부가 가공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되어 창호 프레임의 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창호 프레임의 단부에 단턱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일단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창호 프레임이 놓여지는 제1 작업본체와, 상기 제1 작업본체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의 타단부가 놓여지는 제2 작업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작업본체와 제2 작업본체 각각에는 창호 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작업본체는 외주를 따라 톱날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창호 프레임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가공날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은 고정구에 의해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날이 이동하며 일단을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하여 일단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업본체(A)와, 제1 작업본체(A)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작업본체(B)를 포함한다. 제1 작업본체(A)에는 창호 프레임(1)의 일단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놓여지고, 제2 작업본체(B)에는 창호 프레임(1)의 타단부가 놓여진다. 따라서,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은 창호 프레임(1)의 길이보다 짧게 이격된다.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창호 프레임(1)의 단부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작업본체(A) 또는/및 제2 작업본체(B)가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지면에 설치되는 레일(80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공할 창호 프레임(1)의 길이를 고려하여 창호프레임(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1 작업본체(A) 또는/및 제2 작업본체(B)를 레일(80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레일(8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표시되어, 창호 프레임(1)의 길이를 고려하여 창호 프레임(1)이 놓여지기 전에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는 각각 창호 프레임(1)이 놓여지는 작업대(600)와, 작업대(60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는 커버(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작업대(600)는 상면 가장자리, 즉 인접한 작업본체와 가까운 가장자리에 창호 프레임(1)이 놓여지는 안착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구(300)는 일 예로,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창호 프레임(1)은 이러한 안착구(300)에 저면과 후면이 맞닿도록 놓여질 수 있다.
커버(700)는 작업대(60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창호 프레임의 가공시 하방으로 이동되어 작업대(600)의 상측을 덮음으로써 발생되는 분진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커버(700)가 하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창호 프레임(1)이 제1 작업본체(A)의 작업대(600)와 제2 작업본체(B)의 작업대(600)에 놓여진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커버(700)는 종단면이 하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제1 작업본체(A)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작업본체(B)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거울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 모두 도 2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 각각에는 창호 프레임(1)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100)가 구비되며, 고정구(100)는 창호 프레임(1)이 가공되는 동안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구(100)는 안착구(3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창호 프레임(1)의 전면(前面)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제1 고정구(110)와, 안착구(3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창호 프레임(1)의 상면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제2 고정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구(110)는 안착구(300)와 함께 작업대(6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고정구(120)는 커버(7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안착구(300)에 저면과 후면이 맞닿도록 놓여진 창호 프레임(1)은 후방으로 이동된 제1 고정구(110)에 의해 전후방향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하방으로 이동된 제2 고정구(120)에 의해 상하방향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제1 고정구(110)는 일 예로, 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창호 프레임(1)의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공이 이루어지는 창호 프레임(1)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 고정구(110) 부분은 후술할 가공날(210)이 이동함에 있어 간섭되지 않아야 하는바, 제1 고정구(110)는 창호 프레임(1)에서 가공날(210)이 지나는 지점과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창호 프레임(1)의 절삭이 이루어지는 높이 및 깊이를 가지는 통과홈(111)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공날(210)은 창호 프레임(1)의 끝단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통과홈(111)의 내측을 지나가게 되는바, 제1 고정구(110)에 간섭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과홈(111)은 제1 고정구(110)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나, 가공날(210)의 종류, 창호 프레임(1)에서 가공하고자 하는 지점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고정구(120)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이 창호 프레임(1)의 상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구(120)는 창호 프레임(1)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 고정구(120)에 따른 창호 프레임(1)의 고정으로 인해 오히려 창호 프레임(1)이 비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창호 프레임(1)의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안착구(300)와 동일선 상에서 창호 프레임(1)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작업본체(A) 및 제2 작업본체(B)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수직으로 배치되어 창호 프레임(1)의 끝단 측에 맞닿을 수 있는 지지봉(410)이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봉(410)은 작업자가 창호 프레임(1)을 안착구(300)에 놓임에 있어 적절한 위치를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창호 프레임(1)은 작업자에 의해 끝단 측이 지지봉(410)에 맞닿도록 놓아진 후, 고정구(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봉(410)은 고정구(100)에 의한 고정 전,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 모두에서 창호 프레임(1)의 끝단 측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가공이 이루어질 창호 프레임(1)의 끝단의 반대편이 위치하는 작업본체에만 지지봉(41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봉(410)은 지지봉고정판(420)과 지지봉가이드(430)에 의해 제1 작업본체(A) 및 제2 작업본체(B)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봉고정판(420)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창호 프레임(1)보다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봉가이드(430)는 지지봉(410)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내측에 구비되고 지지봉고정판(4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지지봉고정판(420)에는 복수 개의 지지봉가이드(430)가 고정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창호 프레임(1)의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 지지봉가이드(430)의 내측에 구비된 지지봉(410)이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봉가이드(430)는 지지봉고정판(420)에 결합됨에 있어 볼트(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봉고정판(420)은 수평방향으로 볼트(10)의 머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관통할 수 있는 이동홀(4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 개의 지지봉가이드(430)를 적절한 위치로 조절한 후 볼트(10)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봉(410)과 고정구(100)를 통해 고정된 창호 프레임(1)의 끝단에 단턱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작업본체(A)는 가공날(210)이 내측에 구비된다. 가공날(210)은 외주를 따라 톱날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모터(220)에 의해 회전하며 창호 프레임(1)을 향해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창호 프레임(1)은 고정구(100)에 의해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날(210)이 이동하며 일단을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하여 일단에 단턱이 형성된다.
더불어, 창호 프레임(1)의 타단이 제2 작업본체(B)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놓여지도록 하여, 제2 작업본체(B)에서도 창호 프레임(1)의 타단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작업본체(B)도 외주를 따라 톱날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모터(220)에 의해 회전하며 창호 프레임(1)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가공날(210)이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창호 프레임(1)은 제1 작업본체(A)에서 일단에 단턱이 형성된 후, 제2 작업본체(B)에 구비된 가공날(210)이 이동하여 타단을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하여 타단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작업본체(A) 또는/및 제2 작업본체(B)에 구비되는 모터(220)는 가공날(2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지지봉고정판(42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모터(220)와 지지봉고정판(420)은 연결대(500)에 의해 일체를 이룰 수 있으며, 연결대(50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작업본체의 내측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인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창호 프레임(1)이 가공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 프레임(1)은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안착되도록 놓여진다. 이때, 가공이 이루어질 단부의 반대편 단부가 위치하는 작업본체,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업본체(B)에서는 지지봉(410)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창호 프레임(1)의 양단이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에서 어느 정도의 지점까지 내측에 위치하여야 하는지 가이드될 수 있다.
이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는 커버(700)가 작업대(600)를 향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작업본체(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41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지지봉가이드(430)의 내부로 들어가고, 제1 고정구(110)와 제2 고정구(120)가 창호 프레임(1)을 향해 이동되어 창호 프레임(1)의 타단부를 고정시킨다. 또한, 제1 작업본체(A)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구(110)와 제2 고정구(120)가 창호 프레임(1)을 향해 이동되어 창호 프레임(1)의 일단부를 고정시킨다.
창호 프레임(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날(210)이 창호 프레임(1)을 향해 이동하며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하여 창호 프레임(1)의 끝단에 단턱을 형성한다. 이후, 커버(70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구(110)와 제2 고정구(120)가 창호 프레임(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고정이 해제되어 작업자가 가공된 창호 프레임(1)을 본 발명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된 창호 프레임(1)의 끝단은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창호 프레임(1)의 일단에만 단턱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일단과 타단 모두에 단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가공날(210)에 의해 끝단이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되는바, 창호 프레임(1)의 단부에 단턱을 일정하게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창호 프레임(1)을 생산할 수 있으며 수작업으로 단턱을 형성하는 것보다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 제1 작업본체 B : 제2 작업본체
1 : 창호 프레임 10 : 볼트
100 : 고정구 110 : 제1 고정구
111 : 통과홈 120 : 제2 고정구
210 : 가공날 220 : 모터
300 : 안착구
410 : 지지봉 420 : 지지봉고정판
421 : 이동홀 430 : 지지봉가이드
500 : 연결대 600 : 작업대
700 : 커버 800 : 레일

Claims (11)

  1. 일단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창호 프레임(1)이 놓여지는 제1 작업본체(A)와, 상기 제1 작업본체(A)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1)의 타단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놓여지는 제2 작업본체(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 각각에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안착구(300)와, 창호 프레임(1)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100)가 구비되고, 외주를 따라 톱날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모터(220)에 의해 회전하며 창호 프레임(1)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가공날(210)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1)은 안착구(300)에 저면과 후면이 맞닿도록 놓여지고 고정구(100)에 의해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작업본체(A)에 구비된 가공날(210)이 이동하며 일단을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하여 일단에 단턱이 형성된 후, 제2 작업본체(B)에 구비된 가공날(210)이 이동하여 타단을 소정의 높이 및 깊이만큼 절삭하여 타단에 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구(100)는 안착구(3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창호 프레임(1)의 전면(前面)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제1 고정구(110)와, 상기 안착구(3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창호 프레임(1)의 상면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제2 고정구(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구(110)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창호 프레임(1)의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되면서, 창호 프레임(1)에서 가공날(210)이 지나는 지점과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창호 프레임(1)의 절삭이 이루어지는 높이 및 깊이를 가지는 통과홈(111)이 함입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 작업본체(A) 및 2 작업본체(B)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수직으로 배치되어 창호 프레임(1)의 끝단 측에 맞닿을 수 있는 지지봉(410)과, 각각 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지지봉고정판(420)과, 상기 지지봉(410)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내측에 구비되고 볼트(10)에 의해 지지봉고정판(420)에 결합되는 지지봉가이드(430)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1)은 작업자에 의해 끝단 측이 지지봉(410)에 맞닿도록 놓아진 후 고정구(10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지지봉고정판(420)에는 복수 개의 지지봉가이드(430)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봉고정판(420)은 수평방향으로 볼트(10)의 머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관통할 수 있는 이동홀(421)이 형성되어, 지지봉가이드(4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지면에 설치되는 레일(80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구(12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이 창호 프레임(1)의 상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고정구(120)는 창호 프레임(1)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창호 프레임(1)의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20)는 가공날(2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지지봉고정판(42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모터(220)와 지지봉고정판(420)은 연결대(50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연결대(50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본체(A)와 제2 작업본체(B)는 각각 창호 프레임(1)이 놓여지는 작업대(600)와, 상기 작업대(60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는 커버(700)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구(300) 및 제1 고정구(110)는 작업대(600)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구(120)는 커버(7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94919A 2019-08-05 2019-08-05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KR102033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19A KR102033880B1 (ko) 2019-08-05 2019-08-05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19A KR102033880B1 (ko) 2019-08-05 2019-08-05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880B1 true KR102033880B1 (ko) 2019-10-17

Family

ID=6842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919A KR102033880B1 (ko) 2019-08-05 2019-08-05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88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01U (ja) * 1993-06-22 1995-01-20 川崎製鉄株式会社 鋼材の面取り装置
KR20030036477A (ko) * 2003-04-10 2003-05-09 동국유리판매(주) 창틀의 홈 형성장치
JP2006046365A (ja) * 2004-07-30 2006-02-16 Tokyo Weld Co Ltd クランプ機構
KR101415939B1 (ko) * 2013-10-22 2014-07-04 (주)나노텍 절단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컷팅기
KR101568253B1 (ko) * 2015-05-22 2015-11-11 김범수 창틀 중간프레임의 절단 및 연마장치
KR101657048B1 (ko) * 2014-12-23 2016-09-13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편 절단용 클램핑 장치
KR101896445B1 (ko) 2018-04-30 2018-09-07 김광수 창호 프레임 가공 머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01U (ja) * 1993-06-22 1995-01-20 川崎製鉄株式会社 鋼材の面取り装置
KR20030036477A (ko) * 2003-04-10 2003-05-09 동국유리판매(주) 창틀의 홈 형성장치
JP2006046365A (ja) * 2004-07-30 2006-02-16 Tokyo Weld Co Ltd クランプ機構
KR101415939B1 (ko) * 2013-10-22 2014-07-04 (주)나노텍 절단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컷팅기
KR101657048B1 (ko) * 2014-12-23 2016-09-13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편 절단용 클램핑 장치
KR101568253B1 (ko) * 2015-05-22 2015-11-11 김범수 창틀 중간프레임의 절단 및 연마장치
KR101896445B1 (ko) 2018-04-30 2018-09-07 김광수 창호 프레임 가공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234B1 (ko) 칩 제거용 툴이 구비된 밀링 머신
KR102058750B1 (ko) 공작기계
KR101934947B1 (ko) 다축 홀 가공장치
KR102033880B1 (ko) 창호 프레임 가공장치
IT201600084338A1 (it) Macchina e metodo per la foratura di pannelli di legno o simili
KR200477560Y1 (ko) 우드 블라인드 절단장치
US20200206976A1 (en) Combined cutting and bevelling machine for slabs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US2109061A (en) Woodworking machine
US20090065096A1 (en) Moulder
CN209394164U (zh) 数控激光切割机
KR102406419B1 (ko) 면취기
KR101362931B1 (ko) 절단기
KR200480386Y1 (ko) 가공물 가공장치
CN215033948U (zh) 一种用于锯床加工的多功能铣床
JPH11129098A (ja) 金属シートパネルの製造機械
CN210172701U (zh) 窗框铝型材切割设备
KR100496310B1 (ko) 금속판재 가공장치
CN113732371A (zh) 一种发动机瓦盖去毛刺设备
US1482631A (en) Woodworking machine
JP4623444B1 (ja) トムソン刃の溝削り加工装置
CN108202365B (zh) 用于工件的棱边加工的机床
KR102596342B1 (ko) 피가공물 클램핑 시스템
KR200446435Y1 (ko) 목자재 대패장치
CN218614530U (zh) 一种锯刀机构及锯切机床
CN215880059U (zh) 一种切削稳定的铣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