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447B1 - 무동력 공 수집기 - Google Patents

무동력 공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447B1
KR102033447B1 KR1020180104462A KR20180104462A KR102033447B1 KR 102033447 B1 KR102033447 B1 KR 102033447B1 KR 1020180104462 A KR1020180104462 A KR 1020180104462A KR 20180104462 A KR20180104462 A KR 20180104462A KR 102033447 B1 KR102033447 B1 KR 102033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guide
guide pipe
lifting
collection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일
경필현
김승겸
김지현
오동준
오성민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4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공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 제1 베어링이 끼움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제1 및 제2 회전판과, 가이드 부재의 외경에 끼움결합된 제2 베어링의 외경에 장착된 파이프 행거와, 파이프 행거에 양단이 결합된 손잡이 프레임을 구비한 수집 드럼과,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 사이를 연결하되, 제1 및 제2 회전판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이격하여 설치되며 복수의 비즈가 장착된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를 통과하여 수집 드럼 내측으로 포집되는 공이 안착되며, 수집 드럼에 회전에 연동되어 위치가 변화하면서 공을 상승시키는 리프팅 부재와, 제1 및 제2 회전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리프팅 부재에서 낙하하는 공이 안착되고, 안착되는 공을 수집통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및 수집 드럼의 외측에 구비되어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공이 수용되는 수집통을 포함하는 무동력 공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잡이 프레임을 파지한 상태로 수집 드럼을 밀기만 하면, 바닥에 떨어진 공들이 수집 드럼 내부로 포집되는 동시에 수집 드럼 외측에 구비된 수집통 내부로 공들이 안내되어 회수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없이 바닥에 떨어진 공이 연속하여 포집 및 회수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공 수집기{Non powered ball collector}
본 발명은 공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동력없이 바닥에 떨어진 공을 연속하여 포집 및 회수할 수 있는 무동력 공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여가 활용 및 체력 단련을 위한 스포츠 중에서도 레저 기능을 갖는 테니스, 탁구, 골프 및 야구 등과 같은 소형의 공을 사용하는 레포츠는 비교적 인기가 높은 종목으로 주변에서도 많은 연습장 또는 교습장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이러한 연습장 또는 교습장에서는 많은 수의 공이 사용되기 때문에 연습하거나 교습 받은 후에는 많은 공들이 바닥에 흩어진 상태로 산재해 있게 되는데, 대부분의 교습장이나 연습장에서는 바닥에 산재해 있는 공들을 사람이 직접 수거하기 위해 매번 상체를 구부리거나 앉아서 하나씩 바구니에 수거하게 된다.
이렇게 바닥에 흩어진 많은 수의 공을 수거하기 위하여 장시간 반복적으로 허리를 숙여 손으로 직접 집어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피로감을 느끼게 됨은 물론 그 수집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공의 수거 방식은 상체를 구부리거나 앉아서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고, 바닥에 수없이 널려진 공들을 수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효과적인 연습을 할 수 없으므로 신속하게 공을 수거할 수 있는 수집기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5825호(2004.04.13. 공고)에는 '테니스공 수집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테니스공이 공집게원반 사이에 끼어 올라가면, 공유도판이 공을 탈거시켜 공수집통으로 낙하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허리를 굽히지 않아 체력적 안배가 가능하며, 무동력이기 때문에 관리가 편할 뿐만 아니라 동력 장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운 장점이 있다. 하지만, 테니스공 크기에 맞춰 수집하는 방식으로 잘못 수집시, 공이 기계 사이에 끼어서 공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공이 빠져나와 공수집통 안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공이 끼어서 수집이 안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5825호(2004년 04월 13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드럼을 밀기만 하면, 바닥에 떨어진 공들을 드럼 내부로 포집하는 동시에 드럼 외측에 구비된 수집통 내부로 공들을 안내하여 이를 회수할 수 있는 무동력 공 수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무동력 공 수집기로서,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제1 베어링이 끼움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제1 및 제2 회전판과, 하기 가이드 부재의 외경에 끼움결합된 제2 베어링의 외경에 장착된 파이프 행거와, 상기 파이프 행거에 양단이 결합된 손잡이 프레임을 구비한 수집 드럼, 상기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 사이를 연결하되, 제1 및 제2 회전판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이격하여 설치되며 복수의 비즈가 장착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수집 드럼 내측으로 포집되는 공이 안착되며, 수집 드럼에 회전에 연동되어 위치가 변화하면서 공을 상승시키는 리프팅 부재, 상기 제1 및 제2 회전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리프팅 부재에서 낙하하는 공이 안착되고, 안착되는 공을 하기 수집통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수집 드럼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공이 수용되는 수집통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부재는, 상기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제1 및 제2 회전판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이격하여 복수 배치된 리프팅 바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팅 바 는, 상기 공이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반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팅 부재는, 상기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제1 및 제2 회전판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리프팅 와이어 및 상기 리프팅 와이어에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리프팅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의 내경에 끼움결합된 제1 가이드 파이프 및 상기 제1 가이드 파이프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집 드럼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가이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파이프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이며, 상기 제2 가이드 파이프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파이프는, 상기 제2 가이드 파이프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파이프는, 상기 리프팅 부재에서 낙하하는 공을 제1 가이드 파이프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제1 가이드 파이프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각각 상향 경사진 한쌍의 유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집통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파이프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 프레임을 파지한 상태로 수집 드럼을 밀기만 하면, 바닥에 떨어진 공들이 수집 드럼 내부로 포집되는 동시에 수집 드럼 외측에 구비된 수집통 내부로 공들이 안내되어 회수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없이 바닥에 떨어진 공이 연속하여 포집 및 회수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에서 와이어가 제거된 수집 드럼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에서 와이어가 제거된 수집 드럼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무동력 공 수집기에서 와이어가 제거된 수집 드럼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무동력 공 수집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는, 수집 드럼(100), 와이어(200), 리프팅 부재(300), 가이드 부재(400) 및 수집통(5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집 드럼(100)은, 제1 회전판(110), 제2 회전판(120), 제1 베어링(130, 140), 제2 베어링(150, 160), 파이프 행거(170, 180) 및 손잡이 프레임(190)을 구비한다.
제1 회전판(110)과 제2 회전판(120)은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이격하여 서로 마주보며 대응한다. 그리고, 제1 회전판(110)과 제2 회전판(120)의 중앙에는 각각 관통홀(111, 121)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111, 121)에 제1 베어링(130, 140)이 각각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제1 베어링(130, 140)을 관통한 상태로 장착된 가이드 부재(400)의 외경에 제2 베어링(150, 160)이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400)에 끼움결합된 제2 베어링(150, 160)의 외경, 즉 제2 베어링(150, 160)의 외륜에는 파이프 행거(170, 180)가 장착된다. 부연하면, 제1 베어링(130, 140)이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에 형성된 관통홀(111, 121)에 끼움결합되고, 가이드 부재(400)의 외경에 끼움결합된 제2 베어링(150, 160)의 외경에 각각의 파이프 행거(170, 180)가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손잡이 프레임(190)의 양단은 한쌍의 파이프 행거(170, 180)에 각각 결합된다.
와이어(200)는, 두께가 약 1mm 이며 제1 회전판(110)과 제2 회전판(12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된다. 이때, 와이어(200)는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이격하여 복수 설치되며, 와이어(200)에는 복수의 비즈(beads)(210)가 장착된다.
리프팅 부재(300)는, 와이어(200) 사이를 통과하여 수집 드럼(100) 내측에 포집되는 공(B)이 안착되는 부재로서, 수집 드럼(100)에 회전에 연동하여 위치가 변화되면서 안착된 공(B)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복수의 리프팅 부재(300)는, 제1 회전판(110)과 제2 회전판(12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리프팅 바(310)로서,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이격하여 복수 배치된다.
이때, 리프팅 바(310)는, 공(B)이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400)는, 리프팅 부재(300)에 공(B)이 안착된 상태로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의 회전에 의해 리프팅 부재(300)의 위치가 수집 드럼(100) 내부에서 상측에 위치하게 될 때, 리프팅 부재(300)에서 낙하하는 공(B)이 안착되고, 안착되는 공(B)을 수집통(50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수집통(50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수집 드럼(100)의 외측에 구비되어 가이드 부재(400)에 의해 안내되는 공(B)이 내부로 수용된다.
한편, 가이드 부재(400)는, 제1 가이드 파이프(410)와 제2 가이드 파이프(420)로 구성된다.
제1 가이드 파이프(410)는, 양단부가 제1 및 제2 베어링(130, 140, 150, 160)의 내경, 즉 제1 및 제2 베어링(130, 140, 150, 160)의 내륜 내경에 각각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제2 가이드 파이프(420)는, 제1 가이드 파이프(410)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수집 드럼(100)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 파이프(410)의 타측 단부와 제2 가이드 파이프(420)의 끝단부는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집통(500)은, 제2 가이드 파이프(42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 파이프(410)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이며, 제2 가이드 파이프(420)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가이드 파이프(42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공이 낙하하여 수집통(500)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다.
한편, 제1 가이드 파이프(410)에서 일체로 연장된 한쌍의 유도판(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판(412)은, 약 0.3mm의 두께로 이루어진 금속 소재이며, 리프팅 부재(300)에서 낙하하는 공(B)을 제1 가이드 파이프(410)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부재로써, 제1 가이드 파이프(410)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각각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리프팅 부재(300)에서 공(B)들이 낙하할 때, 불규칙하게 낙하하는 공들도 제1 가이드 파이프(410) 내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파이프(410)에는, 리프팅 부재(300)에서 낙하하여 안착되는 공(B)이 제2 가이드 파이프(420)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제2 가이드 파이프(420)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411a)이 형성된 경사부(4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동력 공 수집기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 프레임(190)을 파지한 상태로 이를 앞으로 밀면서 나아가거나, 뒤로 후진하면서 걷게 되면, 수집 드럼(100)이 일방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수집 드럼(100)의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에 제1 베어링(130, 140)이 장착되고, 손잡이 프레임(190)의 양단부에 제2 베어링(150, 160)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적은 힘으로도 수집 드럼(100)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수집 드럼(100)이 회전하게 되면 바닥에 떨어진 공(B)이 수집 드럼(100)의 와이어(200) 사이를 통과하면서 수집 드럼(100) 내부로 인입하게 된다. 즉, 와이어(200) 사이가 벌어지면서 공(B)이 수집 드럼(100) 내부로 인입하게 되고, 이후 와이어(200)의 복원력에 의해 그 사이가 다시 좁아짐과 아울러 와이어에 장착된 비즈(210)에 의해 공(B)이 수집 드럼(100)에서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집 드럼(100) 내부로 인입된 공(B)들은 리프팅 부재(300)에 안착하게 되고, 수집 드럼(100)의 회전에 의해 리프팅 부재(300) 또한 수집 드럼(100)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리프팅 부재(300)의 위치가 수집 드럼(100)의 상점에 도달하게 되면, 제1 회전판(110)과 제2 회전판(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수집 드럼(100) 내부 중앙에 길게 구비되고 상측이 개방된 제1 가이드 파이프(410)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이처럼 제1 가이드 파이프(410)를 향해 낙하하여 제1 가이드 파이프(410) 내측에 안착된 공(B)들은 제1 가이드 파이프(410)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부(411)에 의해 제2 가이드 파이프(420)로 안내되고, 수집 드럼(100)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 제2 가이드 파이프(42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수집통(500)으로 낙하하여 수집통(500)에 공들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 프레임(190)을 파지한 상태로 수집 드럼(100)을 밀기만 하면, 바닥에 떨어진 공(B)들이 수집 드럼(100) 내부로 포집되는 동시에 수집 드럼(100) 외측에 구비된 수집통(500) 내부로 공(B)들이 안내되어 회수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없이 바닥에 떨어진 공(B)을 연속하여 포집 및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에서 와이어가 제거된 수집 드럼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공 수집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팅 부재(300)는, 리프팅 와이어(320) 및 리프팅 파이프(33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리프팅 와이어(320)는, 약 3mm 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제1 회전판(110)과 제2 회전판(12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리프팅 파이프(330)는, 약 10mm 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리프팅 와이어(320)에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된다.
즉, 리프팅 와이어(320)와 리프팅 파이프(330)가 서로 이격한 상태로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이때, 리프팅 와이어(320)의 배치 높이가 리프팅 파이프(330) 보다 약간 높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이 회전하게 되면, 수집 드럼(100) 내부로 인입된 공(B)들이 리프팅 와이어(320)와 리프팅 파이프(330) 사이에 안착하게 되고, 이렇게 안착된 공(B)들은 리프팅 와이어(320)와 리프팅 파이프(330)의 위치가 수집 드럼(100)의 상점에 도달하게 되면, 제1 가이드 파이프(410)를 향해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수집 드럼 110: 제1 회전판
111, 121: 관통홀 120: 제2 회전판
130, 140: 제1 베어링 150, 160: 제2 베어링
170, 180: 파이프 행거 190: 손잡이 프레임
200: 와이어 210: 비즈
300: 리프팅 부재 310: 리프팅 바
320: 리프팅 와이어 330: 리프팅 파이프
400: 가이드 부재 410: 제1 가이드 파이프
411: 경사부 411a: 경사면
412: 유도판 420: 제2 가이드 파이프
500: 수집통 B: 공

Claims (9)

  1. 중앙에 관통홀(111, 1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 121)에 제1 베어링(130, 140)이 끼움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과, 하기 가이드 부재(400)의 외경에 끼움결합된 제2 베어링(150, 160)의 외경에 장착된 파이프 행거(170, 180)와, 상기 파이프 행거(170, 180)에 양단이 결합된 손잡이 프레임(190)을 구비한 수집 드럼(100);
    상기 제1 회전판(110)과 제2 회전판(120) 사이를 연결하되,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이격하여 설치되며 복수의 비즈(beads)(210)가 장착된 와이어(200);
    상기 와이어(20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수집 드럼(100) 내측으로 포집되는 공(B)이 안착되며, 수집 드럼(100)에 회전에 연동되어 위치가 변화하면서 공(B)을 상승시키는 리프팅 부재(300);
    상기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리프팅 부재(300)에서 낙하하는 공(B)이 안착되고, 안착되는 공(B)을 하기 수집통(500)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400); 및
    상기 수집 드럼(1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400)에 의해 안내되는 공(B)이 수용되는 수집통(500);
    을 포함하는 무동력 공 수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재(300)는,
    상기 제1 회전판(110)과 제2 회전판(12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이격하여 복수 배치된 리프팅 바(3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공 수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바(310)는,
    상기 공(B)이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반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공 수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재(300)는,
    상기 제1 회전판(110)과 제2 회전판(12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제1 및 제2 회전판(110, 12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리프팅 와이어(320); 및
    상기 리프팅 와이어(320)에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리프팅 파이프(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공 수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400)는,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130, 140, 150, 160)의 내경에 끼움결합된 제1 가이드 파이프(410); 및
    상기 제1 가이드 파이프(410)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집 드럼(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가이드 파이프(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공 수집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파이프(4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이며,
    상기 제2 가이드 파이프(420)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공 수집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파이프(410)는,
    상기 제2 가이드 파이프(420)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411a)이 형성된 경사부(41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공 수집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파이프(410)는,
    상기 리프팅 부재(300)에서 낙하하는 공(B)을 제1 가이드 파이프(410)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제1 가이드 파이프(410)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각각 상향 경사진 한쌍의 유도판(41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공 수집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50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파이프(42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공 수집기.
KR1020180104462A 2018-09-03 2018-09-03 무동력 공 수집기 KR10203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62A KR102033447B1 (ko) 2018-09-03 2018-09-03 무동력 공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62A KR102033447B1 (ko) 2018-09-03 2018-09-03 무동력 공 수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447B1 true KR102033447B1 (ko) 2019-10-17

Family

ID=6842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462A KR102033447B1 (ko) 2018-09-03 2018-09-03 무동력 공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4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1777A (zh) * 2020-08-06 2020-11-27 李焕 一种便捷式网球收集装置
KR20230004029A (ko) 2021-06-30 2023-01-0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탁구공 수거 및 보관 장치
KR20230004021A (ko) 2021-06-30 2023-01-0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탁구공 수거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6465A (en) * 1973-05-29 1975-12-16 Amos N Hoagland Ball retrieving and storage devices
JPS59164664U (ja) * 1983-04-20 1984-11-05 株式会社 東陽機械製作所 ボ−ル拾集器
JPS6334461U (ko) * 1986-08-26 1988-03-05
JPH07313634A (ja) * 1994-05-20 1995-12-05 Tooa Sports Mach:Kk ボール収集機
JPH08276037A (ja) * 1995-04-07 1996-10-22 Shota Hiyamuta ゴルフボール回収作業車
JPH11309233A (ja) * 1998-04-28 1999-11-09 Kinki Kuresuko:Kk 球技場におけるボール揚げ装置
JP3091637B2 (ja) * 1994-06-22 2000-09-25 株式会社佐屋技研 球体収集装置
US20010048228A1 (en) * 2000-03-22 2001-12-06 Carr Ronald H. Sports ball retrieval and dispensing device with multi-part receptacle and handle
KR100425825B1 (ko) 2002-05-08 2004-04-13 조민영 테니스공 수집기
WO2016198173A1 (en) * 2015-06-11 2016-12-15 Husqvarna Ab Object collector device, object collector container, object collector grid protector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6465A (en) * 1973-05-29 1975-12-16 Amos N Hoagland Ball retrieving and storage devices
JPS59164664U (ja) * 1983-04-20 1984-11-05 株式会社 東陽機械製作所 ボ−ル拾集器
JPS6334461U (ko) * 1986-08-26 1988-03-05
JPH07313634A (ja) * 1994-05-20 1995-12-05 Tooa Sports Mach:Kk ボール収集機
JP3091637B2 (ja) * 1994-06-22 2000-09-25 株式会社佐屋技研 球体収集装置
JPH08276037A (ja) * 1995-04-07 1996-10-22 Shota Hiyamuta ゴルフボール回収作業車
JPH11309233A (ja) * 1998-04-28 1999-11-09 Kinki Kuresuko:Kk 球技場におけるボール揚げ装置
US20010048228A1 (en) * 2000-03-22 2001-12-06 Carr Ronald H. Sports ball retrieval and dispensing device with multi-part receptacle and handle
KR100425825B1 (ko) 2002-05-08 2004-04-13 조민영 테니스공 수집기
WO2016198173A1 (en) * 2015-06-11 2016-12-15 Husqvarna Ab Object collector device, object collector container, object collector grid protec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1777A (zh) * 2020-08-06 2020-11-27 李焕 一种便捷式网球收集装置
CN111991777B (zh) * 2020-08-06 2021-11-26 李焕 一种便捷式网球收集装置
KR20230004029A (ko) 2021-06-30 2023-01-0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탁구공 수거 및 보관 장치
KR20230004021A (ko) 2021-06-30 2023-01-0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탁구공 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447B1 (ko) 무동력 공 수집기
EP2145655B1 (en) Ball collecting device
US9839816B2 (en) Ball pickup device
JP2017509469A (ja) 自動化ティーバッティング装置
JP6271627B2 (ja) 集球モジュールを備えるボール収集装置
CN205626933U (zh) 一种双飞盘式自动捡球机
KR20120002298U (ko) 과실 수집기
KR101937058B1 (ko) 셔틀콕 수거 장치
JP5147057B2 (ja) 卓球用集球具
KR200388231Y1 (ko) 공 회수기구
KR20150084368A (ko) 테니스볼 픽업 로봇
US4077659A (en) Golf ball teeing device
KR100962964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CN210933654U (zh) 一种体育用排球拾球器
CN209361804U (zh) 一种球网可升降的投篮辅助装备
KR200450240Y1 (ko) 테니스 볼 수집기
JP5243628B2 (ja) 卓球用集球具
KR20100108807A (ko) 골프 볼 공급장치
JP3208764U (ja) テニスボール回収装置
JP3001277U (ja) ピンポン玉拾集器
CN209828151U (zh) 一种训练场地篮球回收装置
CN204034201U (zh) 一种捡球器
CN110302519A (zh) 一种体育训练用乒乓球发球机
CN113398547B (zh) 一种乒乓球运动用捡球装置
CN217661392U (zh) 一种用于篮球投篮训练篮球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